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eory of Mind,and Syntax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Yeonsun Jin(진연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본 연구는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행 이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행 이해 능력이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간 상관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45명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이 참여하였다. 화행 이해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교실 맥락을 구조화하여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능력을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된 분산분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행 이해 능력은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화행 이해 유형 간에는 간접화행이 직접화행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집단과 화행 이해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기능자폐아동은 모든 화행 이해에서 마음이해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간접화행 이해와 마음이해, 구문이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일반아동보다 화행 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때 마음이해와 구문이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하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act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to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in an analogous classroom context.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chool-age children with HFA,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To differentiate speech act comprehension behavioral observation was used in an analogous classroom context. The types of speech acts involved were direct and indirect. Also, this study measured ToM and syntax comprehension.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howing that the HFA group and SLI group had lower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an the TD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ypes of speech acts in which indirect speech acts had lower scores than the direct speech acts. Third,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ypes of speech act comprehension.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speech act comprehension and ToM scores in children with HFA.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direct speech acts scores,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LI.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 with HFA and SLI have more difficulties with the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an children with TD in analogous classroom contexts.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when identifying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HFA and SLI.

      • KCI등재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과 사도행전에 소개된 성령의 담화 비교연구

        박형대 ( Hyung Dae Par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8 No.-

        성령의 담화 측면에서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과 신약성경이 사도행전을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주의 사자의 명령(행 8:26)에 의해 빌립은 북쪽으로 가던 발걸음을 돌려남쪽으로 향하고 있었는데, 이 때 성령은 그로 하여금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다가가 복음을 전하게 하셨다(8:29). 하늘에서 ‘큰 보자기 같은 것’의 환상을 보고(10:11) 하늘의 음성을 들은(10:13, 15) 베드로는 “일어나 내려가 의심하지 말고 함께 가라 내가 그들을 보내었느니라” 하시는 성령의 명령을 듣는다(10:20). 성령은 주의 사자 및 하늘 음성보다 더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신다. 이어 성령은 수리아의 안디옥 교회 지도자들에게 바나바와 사울을 따로 세우라고 말씀하신다(13:2). 이러한 성령의 담화는 이방 선교와 연관되고 힘든사역을 요구한다. 게다가 성령은 바울(20:23)과 바울 전도대(21:11)에게도 말씀하시는데, ‘바울이 예루살렘에게 결박과 환란을 만날 것이라’는 내용이다. 담화를 통해 성령님은 축복이 아니라 핍박에 대해 알리신다.반면,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에서는 성령의 담화와 관련하여 다른 내용이 예상된다. 사해문헌에서 성령의 담화는 어려움보다는 치료, 평강, 장수, 다산, 영원한 축복, 영원한 기쁨(1QS IV 6-7; 4Q504 1-2 V, 16)과 연관된다. 성령의 담화를 통해 약속의 땅이 대속될 것이 기대된다(1QS IX, 2-5). 하지만 사도행전에 소개된 성령의 담화는 제자들로 하여금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게 한다.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에서 성령은 주로 특별한 ‘지식’을 주시는 분으로 그려진다(4Q504 4, 4-5; 필로의 요셉의 생애 110-115). 하지만 사도행전 성령의 담화에는 정보보다는 지시사항이 많다.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과 비교해 볼 때, 사도행전의 관심사는 제자들의 반응에 있다. 이 논문의 결론은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과 사도행전이 성령의 담화 견지에서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ll the Second Temple Jewish literature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erms of the Holy Spirit`s speech. In Acts there are the Holy Spirit`s speech in 8:29, 10:19-20, 13:2, 20:23, and 21:11. By saying to Philip, who changed his moving direction from the North to the South by the commandment of an angel of the Lord (8:26), the Spirit makes him draw near to the eunuch and talk about the gospel (8:29). Peter, who saw the vision of “an object something like a large sheet descending” (10:11) and heard of a heavenly voice (10:13, 15), hears the Spirit make an order, that is, “Rise and go down and accompany them without hesitation, for I have sent them” (10:20). The Spirit speaks more concrete instructions than the angel of the Lord and the heavenly voice. In addition, the Spirit speaks to the leaders of the Antioch church to set apart Barnabas and Saul (13:2). All these speeches are related to the Gentile mission and demand a hard work. Further, the Spirit tells Paul (20:23) and Paul`s mission team (21:11) that Paul will encounter imprisonment and afflictions in Jerusalem. In speech, the Holy Spirit informs them not of blessings but of persecution. However, we can read a different expectation at Second Temple Jewish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Holy Spirit`s speech. In the Dead Sea scrolls the Spirit`s speech is connected with blessings such as healing, great peace in a long life, fruitfulness, everlasting blessing, eternal joy (1QS IV 6-7; 4Q504 1-2 V, 16), rather than with difficulties. The Holy Spirit`s speech will make the promised land be redeemed (1QS IX, 2-5), but in Acts the Spirit`s speech guides the disciples to proclaim the gospel to the Gentiles. In Second Temple Jewish literature the Holy Spirit mainly gives special knowledge (4Q504 4, 4-5; Philo`s On the Life of Joseph 110-115), but in Acts the Spirit`s speech give a direction rather than an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Second Temple Jewish literature, Acts concerns the disciples` respons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are different features between Second Temple Jewish literature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in relation to the Holy Spirit`s speech.

      • KCI등재

        자료기반 스페인어 구어 담화 분석 및 화행 연구 - 의문문 형식의 화행 연구를 중심으로

        신자영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ypes of Spanish speech acts and its politeness strategies used in interrogative sentences. For our study, we compiled a Spanish oral corpus consisting of 12,409 utterance pairs based on 9 modern Spanish movies. Based on the oral corpus, we extracted 1,962 interrogative sentences to analyze their functions in discourse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speech acts. We depended on the notion of felicity conditions in order to classify each speech act; as a result, we showed that Spanish interrogatives can be classified in 17 subtypes: questions, assertion, exclamatives, rhetoric questions, directive speech acts such as request, suggestion, permission, recommendation, etc. We argued that grammatical sentence types such as interrogatives, declaratives and imperative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ir typical function. Also, the frequency of each speech act types realized as Spanish interrogative sentences is shown. Theoretically, we applied pragmatics theories such as indirect speech act strategies, politeness strategies, and implications theory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of adopting the interrogatives in each speech act. 본 연구는 스페인어로 된 9편의 영화를 전산화된 말뭉치(Corpus) 형태로 구축하고, 구축된 스페인어 구어 코퍼스의 12,409개 발화 쌍에서 의문문 형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형식의 화행(Speech Act)과 이를 수반하는 다양한 담화상의 요소 및 전략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으로는 화행 이론 및 담화 분석 이론, 공손성 이론, 함축 이론 등과 같은화용론의 주요 이론들에 기초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으로 의문문으로 구현되는 발화들이 구현되는 화행적 실현 양상을 형태와 기능의 상호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게 될 것이다. 의문문은 사용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항상 질문의 화행으로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며, 단언, 감탄, 명령, 요청, 제안 등 가장 다양한 유형의 화행으로 구현되는 발화 형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의문문이 나타내는 다양한 화행을 정의하고, 한 유형의 발화 형태가 실제 언어의 사용에서 다양한 유형의 화행으로 구현되는 과정과 원리를 살펴보면서, 실제 발화에서 이들 각각화행이 사용되는 분포 및 빈도를 함께 연구하여, 자료 기반 귀납적 연구를 통하여 스페인어의구체적인 언어수행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고 이를 스페인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비자 형명일치(形名一致)론에 내재된 명(名)의 언어 수행적 특징

        황진영 ( Hwang,Jin-yo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한비자의 형명론(形名論)은 중국의 사유체계인 명실론(名實論) 계통에서 발전한 이론이다. 명실론은 명과 실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주된 주제로 삼는데, 한비자는 이러한 전통적인 사유방식을 형과 명이라는 말로 바꾸어 말한다. 형명론이라는 새로운 이론의 구축은 기존의 명실론과는 다른 해석이 요청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한비자의 형명론을 화행론적 관점을 통해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화행론은 존 오스틴이 정립한 이론으로 언어, 그 중에서 도 발화를 행위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 관점에 착안하여 명(名)을 해석해 보면 명은 신하의 제안, 약속, 군주의 임명, 선포와 같은 수행적 발화를 뜻한다. 다시 말해, 명은 직함이나 이름, 명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약속, 제안, 임명, 선포와 같은 언어행위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명에 대한 해석을 기반으로 하여 형명일치를 분석했을 때 형 명일치가 상벌제도를 합리화 하는 수단으로 단순히 치환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왜냐하면 명이라고 일컫는 언어행위의 시작은 화자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며, 세계가 말에 맞추는 방향성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존 서얼에 따르면 언어행위는 두 가지의 방향성에 의해 분류 된다. 첫 번째는 말이 세계에 맞추는 방향, 두 번째는 세계가 말에 맞추는 방향이다. 전자는 이미 현실에 일어난 현상을 말이 그대로 맞춰서 표현하는 경우로, 단언이나 설명, 묘사 등이 이것에 해당한다. 후자는 세계가 말에 맞추려고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맹세, 약속, 계약, 보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종류의 언어행위는 세계를 바꿔야만 가능한 일이므로 화자는 일종의 책임감을 가지게 된다. 한비자는 이러한 책임감을 의무감의 단계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써의 상벌제도를 인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행론의 관점을 빌어 한비자의 형명일 치를 해석하는 일은 한비자 사상에 대한 기존의 경직된 해석을 유연하게 만들어준다. 군주를 중심으로 이해되는 정치론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현대에도 유효한 논쟁거리인 언어와 세계의 주제에 맞춰 형명론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Han Feizi`s theory of Xingming is a direct descendant of China`s unique system of thought, the theory of Mingshi. The traditional theory of Mingshi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and “shi” while Han Feizi uses his own “xing” and “ming” to reestablish the concept. For this reason, the new Xingming theory requests for a new interpret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existing one. Therefor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rethink Han Feizi`s theory by using the “speech act theory.” John Austin`s speech act theory notes that language and utterance should be perceived as action. Based on this perspective, “ming” is redefined as performative utterance such as suggestions of courtiers, promises, appointments made by the sovereign, and declarations. That is, “ming” no longer stands for titles, names, or political causes but for speech act in general, for example promises, suggestions, appointments, and declarations. Standing on this basis, the consistency of xing and ming can no longer be treated as a means to rationalize th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because speech act comes from the speaker and the directions of “world-to-world fit.” John Searle classifies speech act into two different directions, one is world-to-world fit and the other is word-to-world fit. The former applies for cases in which the word verbalizes a situation that has already happened such as affirmation, explanation, and description. The latter means the world changes to fit the word and avows, appointments, contracts, and guarantees are in this category. This kind of speech act is only possible when the world changes so the speaker takes on a responsibility. Han Feizi acknowledges th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only when responsibility develops into obligation. The speech act theory allows us not only to rethink the consistency of xing and ming but also to shed from the pre-existing rigid 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versy surrounding language and world,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overcoming the sovereign-centered political Xingming theory.

      • KCI등재

        1980년 언론기본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문재완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3 世界憲法硏究 Vol.29 No.2

        1980년 언론기본법은 제5공화국을 대표하는 악법으로 평가받는다. 쿠데타로 집권한 신군부가 비정상적인 입법기관을 이용해서 만든 법이니 그러한 평가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 언론기본법에서 악법으로 평가받을 내용은 등록취소 조항이다. 정부가 광범위한 사유로 언론사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은 그 자체로 위헌이다. 권위주의 정부가 언제든지 언론사의 생명줄을 끊을 수 있다는 공포는 언론사를 정부에 순종하도록 만드는 효과가 컸다. 언론기본법의 헌정사적 의의는 언론관리의 법제화에 있다. 등록취소 조항을 제외한 나머지 조항들을 보면, 언론기본법을 악법이라고 평가하기 힘들다. 언론기본법을 언론의 자유의 관점에서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기본법은 개인이 주체가 되는 ‘표현의 자유’와 미디어로서 언론이 주체가 되는 ‘언론의 자유’을 구분하고, 언론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가는 언론에 특권과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를 형성할 의무가 있다는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당시에 이 이론은 언론의 공적 과업 또는 언론의 제도적 보장이라고 불렸다. 둘째, 언론기본법은 영향력이 급증하고 있는 방송을 언론의 자유를 실현하는 주요 매체로 포섭하고, 공영방송 체제를 제도화하였다. 셋째, 언론기본법은 알 권리를 법제화하였다. 비교적 새로운 권리인 알 권리를 도입한 것은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언론기본법의 골격을 이루는 제도 중 상당 부분이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다. 권위주의 정부가 무너지는 시점인 1987년 만들어진 정간법과 방송법에서 언론중재위원회와 방송위원회의 기능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이는 언론기본법이 내용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언론기본법이 채택하고 있는 언론의 자유 이론을 수용한 또 다른 입법이 노무현 정부 때 제정된 신문법과 언론중재법이다. 언론기본법이 지향하던 언론의 공적 과업 이론이 신문법을 통해서 구현되고, 언론기본법이 채택한 언론피해구제 방안이 언론중재법에서 구현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환경이 크게 바뀌었는데, 신문법이 1980년 언론기본법을 계승한 것은 시대착오적이었다. 신문법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및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고 2010년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내용으로 개정된 것은 잘된 일이다. 언론기본법의 공적 과업론은 방송법에 여전히 남아있다. 1987년 대체입법 논의 당시의 방송통신 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방송법이 공적 과업론을 계수한 것은 타당하다. 하지만 기술 발전으로 주파수의 제한 등 방송의 고유한 특성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방송법이 공적 과업론에 얽매여 있는 것 역시 시대착오적이다. 누구나 자기 생각을 전파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의 표현의 자유와 언론(매체)의 언론의 자유가 다를 수 없다. 방송법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The Basic Act on Press of 1980 is widely regarded as the most repressive law of the 5th Republic of Korea, and this is unsurprising since it was enacted by the new military government that seized power though a coup.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of the Basic Press Act's detrimental impact, the assessment becomes less straightforward. The clause on registration cancellation is the key factor leading to its classification as highly repressive, as granting the government the power to cancel media organizations' registration for overly broad reasons is inherently unconstitutional. Nevertheless, apart from this provision, it becomes difficult to label the remaining aspects of the Basic Press Act as entirely repressive. From the perspective of press freedom, the evaluation of the Basic Press Act is as follows: Firstly, the Basic Press Act makes a distinction between “freedom of expression,” which applies to individuals, and “freedom of the press,” which pertains to media entities. It is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state has an obligation to establish a system that grants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 to mass media to safeguard press freedom. This theory was known as “the public function theory of the press” or “the institutional guarantee of free speech” at that time. Secondly, the Basic Press Act recognizes the growing influence of broadcasting as a major medium for achieving press freedom and institutionalizes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irdly, the Basic Press Act formally recognizes the right to know, which is a relatively new and highly commendable addition. A significant part of the Basic Press Act's framework still exists today. The functions of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the Broadcasting Commission were even strengthened in the new laws that replaced the Basic Press Act in 1987 when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was collapsing. This indicates that the Basic Press Act deserved positive evaluations with respect to its content. The press freedom theory adopted by the Act bears the most similarity to the Newspaper Law and Press Arbitration Law enacted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e Basic Press Act's pursuit of the public function theory of the press found realization through the Newspaper Law, while the Basic Press Act's provisions for addressing media damage were implemented through the Press Arbitration Law. However, due to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edia landscape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rendering the inheritance of the Basic Press Act by the Newspaper Law outdated. It is commendable that the Newspaper Law was amended in 2010 to guarantee freedom of the press after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basic clauses of the Newspaper Law unconstitutional. The public function theory of the Basic Press Act was carried over to the Broadcasting Law. Considering the level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t the time of the 1987 replacement legislation, it was reasonable to incorporate the public function theory into the Broadcasting Law. However, despite technological advancements elimina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such as frequency limitations, it is also anachronistic that the Broadcasting Law still adheres to the public function theory. In today's media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disseminate their thoughts, there should be no distinction between an individual'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media's freedom of the press. It is time to bid farewell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Basic Press Act, the public function theory of the press.

      • KCI등재

        화행과 언어범죄 - 교사죄를 중심으로

        이해윤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9 언어와 언어학 Vol.0 No.85

        In this paper, we analyzed one of language crimes, solicitation, in terms of speech act theory. Language crime is based on utterance, so the linguistic analysis of utterance is essential for the explanation of crime. Especially speech act theory is more helpful in analyzing language crime than other theories, because the theory provides explanations of language use in view of the communication. Solicitation corresponds to 'Erfolgsdelikte' like most languages crime. Therefore, the crime is summarized in terms of speech act theory as follows: the utterance of solicitation has the illocutionary act 'requesting' and the perlocutionary act 'getting'. Due to the defect of the perlocutionary act, we depend on the felicity condition of the illocutionary act 'requesting' to judge if an utterance implies solicitation. The explana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provide an objective analysis of language evidence. As a result, we can say that the linguistic analysis can supplement the legal comments in the judgment or replace some incorrect legal comments.

      • KCI등재

        스페인과 한국의 형법상 명예훼손범죄에 대한 화용적 고찰

        정혜윤 ( Chung¸ Hye-yoon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1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스페인과 한국에서 언어 범죄로 여겨지는 명예훼손죄에 관한 법률 조항과 최근 판례들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Hancher(1980)와 Tierma(1987)은 명예훼손을 Austin(1962)과 Searle(1976)의 화행이론에 기반을 두어 법학과 언어학을 잇는 학제 간 분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명예훼손 발언을 하나의 화행으로 규정하고 화행의 두 측면인 발화수반행위와 발화효과행위로 나누어 분석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명예훼손죄를 언어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많지는 않은 가운데, 스페인에서는 Guillén Nieto(2020)가 한국에서는 이해윤(2018, 2020)이 명예훼손죄와 모욕죄 관련 자국의 형사법을 검토하고 판결 사례들을 언어학적으로 시도한 것이 유일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양국의 명예훼손 관련 법률 조항들을 검토하고 대조언어학적 비교를 위하여 ‘명예훼손화행’에 대한 적정조건들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최근 판례들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명예훼손’을 화행으로 간주할 경우, 그 본질상 화용론에서 말하는 발화효과를 예견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새로운 적정조건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스페인과 한국의 명예훼손죄를 화용론적으로 비교분석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으며, 아울러 국내 판례와 비교를 통해 두 국가 간 법률 적용 기준의 차이에 대한 언어학적 해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언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법학 분야에도 실용적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legal provisions and recent precedents of defamation, which are considered crimes in Spain and South Korea. Hancher(1980) and Tierma(1987) attempted an interdisciplinary analysis linking Law and Linguistics based on Austin (1962) and Searle(1976)'s Speech Act Theory. In particular, they considered defamation as a speech act and argued that the defamatory speech act just like any other speech act would be subdivided into two aspects: its illocutionary act and its perlocutionary act. In intralinguistic perspectives, we can only mention a couple of studies: Guillén Nieto (2020) on the defamation law and the judicial precedents in Spain and Lee(2018, 2020) on the ones in South Korea. In the current paper, we have examined the concrete legal clauses related to defamation and a few of recent precedents in the two countr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e have newly proposed felicity conditions for a defamatory speech act based on the legal definition of defamation in both countries.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compare defamation crimes in Spain and South Korea under the pragmatic framework. Therefore, the findings would have some implications not only from the linguistic viewpoints but also from the legal ones.

      • KCI등재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간접 화행 이해 특성에 관한 연구

        정훈영 ( Hoon Yong Jung ),서경희 ( Gyeong Hee Se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아스퍼거장애 아동이 간접 화행을 이해하는데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령과 언어성 지능이 비슷한 아스퍼거장애 아동 20명과 일반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간접 화행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양적 차이 비교와 간접 화행 이해력 검사에서 나타난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특성을 문답 방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 화행 이해력 검사에서 아스퍼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이해력에는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의문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스퍼거장애 아동은 간접 화행을 이해할 때 다음의 세 가지 특성을 보였다. 첫 번째로 맥락의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문장의 겉 뜻 그대로 해석하는 경우, 두 번째로 맥락의 정보를 활용하였지만 완전히 통합하지 못하고 해석을 하는 경우, 세 번째로 맥락과 상관없이 자신의 경험을 투사하여 해석하는 경우이다.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간접 화행 이해의 문제는 그들의 핵심 증상인 사회성 결핍, 의사소통의 질적인 결함 보다는 인지적 결손에서 기인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research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reaction of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to indirect speech acts. To successfully achieve this purpose, two groups(one group of 20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and the other group of 20 children without) were tested with their ability to understand indirect speech ac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don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children with the disorder have.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using the catechetical metho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hildren without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The difference was obvious in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propositional sentence, and imperative sentence all. Second, the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showed three cases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they interpreted the given sentence in literal sense without any information from context, or they did it with not enough information from context that their understanding was not united, or they interpreted with their own experiences regardless of the contex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three cases in which these children showed misunderstanding in indirect speech acts can be explained by deficit of theory of mind, weak central coherence,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 in order. Their problem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was caused not by their primary symptom from the disorder such as defective communication or lack of sociality, but by their flawed cognition.

      • KCI등재

        언어 담론으로서의 계시 ― 언어행위이론(Speech Act Theory)의 관점에서

        조안나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4 No.-

        In the Christian tradition, divine revelation is ‘God’s self-disclosure’ and God reveals Himself through the Bible. The Bible records the ‘speech of God’ and the ‘acts of God’, and God reveals who He is through his ‘word-actions’. In other words, God reveals himself as ‘language’ to us and acts through ‘language’ (language event). Thus, revelation is not a theoretical or propositional knowledge of God, but an experience of practical and experiential faith. Revelation, therefore, involve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In other words, revelation is ‘communication act’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as ‘discourse of language’ of God. Although systematic theology considers revelation (biblical) as a divine discourse or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it does not know how the divine discourse of God becomes real and influential in the lives of believers. It seems that they do not fully explain what implications they have in theology (faith).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examine ‘revelation as a discourse of language’ through the Speech Act Theory to present the answer to this. If we illuminate revelation as a discourse of language as a speech act theory, the following three hermeneutical contributions to revelation are expected. First, revelation is a ‘communicative act between God and believer’ as ‘discourse of language’ of God. This explains how the revelation of the Word of God transforms the lives of believers and gives an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e revelation (faith, practical implication). Second, revelation is God’s language event that includes both the reason and the experience of faith, and it is an event of faith. Thus, revelation represents both the propositional statements of reason and the empirical statements of faith. Third, the Bible is God’s Word written by God-inspired Bible reporters, confirming our faith and restor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Word). 기독교 전통에서 계시는 ‘하나님의 자기 드러냄’(self-disclosure)이며 하나님은 성서를 통해 자신을 계시하신다.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speech)과 하나님의 행위(act)가 기록되어 있으며 하나님은 자신의‘말-행동’을 통해 하나님 자신이 어떠한 분이신지를 나타낸다. 즉 하나님은 우리에게 ‘언어’로 자신을 계시하시며 ‘언어’를 통해 행동하신다 (언어사건). 따라서 계시는 하나님에 대한 이론적 명제적 지식이라기보다 실천적이며 경험적인 신앙의 체험사건이다. 그러므로계시는 하나님과 신자 사이의 ‘상호 인격 간의 소통’을 수반한다. 즉계시는 하나님의 ‘언어 담론’으로서 하나님과 신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행위’이다. 조직신학에서 계시(성서)를 신적 담화(언어 담론) 혹은 하나님과 신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라고 간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하나님의 신적 담화가 신자들의 삶에서 실재가 되며, 어떠한 영향을 일으키는지, 신적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신학(신앙)적으로 어떠한함의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것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자 언어행위이론을 통하여 ‘언어 담론으로서의 계시’를 고찰할 것을 제안한다. 언어 담론으로서 계시를 언어행위이론으로 조명한다면 다음과 같은세 가지 계시의 해석학적 공헌이 예상된다. 첫째, 계시는 하나님의 ‘언어 담론’으로서 하나님과 신자 간의 ‘상호인격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이다. 이는 하나님 말씀의 계시가 신자들의 삶을 어떻게 변혁시키는지 설명하며 (신앙적, 실천적 함의) 계시의 성령론적 관점에 대한 언어학적 해석의 이해를 준다. 둘째, 계시는 이성과 신앙의 경험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님의 언어사건이며, 신앙의 사건이다. 따라서 계시는 이성의 명제적 진술과 신앙의 경험적 진술 모두를 나타낸다. 셋째, 성서는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성서 기자들에 의해 쓰인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신-인 협력 담론, double agency discourse) 우리의 신앙을 확증하고 성서(말씀)의 권위를 회복한다.

      • KCI등재

        기독교 문해력과 기도 언어의 상관관계 - 언어의 동일성(identity)와 화행이론(speech-act theory)를 중심으로

        김인수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9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문해력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중심으로 종교 문해력과 기독교 문해력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탐구하고 ‘기도 언어’가 기독교 문해력을 강화하고 증진하는데 기여함을 입증하고자 한다. 동시에 본 논문은 문해력과 언어 이론 그리고 기도 언어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성하는 일에 집중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문해력과 기도 사이를 관통하는 것이 ‘언어’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문해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다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해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문해력은 급변하는 사회 안에서 자기를 이해하고 세계와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은 문해력 이해는 종교/기독교 문해력을 탐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종교 문해력은 자기 종교의 체계와 언어에 대해 배움과 동시에 타자의 종교로부터 배움을 포함한다. 나아가 종교 문해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더불어 종교현상을 이해하는 능력을 뜻한다. 기독교 문해력은 종교 문해력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기독교의 독특한 차원을 배제하지 않는다. 기독교 문해력이란 기독교의 언어와 실천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동시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기독교 고유의 특징에 대해 배우고 이를 표현하는 차원까지 포함한다. 기도는 기독교 문해력을 증진하는 주요한 수단이다. 기도는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대화(말)인 바, 기도 언어의 특징을 살피는 것은 기독교 문해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처럼 문해력과 종교/기독교 문해력, 그리고 기도는 모두 언어적 특징과 더불어 상관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언어 이론과 기독교 문해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일은 유의미하다. 이를 위해 고틀로프 프레게(Gottlob Frege)의 언어 이론을 살피고 존 오스틴(John L. Austin)의 언어 행위(언어의 효력과 성취)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와 기도 그리고 문해력의 상관성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나아가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J. J. Wittgenstein)의 언어 사용의 사회적 규칙/맥락의 의미에 대해 살필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기독교 문해력과 언어의 의미 형성 및 화행이론이 상관관계에 있음을 논증할 것이다. 끝으로, 기도 언어의 초월적 독특성에 대해 살펴볼 계획인데, 특별히 언어의 화행이론(Speech-Act Theory)과 의미의 동일성(Identity) 이론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집중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이 설정한 바, 기도 언어가 기독교 문해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활용됨을 논증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and role of religious literacy and Christian literacy with relations of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literacy, and how ‘prayer language’ can enhance and promote Christian literacy.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constructing a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language theory and prayer language, because it is ‘language’ that runs through literacy and prayer. Literacy is generally defined as the ability to read and comprehend. However, literacy expands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The expansion of literacy helps shape identit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by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mselves and establis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This understanding of literacy is the basis for defining religious literacy and Christian literacy. Religious literacy involves learning about the system and language of one’s own religion, as well as learning from the religions of others. Furthermore, religious literac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religious phenomena in relation to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Similarly, Christian literacy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religious literacy. However, it does not exclude the distinctive dimensions of Christianity. Prayer is the way by which Christian literacy is enhanced and promoted. Understandings of literacy in general, religious/Christian literacy, and prayer are all shaped by language, and it is therefore relev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discourse on language and Christian literacy. In order to do so, this article will examine Gottlob Frege’s theory of language and John L. Austin’s speech-act theory to explore the connections between language, prayer, and literacy. Furthermore, Ludwig J. J. Wittgenstein’s social rules/contexts of language use will be examined to argue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Christian literacy and the meaning-making and discourse theories of language. Finally, the transcendent uniqueness of prayer language will be examined to argue that prayer language can be positively utilized to enhance Christian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