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쇼핑호스트에 대한 의사인간관계가 홈쇼핑 TV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지혁,최명일,김봉철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 광고연구 Vol.0 No.80

        Home-shopping in cable TV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channels by innovative changes for the shopping. In this process, shopping hosts take a great portion, but they are not weighted in other studies. This study explores various emotions for the shopping hosts in the field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examines how those emotions affect to purchase intention. Also, the study can see over how perceived risk, perceived benefit, and attitude for the CATV home-shopping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the result, as parasocial interaction with shopping-hosts would grow, perceived risk for home-shopping is reduced, meanwhile perceived benefit is grown. Perceived risk can mediate purchase intention, and perceived benefit also can moderate attitude for home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 It could mean that consumers can have positive image for CATV home-shopping under the conditions that parasocial interaction with shopping-hosts would be grown. The result can show that CATV home-shopping should attempt to establish para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take upper hands against open market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 KCI등재

        홈쇼핑 채널을 통한 주얼리 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선행요인 평가

        권태이(Kwon, Ta ey),최승욱(Choi, Seung u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본 연구는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주얼리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조사하였다.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 의도와 홈쇼핑 호스트로부터 지각하는 신뢰감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 의도는 지각된 물질주의 수준과 함께 공적 자아의식, 사회적 비교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호스트의 지각된 신뢰감은 호스트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포함하는 두 개의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을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홈쇼핑 채널로부터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44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스트의 전문성과 객관성은 모두 동일한 성분으로 추출되었으며, 따라서 두 개의 변수는 호스트의 전문성/객관성으로서 최종 분석에서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기반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의도와 홈쇼핑 호스트로부터 지각된 신뢰감은 모두 홈쇼핑 주얼리 제품의 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지각된 물질주의와 사회적 비교는 그들의 과시적 소비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공적 자아의식은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 아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홈쇼핑 호스트의 전문성/객관성은 호스트의 신뢰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antecedents to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jewelry products in home shopping channels. The conceptual model included the constructs of conspicuous consumption intention and perceived trust towards the home shopping hosts to predict the purchase intention. Three constructs of materialism,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comparison we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to predict conspicuous consumption. In addition, two constructs of perceived expertise and perceived objectivity towards home shopping host were included in the model to predict the perceived trust. Our conceptual model were validated by data collected from 244 respondents-participated survey study. The results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wo constructs of perceived host expertise and objectivity towards show hosts were extracted together as one component, and thus these two constructs were entered as a single construct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from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the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intention and the perceived trust towards the home shopp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ive of pourchase intention of jewelry in home shopping. Furthermore, perceived materialism and the social comparis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conspicuous consumption intention. However,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not found to be an antecedent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urchase intention. Lastly, the perceived expertise/objectivity towards the home shopping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trust towards the home shopping host.

      • KCI등재

        TV 홈쇼핑 광고프로그램이 소비자 충동구매를 통하여 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선희,김하균,이현규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4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survey of housewives, students, and workers who use TV home-shopping to understand how the stimulation factor of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is related to impulse purchase and the evaluation after purchase. We set up the quality and design of the goods, fashion products, convenience of using and low price as a stimulation factor of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and shopping host as a adjusting factor to analyze whether consumers were more drawn to impulse buying by general shopping host and entertainer shopping host. As a result, this research is turned out that all factors except the quality of goods are related to impulse purchase. Impulse purchase also are related to the evaluation after purchase. This study tried to give help to raise dangerousness of impulse buying caused by improvising feeling and atmosphere and to do right purchasing behavior at the TV home-shopping market. 본 연구에서는 TV 홈쇼핑 광고에 대한 자극요인이 충동구매와 구매 후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V 홈쇼핑 광고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주부, 학생,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품질, 제품의 디자인, 유행제품, 이용의 편리성, 저렴한 가격을 TV 홈쇼핑 광고 자극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쇼핑호스트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일반 쇼핑호스트와 연예인 쇼핑호스트에 따라 소비자의 충동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로는 제품의 품질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 모두 충동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파악되었으며 충동구매 또한 구매 후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즉흥적인 감정 및 분위기에 좌우되어 구매가 이루어지는 충동구매의 위험성을 제고하고 TV 홈쇼핑 시장에서의 올바른 구매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TV홈쇼핑 쇼호스트의 저명도와 구매의도 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정은이 ( Eun Ee Ch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TV홈쇼핑의 진행자인 쇼호스트의 저명도와 시청자의 구매의도 간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을 기준하여 각 홈쇼핑사의 매출 1·2위를 기록한 쇼호스트 중 네 명의 여성 쇼호스트(GS홈쇼핑 1명, CJ홈쇼핑 2명, 현대홈쇼핑 1명)를 선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쇼호스트의 저명도(가시성, 전문성, 객관성, 유사성)를 독립변수로, 비언어적 요인(신체행위, 유사언어, 신체외양)을 매개변수로 놓고, 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했다. 홈쇼핑의 주요고객인 20세부터 50세까지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쇼호스트의 저명도와 구매의도 사이에 비언어적 요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방법을 사용했는데, 선정된 쇼호스트가 출연하는 TV홈쇼핑 방송 중 매출이 가장 높았던 패션·뷰티 상품방송을 녹화해 총 416명의 일반인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보여준 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쇼호스트의 저명도와 구매의도 간에 쇼호스트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인 신체행위, 유사언어, 신체외양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명도의 하위요인 중 가시성, 전문성, 객관성와 구매의도 간에 신체행위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객관성, 유사성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는 신체적 외양이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저명도와 구매의도 간에 유사언어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researched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between the celebrity in show host, who is a presenter of TV home shopping,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in viewers. For this, a research was progressed by selecting four female show hosts(1 person of GS home shopping, 2 persons of CJ home shopping, 1 person of Hyundai home shopping) among show hosts who recorded the 1st and 2nd place in sales for each of the home shopping companies based on the year in 2012. This study established the independent variable as show host`s celebrity(visibility, expertise, objectivity, similarity)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 with having non-verbal factors( physical behavior, paralanguage, physical appearance) as parameter. The aim was to figure out which influence the non-verbal factor has between show host`s celebrity and purchasing intention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general people from 20 years old to 50 years who are major customers of home shopping. This study was use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showing by randomly extracting totally 416 general people by recording the broadcasting of fashion and beauty products, which had the highest sales out of the TV home shopping broadcasting that the selected show hosts appear. As a result of research, the physical behavior and physical appearance, which are the show host`s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between show host`s celebrity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hown to have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e physical behavior between visibility, professionalism & objectivity and purchasing intention among sub-factors of celebrity indicate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e physical appearance between objectivity & similarity and purchasing intention was surveyed to show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paralanguage between celebrity and purchasing intention wasn`t shown significant outcome.

      • TV 홈쇼핑 화장품 판매에 나타난 쇼호스트의 구매 설득 말하기 방식

        권순희(Kwon SoonHee),석예은(Seok YeEun),이형주(Lee HyungJu),정재은(Jeong JaeEu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통신판매의 수단으로 TV를 사용하는 것이 TV 홈쇼핑이다. TV 홈쇼핑은 소비자가 자신의 집에서 편안히 제품을 비교·평가하며 구매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러한 소비형태의 변화에 새롭게 등장한 게 쇼호스트이다. 쇼호스트는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중개인으로서 방송의 상징이자 진행자로 그리고 정보전달자이면서 동시에 시청자의 대리인이라는 다양한 역할을 하며 소비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잠정적 구매자인 시청자가 상품의 실제 구매자가 되기까지 쇼호스트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들의 말하기 방식이 학계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쇼호스트들의 구매 설득 메시지를 내용 범주의 다섯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구매기회의 희소성과 긴급성 판매처의 신뢰성과 브랜드의 명성 제품의 기능과 성능 그리고 직접 구매와는 다른 홈쇼핑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형태로 스토리텔링 보여주기와 같은 자기 경험 마지막으로 가격의 매력성이 그것이다. 구매기회의 희소성과 긴급성을 나타내기 위해 쇼호스트는'단 하루','오늘' 등 현시성을 강조하는 표현을 빈번하게 사용한다. 또한 판매처의 신뢰성과 브랜드의 명성은 상품 특성상 신뢰도 형성의 일환으로 강조되었으며 이 부분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시 쇼호스트들은 상품 후기와 이전의 매진 사례를 들어 보완하였다.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설명은 긍정적이고 다채로운 미사어구와 더불어 생생한 전달을 위해 묘사와 비유가 많이 사용되었다. 구매자와의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서 메이크업을 지워 자신의 허점을 드러내기도 하고 소소한 자신의 일상이나 경험을 스토리텔링의 기법으로 풀어 놓았다. 이로써 감성에 호소하게 되고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효과를 거두었다. 그밖에도 할부 금액을 제시하거나 가격의 앞자리를 강조하고 최저가를 운운하며 가격의 매력을 반복하는 것도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기법이다. TV 홈쇼핑을 통한 충동구매를 줄이고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매결정을 위해 쇼호스트들의 화법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구매자들은 쇼호스트들의 설득 메시지가 감정적 구매를 자극하는 원리임을 알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홈쇼핑에서 쇼호스트의 말하기 방식을 분석한 사례를 통해 보건대 학생들에게 화법교육 매체교육의 영역에서 다양한 언어 분석을 다뤄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V Home Shopping is a kind of shopping using TV as a media to allow consumers to shop for goods from the privacy of their own home. TV Home Shopping has made it possible for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sitting in their own home easily comparing several products' prices and features. As the pattern of consumption changed a new term "Show Host" came into being. A show host plays various roles; first it acts as an intermediator between providers and consumers second it is the symbol of the program as well as being the announcer and third while it gives consumers the products' information it also speaks up for the buyers at the same time. Show hosts exert great influence on buying and selling by fulfilling all the roles mentioned above. Speech patterns of show hosts began to get attention from academics as they play a major role in turning TV watchers the potential buyers into actual consumers.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the persuasive tone of speech that show hosts use into five groups. 1) limited chances of purchasing and the pressure that products will be all sold-out soon 2) reliability of the providers and brand popularity 3) great functions and features of products 4) the performances of show hosts who share their experiences by using techniques such as storytelling and exposing which make up for limitations of TV home shopping and lastly 5) eye-popping prices. Show hosts frequently use expressions such as "only for this day" or "today" to remind TV watchers of the limited time and opportunity to buy products In terms of selling cosmetics in particular reliability of providers and brand popularity were stressed as to boost up people's trust. If show hosts thought these strategies were not enough they made an additional remark to bring up other pre-users' product comments and previously sold out cases. In explaining their main products show hosts used rhetorical phrases and figurative words as well as positive colorful and flowery words to visualize the features of products. In order to get closer to buyers some show hosts removed their make-up and exposed their non make-up faces. Sometimes they shared their everyday life experiences with viewers by using storytelling techniques. This type of persuasive tone of speech appealed to people's emotion and narrowe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gap between the two. In the same sense coming up with installments or putting stress on the first few digits of the price and repeatedly mentioning the lowest price are all one of the techniques to make potential buyers to purchase products. We should try to understand show hosts' speech patterns in the right way to abstain from buying on impulse and to make reasonable economical decisions when purchasing. Above all buyers must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 show hosts' persuasive tone of speech is their way of appealing to consumers' emotion to buy products and therefore look at them in a critical way. As we analyzed show hosts' speech patterns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taught how to analyze various linguistic patterns in the field of speech and media education.

      • KCI등재

        홈쇼핑 쇼호스트 언어 설득 효과연구: 잉여성과 프레임의 효과를 중심으로

        양문희,김운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8 No.2

        Show hosts have been playing a major role in the TV home shopping industry. They are very active in both convey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o the viewer and creating empathy that trigger the purchase behavior. However, the show host’s persuasive effect has been studied mainly by marketing area and got less attention from communication area.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oth show host’s language redundancy and message frame on the purchase intention. Indeed, the influence of redundancy expression and message frame(episodic vs. thematic) on the show host’s characteristics such as reliability, expert, and Para-social interaction. By producing home shopping show program for cosmetic product,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33 women of age 20 to 49. The results showed that redundancy had negative influence on all of reliability, expert, para social inter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about message frame. The current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persuasive theor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ome shopping show production by empirically testing the persuasive language of the show host. 쇼호스트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공감을 일으켜 상품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등 홈쇼핑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그동안 TV홈쇼핑 쇼호스트 언어에 관한 연구는 주로 마케팅 영역에서 진행되었고, 광고언어로써 표현 특성 관점에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쇼호스트의 언어표현의 설득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광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쇼호스트 언어의 표현의 특성(잉여성, 프레임)이 쇼호스트의 특성 인식(전문성, 신뢰성, 의사상호작용) 및 설득 효과(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화장품 제품으로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한 결과, 쇼호스트 언어의 잉여성은 쇼호스트의 전문성, 신뢰성, 의사상호작용과 구매의도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레임의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쇼호스트 언어의 설득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설득 이론의 확장과 함께 홈쇼핑 방송 분야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홈쇼핑 쇼호스트가 소비자의 상품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창규(Chang-Kyu Oh),조인희(In-Hee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11

        1995년 케이블 TV의 등장과 함께 도입된 TV홈쇼핑 채널은 방송을 통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받은 시청자가 전화나 기타 통신 수단을 이용, 주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새로운 쇼핑문화를 만들어왔다. TV라는 공신력 있는 매체를 이용하여 폭발적인 성공과 유통 채널의 이미지에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쇼호스트의 역할을 빼고 논할 수 없다. 이에 시청자의 공감을 살 수 있는 홈쇼핑 쇼호스트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세분화하여 살펴보려 한다. 홈쇼핑 쇼호스트의 요인이 소비자의 상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TV home shopping channel, introduced with the advent of 1995 cable TV is provided to the viewer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via a broadcast. Home shopping is the view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lephone of other communication means made a new shopping experience to buy a product through the order. The explosive success and image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using the medium of TV has credibility in the role of show host not pulled out an ongoing program of home shopping. Therefor, can buy a home shopping show host sympathy of the audience should look to see if they have any features. Impact on consumer goods buying motivation factors of home shopping show host will examine how much.

      • KCI등재

        TV홈쇼핑 쇼호스트의 실연에 의한 소비자 몰입도가 상품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인희(In-Hee Cho),김춘곤(Chun-Go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3

        1995년 케이블 TV의 등장과 함께 도입된 TV홈쇼핑 채널은 방송을 통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받은 시청자가 전화나 기타 통신 수단을 이용, 주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새로운 쇼핑문화를 만들어왔다. TV라는 공신력 있는 매체를 이용하여 폭발적인 성공과 유통 채널의 이미지에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쇼호스트의 역할을 빼고 논할 수 없다. 이에 시청자의 공감을 살 수 있는 홈쇼핑 쇼호스트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세분화하여 살펴보려 한다. 홈쇼핑 쇼호스트의 요인이 소비자의 상품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TV home shopping channel which was introduced with the appearance of cable TV in 1995 has made a new shopping culture of providing the goods-related information for viewers through the broadcasting to let viewers buy the goods through the telephone or other communicative means. We cannot discuss the explosive succes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image by means of creditable media called TV without a role of show host who proceed with the home shopping program. Here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shopping show host who can attract viewers" sympathy will be subdivided to examine. It will be examined how much the home shopping show host"s factors influence the consumers" product purchase motive.

      • KCI등재

        홈쇼핑 방송의 한일 커뮤니케이션 연구 -쇼핑호스트를 둘러싼 담화공간을 중심으로-

        김보애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일본언어문화 Vol.31 No.-

        Although a person may have outstanding linguistic abilities, there are cases where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a specific context within society.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speech of home shopping network hosts, which is one of many types of communication scenarios and will observe the differences in the linguistic actions of Korean and Japanese hosts. Observation revealed that in both countries the hosts used honorifics but honorifics can be said to have been used more in Japanese and improper language was hard to find in Japanese even in use of spoken language. Also, as hosts of these programs communicated with the viewers and also with fellow hosts,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used with viewers and also when talking to themselves in Korean or Japanese. The results found in the research was done while focusing on a specific field but it gives us a hint of the difference in linguistic action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and also with participants within Korea and Japan. The structure of language in Korean and Japanese are similar so it may be easy to think that linguistic actions would be similar but there needs to be care in not causing potential problems due to misunderstandings. This research focuses on a small part of society when focusing on television home shopping hosts but later through accumulated research, there is anticipation of finding more differences in linguistic ac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 KCI등재

        TV홈쇼핑 쇼호스트의 신뢰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전타식,홍재욱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9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TV홈쇼핑에서 쇼호스트의 신뢰성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등 소비자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TV홈쇼핑구매 경험자 309명을 이 연구에 피험자로 참여시켰다. 연구결과, 쇼호스트의 신뢰성은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용적 제품에서는 쇼호스트의 전문성이 매력성보다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쾌락적 제품에서는 쇼호스트의 매력성이 전문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쇼호스트의 신뢰성이 각기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도 밝혀졌다. 특히 쇼호스트의 신뢰성은 실용적 제품일 때, 전문성이 매력성보다 더 크게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쾌락적 제품일 때는 매력성이 전문성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V home shopping host's credibility and consumer response variables such a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product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309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TV home shopping. Study results supported all of the hypotheses proposed. Show host's credibility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In case of utilitarian product, expertise had more influence than attractiveness on this attitude; however, in case of hedonic product, attractiveness had more influence than expertise. Furthermore, the brand attitude and show host's credibility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Again in case of utilitarian product, expertise had more influence than attractiveness on purchase intention; in case of hedonic product, attractiveness had more influence than expertise. Even though the issue of message source has been studied in the advertising area for a long tim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this issue has been tested in TV home shopping situ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