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비만관리 행동에 있어 자아개념과 주관적 규범의 영향 및 자기통제감의 조절변수적 영향

        정형식,김영심 한국마케팅학회 2006 ASIA MARKETING JOURNAL Vol.8 No.3

        It is frequently observed that consumers' behavior and performance in their weight control are greatly affected by the degree of self-control by the consumers themselves. In other words, effective weight control behavior is only possible when the consumers invest a substantial amount of endeavors and self-control.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elf-image congruence and subjective norm formed by self- concept reflected in weight control behavior on weight control attitude formation, actual behavior, and performance. For more in-depth research, rather than simply showing differences in performance based on self-control, the present study divided the subjects into high and low self-control groups for a comparative purpose.Based on empirical research employing general consumers and those who were engaged in an actual weight loss program at professional weight control centers as subject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or both high and low self-control groups, self-image congruence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but not the actual weight control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weight control, the actual behavior must be preceded by the attitude. Second, subjective norm directly affected both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and behavior for the low self-control group while it affected the behavior only for the high self-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lower self-control is, the more powerful the effect of referents is. Third, weight control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weight control behavior only for the high self-control * Professor, Division of Business, Chosun University 소비자의 비만관리 행동 및 성과는 소비자 자신의 통제정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실제 비만관리 성과는 소비자 자신이 상당한 정도의 자기 노력과 통제를 투입해야만 달성된다. 본 연구는 자기통제감에 따른 단순한 성과의 차이만을 보기보다는 자기통제감을 고․저집단으로 분류하여 비만관리 행동상의 자아개념을 통한 자아이미지 일치감 및 주관적 규범이 비만관리의 태도형성과 행동 및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일반소비자와 실제 전문적인 비만관리 시설에서 비만관리를 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첫째, 자기통제감 고․저집단 모두에서 자아이미지 일치감은 비만관리의 태도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만관리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의 비만관리 행동은 태도를 형성하지 않고는 직접적으로 행동을 이끌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통제감 저집단에서는 주관적 규범이 비만관리의 태도 및 비만관리 행동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통제감 고집단은 주관적 규범이 비만관리 행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통제감이 낮을수록 가까운 준거인들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자기통제감 고집단만이 비만관리의 태도가 비만관리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통제감 고․저집단 모두에서 비만관리 행동이 비만관리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자기통제감 고집단이 저집단보다 더 큰 영향력을 나타내 소비자의 비만관리 행동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통제감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자기통제감 저집단은 준거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친 영향

        노혜영,박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on the students’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The participants were 86 students in 4 inclusive classes, in which sixth grad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cluded. Among them, two classes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which was delivered by their classroom teachers, but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unity security education or the book reading program. The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is consisted of six elements of self-regulation area: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academic performance regulation, emotion and affect monitoring, social norm confirmation, social relationship regul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The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through 16 sessions during a semester.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for the self-control and the ANCOVA for peer supports, the paired group t-test for the class particip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f self-control were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mong the three sub elements of self-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mixed element of self-control and impulsi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higher scores in self-control and all three sub elements of self-contro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eer support than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pport for problem solving,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classroom activities, and community spiri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participation scor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su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can create positive effects on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그 중재가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지역 3개 초등학교의 6학년 통합학급 중 지적장애 학생이 통합된 4개 학급 학생 총 86명이다. 2개 실험학급은 한 학기 동안 각 담임교사가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실행하는 총 16회기의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며, 자기통제력 변인은 두 독립표본 t검정, 또래지원 변인은 공분산분석(ANCOVA), 수업참여도 변인은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하위요인 중 복합요인에서, 또래지원의 총점과 세 가지 하위요인(문제해결지원, 교실활동 참여지원, 공동체 의식)에서 실험 및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수업참여도 사전-사후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중학교에서 자기조절이 필요한 상황을 활용하여 초등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통합학급의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증진하고, 또래지원의 수준을 높이고, 수업참여도를 개선하는 긍정적인 성과를 산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미친 긍정적 효과는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현 시점에 통합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보편적 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초등 6학년 학생들의 중학교 생활을 미리 준비하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도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이 제시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이순희 ( Lee Soonhee ),허만세 ( Hoe Maans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에 거주하는 중학교 1,2,3학년 학생 중 임의표집을 통해 60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중 51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의 상하집단 간 자해행동의 차이는 자기통제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자해행동이 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는 자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 상호작용항도 유의하여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은 자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우울과 자기통제력의 상호작용항도 자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을수록 자해행동이 증가하지만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자해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자해 행동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에 대해 자기통제력을 개입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실천적 의의가 있다. 또한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effects of adolescents’ stress and depression on self-harm behavior. 600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1st, 2nd, and 3rd graders living in Daegu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5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was verified by using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self-harm behavi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self-control, the group with low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ly higher self-harm behavior than the group with higher self-control.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harm behavior. Also,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stress and self-control power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self-control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Lastly,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depression was a variable influencing self-injury behavior, a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depression and self-control had also a significant impact on self-injury behavior. It was identified that self-control had an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harm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dolescents’ stress and depression, the higher self-harm behavior increase, but the self-harm behavior can be alleviated by improving self-control power. This study is pract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elf-control could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chanism for adolescents experiencing self-harm behavior in the environment in which adolescents go through stress and depression. The limitations and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 반응,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 역할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 반응,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Yoo Dongkeun(유동근),Jong Koo Lim(임종구),Ji hoon Lim(임지훈) 한국마케팅과학회 2007 마케팅과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영업사원의 통제유형(긍정적/부정적 결과통제, 긍정적/부정적 행동통제)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결과/행동관련 역할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도입하여 이들 연구단위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제약업계 영업사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이 역할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부정적 결과통제는 모두 결과관련 역할명확성에 正(+)의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행동통제도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적 행동통제는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항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 결과통제는 자기효능감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긍정적 행동통제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결과통제와 부정적 행동통제는 각각 결과관련 역할명확성과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의 매개를 통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명확성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결과관련 역할명확성과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은 모두 자기효능감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은 직무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과관련 역할명확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항을 조사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걸과의 요약,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alespeople act at the point of MOT with customers and deliver the enterprise’s message to the customers. They build up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s well as deliver the customer"s message to the enterprise. The salespeople’s activity at the point of MOT with the customer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needs will affect the customers" attitude toward the enterprise, brand loyalty, and retention intention. Ultimately, it will influence the enterprise"s financial performance. The control of salespelople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topics of marketing.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of the control types over salespeople(positive/negative outcome control, positive/negative behavior control) and job satisfaction and their mediating variables. The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s have been identified as outcome/behavior-related role clarity and self-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ore specifically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how the perception of salespeople control types affect role-clarity. Second, it examines how the perception of salespeople control types influence self-efficacy. Third, it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role-clarity between the perception of salespeople control types and self-efficacy. Fourth, it investigates how role-clarity affec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it will investigates how self-efficacy influences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harmaceutical industry salespeople and analyzed by SPSS 12.0 and AMOS 6.0. The data were collected by 400 respondents and 377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ositive/negative outcome control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utcome-related role clarity. Also positive behavior 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related role clarity, but negative behavior control didn’t influence behavior-related role clarity. Second, positive outcome control influenced self-efficacy positively, but positive behavior control id’t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addition negative outcome control and negative behavior 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due to the mediating role of outcome-related and behavior-related role clarity. Third, outcome-related role clarity and behavior-related role clarity influenced self-efficacy positively. Behavior-related role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outcome-related role clarity didn"t influence job satisfaction. Finally, self-efficacy didn"t have any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isting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alespeoples" control type and performance, bu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salespeoples" control types, responses, and performances. Second, this study found the mediating role of outcome-related/behavior-related role-clarity between outcome/behavior control and self-efficacy.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insight to existing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The confidence of salespeoples’ task influenced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n existing articles, field studi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there can be a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alespeoples’ business. That is, the business environment may not be satisfying, even if the salespeople say that they have ability and confidence about their business. This means that able salespeople who have ability and confidence about their busines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advancement in the company. Therefore, enterprise need to provide trai

      • KCI등재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이 자기통제(self-control)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익현,이진석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Self-control refer to restraining behavior that interferes with individuals from achieving their long-term goals. Individuals have different self-control 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ind set of individuals with high self-control ability in the context of self-control dilemma, especially focusing on mental simulation (Outcome-focused vs. Process-focused). We predicted that in self-control dilemma, individuals with high self-control might more likely utilize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for self-control than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and activated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might be more effective on self-control than activated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In addition, we predicted anticipated regret might mediate the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n self-control. To test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3 experiments.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self-control level and types of mental simulation to utilize in self-control dilemma. Results showed that high self-control individuals used more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than Process-focused. In Experiment 2 and 3, we examined the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n self-control with between subject design(mental simulation: Outcome vs. Process focused). We manipulated participants’ mental simulation type in Experiment 2 with unrelated task with self-control dilemma and in Experiment 3 with related task. As we predicted, individuals activating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did better self-control than Process-focused. and we fou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anticipated regret. 자아통제는 자신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방해되는 행동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에 따라 지니고 있는 자아통제 역량은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제 상황에서 자아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의 활용하는 생각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생각하는 방법으로 결과중심과 과정중심으로 구분되는 심적 시뮬레이션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제 상황에서 자아통제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과정중심 심적 시뮬레이션보다 결과중심 심적 시뮬레이션을 더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자아통제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결과중심 심적 시뮬레이션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과정중심 심적 시뮬레이션을 활성화 시키는 것보다 자아통제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심적 시뮬레이션이 자아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예상된 후회가 매개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3번의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개인의 자아통제력과 자아통제 상황에서 활용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개인의 자아통제력을 측정하고 자아통제 상황에서 활용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통제력이 높을수록 결과중심 심적 시뮬레이션을 과정중심 심적 시뮬레이션보다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와 3에서는 조작에 의해 활성화된 심적 시뮬레이션이 자아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2(심적 시뮬레이션 유형: 결과중심 vs. 과정중심)의 집단 간 실험설계 하였다. 실험 2에서는 자아통제 상황과 관련 없는 과업을 통해 참가자의 심적 시뮬레이션을 조작하였고, 실험 3에서는 자아통제 상황과 연결하여 참가자의 심적 시뮬레이션을 조작하였다. 연구 결과, 결과중심 심적 시뮬레이션 집단이 과정중심 심적 시뮬레이션 집단보다 자아통제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상된 후회가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목표 갈등의 해결 과정으로서 자기통제

        신수경,민윤기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2

        지금까지 자기통제 영역의 연구들은 대부분 자기통제 발휘 여부를 간접적인 방식으로 측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점화 과제라는 인지 과제로 자기통제 발휘 여부를 직접적으로 측정한 자기통제 이론들을 다중 목표 관계의 관점에서 개관하였다. 먼저 세 가지 자기 통제 이론들, 즉 자기 조절력 모형, 역작용적 통제 이론, 그리고 목표 갈등 이론들을 중심으로 자기통제의 정의와 의의, 자기통제 성공과 실패의 의미, 성공적 및 비성공적인 자기통제자의 특성, 자기통제의 과정, 자기통제 발휘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비교하였다. 이들 세 이론을 바탕으로, 본 개관에서는 자기통제를 목표 갈등(양가감정)을 해결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자기통제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인 유혹과 목표 갈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자기통제 과정이 사람의 유전적 배경, 과거 경험과 학습,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역동적 과정임을 강조하고, 자기통제를 발휘하는 개인차와 개인의 특성, 조절변인들이 자기통제의 성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끝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Until now, most researches in self-control area have measured indirectly the exertion of self-contr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ltiple goal-relation, we reviewed three self-control theories, such as self-regulatory strength model, counteractive control theory, goal conflict theory, that measured directly the exertion of self-control using the priming task among cognitive tasks. From three theories, we summarized core concepts and assumptions, including implications and definition of self-control, meaning of self-control success or failur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or unsuccessful self-controls, process of self-control, and important determinants in the self-control exertion. Based on these three self-control theories, this review, defined the self-control as the process of goal conflict resolution, suggests that very important factors are temptation (lower order goal) and goal conflict (ambivalence) in self-control process. Also we emphasized the dynamic process that the self-control would be affected by individual's genetic background, past experience and learning, and environment or context. We also discussed about individual difference in self-control exertion and possibility that the important factors in self-control success and failure process may be related by various moderators, such as goal importance, goal expectancy, and self-efficacy. Finally, we proposed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마인풀니스 및 자기통제력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유혜승,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self-control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survey, with criteria including mindfulness and self-control, was conducted at four 4-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 with 347 students. In order to support the authors thesis, the influence between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ntrolled statistically. Mindfulness and self-control (impulsiveness, simple task, pursuit for adventure, egocentrism, and anger)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academically, socially, personally, environmentally) was the dependent variable. To obtain R squar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it was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program. First of all,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c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effects of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adaptation, it was seen that students adapted better acade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as mindfulness was higher, even after the factors of self-control were later put in effec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was no noticeable effect on personal adaptation to college life even after the factors of self-control were put into effec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econdly,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adaptation to college was scrutinized, self-control still thoroughly explained the adaptation even after influence from other factors (academic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mindfulness) were statistically controlled. Thirdly, the study looked 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 and self-control on adaptation to college. For adapting academically, explanatory power of mindfulness was higher than that of self-control and for adapting socially and personally and environmentally, explanatory power of self-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mindful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mindfulness, the cognitive ability to flexibly think of and continuously search for alternative possibilities, and self-control, as the personal inner-psychological variable, together have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Lastly, the limitations and the succeeding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변인으로 마인풀니스(mindfulness)와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충청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4개 학교 347명의 대학생들에게 개인관점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적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 마인풀니스와 자기통제력(충동성, 단순과제, 모험추구, 신체활동, 자기중심, 화기질)을 독립변인으로,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을 종속변인으로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설명력과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인풀니스와 대학생활적응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 학업성적에 대한 효과를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 추가적으로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후에도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는 마인풀니스가 높을수록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정서적응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자기통제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는 학과만족도, 학업성적, 마인풀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대하여 갖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에도 자기통제력은 대학생활적응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풀니스와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학업적응에서는 마인풀니스의 설명력이 자기통제력의 설명력보다 높았고,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설명력이 마인풀니스의 설명력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융통성있게 대안적인 가능성을 생각하며 끊임없이 탐색해가는 인지적 능력인 마인풀니스가 개인의 심리내적인 변인으로서 자기통제력과 함께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저 동기수준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자기통제 피드백의 새로운 제안

        김로빈(Ro Bin Kim),이한우(Han Woo Le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 of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The test subjects were 40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ho had no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 subjects constituted a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and a general self-control feedback group(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The task used in this research was aerial pass for accuracy which is one of the soccer skill tests for Crews(1968). On the first day, subjects were given pilot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ss skill between two groups(transformed and general group) after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ilot tests. The data analysis of acquisition phase and retention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2(self-control form)×2(feedback group)×5(block) or 2(self-control form)×2(feedback group)×2(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ached by analysing the test data. (a) transformed self-control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general self-control groups at acquisition phase. (b) according to retention phase` interaction of self-control form×feedback, self control feedback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yoked group at transform condition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at general condition. conclusively,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 performed the best on the soccer pass skill task.

      • KCI등재

        한국지방자치법제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에 관한 연구

        최철호(Choi, Chol-Ho)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3

        지방자치제도상의 자기통제를 지방의회의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통제, 지방자치단체의 자체감사라는 측면에서 논의를 하여 자기통제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지방자치법 제에서의 자기통제란 지방자치단체가 지방공행정 업무를 적절히 수행해 나가기 위한 원칙이나 절차를 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행정기관이 그원칙에 기초해서 업무를 수행해 나가도록 감독, 감사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내부통제라고도 한다. 현재 지방자치법 등에서는 법정의 용어로서 자기통제라는 용어는 없고,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에서 내부통제라는 용어가 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공감사법 의 목적 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부 통제는 자기통제와 동일한 개념이 아니라 내부통제는 자기통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자기통제는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의결기관, 주민에 의한 통제를 포함하는 개념인데 비해서 내부통제는 자기통제 중 지방자치단체의 집행 기관 에 의한 자기통제라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독수단 내지 통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의 이념에 비추어 국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자치단체의 잘못을 스스로 시정하는 자기통제 내지 내부통제가 적당하다. 그런데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 내지 내부통제를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가 철저하지 않고 통제의 전문기관이 부족하고 인력도 전문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국가의 통제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비판은 현재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의 현실에 비추어볼 때 겸허히 받아들여야 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 특히 감사와 관련하여 제주특별자치도와 서울특별시에서 독립된 지위를 가지는 감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감사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으로 하여금 내부감사를 진행하고 있는 점과 서울특별시에 설치된 시민감사옴 부즈만은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에 있어서 일보 전진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 내지 내부통제가 보다 철저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제도의 정비도 중요하지만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자치의 이념에 충실하여 스스로자기통제를 통하여 자기정화를 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 요한 것은 주민이 지방자치의 주역으로서 자기통제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항상지방자치단체의 기관들을 감시하고 견제하여야 할 것이다. We discussed the role and function of self - control by discussing the self -control in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erms of the control of the local councils in the local council and the self - audit of the local self - governing bodies. “Self-control in the Local Autonomy Law”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establish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appropriately performing local government affairs, and supervise and audit all administrative bodies of local governments to carry out their duties based on the principles It is also referred to as the internal control of local governments. At present, there is no term of self-control as the term of the court in the Local Autonomy Law , etc., and the term “internal control” is defined and used in the Public Audit Act . Internal control, as defined in the purpose clause of the Public Audit Act, is not the same as self-control, but internal control is part of self-control. In other words, self - control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control by the executive agency, the decision - making body, and the residents of the local government, whereas the internal control is the self - control by the executive agency of the local government during the self - control. Because audits on local autonomous entities can be used as supervisory or control means for local autonomous entities, it is appropriat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state in light of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to self-control or internal control to correct the mistakes of self-governing bodies . However, in criticizing the self - control or internal control of these local governments, it is said that the control of the state is needed because the self - control of the local government is not thorough, the professional agency of the control is insufficient and the workforce is not specialized. This criticism should be accepted humbly in light of the reality of the self - control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Audit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Seoul Metropolitan City in relation to the audits. The fact that the specialists with expertise in auditing are conducting internal audits and the Citizens Audit Ombudsman Can be evaluated as a step forward in the self-control of local governments.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conduct self-control or internal control more thoroughl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system, but it is important that local governments are committed to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self-controlled through self-control.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residents should always monitor and check the local authorities’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thoroughly control their self - control as a leader of local autonomy.

      • KCI등재

        자기통제력과 범죄피해간의 관계분석

        기광도(Ki, Kwang-Do) 한국피해자학회 2011 被害者學硏究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s whether self-control are related to victimization. As general theory, self-control theory can be explain both on offending and on victimization. According to self-control theory, individual with low self-control are at greater risk on victimization than those with high self-control, everything else being equal. We tries to review the theoretical issues on the victimization with self-control theory, and to analyse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victimization of children in Korea. The data that we have analysed here were obtained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Seoul in July, 2009.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9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0 and 12. In this study, we found that individual's self-control class has related to victimization, and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direct effect upon victimization, and indirect effect through criminal opportunity, such as exposure toward crime. Low self-control increase the degree of victimization. When sex and age, and family factor is controlled, self-control still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victimization. The finding reported in this paper has supported the self-control theory. And we wish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 and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victimization. From our study, it is implied that future research could be develop a more considerable model on the victimization in our society and to elaborate the measures on the major concepts and analysis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