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원자이론(同源字理論)과 한자교육(漢字敎育)」

        이경숙 ( Keoung Suk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본고에서는 同源字의 역사적 근원과 그 변천 양상, 그리고 同源字理論의 발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同源字理論을 근거로 同源字를 漢字敎育에 응용할 때,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 그 기초적인 작업을 하였다. 同源字의 근원은 訓古의 원리로부터 그 理論적 근거를 찾았다. 특히 訓古의 방법 중 聲訓의 방법은 同源字理論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聲訓의 특수한 기능 중의 하나는 사물의 이름으로 부터 연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말의 근원을 탐구하여 그 말의 특징을 좀 더 쉽게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聲訓의 理論은 다시 形聲字의 聲符에 대하여 연구한 右文說로 발전되었고 이는 聲符에 대한 치밀한 연구 결과와 결합되어 同源字理論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비록 同源字에 대한 그 연원 탐구는 고대에서부터 있어 왔고 이와 더불어 동원자 이론이 탄생되었으나 아직까지 同源字理論의 체계와 글자의 유기적인 관계정립과 그 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同源字理論의 한계로 인하여 이를 漢字敎育에 응용할 때도 한계가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수하고 우선 同源字理論에 근거하여 漢字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서 漢字敎育에 응용할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첫째는 ‘形聲字同一聲符同源字’, 둘째는 ‘形聲字同一聲符字源假借同源字’, 셋째는 ‘非同一聲符同源字’이다. 同源字理論이 아직 확실히 정립을 하지 못하여 漢字敎育에 응용하는데 아직은 한계가 있고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하여도 위와 같은 연구는 同源字理論의 정립과 이를 이용한 漢字敎育에 도움이 적지 않은 밑거름이 되리라 기대한다. This is the paper that studies on a sources of the Chinese character of having same origin and establishing of the theory and, by extensio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in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ere sorted into three groups. There groups are ‘the same sound characters’, ‘the borrowed same sound characters’, ‘the different sound characters’. The sources of the chinese characters are from a fundamental principle of exegetics. Interpretation of sounds has relevance to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Interpretation of sounds has a special function that in the research about the beginning of the languages. If we could found the beginning of languages, we would be easy to understand about characteristics of languages. Interpretation of sounds was developed as a studying in the sound characters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haracters’ right characters;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has not be established yet. When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employ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a limit and difficulties as to what we can do. We are hoping that this study help development in the theory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and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同源字理論과 漢字敎育」

        이경숙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This is the paper that studies on a sources of the Chinese character of having same origin and establishing of the theory and, by extensio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in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ere sorted into three groups. There groups are ‘the same sound characters’, ‘the borrowed same sound characters’, ‘the different sound characters’. The sources of the chinese characters are from a fundamental principle of exegetics. Interpretation of sounds has relevance to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Interpretation of sounds has a special function that in the research about the beginning of the languages. If we could found the beginning of languages, we would be easy to understand about characteristics of languages. Interpretation of sounds was developed as a studying in the sound characters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haracters’ right characters;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has not be established yet. When the theory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employ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a limit and difficulties asto what we can do. We are hoping that this study help development in the theory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having same origin and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본고에서는 同源字의 역사적 근원과 그 변천 양상, 그리고 同源字 理論의 발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同源字 理論을 근거로 同源字를 漢字敎育에 응용할 때,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 그 기초적인 작업을 하였다. 同源字의 근원은 訓詁의 원리로부터 그 理論적 근거를 찾았다. 특히 訓詁의 방법 중 聲訓의 방법은 同源字 理論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聲訓의 특수한 기능 중의 하나는 사물의 이름으로 부터 연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말의 근원을 탐구하여 그 말의 특징을 좀 더 쉽게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聲訓의 理論은 다시 形聲字의 聲符에 대하여 연구한 右文說로 발전되었고 이는 聲符에 대한 치밀한 연구 결과와 결합되어 同源字 理論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비록 同源字에 대한 그 연원 탐구는 고대에서부터 있어 왔고 이와 더불어 동원자 이론이 탄생되었으나 아직까지 同源字 理論의 체계와 글자의 유기적인 관계 정립과 그 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同源字 理論의 한계로 인하여 이를 漢字 敎育에 응용할 때도 한계가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수하고 우선 同源字 理論에 근거하여 漢字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서 漢字 敎育에 응용할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첫째는 ‘形聲字 同一聲符 同源字’, 둘째는 ‘形聲字 同一聲符 字源假借 同源字’, 셋째는 ‘非同一 聲符 同源字’이다. 同源字 理論이 아직 확실히 정립을 하지 못하여 漢字 敎育에 응용하는데 아직은 한계가 있고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하여도 위와 같은 연구는 同源字 理論의 정립과 이를 이용한 漢字 敎育에 도움이 적지 않은 밑거름이 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어 조음위치에 대응하는 일본어 음독 한자 교육 방안

        최정희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日語日文學硏究 Vol.127 No.-

        In this study, the initial consonant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e initial consonants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the sounds of Japanese Kanji)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places of articulation during the education of Japanese Kanji vocal reading,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correspond to each other maintaining certain system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eries. ⓵ Bilabial consonant: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correspond to each other. ⓶ Alveolar consonant: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correspond to each other. ⓷ Palatal consonant: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are in closely corresponding relationships. ⓸ Velar consonant: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correspond to each other. ⓹ Guttural consonant: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of Japanese Kanji characters are in closely corresponding relationships. When teaching Japanese Kanji character vocal reading in classroom lectur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present a systematic order that exists between phonemes from the viewpoint of articulation places. Whe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s in the articulation places are examined,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bilabial consonants,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ㅂ〔p〕」is frequently pronounced as the sound of Japanese Kanji character 「フ [ɸ]」. In the case of velar consonants,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 「ㅇ [ŋ]」 is pronounced as the sound of Japanese Kanji character 「ガline〔g〕」.

      • KCI등재

        현대 한국한자음 초성과 중국어 성모 “x[ɕ]”의 대응관계 고찰

        기혜민(Ji Hui-mi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한국한자음 초성은 중국어의 성모와 일대일의 대응관계가 아니다. 한·중 한자음에 대 한 연구는 주로 이전 시기의 자료들을 기준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는 현대에 통용되는 하나의 중국어 성모 “x[ɕ]”를 가지고 한국한자음 초성과의 대응관계가 이루어 진 원인을 다루었다. 그 원인을 고찰하기 전에 사전준비를 통해 “x[ɕ]”에 대응하는 한국한자음 초성 “ㅎ, ㅅ”이 비교적 많고 “ㄱ, ㅇ[ø], ㅊ, ㅈ, ㄷ”은 소수인 것을 알게 되었다. 현대 중국어 성모 “x[ɕ]”는 구개음이다. 이 구개음은 처음부터 존재했던 음이 아니라 현대에 이르는 동안 새로 생긴 음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응관계의 형성은 중국어 성모의 역사적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한자음도 음운변화가 많이 일어 났다. 그러므로 한국한자음 초성자음과 중국어 성모의 통시적 변화를 통해 목적 달성을 도모코자 하였다. 한국한자음이든 중국어이든 모두 중국 중고음을 모태로 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중국 중고음과 연결하여 진행하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중세한국한자음훈집성(2009)을 주요자료로 초성 “ㅎ, ㅅ, ㄱ, ㅇ[ø], ㅊ, ㅈ, ㄷ”을 가진 한국한자음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초성 “ㅎ, ㅅ, ㄱ, ㅇ[ø], ㅊ, ㅈ, ㄷ”의 표기가 안정성이 강해서 중세 시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극소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표기가 변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3장에서 2장의 바탕으로 중세 시기의 한국한자음에 “ㅎ, ㅅ, ㄱ, ㅇ[ø], ㅊ, ㅈ, ㄷ”으로 실현된 중국 중고성모를 찾아내고 이 성모들의 변화가 “x[ɕ]”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중고성모들의 구개음화가 이러한 대응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이처럼 2장과 3장을 종합해 보고 한국한자음 초성 표기의 유지와 중국어의 구개음화가 이러한 대응관계가 형성된 원인인 것을 밝히었다. The initial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initials do not correspond one-to-one. So far researches on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are mainly based on the previous materials, but this paper will probe into the cause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ly used modern Chinese initial “x[ɕ]” and the initial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Previous preparations have found that there are more initial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that correspond to “x[ɕ]”, such as “ㅎ, ㅅ”, while “ㄱ, ㅇ[ø], ㅊ, ㅈ, ㄷ” correspond scarcely. The modern Chinese initial “x[ɕ]” is a newly emerged palatal sound, rather than existing since ancient times. Therefore, the cause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should relate to the historical changes of Chinese initials. Correspondingly,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lso varied much in phonology from ancient times to now. Because of the common basis of ancient Chinese phonology for the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so this research bears some relation to ancient Chinese phonology. Chapter Two mainly observes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initialed “ㅎ, ㅅ, ㄱ, ㅇ[ø], ㅊ, ㅈ, ㄷ” in Collection of Sounds and Meaning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of the Middle Ages(2009). It found that the marks of the initial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re stable, except only a few changes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Therefore based on what have found in Chapter Two, Chapter Three will try to find ancient Chinese initials that correspond to “ㅎ, ㅅ, ㄱ, ㅇ[ø], ㅊ, ㅈ, ㄷ” in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of the Middle ages, then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se Chinese initials and “x[ɕ]”. Finally, it found that there existed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latalization of ancient Chinese initials and the correspondence. Comprehensively Chapter Two and Chapter Three drew a conclusion that the cause of the correspondence lies in the stability of the marks of the initial sound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e palatalization of Chinese.

      • KCI등재

        漢字 讀音 硏究

        김혈조(Kim, Hyul-jo) 대동한문학회 2011 大東漢文學 Vol.35 No.-

        본 논문은 최근까지 한자 讀音의 시비로 인해 발생한 구체적 사례 몇 가지를 통해서 한자 독음을 통일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였고, 아울러 20세기를 전후하여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 양상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한자 독음은 기본적으로 중국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우리식의 독음이 생기게 되었다. 이 속음이 광범하게 유포되자, 18세기의 음운학자들은 가능한 속음을 폐기하고, 중국의 독음과 가까운 正音으로의 회복을 시도하였다. 18세기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여러 韻書와 자전들은 이를 목적으로 발간된 책자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과 시도는 결국 실패하였다. 당시 발간된 책자에서 속음으로 처리된 독음이 오히려 오늘날 출간된 사전에서는 그 한자의 독음으로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자 독음에 대한 언어 대중의 관습을 거스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는 결국 한자를 배운 사람들의 나이에 따라서, 혹은 출판된 사전에 따라서 그대로 반영이 됨으로서 한자 독음에 대한 시비를 여전히 생기게 만들었다. 한자 독음의 시비에서 어떤 독음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문제는 특정 개인의 주장이나 특정 출판사의 책으로 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보다 한자 한문을 전공한 학자들이 참여하여 학술적 토론을 거치고 또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이제 학회는 주도적으로 대처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회가 떠맡아야 할 책임과 의무이기도 하다. This paper has raised the necessity and urgency to unify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several concrete examples triggered by the disput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has divided the pattern of serious chang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to three cases and explored it in detail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 our country rooted mainly in China gradually began to change to time, and eventually our own styl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began to occur. As this secular sound widely began to spread out, the phonologists in the eighteenth century abolished this secular sound as much as possible, and tried to recover the right sound closest to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Hence various phonological books and dictionaries published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But to no end were such efforts and trials, for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dealt with as the secular sound in the books published at that time settled themselves as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dictionaries published recently. They could not outwin the linguistic habit of common people. The severe chang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set off by the differences of generations and the variety of the published dictionaries remained the disputable discrepancy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unsolved. The disput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cannot be settled by either any particular individual or any book printed by a certain publisher. It is more desirable that academic discussion and the process of public opinion should be accompanied to that dispute.

      • A Study of Phenomena of Borrowing Sound 借音in the Selection of Strange Tales in Linh Nam (A2914) Archived in the Institute of Sino-Nom Studies

        Thi Oanh NGUYỄN 세계한자학회 2021 世界漢字硏究 Vol.4 No.2

        Borrowing sounds is the phenomenon of borrowing the tones of "replaceable characters" to read the sounds of particular Chinese letters. The "Replaceable pseudo-character" is a phenomenon of borrowing homonyms, or words with similar pronunciations to read a certain Chinese character. This is called the borrowed-sound character, and both the original and the borrowed words co-exist. However, in countries in the region where Chinese characters are used such as Vietnam, Japan and Korea, there is also the phenomenon of borrowing the sounds and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to record native languages. By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and an oriented approach to grammatology 文字學 and etymology 語源學,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phenomenon of borrowing sounds found in the Linh Nam Chich Quai 嶺南摭怪 (the Collection of the Strange Tales of the Linh Nam Realm) compiled during the Ly-Tran dynasties (XI-XIV centuries). This article provides a comparison of similar phenomena in some Chinese character works and epitaphs of the Ly Tran dynasty in Vietnam and the Nihon ryoiki 日本靈異記 of Japan. It argues that borrowing sounds are a common feature found in the works from these early periods which recorded folktales due to the influence of Han culture, and Vietnamese literature should be not placed outside the general rules of that influence.

      • KCI등재

        漢字․漢語 敎學方案 연구Ⅲ

        여병창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6

        This paper is the third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and language’ by the author. The study targets three Chinese characters, 不, 人, 有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Korean and Chinese commercial Chinese characters.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e study are approximately the following two steps. First, seeking a ‘Chinese characters’ teaching method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 sound, and Meaning of common Chinese characters. Second, seeking a teaching method of ‘vocabulary’ through comparison of the Character, sound, and Meaning of Korean and Chinese commercial vocabulary, including three Chinese characters. Furthermore, based on this, we intend to build basic materials and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d online contents by starting with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each HSK class in a consistent framework and metho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largely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wo areas of teaching.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achievements in the Chinese character teaching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sound, and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不, 人, 有. First, through the shape analysis of each Chinese character, a Chinese character teaching method using an understanding of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inciple of character production was proposed.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Chinese bills in each Chinese character,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nunciation and modern Chinese standar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a bill teaching plan for modern Chinese characters using related bill change rules were presented. Third, a Chinese character semantic teaching method was proposed to lay the foundation for learning Chinese vocabulary through semantic analysis such as the intent and derivative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Next, as a Chinese vocabulary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sound, and Meaning of commercial vocabulary, Chinese vocabulary including three Chinese characters(不, 人, 有)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Korean Chinese words presented in the “New HSK Vocabulary Overview”. And this result was made into a “comparative analysis table”. In addition, based on thi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 Chinese vocabulary teaching method were sought and presented. These results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tinuous series research, and finally, the accumulated achievements will be collected to publish Chinese textbooks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teaching methods. 본고는 필자의 “漢字⋅漢語” 教學方案에 관한 세 번째 연구로, ‘韓中常用漢字’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不, 人, 有 3개의 한자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과정 및 내용은 대략 다음 두 단계이다. 첫째, 상용한자의 形⋅音⋅義 분석을 통한 ‘漢字’ 敎學方案 모색; 둘째, 3개 한자를 포함하는 한⋅중 상용어휘의 形⋅音⋅義 비교를 통한 ‘語彙’ 敎學方案 모색,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이후 일관된 틀과 방식으로 양국 모두에서 빈도순이 높으며 동시에 HSK 각 급수 한자에 포함되는 한자로부터 시작하여 기타 ‘韓中常用漢字’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漢字⋅漢語 敎學’ 교재와 온라인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및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크게 다음 두 방면의 교수 방안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不, 人, 有 각 한자의 형⋅음⋅의 분석을 통한 ‘漢字’ 敎學方案 방면의 성과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각 한자의 자형 분석을 통해 한자의 회화적 특성과 制字 원리에 대한 이해를 활용한 한자 교학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한자의 한⋅중 어음 비교분석을 통해 한자의 한국어 발음과 현대 중국어 표준어 발음 사이의 관계 및 관련 어음 변화 규칙을 이용한 현대 중국어 한자의 어음 교학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각 한자의 본의 및 파생의미 등 의미 분석을 통해 중국어 어휘 학습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한자 의미 교학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상용 어휘 형⋅음⋅의 분석에 기초한 중국어 어휘 교학방안으로 不, 人, 有 각 글자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新HSK詞彙大綱”에서 제시한 중국어 어휘를 표준으로 해당 한국 한자어를 비교 분석하고, 이 결과를 “비교분석표”로 작성하였다. 또 이를 기초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국어 어휘 교학방안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하고 제시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이후 지속적인 연작 연구를 통해 수정, 보완을 진행할 것이며, 최종적으로는 축적된 성과들을 모아 “漢字⋅漢語” 教學方案을 활용한 중국어 교재를 출간하고자 한다.

      • KCI등재

        漢字․漢語 敎學方案 硏究Ⅳ ― 上, 大, 子를 대상으로

        여병창 한국중문학회 2023 中國文學硏究 Vol.- No.90

        This paper is the fourth study in the series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and language’ by the author. The study targets three Chinese characters, 上, 大, 子 which are the fourth to sixth frequently used among Korean and Chinese common characters. This study first sought a way to effectively teach these three common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Sound, and meanings of common Chinese characters ‘上, 大, 子’. Next, a way to effectively teach ‘Korean and Chinese commercial vocabulary’ was sough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vocabulary and Chinese Vocabulary in Korea, including three common Chinese characters ‘上, 大, 子’ among the vocabulary of “新HSK詞彙大綱”. In Chapter 2 of this paper, in the search for teaching methods of common Chinese characters ‘上, 大, 子’, the teaching methods that can help Koreans learn and utilize the Characters, Sound, and meanings of common Chinese characters ‘上, 大, 子’. In Chapter 3 of this paper, the search for teaching methods of ‘Korean and Chinese commercial vocabulary’, including common Chinese characters ‘上, 大, 子’, found and suggested teaching methods that can help Koreans learn and utilize ‘Korean and Chinese commercial vocabulary’ more easily. After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ccumulated to develop textbooks and contents applying ‘Chinese characters and language’ teaching methods.

      • KCI등재

        韓國 漢字音과 中國 漢字音의 對應에 관한 硏究

        임현열,이찬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3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ain the regular correspondent relation between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from a synchronic viewpoi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not only Chinese who learn Korean but also Koreans who learn Chinese to develop and apply ‘the strategy to correspond Korean pronunciation Chines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this study, we selected 824 characters from the list of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rresponded between the Korean representative pronunciation of these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Chinese representative pronunciation. Correspond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s of Chinese characters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s follows: 1)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itial consonant of Korean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Chinese; 2) correspondence between the part corresponding to V in the open syllable of Korean and the final consonant of Chinese; and 3) correspondence between the part corresponding to VC in the closed syllable of Korean and the final consonant of Chinese. Based on these correspondences, we showed that there is a regular correspondent relation between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for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to guess the meaning of unknown Korean words originated from Chinese characters using these correspondences. In order to show concrete examples, ‘Seong-gyeong(성경, 聖經)’ and ‘Gak-seong(각성, 覺醒)’ of the Korean words were presented as examples to show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strategy to correspond Korean pronunciation Chines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이 硏究의 目的은 共時的인 觀點에서 韓國 漢字音과 中國 漢字音 사이에 存在하는 一定한 對應 關係를 밝혀 提示하는 데 있다. 이 論文에서는 漢字音 對應을 위해 韓國語敎育用 漢字 目錄 가운데 824字를 選別하고 이들 漢字의 韓國語 代表 讀音과 中國語 代表 讀音을 基準으로 對應하였다. 漢字音 對應은 다음의 세 가지 類型으로 構成되었다. 1) 韓國語 初聲과 中國語 聲母의 對應. 2) 韓國語 開音節의 V에 해당하는 部分과 中國語 聲母의 對應. 3) 韓國語 開音節의 VC에 該當하는 部分과 中國語 聲母의 對應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對應을 통해 韓國 漢字音과 中國 漢字音 사에는 一定한 對應 關係가 있음을 보이고, 이러한 對應 關係를 利用하여 中國人 學習者가 배우지 않은 漢字語의 意味를 推測해낼 可能性이 있다는 點을 指摘하였다. 그리고 一例로 ‘聖經’과 ‘覺醒’이라는 漢字語가 ‘ 字의 韓國音-中國音 對應 戰略’에 의해 理解되는 過程을 보였다.

      • KCI등재

        古今漢韓字典의 編纂과 歷史的 意義

        박병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Ancient and Modern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is a compilation of 7,353 chinese characters found in earlier rhyme dictionaries, primers,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Its format is different from other conventional dictionaries in that it shows sound,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each headword at the same time. This dictionary is a valuable material for the study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lexical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phonetics of chinese characters. It can be utilized as a excellent teaching manual for it registers various examples sino-korean words formed from each chinese character. Also, it can be consulted in establishing language policy for it contains data on chinese characters us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Japan and word formation units of Commonly Used 2000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is dictionary was a ground breaking achievement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but has inevitable limits of being a product of analog era. It is required to succeed and develop its innovative ambition by constructing a database of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efficient search engine in accordance with new environment of digital era. 박병철, 2020, 고금한한자전의 편찬과 역사적 의의, 어문연구, 187 : 7~26 고금한한자전은 우리나라 역대 운서, 한자 학습서 그리고 한자자전에 올라 있는 한자 7,352자를 전재(轉載)하여 편집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자전과는 그 형식과 체제를 달리한 것으로 표제 한자인 개별 한자의 음과 새김 그리고 그 자해(字解)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엮은 것이다. 그 결과 이 자전은 한자의 새김 연구는 물론 국어 어휘사 연구의 기본 자료이면서 한자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이다. 더불어 개별 한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자어 용례를 항목마다 다수 제시하여 교습 자료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의 한자 자료와 한국 상용한자(2000자)안의 한자 조어수(造語數) 등을 제시하여 어문 정책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자전은 편찬 당시로 보면 훌륭한 저술이었으나 아날로그적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였다. 디지털 시대의 환경변화에 따른 역대 자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검색 기능을 수반한 웹서비스 등으로 이 자전이 지향했던 의미를 계승,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