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인의 승낙을 얻어 그 명의로 주식을 인수하거나 양수한 경우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

        양민호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1

        In previous rulings, the Supreme Court deemed that: (a) if the existence of an actual share purchaser or transferee, other than the shareholder whose name appears in a company’s shareholder registry, was proven, the actual purchaser or transferee shall be the shareholder entitled to exercise voting rights in relation to the company, assuming that the presumptive effect of the entry in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could be reversible; and (b) if a company either accepted or allowed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despite having been aware, or unaware due to gross negligence, that the shareholder in the shareholder registry was a perfunctory shareholder, and could have easily proven such fact and accordingly denied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by that shareholder, such exercise of voting rights was unlawful. However, inasmuch as the Supreme Court’s precedents supra strays far from the purpose of the shareholder registry system under the Commercial Act, i.e., making it easier for a company to externally distinguish its legal relationship with numerous shareholders based on a uniform standard, this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ed practice of stock trading whereby the matter of a shareholder’s nominal rights and substantive rights is separated, and also triggered disputes, great and small, among nominal persons in the shareholder registry, substantive rights-holde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The undesirable traits of stock trading using another’s name have been pinpointed given that such practice emerged for the purpose of evading taxes, circumventing laws, and avoiding regulation by public law.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bject case, “[B]arring special circumstances, a person owning a company’s shares whose name is lawfully entered in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is entitled to vote on a matter presented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a companyregardless of whether being aware that there are those, other than shareholders whose name is in the shareholder registry, who intended to purchase or transfer sharesmay neither deny the exercise of rights by shareholders whose name is in the shareholder registry nor acknowledge the exercise of rights by shareholders whose name has not yet been recorded therein.” The Supreme Court’s en banc decision consequentially allowed only a person whose name appears in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to exercise his/her voting rights in relation to a company, even in cases where the relevant company’s shares were either purchased or transferred in another’s name upon consent. This affirms the definitive nature of the entry in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as prescribed under the Commercial Act. That is, a company is bound to acknowledge the exercise of rights by shareholders whose name is entered in the shareholder registry and the effect of transfer of shares cannot be asserted against a company if the name of the person owning the company’s shares has not yet been entered in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the so-called “two-sided binding power”). The subject case is notable in that allowing only shareholders whose name is in the shareholder registry to exercise voting rights in relation to a company, unless there are exceptional circumstances, laid the basis to uniformly manage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 and its multiple shareholders as the Commercial Act intended. Doing so is expected to ensure legal certainty involving a company’s relationship with its numerous shareholders and thus prevent any unforeseen consequences, as well as contribute to putting an end to disputes between nominal persons whose name is in the shareholder registry and substantive rights-holders. 기존 대법원판례는 주주명부상 주주 외에 실제 주식을 인수하거나 양수한 자가 따로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경우에는 주주명부 기재의 추정력이 번복된다는 전제하에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도 실제 주식인수인 또는 주식양수인만이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또, 회사가 주주명부상 주주가 형식상의 주주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았거나 중대한 과실로 알지 못하였고 또한 이를 용이하게 증명하여 의결권 행사를 거절할 수 있었음에도 의결권 행사를 용인하거나 의결권을 행사하게 한 경우에는 그 의결권 행사는 위법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본래 상법상 주주명부제도가 목적하고 있었던 단체법적 법률관계의 획일적 처리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주식에 관한 명의와 그 실질을 분리시키는 주식거래의 관행이 확고히 자리 잡게 됨과 동시에 명의자와 실질적 권리자, 그리고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인들 사이에 크고 작은 분쟁이 이어지게 되었다. 타인의 명의를 이용한 주식거래가 대체로 탈세나 탈법, 공법적 규제의 회피를 위한 동기로부터 비롯된다는 점에서도 이와 같은 관행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에 대하여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주명부에 적법하게 주주로 기재되어 있는 자는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주식에 관한 의결권 등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고, 회사 역시 주주명부상 주주 외에 실제 주식을 인수하거나 양수하고자 하였던 자가 따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든 몰랐든 간에 주주명부상 주주의 주주권 행사를 부인할 수 없으며, 주주명부에 기재를 마치지 아니한 자의 주주권 행사를 인정할 수도 없다고 판단하였다. 결국, 타인의 승낙을 얻어 그 명의로 주식을 인수하거나 양수한 경우에도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주주명부에 주주로 기재된 자만이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상법상 주주명부 기재의 확정력을 인정함과 동시에 대항력과 관련하여서는 쌍면적 구속설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대상판결은 이와 같이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는 극히 예외적인 사정이 없는 한 주주명부에 주주로 기재된 자만이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봄으로써, 본래 상법이 의도한 바대로 회사와 다수의 주주 사이의 법률관계를 보다 더 획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다수의 주주와 관련된 법률관계의 획일적 처리는 결국 회사와 주주, 이들을 둘러싼 법률관계를 보다 안정시켜 불측의 손해를 막고, 명의자와 실질적 권리자 사이의 분쟁을 궁극적으로 종식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미국에서 持株會社의 운영과 株主保護

        황근수(Hwang, GeunSoo)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3 No.-

        본 연구에서는 작금의 세계경제의 추세에 따른 한국의 기업문화, 특히 지주회사의 운영과 관련하여 미국에서 持株會社의 運營과 회사의 이해당사자로서 지주회사 株主保護를 위한 방안으로서 주주의 경영참여(의결권행사)와 장부열람권, 이중대표소송권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원칙적으로 기업문화의 역사적 배경이 다른 미국에서 지주회사의 운영은 일찍부터 행해 졌으며, 이에 대한 규제는 공익사업회사나 금융회사를 제외하고는 없다. 특히 미국의 경우 기업경제력집중을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규제하기 보다는 공기업 및 금융회사를 중심으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법에 의하여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持株會社는 그 산하에 다수의 子會社가 존재하고, 이 경우 지주회사의 주주는 사업자회사에 대하여 그 권리가 간접화 내지 취약하게 되어 그에 대한 특별한 보호가 문제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의결권통과행사의 이론은 지주회사 아래 대규모 사업자회사가 존재하며, 특히 지주회사가 100% 주식지분을 소유하는 경우 자회사에 대하여 약화된 기존 持株會社 株主의 議決權을 복원하는 방안으로써 상당히 효과적이다. 또한 지주회사 주주의 종속자회사에 대한 장부 및 서류열람권에 대하여, 일부 특별한 주법 이외 모범사업회사법(MBCA)이나 미국법조협회(ALI) 및 여타 주법에서는 종속자회사의 장부나 서류를 검사할 권리에 대하여 아무런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이중대표소송제도는 持株會社의 株主保護를 위한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지만, 그 근거에 대하여는 아직 명확하게 정립된 이론이 없다. 다만, 판례를 통하여 본다면, 대체로 정의 및 형평의 관념에 의지하여 정당화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미국에는 지주회사에 대한 특별한 규정도 없거니와 또한 지주회사의 주주보호를 위한 별다른 방안도 없다. 그러나 지주회사가 광범위하게 활성화되고 있는 기업현실에서 지주회사의 주주보호를 위하여, 持株會社 株主의 회사에 대한 경영참여로써 의결권통과행사의 이론과 자회사의 장부열람권 등을 인정하고 있다. 또 지주회사의 주주보호를 위한 방안으로 일정한 요건에서 이중대표소송을 인정하는 것이 판례와 이론의 대세다. 이렇게 볼 때, 결국 미국에서는 持株會社의 運用과 株主保護의 문제에 대하여, 기업운영의 자율성과 함께 주주보호를 감안하여 여러 방안들을 현실에 맞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principle speaking, from early days Holding Company in America has operated in different from other nation’s one and has not regulated except for public holding company or bank holding company. In particular, holding company in America is regulated by monopoly or fair trade rather than by holding company. However there are many subsidiaries under holding company. In this place, the shareholder’s right of holding company becomes weak or lessened and the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 is problematic. So it needs to be studied about the operation of holding company and the way of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 as a stakeholder in the company in America. There are several ways of the followings. That is, the shareholder’s right to vote, the shareholder’s right to inspect and the shareholder’s right to suit(so called, Double Representative Suit) etc. In case that a large subsidiary existed in holding company, especially when holding company owns or holds 100% share dividends, pass-through theory in America is much desirable for the way of recovering the shareholder’s right to vote in holding company. Contrary to this, even though it is also troublesome about this, pass-through theory can be acceptable as a way of protecting shareholder’s right in holding company. So I can suggest that pass-through theory is meaningful so much to protect shareholder’s right because the administration for subsidiaries affects seriously the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 in holding company. To the shareholder’s right to inspect subsidiaries, MBCA, ALI, and other laws don’t regulate the right to inspect them. Also case law has no place for this “pro or against.” Eventually in America, to the right to inspect subsidiary’s books for the shareholder of holding company, there is no rule except for some states’ ones. In several cases, it is approved of the right to inspect books of subsidiaries. Also double representative suit in America is to protect the right of the shareholder in holding company but the ground is not obvious. Only it is justified by relying on justice and equity. That is the theory of piercing corporate veil or the theory of the same person’s governing or the theory of fiduciary duty. In this case, double representative suit makes the shareholders bring a suit and recover the loss of a company. Regarding to this, compensation theory or deterrence theory is thought of reasonable one of satisfying the goal of double representative suit. As I say concludingly, there is no rule and no way to protect shareholder’s right in America. However holding company is widespread. In this circumstance, there are the following ways to protect the shareholder’s right of holding company. Pass-through theory, the right to inspect subsidiary’s books and double representative suit. After all, in the operating of holding company and protecting of shareholder’s right in America, several ways above to protect the shareholders of holding company could apply to the present situation in holding company and the protection of shareholders in Korea.

      • KCI등재

        주주제안권과 기관간 권한배분 -주주제안권의 범위와 권고적 주주제안권의 도입을 중심으로-

        송지민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7 No.-

        A corporation's board of directors has the power to call a shareholders' meeting and set its agenda, even if the agenda includes issues that can be decided at shareholders' meetings according to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or the corporation's articles of association. KCC Article 363(2) gives shareholders the right to propose issues to be voted on at the corporation's annual meeting.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shareholders have proposal rights for all issues that they can vote on at shareholders' meetings. Only recently have shareholders started exercising their proposal rights increasingly frequently. In the past, shareholders would typically only propose votes on the payment of dividends and the appointment of directors. However, in 2022, HDC Hyundai Development Company's annual general meeting was marked by a controversial shareholder proposal to amend its articles of association to give shareholders precatory proposal rights about ESG-related issues. Then in 2023, activist shareholders in several other corporations unexpectedly exercised their shareholder proposal right to bring votes about acquiring treasury shares and executing split-offs. This article inclu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US and South Korean shareholder proposal rights, concluding that shareholder proposal rights should be divided into binding and precatory rights. To make this distinction, this article divides shareholder decision rights, which are exercised at shareholder meetings, into initiative and veto rights. Although the KCC stipulates that certain issues, such as acquiring treasury shares and executing split-offs, should be decided at shareholders' meetings, shareholders do not have full initiative rights because the board of directors must comply with other regulations. Therefore, binding shareholder proposal rights should be limited to proposing the appointment of directors and issues that can directly affect shareholders' interests. This article argues, in terms of the allocation of decision-making powers between the shareholders' meeting and the board of directors, that shareholders should only have veto rights and limited initiative rights related to fundamental corporate issues and should only be able to exercise precatory proposal rights. Lastly, this article recommends that shareholder proposal rights for ESG-related shareholder issues should be precatory because they can serve as another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shareholders and the board of directors. 상법 및 정관에서 주주총회에서 결정할 권한이 있는 사안으로 규정하더라도 주주총회 소집결의를 이사회에서 하기 때문에 주주총회의 의제 및 의안을 이사회에서 정한다. 따라서 주주가 원하는 사안을 주주총회에서 논의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법 제363조의2는 주주총회에서 심의할 의제 혹은 의안을 주주가 제안할 수 있는 권리인 ‘주주제안권’을 인정한다. 하지만 ‘주주제안권의 범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주주총회 결의사항은 모두 주주제안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통설인 듯하다. 주주제안권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주제안권을 통한 주주총회 활성화 및 주주가 제안한 의제 혹은 의안을 이사회에서 거부하거나 혹은 변형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등의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주주총회에서는 기존에 제안되지 않았던 안건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주주제안권의 범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불거졌다. 예를 들면 2022년 HDC 현대산업개발의 주주총회에서는 ESG관련 이슈에 대하여 권고적 주주제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정관변경을 주주제안에 포함하려 하였으며, 2023년 일부 회사의 주주총회에서는 기존의 통상적인 주주제안이 아닌 자기주식 취득이나 분할과 같은 사안에 대하여 주주제안권을 행사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주주제안권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통해 주주총회 결의사항이라고 하여, 모두 구속력 있는 주주제안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할 것이 아니라 주주총회 결의사항 중 일부는 권고적 주주제안권을 행사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주총회 결의사항을 주주의 발의권(initiation rights)과 거부권(veto rights)과 연관지어 사유하여 보았는데 자기주식 취득이나 분할과 같은 사안은 상법에서 주주총회 결의로 정하고 있지만 별도의 규제 등으로 말미암아 주주가 ‘온전한 발의권’을 갖는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주총회 결의사항 중 주주가 안건을 발의할 권한이 있고 가결되면 구속력 있는 결의로 보는 주주제안권은 이사 선임에 관한 사항 및 주주의 이해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 중 일부에 국한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그 외 주주총회 결의사항이지만, 별도의 규제 등으로 말미암아 주주총회에서의 가결만으로 회사에게 반드시 이행을 강요할 수 없는 사안에 대하여는 주주가 ‘제한된 발의권’과 거부권을 갖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본 논문은 주주가 제한된 발의권과 거부권을 갖는 사안에 대하여 주주제안권을 아예 행사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 아니라, 권고적 주주제안권을 입법적으로 도입하여 주주총회와 이사회 쌍방에게 발의권과 거부권(bilateral rights)을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주총회 결의사항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ESG 관련된 사안에 대하여도 권고적 주주제안권을 도입하여 주주제안권이 주주와 이사회의 광범위한 의사소통의 장의 역할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중국 회사법상 회계장부열람권에 관한 연구

        최정연 한중법학회 2022 中國法硏究 Vol.50 No.-

        Article 33 of China’s “Company Law” stipulates the “Accounting book inspection right” of shareholders. China’s “Company Law” only stipulates the right to inspect the accounting books of shareholders of limited liability companies, but does not clearly stipulate whether shareholders of joint stock limited companies enjoy this right. Such a system design has brought a lot of interpretation confusion to trial practice. At the same time, the “Company Law” does not clearly stipulate the scope of inspection when shareholders of limited liability companies exercise their right to inspect accounting books. In practice, when shareholders request to consult the “accounting documents”, the company refuses to provide the accounting documents on the grounds that the “accounting documents” are different from the “accounting books” and contain more business secrets than the accounting books. Therefore, issues such as how to understand the scope of “accounting books” and whether a restrictive interpretation should be made have become difficult problems in the court’s trial process.Regarding this issue, not only the academic circles have different opinions, but also the courts have given completely opposite interpretations in trial practice. That is, in China, the scope of the inspection object of the right to inspect accounting books has always been the biggest controversy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and judicial application. Therefore, the draft of the “Company Law (Revised Draft)” published on December 24, 2021 includes amendments to the relevant regulations on shareholders’ right to know. The “Company Law (Draft Amendment)” clarifies the right of inspection of accounting books of shareholders of joint stock companies, and the object of inspection includes accounting documents; added the addition of shareholder inspection materials, which can be entrusted to intermediary agencies such as accounting firms and law firms that are obliged to keep confidentiality in accordance with the code of practice. It also stipulates that shareholders and intermediary agencies such as accounting firms and law firms entrusted by them should abide by the protection of state secrets, commercial secrets, personal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when consulting and copying relevant materials.However, there is still a lot of room for interpretation that, whether the accounting books can be copied; if the accounting documents can be consulted, whether the purpose of consulting the accounting documents is the same as that of consulting the accounting books; whether the company can refuse shareholders to check the specific criteria for judging that shareholders have “improper purposes”, etc. The shareholder’s accounting book inspection right system needs to balance the shareholder’s right to know and the company’s business secrets, which are two opposite rights and interests.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shareholder’s right to know,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 company’s business secrets to limit the abuse of rights by shareholders and the infringement of the company’s interests. The abuse of such rights can be realized by setting rights as minority shareholder rights or restricting the scope of objects that can be inspected, and the company has reasonable grounds to believe that the shareholders’ inspection of accounting books and accounting documents has improper purposes and may damage the legitimate interests of the company. The company may refuse to provide methods such as inspection. However, both the company law and the revised draft are too inclined to limit the abuse of shareholders’ rights, but ignore the legislative purpose and effect of stipulating shareholders’ right to know. Therefore, the requirements for exercising rights should be eased,and the judgment standard for the company’s refusal to provide access on the grounds of improper purposes should be strictly ap...

      • KCI등재

        주주권에 관한 가처분의 실무상 쟁점

        손창완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3

        According to the recent decis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the decision), only a registered shareholder should exercise his or her right against a corporation issuing shares and also a corporation should never permit a equitable shareholder to exercise the right, unless the equitable shareholder is registered in the stockholder’s list as shareholder. This is because shareholder's list has a bilaterally legal binding force against both a corporation and its shareholders. The decision prevents a equitable shareholder from exercising shareholder’s rights in individual cases, which hinders the realization of concrete validity through protection of a true rightholder. A practical way to resolve the gap between “form” and “substance” regarding the exercise of shareholder‘s rights is to utilize the preliminary injunction of shareholder’s rights. In the past, its importance was relatively unrecognised because a corporation was able to recognize a equitable shareholder even if his or her is not on the shareholder's list. However, the decision casts light on the necessity of injunction of shareholder rights, and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① Preliminary injunctions on shareholder status or voting rithts is the disposition to request arbitrary execution. The decision does not allow a corporation to recognize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by those who have not completed their listing in the shareholders' list, only to make this kind of injunction to lose effectiveness. However, there are exceptional cases to exercise shareholder rights in relations with a corporation without being registered in the shareholder’s list. In such cases, the preliminary injunction may be considered effective. ② Applicant of preliminary injunctions on shareholder status or voting rithts must clarify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by arguing that he applied for transfer of the title in the register and a corporation unjustly refused it.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injunctions have become strict after the decision. 변경된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2017. 3. 23. 선고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 이하 ‘전합판결’이라 한다)에 의하면 진정한 주주권자라도 주주명부상의 주주로 기재되지 않으면 회사에 대하여 주주권을 행사할 수 없고, 회사도 진정한 주주권자의 주주권 행사를 인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전합판결에 의하면 개별 사건에서 진정한 주주권자가 주주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어 사법의 기초이념 중 하나인 진정한 권리자의 보호를 통한 구체적 타당성 실현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주주권 행사에 관한 ‘형식’과 ‘실질’의 괴리를 실무상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주주권에 관한 가처분을 활용하는 것이다. 주주권에 관한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으로는 ‘주주지위확인 가처분’과 ‘주주권행사허용가처분’이 있고, 변경된 전원합의체 판결에 의하면 진정한 주주권자라도 명의개서없이는 주주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었으므로 진정한 주주권자가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기하는 가처분을 전합판결의 변경된 법리를 바탕으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고, 그에 따른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 전합판결에 의하면 회사가 주주명부에 기재를 마치지 아니한 자의 주주권 행사를 인정할 수 없으므로 주주지위확인 가처분은 전합판결로 인해 원칙적으로는 그 실효성을 상실한다. 다만 주주명부에 기재를 마치지 않고도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예외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실효성이 인정될 수 있다. ② 주주지위확인 가처분에서 채권자는 명의개서를 신청한 사실과 회사가 이를 거절한 사실을 보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소명해야 하므로 전합판결에 따라 주주지위확인 가처분의 요건이 엄격해 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③ 의결권행사허용가처분은 실질주주라고 주장하는 자와 회사 사이에서 의결권행사에 다툼이 있는 경우 제기되고, 적극적으로 회사로 하여금 의결권의 행사를 허용하게 하는 취지의 명령이 내려지는 점에서 소극적으로 주주 지위 확인에 그치는 주주지위확인 가처분과 비교하여 회사의 의무이행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인정된다. ④ 의결권행사허용 가처분은 주주지위확인 가처분과 같이 그 요건이 엄격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채권자는 채권자가 회사에 대하여 명의개서를 신청한 사실과 회사가 이를 거절한 사실을 반드시 소명해야 하고, 이러한 사실이 소명되어야 채권자에게 현저한 손해를 피하기 위한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될 수 있다.

      • KCI등재

        명의개서금지 가처분의 실무상 쟁점 - 허용가능성 및 구조에 관한 재검토 -

        손창완(Sohn, Changwa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8 No.-

        주주명부의 대항력에 의하면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도 명의개서를 통해 자신의 이름이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있어야만 회사에 대하여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 따라서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에게는 자신의 이름으로 주주명부상 주주명의를 유지할 법률상 이해관계가 있다. 주주명부상 주주명의가 실질적 소유자의 의사에 반하여 제3자의 명의로 개서되면 진정한 주주권자의 주주권이 침해될 수 있다. 즉 주식의 적법한 소유자가 아닌 자에게 부적법하게 명의개서되면 주식의 적법한 소유자는 회사에 대하여 주주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주식의 적법한 소유자는 자신의 주주권을 확인받기 위하여 주주명부에 주주로 기재된 자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의 소를 제기하여야 하고, 회사를 상대로 명의개서변경절차이행청구의 소를 제기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안소송이 확정되기 전까지 주식의 적법한 소유자는 회사에 대하여 주주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므로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에게는 자신의 이름으로 주주명부상 주주명의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 주식의 처분금지 목적으로 허용 여부가 문제되던 명의개서금지 가처분이 주주권의 행사를 보전하기 위하여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논의될 수 있다. 명의개서 금지 가처분에 관한 기존 논의는 주권소지인이 주권을 제3자에게 처분하는 것을 막는 방법으로 명의개서금지 가처분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었고, 그 이유는 주권에 대한 처분금지 가처분의 사실상의 집행곤란 때문이었다. 그러나 명의개서는 주주가 회사에 대해 권리행사를 하는 전제요건일 뿐이고, 주식의 귀속여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기 때문에 주식의 처분을 금지하기 위한 목적의 명의개서금지가처분은 허용될 필요가 없다. 반면 주주권의 행사를 보전하기 위한 목적의 명의개서금지 가처분은 충분히 인정될 여지가 있다. 참칭 주주로부터 진정한 주주의 권리가 완전히 보호되기 위해서는 처분의 측면에서 처분금지가처분이 인정되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행사의 측면에서 참칭 주주의 주주권 행사를 막을 방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변경된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주주권의 행사와 관련하여 명의개서금지 가처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변경된 전원합의체 판결에 의하면 진정한 주주권자가 아닌 자에게 명의개서되는 경우 진정한 주주권자가 주주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진정한 주주권자가 아닌 자에 대한 명의개서를 금지하여 주주권의 행사를 보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주권이 발행된 경우 원인을 불문하고 진정한 주주권자가 보유한 주식을 표창하는 주권 소지자 또는 주권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 특정 주식에 대하여 자신이 주주권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자가 진정한 주주권자의 주주권을 부인하면서 그 자신이 주주권자로서 명의개서 청구를 하여 주주권을 행사하려고 하는 경우 진정한 주주권자는 이들을 상대로 자신의 주주권 행사의 보전을 위하여 명의개서 금지 가처분을 신청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posing power of the shareholder"s list in Korea Commercial Act(KCA), a true shareholder can exercise her shareholder’s rights only if she completed her listing. Therefore, the true shareholder may have a legal interest in her title being listed on the shareholder’s list. If name of shareholder’s list is changed by a third party illegally, her rights will be infringed. Once the name is changed form the true shareholder to the third party, the true shareholder will no longer be able to exercise her rights as shareholfer against the corporation issuing the shares. In such a case, the true shareholder may have to file a lawsuit against the third party who denies her rights, and she should also file a claim against the corporation for the change of name on the shareholder’s list. Because she cannot exercise her shareholder’s rights until she is found to be a true shareholder, she, the true shareholder has a strong need to maintain her listing. In this regard, injunction for prohibition of name change on the shareholder’s list can be discussed whether it can be allowed to preserve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The previous discussion on the injunction for prohibition of name change was about whether the injunction could be allowed as a way to prevent the shareholder from disposing of her ownership to a third party. This is because of de facto difficulty in enforcing the injunction. The name change, however, is only a prerequisite for shareholders to exercise their rights, having nothing to do with share ownership. Therefore, this kind of injunction needs not be allowed for the purpose of prohibiting the transfer of shares. On the other hand, it is advisable to recognize the injunction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It is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5Da248342 Decided March 23, 2017 that arouse strong interest for the injunction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According to the Decision, once true shareholders loss their names on the shareholder’s list, true shareholders cannot exercise their shareholder’s righ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rve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by prohibiting the change of name. Thus, true shareholders can apply for a prohibition against the corporation not to accept any claim for name change from a specific person or anyone.

      • KCI등재

        주주총회의 형식화 탈피를 위한 제도적 방안 -주주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절차적 측면을 중심으로-

        윤은경 ( Eunkyoung Y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3

        The main goal of corporations is to maximize the profits. Those profits are supposed to be contributed to their shareholders. If shareholder’s interest is protected artificially, it is inevitable to prepare for substantial methods to promote its goal. However, our corporations are not strictly separated from the ownership and the control and therefore,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control their managers in corporations.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promoting methods for active shareholder voting right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are primarily focused on the restrain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voting right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provided however, the abuse of minority shareholder’s voting right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should not be ignored in the aspect of shareholder’s democracy. Focused on the democratic act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this article examines shareholder democracy briefly at first, and then problems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related to the shareholder’s voting rights. This article argues tha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both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are likely to harm the interests of all shareholders or other related parties of its corporation, the main goal of shareholder democracy should be centered on all the methods for promoting shareholder’s democratic voting right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In order to realize it, the meaning of “special interest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under the section 4 of the Article 368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should be defined clearly. In addition,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is compelled under the guidelines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step by step, considering the our corporations reality.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voting right’s battle in the shareholder’s meeting, the informal meetings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of the corporations should be taken place regularly compelled gradually by the guidelines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주주총회에 질문권과 설명의무 제도 도입을 위한 법적 연구

        허원준 한국상사법학회 2023 商事法硏究 Vol.42 No.3

        주주와 경영진의 매개체인 주주총회에서 표결을 통해 회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회의체성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한다. 주주는 자본 출자를 통해 회사를 실질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므로 주주총회에서 회사의 경영상황과 성과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한 내용의 확인을 요청하고 의제와 의안에 대해 의문이 가는 사항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요구할 수 있다. 이사는 회사와 상법상 위임계약에 따른 법률관계이므로 수임사무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선관주의에 기반한 의무를 준수하여 업무를 처리하여야 한다. 주주총회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는 주주의 질문과 회사의 설명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의사진행과정에서 주주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권리를 ʻ질문권ʼ이라 하고 이에 부수한 회사의 의무를 ʻ설명의무ʼ라고 한다. ʻ주주의 질문권ʼ과 ʻ회사의 설명의무ʼ는 학설과 판례에서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실무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명확한 규정이 없어 질문권 침해와 설명의무 이행 위반에 따라 결의효력에 대한 다툼과 손해배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표준주주총회 운영규정은 상법상 의장의 질서유지권에 기반한 규정들로서 의사진행의 한 과정에 대한 내용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질문권을 보유하는 주주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볼 것인지, 의결권이 없거나 제한되는 주주에게도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주주가 아닌 자도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있어야 하고, 질문권자가 질문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회의 목적사항 중 결의사항외에 보고사항까지 확대할 수 있는지, 그 외에도 회사 운영방침 등을 주제로도 질문을 할 수 있는지가 규정되어야 하며, 질문 횟수와 시기 등에 대한 한계를 어디까지로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과 질문에 대한 답변 주체를 지정가능한지 여부 및 설명의무자는 답변을 거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도 규정되어야 한다. 해외의 입법례를 살펴보면, ʻ주주의 질문권ʼ 과 ʻ회사의 설명의무ʼ에 대해 미국은 실무지침에 따라 규정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는 법에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다. 특히, 일본은 질문권자, 설명의무자, 질문권 행사 범위 및 회사의 설명 정도, 질문권 침해의 효과에 대해 회사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판례와 학설을 통해 상황별로 구체적인 해석을 하고 있으므로 향후 ʻ주주의 질문권ʼ과 ʻ회사의 설명의무ʼ의 입법에 참고가 가능하다. 입법을 통해 질문권과 설명의무에 대한 구체적 규정이 도입된다면, 주주에게는 더욱 신중한 자세로 주주총회 진행과 회사 발전에 도움이 되는 질문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회사는 보다 전문성 있고 활용가치가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등 충실한 설명의무 이행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주주총회의 원활한 의사진행과 내실 있는 운영에 기여할 것이다. In order to ensure a reasonable decision-making of the company through the voting at the shareholders meeting or the medium between shareholders and management, the shareholders meeting should allow for pro & con debate. Since shareholders substantially own the company through capital contributions, they may request confirmation of the companyʼs business conditions, performance, and future prospects at the shareholdersʼ meeting, and request detailed explanations of items on the agenda and agenda items that they have doubts about. As a director has a legal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based on a commercial law delegation contract, must comply with the obligations based on good faith, such as regularly repor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general, the discussions at the shareholdersʼ meeting progress with shareholdersʼ questions and companyʼs answers, and in such a progression of discussion, the right ensured for the shareholders is called ʻthe right of inquiryʼ, while the companyʼs obligation to answer the inquiry is called ʻthe obligation of explanationʼ. Shareholdersʼ right of inquiry and companyʼs obligation of explanation have been admitted in the academic theory as well as in the court decision, while having been admitted in the legal practices. But since the current Commercial Code does not specifically and clearly stipulate them, the legal dispute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decision and the compensation thereof may well follow. The current standard regulations about the operation of the shareholdersʼ meeting are based on chairmanʼs right to maintain the order for shareholdersʼ meeting, which suggests that they are about a process of the proceedings. Namely, there should be regulations about the scope of shareholderʼs right of inquiry and the right of inquiry of other persons than the shareholders. Moreover, the scope of such inquiry need to be stipulated, while the extent of companyʼs report beyond that about its management should be specified. Moreover, whether the shareholders could inquire about companyʼs management goals should also be specified. Besides, the criteria for the frequency and timing of shareholderʼs inquiry should also be stipulated, while the possibility of designating those who would answer the inquiry should be specified. Besides, whether the company may refuse to respond to the inquiry should also be stipulated. The foreign cases were also reviewed. The United States specifies ʻthe shareholdersʼ right to inquiryʼ and ʻcompanyʼs obligation to respond to the inquiry are specified in the guidelines, while the United Kingdom, Germany, Japan and France specify such right to inquiry and obligation to respond to it specifically. In particular, the Japanese ʻCompanies Actʼ specifies the shareholders who can inquire, the directors who should respond to the inquiry, the scope of the response, and the effects of the inquiry right infringed upon, while the judicial cases and academic theories have interpreted the effects of the infringed inquiry right. So, it may well be necessary to refer to the Japanese cases when we stipulate ʻshareholdersʼ right to inquireʼ and ʻcompanyʼs obligation to respond itʼ in our Commercial Code. If the right to inquiry and the obligation to explain should be specified in our Commercial Code, the shareholders would well be encouraged to ask questions conducive to the progress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while the company is obligated to provide its shareholders with more professional and useful information. Then, the shareholders meeting woud proceed more smoothly, while being operated more substaintially.

      • KCI등재

        2000년대 民事판례의 傾向과 흐름(商法)

        오영준 민사판례연구회 2011 民事判例硏究 Vol.- No.33

        이 글은 최근 10년간, 즉 2000. 1. 1.부터 2009. 12. 31.까지의 기간 동안 선고된 상사 관련 대법원 판결들 중에서, 선례적 가치가 있거나 일정한 흐름을 형성해 나간다고 판단되는 판결들을 선별하여, 그 각 판결의 요지와 의미를 검토․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상사 관련 판례의 동향을 개략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2000년대에 이루어진 수많은 상사 관련 판례 중에서 주로 상행위법, 회사법, 증권거래법을 중심으로 하되, 보험법, 운송법, 유가증권법, 국제거래법 중에서도 몇 가지 중요한 판례를 선별하여 검토하였다. 첫째, 상행위법에 관해서는, 상행위의 추정, 사실상의 이사와 회사의 불실등기 책임, 상오속용 영업양수인의 책임 등을 다룬 판례를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회사법과 관련해서는, 법인격 부인 이론, 형식주주와 실질주주, 주주의 제명, 명의개서, 의결권의 대리행사, 상호주의 의결권행사, 주식예탁증서 소지인의 의결권 행사, 주주대표소송, 이사회결의를 요하는 중요한 자산의 처분과 대규모 차입, 이사의 자기거래, 경영판단의 원칙, LBO와 배임죄, 이사의 신주․전환사채 발행시 이사의 선관주의 의무, 회사분할, 신주발행, 전환사채발행, 주식병합․합병 등에 관한 판례들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증권거래법과 관련해서는, 임의매매, 과당매매, 부실공시, 단기매매 등에 관한 판례를 검토, 분석하였다. 넷째, 국제거래법과 관련하여서는, 외국판결의 승인․집행, 외국중재판정의 승인․집행, 외국도산절차에서 이루어진 외국법원의 면책결정의 대내적 효력에 관한 판례를 검토, 분석하였다. 그 밖에 보험법, 운송법, 유가증권법 등에 관한 몇 가지 중요한 판례들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는데, 그 중에서 화물선취보증서, 복합운송, 백지어음 및 백지어음보충권, 어음채권과 원인채권과의 관계, 양도성예금증서 등에 관한 판례가 주목할 만하다. Among the Supreme Court decisions in respect of commercial cases rendered for a period of about 10 years since January 1, 2000, I have selected certain commercial decisions on the basis of such criteria as whether or not they present new legal analysis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been developing to form a certain trend. I have reviewed and analyzed key issues and meanings of those decisions. This treatise deals with cases mainly related to commercial activity law, company law, securities regulation law and further mentioned some cases related to insurance law, carriage law, and international transaction law. First, with respect to commercial activity law, this treatise reviewed and analyzed the cases determined on the issues of partial general agency, responsibility for misleading or false commercial registration, presumption of commercial activities, transfer of commercial business, several and joint liability for commercial activity by partnership, commercial statute of limitation, and commercial sales with a fixed deadline. Second, as regards company law, this treatise reviewed and analyzed the cases determined on the issues of disregard of corporate entity, superficial shareholder and substantial shareholder, registration of a change of title to share,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by agency,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in disunity,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by reciprocally-owned-share olders,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shareholders, depository receipts, shareholder's derivative action, important transactions requiring approval of director's meeting, director's self-dealing, director's breach of duty of care, criminal penalty for LBO, idem-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of certain class of shares in case of amendment of articles of incorporation, prohibition on the acquisition of company's own shares, division of company. merger, issuance of convertible bonds, consolidation of shares, and non-existence of shareholder's meeting. Third, respecting securities regulation law, this treatise reviewed and analyzed the cases surrounding the issues of sales of a securities by a securities broker, churning of a securities by a securities broker, misleading public statement,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 burden of proof on causation. Lastly, concerning international transaction law, this treatise reviewed and analyzed the cases determined on the issues of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tion awards, domestic effect of foreign bankruptcy law or foreign court's order in foreign bankruptcy proceedings,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ases, the treaties reviewed and analyzed the cases occurring in the insurance law, carriage law, check law and draft law. Among them, the issues of letter of guarantee, international carriage of goods, right to complete a blank note and certificate of deposit is noteworthy,

      • KCI등재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시 소수주주 보호에 관한 연구 -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중심으로 -

        박창규 한국상사판례학회 2023 상사판례연구 Vol.36 No.1

        A split-off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is a type of a corporate division where the shares of a new organized company are issued to its parent company in exchange for the transferred business, and then such new organized company becomes an 100% subsidiary of the parent company. However, in case that a listed company became a parent company of its subsidiary through a split-off and then the subsidiary goes public the measures to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have been the social issues. A shareholder has the position of a shareholder who participates in management or monitors management as a member of a company, and the position of a shareholder who pursues return on investment as a capital investor. The protection of the minority shareholder in a split-off is accepted because of the minority shareholder’s position as a capital investor. The measures to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 in a split-off include (i) granting the appraisal rights to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ii) granting the preemptive rights to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iii) preferentially allocating the new shares of the subsidiary to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iv) limiting the voting right to 3% in case of a corporate division (v) prohibiting chain-listing, (vi) strengthening the disclosure and the listing screening, (vii) imposing the duty of loyalty to the shareholders on a director. Granting the appraisal rights to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and strengthening the disclosure and the listing screening can be the meaningful alternatives, but the others are unlikely to be the effective alternative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in a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is essentially a matter of balancing the interests of a controlling shareholder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Therefore, imposing the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on a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a fundamental alternative. If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is accepted, a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that violate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would be illegal, which can be an object of legal action. Therefore,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will be the legal norms that can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 and it can be a practical limitation of a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decision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Even if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is accepted,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director.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should include the fact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s able to exercise its rights as a shareholder, and so a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should be basically allowed. However,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is exercised in an illegal or deceptive manner and so it seriously infringes on the interests of the minority shareholder,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pursues only its private interests, or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causes significant and irreparable damage to the interests of the minority shareholder,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violates the duty of loyalty. Therefore, the Korean commercial act should accept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and then the contents and the requirements of violation of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in the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cases should be determined in detail. 물적분할은 회사분할의 한 유형으로서 승계된 영업의 대가로 발행되는 주식을 분할회사에게 교부하여 신설회사가 분할회사의 100% 자회사가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런데 상장회사가 물적분할하여 자회사의 모회사가 된 후 자회사가 상장하는 경우 모회사의 소수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이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주주는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경영 참여 또는 경영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주주의 지위와 투자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자본 투자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물적분할 시 소수주주의 보호는 소수주주가 자본 투자자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물적분할 시 소수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은 (i) 모회사의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 부여, (ii) 자회사 상장 시 모회사 주주에게 신주인수권 부여, (iii) 모회사 주주에게 자회사 신주 우선 배정, (iv) 회사분할 시 의결권 3% 제한, (v) 물적분할 후 모회사와 자회사의 동시상장 금지, (vi) 공시강화와 상장심사의 강화, (vii) 이사에게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부여 등이 있다. 주식매수청구권 부여, 공시강화, 상장심사 강화 등은 유의미한 대안이 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방안은 효과적인 방안이 되기 어렵다.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시 모회사의 소수주주 보호의 문제는 모회사의 지배주주와 소수주주간 이익 조정이 문제의 본질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를 인정하는 것이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가 인정된다면 지배주주의 충실의무에 반하는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의 결정은 위법한 것이 되어 법적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는 법적인 면에서 소수주주를 보호할 수 있는 규범이 되며, 현실적인 면에서 지배주주의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결정의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는 이사의 충실의무와 다르다.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는 지배주주가 주주로서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는 기본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내용으로 해야 한다. 다만,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가 위법하거나 기만적인 방법으로 행사되어 소수주주의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거나, 오직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만을 추구하거나, 소수주주의 이익의 침해가 현저해서 회복될 수 없는 경우에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는 충실의무에 위반된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상법이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하고 이를 근거로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사례에서 지배주주의 충실의무 위반의 내용과 요건 등이 구체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