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 수준의 권력분립원리 : ‘권력’ 개념을 중심으로

        김용훈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4

        Separation of powers is a political doctrine urging three separate branches of government to prevent the abuse of power abd to check each other in the scope of Constitution. Thus each of the three branches are required to be possessed of the power to check the powers of the other branch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n other words this separation of power is essential to ensure the constitutional value, fundamental rights by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By the way, it is well accepted that the ‘power’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 is the ‘State Power.’ However, due to the rapid change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circumstances, it is questionable that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s to be concerned with only the ‘State Power.’ For example, when it comes to domestic circumstances, the advent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raise a question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state power.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tatus of European Union, we are acquired to enlarge the scope of discussion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n particular, there are plenty of studies regarding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n the level of European Union. However those studie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on is possessed of the ‘Power.’ Nonetheless, taking the fact into the consideration that the European Union is not the State, it is not persuasive to apply the argument dealing with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focusing on the State to the European Union. Thus this article studies whether European Union is possessed of the power considering the nature of power with the tool of the analysis such as the enforcement, entrust, legitimacy and legal norms etc. Afterwards, this article inquires in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n the level of EU based on the premise that European Union obtains the power of its own.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European Union, we are able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placing emphasis on the relation with the Member States and inter-institutional relations. The Former is to be called vertical separation of power and the latter is to be called the horizontal separation of power. Furthermore, this study ensures that we can not able to limit the State Power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we need to develop the response logic to the various emerging entity possessing the power. 권력분립원칙은 대의제 국가에서 다양한 국가작용으로 나타나는 국가적 과제를 그 성질과 그리고 그 기능에 따라 여러 국가기관에 분산시킴으로써 기관 상호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하여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려는 국가기관의 구성 원리를 의미한다. 당해 권력분립원칙의 분석대상은 국가권력임은 물론이다. 하지만 국제적 그리고 국내적인 수준에서의 다양한 상황의 급격한 등장과 변경은 그와 같은 논의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점을 던져 주고 있다. 국내 환경의 경우, 21세기가 도래함에 따른 정보화 시대의 등장과 더불어 등장한 인터넷 시대는 국내 최고법인 헌법에 있어서의 작동원리의 변혁을 직접적으로 요구하고 있어서 기존 권력분립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한계를 노정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수준에서의 유럽연합의 등장은 기존 권력분립 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 범위의 확장을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유럽연합 수준의 권력분립원리에 대한 연구가 많지만 이는 물론 연합이 권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지는 연구들이다. 하지만 유럽연합이 국가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국가권력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권력분립원리를 유럽 연합에 대하여 직접 적용하는 분석이 설득력 있는 분석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권력의 속성(강제력, 위임, 정당성(legitimacy), 법규범의 문제) 을 중심으로 유럽연합이 권력을 보유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당해 연구를 기반으로 유럽연합만의 권력분립원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유럽연합의 경우에는 회원국 간 관계와 기관 간 관계를 중심으로 권력분립원리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인데 전자는 수직적 권력분립의 내용으로 후자는 수평적 권력분립원리의 내용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권력분립원리의 적용 대상으로는 국가만을 설정할 수만 은 없으며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 권력보유실체에 대한 대응 논리의 확보 필요성에 대하여서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에서의 권력분립

        정성범(Chung, Sung-Bum),백윤철(Baek, Yun-Chul) 한양법학회 2020 漢陽法學 Vol.31 No.4

        In Korea, separation of power is called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of legislation, justice and administration. This guarantees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it is a basic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divides state power into legislation, administration and justice to prevent abuse of power and to balance it with each other. Generally, when discussing the separation of power in Korea, Locke’s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 and Monteski’s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 are basically introduced. In terms of institutions, the United States is the country that best institutionaliz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n general, the relaxed form of separation of powers can be called the U.S. presidential system, the British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nd the French dual-governance system.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is the only legislative body, and the executive powers are the administration, the president, and the judicial powers are the Supreme Court and the lower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rticle 40 of the Korean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legislative power belongs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is that the National Assembly is an institution that directly represents the people who are sovereigns, and that exercises legislative power, which is the most basic of the national action. And on the political front, the separation of power is the central value of state affairs. The court is curbing the power of two other powerful agencies by allowing the Constitutional Court to exercise its right to review unconstitutional law orders and all other state actions. In other words, our country is led by the presidential system. And it has a unique form of content that adopts the form of American judicial power. Formally, checks and balances work fairly among the three powers. How does France grasp and realize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what is it if there is a constitutional basic ideology that can sum up or supplement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nswers. Korea seems to be embodying an ideal separation of powers in terms of formality. In reality, however, voices of public opinion and minority claims are difficult to convey to the center of politics. If this is not improved even though we are well aware of it, there will be no politics based on the ideology of a constitution. At this point, I would like to review the form of power separation centered around France. When the French Constitution states that the final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to prevent absolute power from being overthrown against tyranny, can the guarantee of rights and separation of powers be practically separate? After all, in order to asses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one must think in relation to the idea of a law-governed state. France"s separation of power suggests two grounds. The former is linked to the idea that separation of power is the autonomy of power. And the latter derives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rights in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separation of powers. Therefore, the proper form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be a problem. As such, France also points out that the June 3, 1958 law, which recognized the basis of the Fifth Republic Constitution, refers to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learly favor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n its ruling.

      • KCI등재

        권력분립론에 관한 연구

        이영우(Lee, Young-W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5 No.-

        국민의 자유와 평등을 최고의 가치이념으로 설정했던 시민적 법치국가에서는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통치형태의 조직원리로서 권력분립을 채택하였다. 권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고 권력을 분산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정치집단에 있어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권력의 제한과 분립이야말로 자연법사상에 근거한 인권보장에의 강한 의식이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 권력분립론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권력을 분할하고, 이들 권력을 각각 분리·독립된 별개의 국가기관에 분산시킴으로써, 특정의 개인이나 집단에게 국가권력이 집중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권력상호간에 권력적 균형관계가 유지되도록 하는 통치구조의 구성원리이다. 입헌주의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권력분립의 원리는 자유주의의 이념아래 시민적 법치국가에서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실정 제도화되었다. 권력분립주의는 국가권력을 입법·사법·행정으로 나누고 피치자인 국민 또는 국민과 동일시되는 의회만이 일반적 추상성을 띤 법률을 제정하고. 행정과 사법은 이에 구속되어, 삼권이 상호 견제와 균형을 취함으로써 권력의 집중을 방지하여 국민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하는 고전적 권력분립론에 있어서는 국가의 활동은 개인의 자유보장과 질서유지라는 소극적 기능에 한정되었던 까닭에 어느 정도 기관분립과 기능분립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소극국가였던 18~19세기의 시민적 법치국가에서 적극적인 20세기의 사회적 법치국가로 이행함에 따라서 권력분립의 원리는 그 의의와 내용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고전적 권력분립론이 등장하던 시대와는 다른 사회, 경제적 여건 하에서의 권력분립론은 보다 넓은 문제영역 확대와 심화가 요구되었다. 과거 자유방임주의시대의 소극적인 국가기능과는 달리 적극적인 국가기능이 요청되어 행정국가를 등장하면서 현대국가의 헌법상 권력분립제의 존재의의와 권력분립이 현대국가의 통치조직원리로서 어느 정도 작용하며 장래에도 존속할 가망이 있느냐 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권력의 분립과 권력의 집중과의 대립과 극복을 어떻게 조화시키며 제도적으로 균형과 안정을 어떻게 성취시키냐 하는 것이 권력분립의 현대적 과제라 할 것이다. Civilian law-enforcement states that set the people s freedom and equality as the most valuable ideology adopted separation of power as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governance in order to guarantee the people s freedom. Finding effective ways to prevent power from being concentrated in one place and decentralize power is of interest to human political groups. The power limit and separation seem to be working with a strong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protec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ural law. The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s is a constituting principle of the governing structure, which allows the division of state power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and disperses these powers to separate and independent state organs, thus preventing the concentration of state power to a certain individual or group, as well as maintaining the balance of power among power-sharing.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which has the same root as constitutionalism,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a means of guaranteeing people s freedom in a civil and legal state under the ideology of liberalism. Classical power separatism divided national power into legislative and judicial administration, and only the ruled or Congress, which was identified with the people could enact legislation with general abstraction. The administrative and private law were bound by the three powers mutual checks and balances to guarantee the people s freedom by preventing concentration of power, where the nation s activities were limited to the passive function of maintaining individual freedom and order, so that institutional and functional divisions could be maintained to some extent. However, the passive law governed country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hanged into an active law governed country of the 20th century, an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its meaning and contents. The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s under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called for greater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 problem area than classical separation of powers. Unlike the passive state function of the past laissez-faire era, modern times become an administrative country with active national function requested, and the ques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the power separation system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modern state and the question of how much power separation will work as the governing organizational principle of the modern state and whether there is a chance of survival in the future. Therefore, how to harmonize this division of power with the concentration of power and how to achieve balance and stability systematically are modern tasks of separation of power.

      • KCI등재

        권력분립원리의 재고찰

        이부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5

        Separation of powers appears as an almost impossible task. A society in which the observance of the law is not assured, nor the separation of powers defined, has no constitution at all. One can understand the separation of powers as a complex system of institutionalization, justification, limitation, distribution and conditioning of sovereignty. In ‘the Spirit of Law’ of Montesquieu find two quite different motives for the separation of powers. On one hand, the power limitations are connected with their ideal core content, on the other hand also aim at stabilizing and legitimizing powers. Separation of powers is both in terms of the functions to their differentiation, as well as with respect to the persons entrusted with the exercise of the function. It encountered a triadic model of the actual functions of the state, connected with highly differently structured organ responsibilities. The separation of powers in terms of triadic functions distinction focuses on a system of authority in the context of state law realization. It is important to adjust substantive contents, to make a distinction of functions and procedures. It connects to the separation of powers two-fold, on one hand, the idea of a separation of the functions (interfunctional separation of powers), on the other hand, the idea of a division of organ responsibilities within the same state functions (intrafunctional separation of powers). Separation of powers within the meaning of institutionalized segregation of duties takes place there, where independent control should be, not results in the check postulate from the organizational separation of powers. The law affects freedom-assurance by its content and by its superiority to other state authority. On the external -enforcement of the Act by another force or the self-enforcement by agents of the legislature, it is to difficult for the protection of freedom by Law. Bindung of rule of law is conceivable not only as a external-bindung, but also with the same content as a self-binding. The basic idea of separation of powers describes as involving different power holders of tasks within a state function. It’s about intrafunctional separation of powers to limit by personal pluralization of powers, not to the structure of different functions. It means separation of powers no longer divide of powers in the strict sense, no holding apart of functions and power subjects, but powers involvement. 국가 권력분립의 동기로, 권력의 제한에 있고, 다른 하나는, 권력의 정당성 부여에 있다. 이를 권력분립원리의 양면성이라 말할 수 있다. 권력분립을 주창한 존로크는 국가기능을 엄격하게 삼권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몽테스키외도 삼권이 기능적으로 분립되어야 하지만, 엄격한 권력분리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권력분립에대한 분석에 있어서 기존의 삼권에 국한된 사고는 권력분립의 본질적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권력분립의 구분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중요하게 구분할 수 있는 2가지 유형이 있다. 기능간 권력분립과 기능내 권력분립이다. 전자는 국가기관기능의 분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국가기관 권력의 배분에 초점이 있다. 각 국가기관에게 입법, 행정, 사법이라는 기능에 부합하게 독점적인 권한을 부여하는것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국가업무는 혼재되어 있어 일정한 기능을 독점하는 것이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정 기능 수행의 예외가 더 많다. 입법 개념과 관련하여, 실질적 개념설에서는 입법의 일반성․추상성이라는 특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입법의 일반성․추상성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성․추상성을 갖추지 못한 법률을 제외하게 만든다. 또한 국민의권리․의무와 관련없는 입법사항은 입법에서 배제하게 되는 결론에 이른다. 따라서입법이란 입법자가 형식적 의미의 법률을 정립하는 국가작용으로 봄이 타당하다. 권력분립에 관한 이론 중 기능 적합성설이 있다. 기능에 맞게 국가기관에게 국가과제를 분배할 경우, 그 기준이 마련되기 어렵다. 또한 기능 적합성설은 순환논법에 빠져있다. 권력분립원리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첫째, 국가권력 배분과 국가권력 제한을 위해서는 균형의 측면보다는 ‘견제’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국가기능의 과제들을 더 다양한 권력소지자에게 분배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권력 분립 해석론에 관한 연구

        강승식(Kang Seung-Sik) 한국법학원 2009 저스티스 Vol.- No.113

        일반적으로 권력 분립은 국가 권력을 입법권ㆍ행정권ㆍ사법권으로 분할하고, 이들 권력을 각각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에게 부여함으로써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한다는 헌법 원리를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견 명확해 보이는 권력 분립은 이를 구체적인 사건에 적용하는 경우에 그 의미가 상당히 모호해진다. 예컨대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은 어떤 성질의 권한인지, 이들 권력은 절대적으로 특정한 부에 의해 행사되어야 하는지, 만일 다른 부가 행사하더라도 독재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데 아무 지장이 없다면 권력 분립은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그렇다면 권력 분립은 부당한 권력 집중만을 금지하는 것인지 아니면 부당한 권력 집중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정당화하는 중대한 공익이 존재한다면 권력 분립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인지 등이 헌법적으로 해명되어야 할 문제로 등장한다. 이 글에서는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헌법 학계와 연방 대법원, 그리고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에서 제시되어 왔던 주요 권력 분립 해석론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권력 분립의 역사적 전개 과정, 헌법적 기능에 주목하여 필자 나름의 권력 분립 해석론도 제시해보고자 한다. Separation of powers refers to the separation of the Executive, the Legislature and the Judiciary, with none of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able to exercise total power. It is a model for the governance of democratic states. There are three leading interpretations of separation of powers : formalism, functionalism and judicial abdication. Formalism relies on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to resolve separation of powers problems. On the other hand, functionalism arrives at standards and balancing tests based on a more flexible interpretation. Judicial abdication suggests that the judiciary should restraint itself from policy decisions of the political branches. Separation of powers has a prophylactic function. Adherence to its principles in structuring governmental institutions prevents abuse of power through limiting undue accretion of power in any one branch of government. No theories other than formalism can guarantee that separation of powers will discharge its prophylactic function. The essential advantage of formalism is that a reviewing court does not have to determine whether one branch’s action disturbs the balance of power among the branches, or whether there are countervailing social interests resulting from separation of powers. But Formalism have two major problems. First, it is likely to produce routine results because of its rigidity. Second, it can reduce governmental effectiveness in modern administrative state.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wise for a reviewing court to define the nature of legislative power, executive power and judicial power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권력분립과 행정소송

        김광수(Kwangsoo Kim) 한국행정법학회 2012 행정법학 Vol.3 No.1

        이 글의 목적은 행정소송을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재조명 하는 데 있다. 과거 국회에 행정소송법 개정안이 제출되었으나 통과에 이르지 못하였다. 현재 법무부에서 위원회를 구성하여 행정소송법 개정작업을 하고 있다. 행정소송법의 개정은 행정법 학자 누구나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글에서 행정소송을 권력분립이라는 프리즘을 통하여 다시 보는 이유는 법의 개정 논의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현대 행정소송의 발전은 권력분립론과 필요충분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권력분립 이론은 행정소송에 관한 이론을 다시 검토하게 하고, 또한 행정소송 제도의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종래 권력분립은 국가기관 간의 통치권한의 배분문제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의 권력은 국가기관을 넘어 지방기관으로 확장된다. 나아가 시민단체와 개인들도 종래 국가기관에 버금가는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거대 방송매체의 자리에 개인들이 운영하는 인터넷 매체가 들어서고 있는 현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그래서 권력은 입법, 행정 및 사법 사이의 횡적 분립에 이어서 국가와 지방 그리고 시민단체와 개인에 이르는 종적인 분립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횡적 권력과 종적 권력이 접하는 곳마다 다양한 권력지형이 형성되고 또한 권력충돌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행정소송법 체계는 1987년의 민주화시대의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하고있다. 이 구도 아래서는 힘 있는 국가와 그에 대응하는 시민사회의 이분법이 지배한다. 그 후에 전개된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 및 글로벌화 현상은 행정소송법에 있어서 도 새로운 과제를 던지고 있다. 이 과제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사법이 국민의 권리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권리구제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즉, 권리구제 수단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는 법적인 판단에 앞서 근거와 이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물론 사법부의 권한 밖에 있는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법원의 판단과정에서 이를 요구함으로써 행정의 체질개선을 유도하여야 한다. 셋째는 이해관계의 복잡화와 사회적 갈등의 다양성에 대응하는 적절한 분쟁해결 방법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든 단체소송과 주민소송이 대표 적인 사례이며 예상하지 못한 법적 분쟁에도 대비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s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paration of powers. A draft amendment bill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its last session but it did not pass through parliament. At present, a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at the Ministry of Justice to work on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Every scholar studying administrative law becomes interested in the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reasons why this author re-looks at administrative litigation through the prism of separation of powers are not limited to discussions on revision of the law. In the opinion of this author, since the advancement of moder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in the relationship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with the theories on separation of powers, these theories are believed to provide opportunities of reviewing theories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studying the direction of future advancemen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Separation of powers has previously been understood as an issue of division of ruling powers among state organs. However, modern powers expand beyond state organs to local organs. Furthermore, opportunities are being provided for civic groups and individuals to exercise powers second to those of previous state organs. Nothing shows this better than the reality that internet media operated by individuals are taking the place of giant broadcasting media. So following the horizontal separation of powers among the executive, the legislative and the judiciary, now has come the time of vertical separation of powers among state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even civic groups and individuals. Wherever horizontal power and vertical power contact each other, there form a variety of topographies of power and happen phenomena of power conflicts. The present system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as not yet gotten out of the paradigms of democratization in 1987. Under this composition dominates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ful state and the civil society responding to it. The changes in and the globalization of IT environment which have happened thereafter are presenting new challenges in the field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First, universal remedies for violation of private rights should be made available to contribute to protection of citizens rights. Expansion of such remedies is necessary. Secondly, the executive branch should be required to present clear grounds and reasons for making its judgments. Of course, this is outside of the power of the judiciary branch, but, by demanding them in the process of court s judgment, improvement of the attitude of the executive branch may be induced. Thirdly, A variety of methods for resolving disput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cope with complication of interests and diversity of social conflicts. Aforementioned class action and resident action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flexibility is also required to prepare for unexpected legal disputes.

      • KCI등재

        권력분립과 대통령의 임명권 : 국회의 견제기능을 중심으로

        심경수(Shim Kyung Soo) 한국헌법학회 2017 憲法學硏究 Vol.23 No.3

        권력분립의 원리는 인권보장을 위한 권력의 분산과 제한 및 견제와 균형이라는 소극적 측면과 함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치과정에서의 권력의 협동이라는 적극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다. 이들 양자는 성질상 갈등관계에 있지만, 통치과정에서 상호간에 균형 내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Montesquieu가 엄격한 권력의 분립을 주장하면서 그 행사에 있어서 권력 간의 협동의 중요성을 지적한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리고 국가기관들은 독립되어 있지만, 통치과정에서 이들은 권력을 공동으로 행사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권력분립의 원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즉 독립된 기관이 권력을 분점하는 원리(separated institutions sharing powers)로 파악하는 것이다. 오늘날 대통령과 의회의 관계는 그들이 참여하는 통치과정만을 고려한다면 구별할 수 없으며, 그들이 행하는 역할을 들여다보아야 확실한 기준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대통령은 국가원수 및 행정수반으로서 정책을 제안하고 추진하는 지도력(leadership)에 있고, 의회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이를 감시하고 승인·거부 또는 수정하는 통제(control) 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의회는 각 지역에서 선출되므로 지역적 이익(다양성)을 대표하는데 반해, 대통령은 전국적으로 선출되므로 전국적 이익(통합)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의회와 대통령간의 권력분립은 한편으로는 정치적 분립(political separation)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은 중요한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 국가의 지도력을 배타적으로 행사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 그 효율성을 위해 협동(coordination)을 필요로 한다. 결국 이들은 입법, 집행과 대표에 관한 공동책임을 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통령의 주요공직자에 대한 임명권도 마찬가지다. 그동안 공직에 대한 임명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나, 미국 헌법제정자들의 인식처럼 결합된 권한(United Power)이라는 이해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 따라서 대통령의 임명권은 지명(nomination), 동의(consent), 임명(appointment)으로 구분되는 것이고, 지명, 동의, 임명은 하나의 결합된 권한의 구성이다. 결국 선출직이 아닌 주요공직자에 대한 인사는 대통령과 의회의 공동책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s accompanied by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in terms of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along with the negative aspects of power, restriction and balance of power, along with the positive aspects of the pursuit of efficiency. Although these protons are in conflict with sex, they need to balance or balance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governing. Therefore, it is precisely why Montesquieu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contestation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the event of a strict separation of powers. And while national institutions are independent, they are a new approach to the separation of powers in the process of sharing power as a joint exercise. This means that the independent entity is determined to establish a power source. Toda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ident and Congress that they can participation process can only do can not, they should look into the role of a certain standard. Can be found. The president is proposing, as the chief executive and head of state policies and promoting leadership, Parliament s role in (leadership) is relative and refusal of approval, and to monitor it. Can do that in (control) to define or modify the control. Parliament is elected m each region and represent regional interests (diversity), while the president is elected to represent national interests (integration) as nationwide. Separation of power between Congress and president, the political separation of the one hand, means (political separation). However, they should not attempt to exercise their national leadership exclusively in determining important policies, and they need cooperation for their efficiency. After all, they are forced to take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legislation, enforcement and delegation. President appoint for a major public officials, as well. The office was dominant, but the president s authority to appoint a sole discretion of awareness, the United States of the Founding Fathers recognized as binding authority, called (united power).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Therefore, the president s authority to appoint a nominee (nomination), separated by agreement (consent), (appointment) the appointment, and configuration of the names of places, one combined rights agreement, appointment has. After all, not major elected officials about the figures are jointly responsible for the president and Congress take place.

      • KCI등재

        개정 상법상 이사회와 집행임원간의 권한 분배

        심인숙(In Sook Shim) 중앙법학회 2013 中央法學 Vol.15 No.4

        The Korean Commercial Code(the “KCC”) has introduced the “executive officer system”(the “System”) into the governance structure of a chusikheusa (the “a corporation”) through the amendments thereto effective beginning April 15, 2012. It has been anticipated that the System would resolve the legal problems and uncertainties involving the so called “non-registered officers” that in practice a number of corporations have employ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late 1990`s when listed corporations began to be obliged to elect certain number of independent directors. While few corporations actually adopted the System yet, recently Korean government suggested a legislative proposal for public discussion to turn the System into a mandatory regime with respect to a corporation having an audit committee within its board of directors(including large listed corporations).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ze the way in which the KCC separates power between the board of directors(BOD) and executive officer(s) and to verify whether it successfully serves the legislative aims on the System. Part II of this article goes through the scope of the powers of the BOD of a corporation not having an executive officer and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of power between the BOD and a representative director(including other officers), in order to compare such scheme with that of a corporation having an executive officer(s). Part III of this article first analyzes the framework of the KCC provisions regarding the management power under the System. Secondly it examines scope of the powers of the BOD of a corporation having an executive officer(s) and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of power between the BOD and its chief executive officer. Then the author focuses on the powers of executive officers under the System, consisting of the execution power and decision-making power. She points out that there still exist uncertainties involv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KCC provisions, among others, with respect to the exclusivity of the execution power of the executive officers and the permissible scope of the delegation of decision-making power by the BOD. Finally she emphasizes that the KCC needs further refinements not only to lift those uncertainties but also to enlarge the permissible scope of the delegation of decision-making power by the BOD. She suggests concrete guidelines for such refinements and specifically enumerates the kind of powers to be resorted. Based upon the foregoing analysis, Part IV concludes that the separation of power issue needs reconsideration so that the System works as anticipated, and summarizes the specific proposals for further amendments to the KCC regarding this issue.

      • KCI등재

        현대국가의 권력분립 -예산의 수립과 통제를 중심으로-

        황도수 ( Hwang Do-ss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5

        권력분립주의에 관한 종래의 논의는 `근대 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대국가의 현실은 권력분립주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오늘날 견제와 균형을 이루어야 할 이해관계는 군주권력과 시민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가진 자와 못가진자 사이, 즉 국민들 상호간의 이해관계이다. 국민들 상호 간에 이해관계의 대립은 의회와 정부의 대립관계보다는, 오히려 정당의 대립, 여당과 야당의 대립관계를 통하여 더욱 잘 반영된다. 오늘날 권력분립주의는 정부와 의회의 여당을 한 축으로 하는 국민들의 이해관계와 의회의 야당을 한 축으로 하는 국민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견제시키고 균형을 갖추어 갈 것인가에 대한 조직적인 해답이라고 보아야 한다. 입법, 행정, 사법을 구분하는 삼권분립이론은 종래 군주로부터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자유주의적 조직원리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삼권분립이론은 법치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국민들이 사법권 행사를 매개로 국가기관을 견제 균형하는 이론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권력분립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예산의 성립 및 통제에 있어서의 권력분립 형태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예산의 성립에 관하여는 두 가지 쟁점이 제기된다. 첫째는 의회의 야당이 정부와 의회의 여당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견제할 것인가에 대한 국가조직적인 문제이고, 둘째는 정당권력자들의 국회의원에 대한 지배문제로 인하여 여당과 야당의 권력분립이 왜곡될 것을 우려하여, 국회의원과 정당 사이의 합리적인 권력분립적 견제균형 관계이다. 예산의 통제에 관하여는, 국민들이 예산에 대한 재판제도를 통하여 예산에 대한 국가권력에 통제에 참여한다는 의미에서의 삼권분립이론에 입각하여, 예산에 대한 사법적 통제가 완비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Traditional understandings about separation of power is usually based on the viewpoint of modern liberalism. The reality of contemporary states need new perspectives to check and balance of powers. Conflicts have been not any more between kings and citizens, but between capitalists and laborers. These conflicts can be reflected more correctly not with check and balance between parliaments and administrative government, but between ruling parties and opposite parties. Today`s discussion about separation of powers should be focused on how the opposite parties can check and balance the ruling parties and their administrative governments. Separation of three powers, legislative power, administrative power and judiciary power has been regarded as the organization principle for liberalism. But it should be thought as the realization of `Rule of Law`, which need separation of legislation, execution and judiciary. From this viewpoint, we can get the idea that people themselves participate in separation of powers through judiciary system. These new perspective about separation of powers gives us new viewpoint to separation of powers in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national budgets. We should focus more on the opposite parties`s powers than just legislatures themselves`. Also we should not neglect protection of parliament`s members from the powerful of parties. Of course, people`s right of access to court should be guaranteed in order to control national budgets.

      • KCI등재

        독일주지사협의회를 통해 본 지방자치법 제165조의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홍선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외법논집 Vol.40 No.4

        Separation of powers is a political doctrine urging three separate branches of government to prevent the abuse of power abd to check each other in the scope of Constitution. In other words this separation of power is essential to ensure the constitutional value, fundamental rights by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However, due to the rapid change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circumstances, it is questionable that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s to be concerned with only the vertical separation of power. In particular, we are able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placing emphasis on the relation with inter-institutional relations. This is to be called the horizontal separation of power. The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consists of governors of metropolitan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the country. It was established in Jan. 1999 based on Article 165 of Local government law. The GAOK aims to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s and the goal of appropriate local autonomy through promotion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administrative units and discussion about matters of common interests. Prime Minister Conference have been organized and are being operated in German as well similar to us, especiall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lan the cooperation and the problem solution as the mutually equal partn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Constitutional law and Local government law give a guarantee of the power of autonomous legislation of local governments, but the possibility of autonomous legislation of local government are confined to narrow limits. Under the Article 165 of the Local government law, the local government can submit the opinion for the laws and regulations directly effecting on the local self-government to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our country, the particip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is guarantee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by regulating that the Local Government can submit its opinion to the National Assembly in case the legislation, the revision or abrogation of law in relation to the local self-government. However, the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is considerably restrictive since the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 law is limited to simple submission of opinion and the reflection or not has no legal binding force. In order to settle these problems, the revision of Local government law of Article 165 is needed. This study introduces the major contents of law of German that our country does not have, is proposing the part capable of introducing to our country after analyzing its merit and demerit. 국가권력을 전통적인 3권 분립에 입각해 입법, 행정, 사법으로 나누고 상호간의 견제와 균형을통한 권력 남용을 방지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던 종래의 권력분립체제는 오늘날 급격한사회구조의 변화 등으로 그 기능이 많이 퇴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방자치는 종래의전통적인 형식적이고 수평적 권력분립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분권을 통한수직적 권력분립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지시에 예속되지 않는 강력하고 안정적인 지방자치단체의 존재가 전제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그 권한에 있어서 중앙정부에 비해상당히 열세라고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현 수준에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소통은 그 중요성을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소통을 돕기 위한 수단중의 하나로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장들로 구성된 협의체로서 전국시도지사협의회가 지역사회의 균형발전과 건전한 지방자치 육성을 목적으로 지난 1999년 1월 지방자치법 제165조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시도지사 협의회는 그 권한에 있어서 중앙정부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대단히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실질적인 권한도 주어지지 않고 있다. 독일의 경우 이에 참고할만한 단체로 주지사협의회(MPK)가 존재하고 있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나 독일주지사 협의회의 본질적인 목적은 지방자치단체나 주의 이익을 중앙정부에 대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지방분권을 실현하고 지방자치를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앙정부의 업무 과부과로 인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국민들의 생활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활동은 결국 입법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함이 법치행정의 본질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협의체의 활동은 입법 활동의 참여로 귀결되어야 한다. 실제로 독일 주지사협의회의 경우 연방참사원을 통해 주의 이해관계가 달린 입법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전국시도지사협의회의 경우 입법활동에의 참여 가능성이너무나 미약하고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독일의 주지사협의회(MPK)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대안이 제기될 수 있다. 현재 지방자치법 제165조 제1항에 따라 법정임의단체로 되어 있는 전국시도지사협의회를 법정단체로 승격하여 그 위상을 강화하고 지방자치법에 적어도 대통령이나 총리 혹은 행정안정부장관이 1년에 1회 이상의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의 참석을 강제하는 규정이나 아니면 정부안의 경우 헌법 제89조에 의해 국무회의 심의사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의장의 국무회의배석을 가능하게 하는 규정을 두는 것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지방재정법, 지방세법,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등의 경우 국무회의에서 같이 심의할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아예 지방자치단체 협의체에게 이와 관련된 법률안 제출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