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대화기구의 역할과 과제 —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3자협의체를 중심으로 —

        조성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9 노동법논총 Vol.47 No.-

        Social dialogue instruments serve to ease social conflicts and create economic benefits in the critical situation in the country. Social dialogue is a means to pursue problem solving through dialogue, while achieving goals such as social justice, economic efficiency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and the European Union (EU) actively encourage social dialogue organizations through agreements and recommendations because social dialogue organizations are desirable in solving economic and social crises, and that is why advanced countries in Europe are spreading social dialogue organizations to the third world. In this sense, social dialogue can be evaluated as positive system contributing to social development, given that social partners, in times of crisis in the nation and society, seek and present reasonable solutions through dialogue. But, as in the case of Korea, if representatives of social dialogue are biased in pursuing only certain interests, it may not help overcome social crises. In particular, critics say that the union’s demand that represents the interests of a small number of full-time workers could lead to unfair consequences for non-regular workers and backfire rather than achieving a fair society originally intended. In this sense, social dialogue system is undemocratic and undesirable. That is why there is widespread distrust in labor-management negotiations and no trust in the tripartite consultative body in Korea. The cases of Denmark and the Netherlands, which have a deep history of social dialogue instruments, offer practical help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dialogue instruments and analyzing their success or failure. In Denmark’s case, the state does not intervene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if possible, labor-related laws are minimal and the parties of the social dialogue body set wage and other working conditions autonomously, the mutual respect and trust between the parties is very strong, and there is little act of dispute, and that the parties of the social dialogue are drawn to benefit everyone by exercising the spirit of compromise and concession. The spirit of the Dutch folder model, which has cooperat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anks even if there is social conflict to protect land below sea level, achieved “Dutch miracle” through a grand compromise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when the nation faced an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1980s. Thus the Dutch labor and management somehow do their best to strengthen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voiding confrontation and conflict. Nevertheless, we cannot help but notice the fact that social dialogue systems in Denmark and the Netherlands, which were called the epitome of cooperative dialogue instruments, are also facing a crisi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digitalization and changes in employment forms. It can be said that social dialogue institutions in all European countries, as well as Denmark and the Netherlands, are facing challenges from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realities. This is because the fundamental question arises whether the social dialogue body, which based on traditional subordinate labor, can represent the rapidly rising new form of labor, along with the mega tren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of the problems facing the world can also be said to be the great task that social dialogue organizations must continue to address; in particular, problems stemming from the polarization of income and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rise of low-income workers, fundamental changes in labor and employment relationships(especially changes and automation caus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igitalization), an increase in informal labor (change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low birthrates), an increase in migrant workers and refugees, and an insufficient social safety net. In order to overcome these ...

      • KCI등재

        사회적 대화의 주요 이슈

        김강식 ( Kang-sik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2 질서경제저널 Vol.15 No.1

        우리나라의 사회적 대화는 1987년 이후 정치ㆍ사회적 민주화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길게는 25년, 가까이는 1996년 발족된 노사관계개혁위원회, 그리고 1998년 노사정위원회의 활동 이래 현재까지 15년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사회적 대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사회적 대화의 성과에 대한 상이한 평가가 존재해 왔다. 즉, 비판론과 옹호론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은 대화와 타협의 문화 그리고 민주적 토론의 토양이 일천한 우리 사회에서 그만큼 사회적 대화체제에 대한 기대와 함께 현실적 도전요인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대화의 성과는 그동안 결과 중심, 가시적 양적성과 중심, 단기적 성과 중심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는 사회적 대화의 다양한 성과 차원 중 일부 측면에만 치우친 불균형적 성과평가라 할 수 있다. 사회적 대화의 종합적ㆍ균형적 성과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성과평가에서 특히 중시되었던 합의 이외의 사회적 대화의 다른 모든 활동들도 성과의 한 부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대화의 종합적ㆍ균형적 성과평가를 위한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사회적 대화의 결과 및 과정의 균형평가, 유형성과 및 무형성과의 균형 평가, 단기성과 및 장기성과의 균형 평가, 내부고객 및 외부고객의 균형 평가, 전략적 평가. This paper analyzed major issues of social dialogue in Korea. Social dialogu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gradually through the process of political and social democratization since 1987. Nevertheless there has been controversial evaluations about the performance and contributions of social dialogue. That is, critics against social dialogue and advocates for social dialogue have coexisted. This phenomenon means that both expectations and challenges about social dialogue are big in Korean society that has yet not enough experiences of dialogue, compromise and discussion. Meanwhile in the tripartite commission the important discussion themes did not reach in many cases to agreement in spite of numerous meetings and discussions. Along with it, in many cases even the agreed themes have not been carried on. The insufficiency of visibl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has contributed to the negative evaluation of social dialogue. The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has been evaluated until now result-oriented, visible quantitative performance-oriented and short time-oriented. For the total and balanced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dialogue all other activities of social dialogue besides until now serious considered agreement should be recognized as a part of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The conditions of total and balanced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dialogu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balanced evaluation of results and processes, balanced evalu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balanced evaluation of short time and long time performance, balanced evalu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n the Trajectory of Social Dialogue in Korea : A Tentative Study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Chang Hong-Geun(장홍근)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1 노동연구 Vol.43 No.-

        1987년 이래 한국에서는 새로운 노동체제의 구조적 문제들을 사회적 대화로 해결하려는 일련의 노력이 전개되었다. 이 연구는 지난 30여년간 한국 사회적 대화의 변동을 사회적 대화의 제도화 수준, 활성화 수준 그리고 성과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 세 수준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대화의 저해요소를 탐색하였다. 사회적 대화의 제도화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07년 정점에 도달한 후 2017년까지 그 수준이 유지되었다. 사회적 대화의 활성화 수준은 2009년까지 상승하다가 이후 하강하였다. 사회적 대화의 성과 수준은 1995년까지는 낮은 상태였지만, 1996년 이래 기복이 심한 상태로 오르내렸다. 합의 불이행 특히 정부에 의한 심각한 불이행은 사회적 대화의 활성화와 성과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노동조합에 의한 전술적인 사회적 대화 불참이나 탈퇴는 사회적 대화의 활성화와 성과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Under the so-called ‘1987 labor regime’ in Korea, a series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new labor regime through social dialogue. I analysed the fluctuations of social dialogue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activation and performance for the past 30 years, the relations between those three levels of social dialogue, and investigated the deterrents of social dialogue. The institutionalization level continued to rise from a very low level to its peak in 2007 and kept on the level till 2017. The activation level continued upward until 2009 and downward afterwards.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 until 1995, but has been fluctuated very much since 1996. The ‘counter-implementation’, a kind of severe non-compliance done by government has a considerable negative influence on both activation and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Ordinary suspension/withdrawal from social dialogue as a tactic used by labor unions has little effect on the activation or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 KCI등재

        서구선진국의 조합주의의 정책적 시사점

        이선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法學論叢 Vol.16 No.-

        사회공동체의 발전과 통합을 선도하는 노사관계를 구축하여 나가야할 우리나라의 경우 상급수준에서의 사회적 대화를 활성화시켜 나가야할 정책적 필요성이 크다. 본고는 국민경제수준에서의 대화를 중심으로 서구의 조합주의의 변천과 사회적 대화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조합주의의 구조와 사회협약을 묶는 고전적인 사회적 조합주의는 1980년대를 지나면서 입지를 잃어갔지만 사회협약을 토대로 하는 정책형성방안으로서의 조합주의는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도 서구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1980년대 이후 사회협약을 토대로 경제발전을 이끈 대표적인 나라라고 볼 수 있는 아일랜드와 네덜란드는 정책형성방안으로서의 조합주의가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통적으로 조합주의 구조가 취약한 나라로 분류되던 이태리, 그리스, 스페인과 포르투칼에서도 경쟁력을 위한 조합주의가 결실을 맺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쟁력을 위한 조합주의가 신자유주의에 대응하는 정책형성방식이라는데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경쟁력을 위한 조합주의가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국가경쟁력의 제고라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하는 방식에 다름없다는 비판도 크다. 조합주의가 지향하는 이념에 대한 이견은 여전히 크고 조합주의의 전망을 낙관할 수도 없다. 시장경제를 조율한다는 기능측면에서 볼 때 사회적 합의방식의 대화가 지배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국민경제수준에서는 협의방식의 대화가 오히려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왔다. 산업과 지역 등 메조레벨에서의 교섭과 협의는 또한 전통적으로 노사규범을 창출하는 중심적인 과정이었다. 사회적 대화방식의 여러 가지 유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조합주의의 정당성을 둘러싼 이견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노사정위원회의 기능을 둘러싼 논쟁은 국민경제수준에서의 합의방식의 사회적 대화로 사회적 대화를 이해하는 데에 기인되는 바 크다. 우리나라는 사회적 대화의 구조적 여건이 대단히 취약하다. 포괄적인 사회적 합의구도의 구축을 지향하는 것은 정책적 성과를 거두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노사관계의 분권화 등으로 사회적 조율 면에서는 OECD국가 중에서 가장 뒤떨어지고 있다. 상급단 위의 사회적 대화의 정책적 필요성은 크다. 합의방식의 대화에만 경직적으로 치중하는 데에서 벗어나야 한다. 사회적 협의방식의 대화를 비롯한 각급 단위에서의 협의방식의 대화와 참여를 확충하기 위한 다각적인 사회적인 노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Korea has constituted a decentralized system of industrial relations with most of social dialogues performed by enterprises. The decentralized system of Korea has been indicated as one of the major sources to increase wage gaps and industrial disputes of shop-floors. Korea has pursued social contracts occasionally to enhance the social integration and partnerships, however the outcomes of these political efforts have felt short of expectation. This study of European experience of social dialogue would help to develop macro-level industrial relations of Korea. Neo-corporatism, if defined as combining corporative structure and social contracts, has lost it's legitimacy since 1980s. But neo-corporatism as an institutional pattern of policy formation has been alive in many countries throughout 1990s. Social contracts of Netherlands, Ireland and Italy are the models frequently mentioned as their contribution to overcome economic and social difficulties. In spite of these achievements competitive corporatism since 1980s have criticized sometimes as an alternative process to pursue labour market flexibility and economic competitiveness. There are diverse forms of social dialogue. The social dialogues pursuing tripartite agreement have stood in the spotlight of political concern and theoretical debate. Nonetheless the other forms of social dialogue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nsultation are not less important. Actually most of social dialogues of national level are the social dialogue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nsultation and these collective consultations have done major role coordinating market economies as European experience shows. Although tripartite agreement is ideal, it can't be achieved usually. On the other hand collective consultation system can be institutionalized at government will and it is the system institutionalized already in the European countries. Korea should pursue diverse forms of social dialogue of national level. Increasing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government policies is in line with this. Sectoral corporatism is popular and easier to achieve than nationwide neo-corporatism. Social dealing and consultation of meso-level are also expanded. Activating diverse forms of social dialogue of macro and meso level will contribute to coordinate market force and thus to enhance integration and partnership. Moreover it may be the inevitable precondition of success in nationwide agreement.

      • KCI등재

        마스트리히트 이후 "사회적 유럽"의 전개

        김학노 ( Hak Noh K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2 한국과 국제정치 Vol.28 No.4

        이 글은 마스트리히트 이후 특히 2000년대를 중심으로 사회적 유럽의 전개과정과 주요 성과를 검토한다. 그동안 사회적 유럽의 건설에 대해서는 비관적인 전망과 평가가 주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비관론자들의 전망과 달리, 이 글은 사회정책 입법과 사회적 대화의 양 측면에서 사회적 유럽이 상당히 진척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우선 유럽연합의 사회정책권한이 마스트리 히트에서 크게 확장됐다. 그 후 정책권한 자체는 크게 진전되지 않았지만, 사회정책 입법활동은 2000년대 들어서도 꾸준히 지속되었고 특히 노동조건과 종업원 참여 부분에서 괄목 할만한 진전이 있었다. 사회적 대화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 자율적 대화가 증가하였고, 사회적 동반자들 사이의 합의사항을 법으로 집행하기보다 자율적으로 실행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법적 구속력을 수반하는 합의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었지만, 그만큼 사회적 대화의 범위와 종류가 다양해지고 노사 간 자율적 대화공간이 확대되었다. 비관론자들의 예상과 달리 유럽 차원의 사회적 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구체적 성과들을 검토함으로써 2000년대 들어 사회적 유럽의 건설이 보다 자율적인 방향으로 경도되고 있지만, 그것이 사회적 유럽의 건설에 대해 어두운 평가와 전망을 내릴만한 이유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열린 조정방식(OMC)``이 전반적으로 확대되는 일반적인 경향에 따라 사회적 유럽의 건설에서도 자율적 방식이 증가하고 있지만, 입법과 대화의 양 측면에서 유럽의 사회적 공간은 상당히 진척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social Europe`` and assesses its major accomplishments since the social policy reforms in the Maastricht Treaty, especially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Pessimism, rather than optimism, has been dominant with regard to the prospects of building a social Europe since "Europe" was relaunched by the Single European Act in the mid-1980s. Contrary to the dominant pessimistic views, I present in this paper that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progresses in constructing a social Europe in the areas of legislation as well as social dialogue. Despite the limited expansion of the European Union`s competences in social policy areas since the Maastricht Treaty which introduced a major expansion of European-level competences in social policy, there has been a steady accumulation of legal activities at European level in the 2000s. In particular,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ee participations are the two issues where European Union has demonstrated its legislative capabilities. In the European social dialogue an autonomous pattern of social dialogue has increased in the 2000s. Social partners increasingly carry out their agreements autonomously instead of relying on the legal instruments of implementation. Albeit less agreements with legally binding forces than before, though, the European social dialogue has instead diversified its scope and forms, and the autonomous space of the European social partners has considerably expanded. Hence the growth of a social space at the European level contrary to the pessimistic views.

      • KCI등재

        연금개혁 시 사회적 합의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 영국과 이탈리아의 비교

        유호선 ( Yoo Hosu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0 사회보장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과 이탈리아가 연금개혁 시 사회적 합의를 어떻게 이루는지 그 과정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각국의 연금 개혁 시 사회적 합의 과정에 관한 분석은 자료의 신뢰성, 자문위원회,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려는 일관성, 다양한 주체의 참여, 의견수렴 노력이라는 5가지 분석틀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를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고 보다 적극적인 자료 공개가 필요하다. 또한 자문위원회 구성 시 시간의 여유를 가지고 전문성과 대표성을 겸비한 위원으로 구성하며, 충분한 시간을 들여 독립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중요할 것이다. 사회적 합의 과정에 다양한 주체를 참여시키고 국민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국민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그들의 의견을 개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적극적이며 지속적인 홍보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to analyze social dialogue for pension reform in other countries and to suggest how to carry out social dialogue successfully for pension reform. In order to develop the paper, I analyze UK and Italy. There are five perspectives for analysis of social dialogue in four countries as a framework. Which are trustworthy and open information about pension reform, role of the Pension Commission, consistency in carrying out social dialogue, participation of diverse stake-holders, and active gathering the opinions of the public and public rel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no tradition of social dialogue for pension reform in Korea and, generally, government or politicians used to lead pension reform without enough social dialogue. 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pension reform is open to the public somewhat late. And only parts of the opinions of the Pension Commission used to accept. There is rarely attempt to gather the opinions of the public and to do public relations. In order to carry out social dialogue successfully, we ne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pension reform should be open early and trustworthy. Also we let the Pension Commission be independent more. Furthermore, it is important for diverse stake-holders to take part in social dialogue too. And government should gather the public opinions actively and explain and persuade the thoughts to the public sincerely.

      • KCI등재

        노·사·정 사회적대화 과정 분석: 사회적대화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송해순 ( Song¸ Hae Soo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는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Framework)’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대화흐름모형(Social-dialogue Stream Framework)’이라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민주화선언(1987.6.29.) 이후의 노·사·정 사회적대화 발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사회적대화흐름모형’은 정치흐름과 문제·대안흐름이 결합되어 사회적대화의 창이 열리고, 정책혁신가들의 활동에 따라 결과가 산출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총 6단계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치흐름에서는 민주화선언을 분기점으로 민주적 정치흐름이 강화됨에 따라 사회적대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둘째, 문제·대안흐름에서는 정부주도 틀에서 벗어나 노·사 주도성이 강화되는 흐름이 나타났다. 셋째, 정책혁신가는 노동계와 경영계를 대표하여 전체 분석 시기에서 한국노총과 한국경총이 지속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넷째, 사회적대화의 창은 대부분 제도적 틀이 아닌 비제도적 논의틀이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최종 산출물은 법 제·개정을 통한 사회적대화 기구의 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진보정권에서 활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Based on the theory of ‘MSF(Multiple Stream Framework)’, this study proposed an analysis framework called ‘SSF(Social-Dialogue Stream Framework)’ and Social dialogue process with Labor-Management-Government after the Announcement of Democratization (June 29, 1987). The ‘SSF’ consists of a process in which politics stream and problems・alternative stream are combined to open a window of social dialogue, and outputs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policy entrepreneur. Each process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time into six step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olitical stream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interest in social dialogue as the democratic political stream strengthened from the Announcement of Democratization, and i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 stream, the trend out of the strengthened labor-management leadership on behalf of government leading framework. In the period of analysis,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and the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at policy entrepreneur represented the labor and management sectors, and most of the social dialogue windows were used non-institutional frameworks instead of institutional frameworks. The final output appeared as a developed form of social dialogue through legislation and revision, and confirmed that it was relatively active in the progressive government.

      • KCI등재후보

        택배산업 사회적 대화를 통해 본 사회적 대화 기능과 발전방향

        김남근(Kim Nam-Geu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1 노동연구 Vol.43 No.-

        2021년 6월 협약 체결을 한 “택배기사 과로사 방지 사회적 대화”는 택배노동자의 근로조건 개선 의제만이 아니라 택배요금 거래구조 개선과 같은 산업정책을 다루고 있고, 노사단체만이 아니라 소비자단체, 화주단체 등 관련 제 이익단체가 참여하였다는 데 특색이 있다. 정부도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사회적 대화를 지원하고 합의된 내용을 택배산업 내 불공정행위 근절과 선진화 정책의 결정에 반영하고 사회적 대화를 지원하는 협력행정을 보여주었다. 국회도택배노사와 함께 관련 이익단체와 소비자 단체를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도록 견인하고, 행정부처의 협력행정을 이끌어내는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사회적 대화는 이익대변, 정책형성, 노사관계 시스템 등의 기본적인 기능이 있는데, 이 논문은 택배산업 사회적 대화가 사회적 대화의 기능을 어떻게 충실히 수행했는지를 분석한다. 플랫폼 경제의 발달, 4차 산업혁명의 진전으로 기존의 근로자와 사용자의 개념으로 포섭하기 어려운 새로운 직업군이 탄생하고 있는데, 이들의 근로조건(거래조건)의 개선 위한 틀로서 사회적 대화의 기능도 주목받고 있다. 택배산업 사회적 대화는 노사관계 틀을 넘어 특수형태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을 추진하는 사례로도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택배산업 사회적 대화의 진행과정과 성과를 분석하여 사회적 대화의 발전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ocial Dialogue to Prevent Courier Drivers from Overworked Death”, signed an agreement in June 2021, deals not only with the agenda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courier workers, but also deals with industrial policies such as improving the delivery fee-transaction structure. It is unique in that related interest groups such as not only labor-management organizations, but also consumer organizations and shippers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social dialogue. The government also showed cooperative administration in which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Fair Trade Commission organically cooperated to support social dialogue, reflected the agreements in the decision of policies for eradicating unfair practices and advancement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The National Assembly also played a political role in guiding related interest groups and consumer groups to participate in social dialogue along with the labor and management of the parcel delivery service and leading the cooperative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Social dialogue has basic functions such as profit representation, policy-making,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system. This paper analyzes how social dialogue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faithfully performed the function of social dialogu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latform economy and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occupations that are difficult to embrace with the concept of existing workers and employers are being born. The social dialogue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is also meaningful as an example of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for special types of workers beyond the framework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ocial dialogue by analyzing the progress and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 KCI등재후보

        Movement Dialogue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다문화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 연구

        김영애(Young-Ae KIM)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8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Movement Dialogue 무용동작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Suzi Tortora(2005)의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Movement Dialogue 8가지 카테고리를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A시 소재 N다문화지역아동센터에서 12주 동안 주 2회, 120분 과정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아동 8 명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총 14회기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자기표현과 사회성 척도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질적 움직임 변화를 객관화하여 분석하기 위해서 Samuels and Chaiklin의 동작관찰척도를 활용하여 라반 움직임분석의 에포트 중심으로 영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다문화 아동의 자기표 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의 하위변인인 내용적, 음성적, 비언어적 요소들이 증가하였다. 둘째,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의 하위변인인 협동성, 자주성, 사회성 요인들이 증가하였다. 셋째, 다문화 아동의 라반움 직임분석의 에포트 중심질적 변화에서 자기표현과 사회성은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Movement Dialogue 무용동작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Movement Dialogue affected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8 young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the N Multicultural Community Children Center in A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was provided in a total of 14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7.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aimed to use 8 categories in Movement Dialogue theoretically based on Suzi Tortora to improv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Movement Dialogue affected the improvement in multicultural children’s self-expression. Second,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Movement Dialogue affected the improvement in socia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Third,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movements in images of the multicultural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based on Movement Dialogue showed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based on Movement Dialogue positively affects multicultural children.

      • The European Social Dialogue: Where Does It Stand Now? A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 Supranational Corporatism

        ( Sato Ssi Nakano ) 한국EU학회 2006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Vol.4 No.1

        Since its formative era, supranational European social governance has evolv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North European corporatism. The launch of the European social dialogue by Jacque Delors in 1985 was an indication that social integration would be pursued formally in terms of the corporatist method in which the representatives of capital and labour associations play a pivotal role. Nevertheless, some believe that the European social policy is largely disoriented because of the disturbances in the post-Fordist era of neocorporatism.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specific features of the European social dialogue by comparing it with and locating it among the changing contours of national corporatist systems, and explores its role with regard to economic regulation and social representation in the era of neolibe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