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사동 유형으로서의 ‘(-)시키-’ 사동

        김성주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Siki-’ causative construction is a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that fulfills both form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general causative construction. It has been classified as a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since Choi(1937). However,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in Lee & Im(1983) and Nam & Ko(1985/2014) as well as Nam et al.(2019). In addition, relatively recent Korean grammar books such as Ku et al.(2015) and Yoo et al.(2018) have handled it in a smaller way compared to the ‘-i-’ causative. From the viewpoint of the formal typology of causative construction, the (-)siki- causative construction belongs to the middle category between the morphological and the syntactic causative. When divided into on direct and indirect causation, on one hand in the semantic point of view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 the ‘-siki-’ causative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either in direct or indirect causation, but is closer to the direct causation than the indirect one.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ipulative and directive causation, it can be basically interpreted as both of them. The modern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is largely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basic verb is a native or Sino-Korean verb. In most Korean grammar books, the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is divided into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 construction. However, ‘-i-’ causative constructions are used in the morphological on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iki-’ causative constructions are used in the case of Sino- Korean verbs. ‘(-)시키-’ 구문은 사동문의 형식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한국어의 사동문이며, 내용을 완비한 최초의 근대적 한국어 문법서라 할 수 있는 최현배(1937)에서부터 한국어 사동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익섭․임홍빈(1983), 남기심․고영근(1985/2014)과 같이 영향력 있는 한국어 문법서 중에서는 ‘(-)시키-’ 사동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남기심 외(2019)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최근의 한국어 문법서라 할 수 있는 구본관 외(2015), 유현경 외(2018)에서도 ‘(-)시키-’ 사동은 형태적 사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범언어의 사동을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으로 나눌 때, ‘(-)시키-’ 사동은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의 중간 범주에 속한다. 의미의 관점에서 사동을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으로, 또는 조작적 사동과 지시적 사동으로 나눌 때, ‘(-)시키-’ 사동은 주로 직접 사동으로 해석되고, 조작적 사동과 지시적 사동의 관점에서는 조작적 사동과 지시적 사동 양쪽으로 해석된다. 현대 한국어 사동은 원동사가 고유어 동사인가 한자어 동사인가에 따라서 크게 구분되는데, 대부분의 문법서에서 한국어의 사동 유형은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한국어의 사동은 고유어 동사인 경우 형태적 사동문이 사용되고, 한자어 동사인 경우에 ‘(-)시키-’ 사동문이 사용되며, 통사적 사동은 양자에 모두 사용된다. 즉 ‘(-)시키-’ 사동은 주로 ‘한자어+하-’ 동사의 어근을 사동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KCI등재

        한국어의 ‘시키다’ 사동 구문

        최정진(Choi, Jeong-jin)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4

        Although it has been accepted that the verb ‘siki-’ is a representative causative verb,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s on the syntactic features of siki- constructions. A significant misunderstanding is in analysing siki- constructions only as a kind of lexical causative constructions. However, there are at least three kinds of constructions, which can be described from the prototypical perspectives on the construc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hree types of causatives for (X)siki- constructions; syntactic, psuedo-syntactic, and lexical causatives.

      • KCI등재

        {시키-}의 변화 과정과 {ㅎㆍ이-}와의 관련성

        강명순 한글학회 2014 한글 Vol.- No.304

        This Research has examined a total of 128 types of reference documents, from reference 15th century documents to the early 20th century documents, in order to reveal the change process of forms and categories of {siki-}, from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to modern Korean language, and to reveal the succession of the grammatical function of {hai-} and {siki-}. As a result, the form of the verb {siki-} appeared to have changed from sigi-(시기-)>sigi-(식이-)>sikhi-(식히-)>siki-(시키-). Only the term ‘sigi-(시기-)’ appeared from the 15th century to 16th century, however, ‘sigi-(식이-)’ first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Afterwards, ‘sikhi-(식히-)’ and ‘siki-(시키-)’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and ‘siki-(시키-)’ began to expand its influence in full-scale from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category of the verb {siki-} expanded its grammatical extension from root to derivational suffix. It was first used as a main verb, and subsequently was used in forming a composition verb, as a root enlivening the meaning of ‘command’ following the preceding noun. Afterwards, as its function became gradually formatted, it changed into a derivative suffix, becoming to create derivative verbs with the meaning of causation. Only examples of ‘ilsigida(일시기다)’ can be seen from the 15th to 17th century, however, eight vocabularies including ‘topjilsigida(톱질시기다)’, ‘gaegasigida(개가식이다)’, and ‘daramjlsigida(다람질시기다)’ were discovered from documents in the 18th century. Subsequently, vocabularies with the form of ‘noun +{siki-}’ began to be formed from the 19th century. During this process, one can see that the meaning of {siki-} developed to have a formal meaning of ‘allowing an object to reach a certain condition,’ from having a meaning of ‘command’. In addition, the categorical change of the verb {siki-} as a causative suffix occurred pursuant to the internal change process of the vocabulary {siki-} itself, rather than by the succession of the function of {hai-(ㅎ.이-)}’ due to the extinction of {hai-(ㅎ.이-)}’, as some previously alleged. However, as {hai-(ㅎ.이-)}’ became extinct, vocabularies conforming to the vocabulary formation method of {siki-}, in other words, vocabularies that easily separated with preceding nouns, among the vocabularies deriving from {hai-(ㅎ.이-)}’, were able to realize the grammatical category of causation by combining with {siki-}. 이 연구에서는 {시키-}의 형태 및 범주의 변화 과정을 밝히고, {ㅎ.이-}와 {시키-}의 문법적 기능의 승계 여부를 밝히기 위해 15세기 문헌에서부터 20세기 초 문헌에 이르기까지 모두 128종의 문헌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사 {시키-}는 ‘시기다>식이다>식히다>시키다’의 형태 변화를 겪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사 {시키-}의 범주는 어근에서 파생접미사로 그 문법적 외연을 넓혔는데, 처음에는 본동사로 쓰이다가 선행명사 뒤에서 ‘명령’의 뜻이 살아있는 어근으로서 합성동사를 생성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점차적으로 그 기능이 형식화되면서 파생접미사로 변모하여 사동의 의미가 있는 파생동사를 생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사 {시키-}의 사동접미사로의 범주 변화는 기존의 주장처럼 {ㅎ.이-}의 소멸로 인해 {ㅎ.이-}의 기능을 승계한 것이 아니라 {시키-}라는 어휘 자체의 내적인 변화 과정을 따른 것이다. 다만 {ㅎ.이-}가 소멸의 길을 겪게 되면서 {ㅎ.이-}에 의해 파생되던 어휘들 중 {시키-}의 어휘 형성법에 부합되는 어휘들, 즉 앞의 선행명사와 쉽게 분리되는 어휘들만 {시키-}와 결합하여 사동이라는 문법 범주를 실현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子規의 「病床六尺」에 나타난 종교관 고찰

        김형섭 대한일어일문학회 2011 일어일문학 Vol.51 No.-

        It is the essay that I can scratch “Byoshorokushaku” of Masaok Siki to 127 times from May 5, 1902 to September 17 that is two days ago to die and published serially in newspaper of “Japan”. Siki writes one’s thought that I felt in everyday life through constant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intuitive observation for things while fighting against sufferings from illness in the limited space of 6 shakus. Siki wrote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istic discussion of the recollection of the event that happened in the circumference, a present condition report, a haiku and the Noh. A term and the sentence about the religion appear on 27 times particularly in that, too. Generally, in the people who reached death, the person is going to get over physical mental pain through religious faith for the help of the Absolute by oneself. This report considered it how Siki in sufferings from illness received religion through the last sentence that he left. As a result, he is not going to demand sufferings from illness through religion or a religious life and, in the case of Siki, understands what he was going to overcome through an earnest desire and the will as the literary person whom he walked so far.

      • 일본산업혁명기의 여성노동 : 방적업의 경우

        김미숙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8 No.2

        이 글은 봉건적 동야제 가내수공업 단계에 머물러 있던 19세기 말 일본 면방적업이 근대적 기계제 거대공업으로 확립되는 과정, 그리고 이에 동원된 여성노동력의 성격과 실태를 관련자료에 기반하여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양식 자생적 생산력 증진에 의한 발전과정과는 달리 일본면방적업은 명치정부의 보호와 관리에 의해 위로 부터 근대적 방적기술도입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1883년 오사카방적회사가 성공적인 사례기업으로 등장하기 까지 기술적 경영적으로 시행착오를 거듭하는 악순환의 연속에 불과한 실정에 놓여 있었다. 오사카방적이 보여준 성취는 산업 인력 동원 및 관리에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우선, 육체적 근력이나 완력이 전제되지 않으면서 작업 생산력에 효율성이 담보되는 〈링〉식 방적기가 오사카 방적 개업 이래 얼마 안있어 보편화될 수 있었던 시대적 타이밍을 지적할 수 있다. 〈링〉식 방적기의 보급은 (어린)여성노동자의 산업노동력화 시대가 열렸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특히 이들 (어린)여성노동자들은 몰락한 봉건시대의 사족, 도시빈민, 가난한 농가 자식들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어린)여성 노동자들은 다단계 조업과정 가운데 "정방작업"에 집중배치(10명 가운데 8명 이상)되는 성향을 보였다. 둘째, 하루 24시간 주·야간 2교대 심야작업의 도입이 지적될 수 있다. 한명의 노동자가 1일 2 교대 구도 속에서 12시간 작업이라는 장시간 근무를 특징으로 하는 셈이다. 셋째, 장시간 및 열악한 작업조건으로 인한 노동자의 잦은 이동/이탈, 그리고 당시 팽창일로에 있던 방적 대공장의 설립으로 (여성)노동자(특히 숙련 노동자)의 절대 부족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기숙사제도(일종의 반노예제적 구치제도)를 도입한 점이다. 마지막으로, 저임금제도를 지적할 수 있는데, 당시 성인 여성의 평균적 하루 생활을 겨우 달성할까 말까한 수준의 물직적 보상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어찌보면, 명치유신 초기의 몰락한 봉건 계급의 사회보장적 또는 구휼적 기능 그리고 빈발하는 천연재해(기아, 홍수, 지진 등)에 대한 대민구제책의 하나로 근대적 거대규모의 면방적업이 설립되었다는 설명과 일치하는 측면이다.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late-19th century Japanes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focusing on textile industries--how early Meiji Government has propagated its rationale to catch-up the industrialized Western countries employing Japanese women workers effectively. However, the early trials to build up "modern" government-directed textile factories have been failed until the establishment of Osaka Textile Factory(OTF)in 1883. Several factors seem to be related to the a great success of OTF: ① an adequate timing enough to introduce a brand-new spinning machine of "Ring"siki not those of "Mule" nor "Gara". The "Ring"siki has revealed some advantages in that it did not require heavy physical strength with speedy and efficient working processes, which means (young) women/girls could be employed en mass;②the introduction of 24-hour working schedules in the factory. It means that every single individual worker should work 12 hours a day shifting from day to night or vise versa on weekly basis;③ most employed young girls/women were daughters / wives of either collapsed lower ruling classes of late-Edo Period, or labouring urban workers or even poor rural peasants. Most of them were in a urgent situation to get out of "subsistence needs" of the time--they were docile, humble, and diligent; ④the establishment of factory dormitory system. Textile factory runners were in a desperate situation to secure enough pools of female workers to meet the vacancies of high turn-over rates/run-aways or even make up illegal and sudden recruitment practices of the other competitive textile factories; and ⑤ the persistence of low-income level. Most women workers suffered from so called "the minimum income level, although they were exposed unprecedented lenthy working hours. Some textile factories were built up as a part of social welfare policy to create jobs targeting especially for those who have not well-adjusted of the new era of Meiji Period while maximing the industrial profit as well.

      • KCI등재

        ‘X시키다’의 논항(論項) 구조(構造)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양정호(梁正昊) ( Yang Jeong-h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X시키다’는 동작성 명사 X에 파생 접미사 ‘-시키-’가 결합되어 생성된 타동사이다. 이때의 ‘X시키다’는 ‘X하다’ 등으로부터 파생된 사동사가 아니며 따라서 ‘X하다’ 등과의 관련성은 동일 어기로부터 파생된 단어이기 때문에 생긴 우연한 의미적 관련성이다. ‘시키다’는 ‘NP1이 NP2에게 X를 시키다’의 논항 구조를 가지며 이때NP2는 X에 대해 행위주역을 가진다. ‘X시키다’는 논항 구조를 달리하는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세 유형을 ‘X시키다1’, ‘X시키다2’, ‘X시키다3’라 할 때, 이들은 각각 ‘NP1이 NP2를 X시키다’, ‘NP1이 NP2를 NP3에 X시키다’, ‘NP1이 NP2를 NP3와 X시키다’의 논항 구조를 가진다. 이때 NP2는 항상 목적어로 실현되고, NP3는 X에 대해 피동주역 또는 경험주역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행위주역으로 이해될 수는 없다. 또한 NP3는 ‘X시키다’의 선택 제약에 따라 ‘에’와 ‘와’ 대신 ‘으로, 에서’ 등의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rgument structure of ‘Xsikida’. ‘Xsikida’ is a transitive verb that is formed by combining verbal noun ‘X’ and derivational suffix ‘-siki-’. ‘Xsikida’, in this context, is not a causative verb that is derived from ‘Xhada’.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Xsikida’ and ‘Xhada’ is accidental as they are derived from and share the same base ‘X’. The argument structure of ‘Sikida’ is ‘NP1i NP2ege Xril sikida’. The theta role of NP2 is agent. ‘Xsikida’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the argument structures. When we name three categories as ‘Xsikida1’, ‘Xsikida2’, ‘Xsikida3’, each argument structure is ‘NP1i NP2ril Xsikida’, ‘NP1i NP2ril NP3e Xsikida’, ‘NP1i NP2ril NP3wa Xsikida’. NP2 in this context is always an object. The theta role of NP3 is a patient or a experiencer, but not an agent. NP3 can be combined with ‘iro’ and ‘eseo’ in place of ‘e’ and ‘wa’ in accordance with selectional restriction of ‘Xsikida’.

      • KCI등재

        ‘X시키다’의 論項 構造에 대한 一考察

        양정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rgument structure of ‘Xsikida’. ‘Xsikida’ is a transitive verb that is formed by combining verbal noun ‘X’ and derivational suffix ‘-siki-’. ‘Xsikida’, in this context, is not a causative verb that is derived from ‘Xhada’.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Xsikida’ and ‘Xhada’ is accidental as they are derived from and share the same base ‘X’. The argument structure of ‘Sikida’ is ‘NP1i NP2ege Xrɨl sikida’. The theta role of NP2 is agent. ‘Xsikida’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the argument structures. When we name three categories as ‘Xsikida1’, ‘Xsikida2’, ‘Xsikida3’, each argument structure is ‘NP1i NP2rɨl Xsikida’, ‘NP1i NP2rɨl NP3e Xsikida’, ‘NP1i NP2rɨl NP3wa Xsikida’. NP2 in this context is always an object. The theta role of NP3 is a patient or a experiencer, but not an agent. NP3 can be combined with ‘ɨro’ and ‘eseo’ in place of ‘e’ and ‘wa’ in accordance with selectional restriction of ‘Xsikida’. 양정호, 2019, ‘X시키다’의 논항 구조에 대한 일고찰, 184 : 5~36 ‘X시키다’는 동작성 명사 X에 파생 접미사 ‘-시키-’가 결합되어 생성된 타동사이다. 이때의 ‘X시키다’는 ‘X하다’ 등으로부터 파생된 사동사가 아니며 따라서 ‘X하다’ 등과의 관련성은 동일 어기로부터 파생된 단어이기 때문에 생긴 우연한 의미적 관련성이다. ‘시키다’는 ‘NP1이 NP2에게 X를 시키다’의 논항 구조를 가지며 이때 NP2는 X에 대해 행위주역을 가진다. ‘X시키다’는 논항 구조를 달리하는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세 유형을 ‘X시키다1’, ‘X시키다2’, ‘X시키다3’라 할 때, 이들은 각각 ‘NP1이 NP2를 X시키다’, ‘NP1이 NP2를 NP3에 X시키다’, ‘NP1이 NP2를 NP3와 X시키다’의 논항 구조를 가진다. 이때 NP2는 항상 목적어로 실현되고, NP3는 X에 대해 피동주역 또는 경험주역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행위주역으로 이해될 수는 없다. 또한 NP3는 ‘X시키다’의 선택 제약에 따라 ‘에’와 ‘와’ 대신 ‘으로, 에서’ 등의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 白鳳烏骨鷄卵의 理化學的 特性(Ⅱ)

        류인덕 충주대학교 2006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1 No.-

        중국최고의 의약서인 신농본초경(Shenn-ong Classics of Material Medic)과 중국 명대(1368∼1644)에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 등 여러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백봉오골계와 알의 의약적 기능을 볼 때 백봉오골계와 그의 알은 건강기능식품의 신소재로서 개발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봉오골계란의 일반성분, Mineral, Lecithin과 Cholesterol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흰자와 노른자의 용적 비율을 조사하였을 때 백봉오골계란은 연산오골계란과 일반양계란에 비하여 흰자의 비율은 적고 노른자의 비율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2) 백봉오골계란은 연산오골계란, 일반 양계란보다 회분이나 Lipids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Protein함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노른자중의 수분함량은 일반양계 노른자가 연산오골계와 백봉오골계 노른자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지질함량은 백봉오골계와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일반양계 노른자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단백질의 함량은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연산오골계와 일반양계 노른자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고 회분함량은 모두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4) 노른자중의 칼슘(Ca)함량은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200mg%, 일반양계 노른자가 132.6mg%,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94.3mg%로서 백봉오골계 노른자는 칼슘(Ca)함량이 연산오골계 노른자보다 약 2.0배 , 일반양계 노른자보다 1.5배나 더 높았다. (5) 노른자중의 인지질의 함량을 나타내는 인(P)의 함량은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556mg%,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539mg%, 일반양계 노른자가 530mg%로서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인(P)함량이제일 높았고, 백봉오골계 노른자의 인(P)함량은 일반양계 노른자의 인(P) 함량보다는 더 높았다. (6) 노른자중의 철(Fe) 함량은 백봉오골계의 노른자가 5.7mg%,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4.4mg%, 일반양계 노른자가 3.8mg%로서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연산오골계 노른자와 일반양계 노른자보다 더 높았다. (7) 노른자중의 아연(Zn)함량은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4.2mg%,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3.7mg%, 일반양계 노른자가 3.7mg%로서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연산오골계 노른자와 일반양계 노른자보다 아연(Zn)함량이 더 높았다. (8) 노른자중의 고혈압 미네랄 성분인 칼륨(K) 함량은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146.2mg%,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91.6mg%, 일반양계 노른자가 0.9mg%로서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일반양계 노른자 보다 146배, 연산오골계 노른자보다 약 1.6배나 더 높았다. (9) 노른자중의 Lecithin함량은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8.8%,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9.2%, 일반양계 노른자가 8.2%로서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Lecithin 함량이 제일 높았으나, 연산오골계 노른자와 백봉오골계 노른자의 Lecithin함량은 약 9.0%의 같은 수준이라고 생각되며 일반양계 노른자의 Lecithin함량은 8.0%수준으로 판단된다. (10) 노른자중의 Cholesterol 함량은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79mg%, 백봉오골계 노른자가 102mg%, 일반양계 노른자가 131mg%로서 노른자중의 Cholesterol 함량은 연산오골계 노른자가 백봉오골계 노른자와 일반양계 노른자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백봉오골계 또한 일반양계 노른자보다는 크게 낮았다. 또한 노른자중의 Cholesterol함량은 지질(Lipids)함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ing volume ratios of egg white and egg yolk in eggs of Silky Fowl with those of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Silky Fowl eggs contained much more egg yolk than eggs of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hile lesser egg white than eggs of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Silky Fowl eggs had higher contents of Ash and Lipids but lower content of Protein than Yeonsan OgolGye eggs. The content of moisture in egg yolk was higher in general chicken egg yolk but lower in Silky Fowl egg yolk and Yeonsan OgolGye egg yolk. The contents of Ash, Lipids, Crude Protein in Silky Fowl egg yolk were similar those in egg yolk of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s. The contents of Calcium(Ca) in egg yolk of Silky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200mg%, 94.3mg% and 132mg%, respectively. Silky Fowl egg yolk contained Calcium about 2.0 times as much as that of Yeonsan OgolGye egg yolk, about 1.5 times as much as that general chicken egg yolk. The contents of Phosphorus(P) in egg yolk of Silky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539mg%, 556mg% and 530m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hosphorus was higher in egg yolk of Yeonsan OgolGye than in egg yolk of Silky Fowl and general chicken. The contents of Iron(Fe) in egg yolk of Silky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5.7mg%, 4.4mg% and 3.8mg%, respectively. Egg yolk of Silky Fowl contained Iron much more than those of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The contents of Zinc(Zn) in egg yolk of Silky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4.2mg%, 3.7mg% and 3.7mg%, respectively. Egg yolk of Silkie Fowl contained Zinc much more than those of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The contents of Potassium(K) in egg yolk of Silkie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146.2mg%, 91.6mg%, 0.9mg%, respectively. Egg yolk of Silky Fowl contained Potassium about 1.6 times as much as those of Yeonsan OgolGye about 146.0 times as much as those of general chicken. The contents of Lecithin in Silky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8.8%, 9.2% and 8.2%, respectively. The content of Lecithin in egg yolk of Silky Fowl was lower than that of YeonSan OgolGye, but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hicken. The contents of Cholesterol in egg yolk of Silky Fowl,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were 102mg%, 79mg% and 131m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holesterol in egg yolk of Silky Fowl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chicken, but higher than that of Yeonsan OgolGye. The content of Cholesterol in egg yolk was not affected by contents of Lipids in Silky Fowl , YeonSan OgolGye and general chick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