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KCI등재

        초기 성인기의 자기대상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방어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매개효과

        김선영,최수미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人間理解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efensiv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This study sampled 652 male and female adult. defensive narcissism has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Internalized shame has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Defensiv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show a doubl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This study confirmed that negative emotions that cause adults to experience fear of intimacy are psychological responses resulting from defensiv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Finall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사람들의 자기대상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방어적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국 초기 성인기 사람들 652명중 여자 340명(52%), 남자 312명(48%)을 설문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대상경험은 방어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친밀감에 대한두려움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의 관계에서 방어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방어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 삶 찾기 과정에서 자기대상으로서 멘토와의 관계 경험의 의미

        윤연정(Yoon Yeo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원인으로 학교를 중단하고 고군분투하며 자기 삶을 찾아가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자기대상으로서 멘토와의 관계 경험이 주는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시에 있는 청소년지원센터에서 1년에서 3년간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17년 3월부터 9월까지 멘토링을 통해 만난 멘토와의 관계에서의 경험, 그것이 자기대상으로서 삶에 미친 변화 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주제, 11개의 구성 의미가 도출되었다.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한 자기대상으로서 멘토와의 관계 경험의 의미는 ‘다른 어른과의 만남’, ‘자발성과 희망을 이끌어줌’, ‘심리적 안정감과 소속감이 충족 됨’, ‘삶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됨’, ‘진로탐색의 기회와 자신감을 갖게 됨’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들을 만나는 멘토의 자질과 역할, 현장 적용을 위한 제도개선과 현장실무자들의 역량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lational experiences with mentor as a self-object during searching for his life of out-of-school youths. For this, 6 of out-of-school youths who had 1-3years mentoring program were interviewed from youth supporting center, A city during from March to September. 2017.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about mainly relational experiences with mentor and changes in his life through the mentoring.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and analyzed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meaning of relational experiences with the mentor were identified as 11 meanings and 5 themes. The 5 themes consisted of ‘meeting with a different adult’, ‘guidance to self-motivation and hop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nse of belonging’, ‘havi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is life’, ‘having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and confidence’. Therefore, I suggested that mentor’s roles and competencies as a self-object of the out-of-school youths, empowerment of practitioners, and improvement of a youth welfare system.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의 인과적 관계 탐색: 제품 유형의 조절적 역할

        이병관,윤태웅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knowledge constructs including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product experi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how objective knowledge, product experience, self confidence, frame of reference, and product involvement are related to subjective knowledge across different product types (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s) using structural equationanl model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s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knowledge, frame of reference and product involvement on subjective knowledge vary depending upon the type of products while the effects of product experience and self-confidence are invariant across product types. In addition, the impacts of product involvement on objective knowledge and product experience are invariant across product types, while product experience varies its influence on objective knowledge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constructs and their role in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본 연구는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을 포함한 제품 지식 개념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품 유형 (실용재와 쾌락재)에 따라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 자기 확신감, 참조준거, 제품 관여가 주관적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집단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제품 경험과 자기 확신감이 주관적 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두 제품 유형에서 동일하였으나 객관적 지식, 참조준거, 제품 관여가 주관적 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두 제품 유형에서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 관여가 객관적 지식과 제품 경험에 미치는 효과는 제품 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하였으나 제품 경험과 객관적 지식간의 관계는 두 제품 유형에서 서로 달랐다. 제품 지식 개념들간의 관계와 이것이 소비자 정보 처리에 미치는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기초상의 미적 형상성 연구

        박윤우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3 No.-

        시문학은 대상에 대한 주체의 개인적 인상과 인식을 직접 표현하는 대표적인 문학장르에 해당한다. 특히 현대시의 경우 단순한 주체의 감정 표출의 형식을 지양하고 대상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 의미 탐구를 추구하는 주지적 성향이 강화되어 온 바, ‘아름다움’이라는 관념에 대한 인식과 그 표현 역시 낭만적인 대상의 예찬이나 주관적 감정이입으로부터 벗어나 대상의 미적 형상화나 그 의미에 대한 탐구로 심화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현대시에 나타난 자기초상에 대한 표현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시적 주체의 자기인식 및 미에 대한 객관적 인식은 결코 단순한 대상이 지닌 아름다움에 대한 예찬이나 감정이입의 방식을 통한 낭만적 주체의 관념 표출에 국한되지 않는 미적 인식과 형상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무엇보다 ‘거울’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 자기반영적 의식의 소산이며, 그를 통한 현실적 자아에 대한 객관적 성찰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다. 이것은 현대시인들이 자기초상을 시적 소재로 함으로써 현실화된, 이상의 시로부터 비롯되어 윤동주의 ‘청동거울’과 ‘우물’의 이미지로 심화되어 나타난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관념적인 자아인식은 서정주 시의 경우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역사적인 맥락을 포괄하는 한편, 노천명의 시에서는 보다 일상화된 생활의식으로 변화됨으로써 아름다움에 대한 관념이 하나의 문화의식으로 자리잡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Poetry is a representative genre which expresses personal impression and recognition of the subject encountering objects. Especially for modern poetry is strengthened to enhence simple expression of subjective emotion and explore the objective meaning of external features, it showed a important change of the thought and expression of beauty. The self-recogni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ng self-portrait in modern poetry reveals the objective self-reflection in reality rather than subjective praise of materials or romantic expression of thought. It deriv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mirror’ and self-reflective consiciousness.. This can be realized in making the poet's self-portrait to be a poeticl material. Several poems of Lee Sang and Yoon Dong-joo showed mirror image for self-reflection. And also in Seo Jeong-joo's poems this self-recognition included socio-historical context beyond personal dimension, and also in Ro Cheon-myung's poems it showed more routine life-consciousness that provide the thought of beauty to be a momentum of cultural consciousness.

      • KCI등재

        자기애적 취약성과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의 문학치료 사례에 대한 정신역동적 이해 : 서사로의 전이를 중심으로

        조은상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4 현대정신분석 Vol.26 No.2

        이 연구는 정신분석의 주요 개념인 ‘전이’가 문학치료에서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며 내담자의 치유적 변화를 이끌어내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애적 취약성과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 내담자의 문학치료 사례를 정신역동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치료 상담과정에서의 일어나는 전이 현상에 주목하였다. 문학치료는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가 문학텍스트를 읽고 허구서사를 구성하며 상담자와 대화를 나누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위 사례에서 내담자는 문학텍스트를 읽고 창작한 허구서사에서 자기대상 전이를 드러내었다. 내담자가 과거에 경험한 비공감적인 환경을 그가 창작하는 허구서사에 전이하여 창조하였다. 이것은 자기심리학에서 보는 바와 같이 퇴행을 통해 상실된 관계 경험을 회복하려는 시도이며 변화를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허구서사 창작을 반복하면서 내담자의 허구서사의 세계가 그가 원하는 교정적 정서 경험을 제공하는 세계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통해 확인된다. 문학치료의 문학텍스트 읽기와 허구서사 창작은 상담자와 함께 내담자의 자기대상 전이와 공감적 자기대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전이 공간으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ransference’, the main concept of psychoanalysis, occurs in the literary therapy and leads to healing changes in a client. To this end, I study the case of literary therapy of a female client with narcissistic vulner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terms of psychodynamic understanding and pays attention to the transference phenomenon that arises in the course of literary therapy counseling. Literary therapy proceeds as a process in which a client reads out a literary text, composes a fictional narrative, and has a conversation with a counselor in the counseling scene. In the above case, the client revealed the self-object transference in the fictional narrative she had created after reading out the literary text. The non-emotional environment experienced by the client in the past was created by transferring it to the fictional narrative she had rewritten. As seen in self-psychology, this is an attempt to recover the relationship experience lost through regression, and can be seen as an effort for change. This is confirmed through the fact that while repeating the creation of fictional narratives, the world of the client’s fictional narrative is changing into a world that provides the corrective experience she wants. It can be seen that reading out literary texts and creating fictional narratives act as a transference space that enables the client’s self-object transference and empathetic self-object experience with the counselor.

      • 한의 종교적 변형과 자기심리학

        오화철 ( Oh Wha Chul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글은 한국인의 억눌린 감정으로 볼 수 있는 한에 대해서 자기심리학적 접근과 종교적 이해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한국인의 한이 억압된 감정이라고 한다면, 억압되고 분열된 감정으로서의 한이 오히려 회복을 위한 출발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본 글은 설명한다. 자기심리학적 이해에서 본다면, 한 개인이 자신의 본능적인 자기애적 에너지를 취약한 자기구조를 회복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으며, 자기애적 에너지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취약한 자기구조가 회복될 때 치유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많은 한국인들이 오랜세월 한의 감정으로 고통받았고, 자기자신에 대한 혼돈스런 이미지로 인해서 적절한 사랑과 돌봄을 받지 못했다고 본다면, 그 이유는 바로 한의 감정이 선순환적으로 사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심리학적 입장에서 한국인이 더욱 튼실한 자기구조를 통해서 건강한 자기대상경험을 하게 된다면, 한의 감정이 초월적으로 변형되어서 더욱 건강한 자기구조를 형성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han (an oppressed feeling in Korea) through spiritual approaches including self psychology. Han is an oppressive feeling in Korean society. This han, caused by splitting, can be a place for the beginning of healing. One can invest one’s instinctual energy in the right place in the feeble self, according to one’s deepest needs there, in that spot of fragility. Many Koreans have been suffering from a deceptive self-image and do not feel deserving of love or care because of the vicious han-ridden circle. If Koreans can attain healthy self-object experiences, they will no longer feel fragility in themselves.

      • KCI등재

        소년원내 비자살적 자해 실태 및 영향 요인 연구

        조영오,이장규,손혜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4 형사정책연구 Vol.1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내 비자살적 자해의 특성(발생빈도, 자해방법, 자해동기)과 자해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소년원에 수용중인 460명의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소년 중 56명(12.2%)이소년원내에서 자해를 시도하였으며, 이들은 주로 개인내적인 동기(예: 나쁜 기분들을 멈추기위해, 고통스럽더라도 무엇인가를 느끼기 위해,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스스로를 처벌하기위해)로 자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원생들은 주로 볼펜이나 다른 물건을 사용하여피부에 상처를 내거나, 칼로 손목이나 팔 등 신체를 긋거나, 상처나 피가 날 정도로 몸을 심하게할퀴는 등의 자해행동을 하였다. 교차분석과 t검정 결과에 의하면, 여자가 남자보다, 7호 처분을 받은 소년이 9호나 10호 처분을 받은 소년보다, 어린 시절 학대경험이 있는 소년이 경험이없는 소년보다 비자살적 자해비율이 높았으며, 비자살적 자해경험이 있는 소년은 경험이 없는소년에 비해 교육수준은 낮고, 분노, 우울, 불안 및 자해신념은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의하면,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처분종류, 우울, 불안, 자해신념만이 비자살적 자해에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Open-Source Intelligence, Korean Police, Publicly Available Online Personal Information,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KCI등재

        브래들리 철학과 엘리엇의 몰개성시론

        정경심 한국T.S.엘리엇학회 2007 T.S. 엘리엇 연구 Vol.17 No.1

        Since the publication of Eliot’s doctoral thesis on F.H. Bradley in 1964―written between 1913 and 1916―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poetic theory in Eliot has been questioned. Philosophy and poetics working simultaneously on the same mind inescapably influenced each other, of which. Eliot’s Bradley thesis is evidence, giving many examples taken from his experience as an artwork recipient-creator. Philosophy was an inherent part of Eliot’s impersonality theory from the beginning,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Eliot’s poetic theory. The three most principal ideas of philosophy are Bradley’s doctrine of “immediate experience,” “point of view,” and Eliot’s own concept of “half-object.” The first two were evolved into the literary ideas of “dissociation of sensibility,” “objective correlative,” and “point of view.” The last, an extension of the first two, is Eliot’s definition of art as an experience, which transmigrates from one viewpoint to another. The “Absolute” is the ultimate issue philosophy has to face. Bradley accepted it as an experience that exists beyond relations in our dissociated world. Eliot obviously and irresistibly yearned for the “Absolute,” which was all too apparent in his poetry. But he could not logically endorse it in the thesis. His empirical side at this stage kept him highly skeptical of anything beyond relations until his religious conversion in 1926. Instead, he decided to halt at the frontier of metaphysics and turn to poetry, because for Eliot “emphasis upon practice” is what justifies and “impels us toward the “Absolute.” Eliot’s yearning for the “Absolute” lies behind his turning from philosopher to critic-poe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