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성명사와 합성법의 변화

        이선영 ( Lee Seon-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이 논문에서는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합성명사의 형성방식이 중세국어부터 지금까지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명사와 명사가 아무 개재하는 요소 없이 직접 결합하는 방식은 중세국어부터 지금까지 별 변화 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 방식은 가장 많은 수의 합성명사를 형성하지만 그 결과 생성된 합성명사를 구와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기도 한다. 둘째, 명사와 명사 사이에 사이시옷이 개입하는 방식은 중세국어부터 지금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사이시옷은 중세국어에서는 음운론적 기능을 하는 사잇소리와 속격 조사로서의 기능을 하는 사이시옷이 표기상 특별히 구별되지 않고 같이 쓰였다. 근대국어에서는 사이시옷이 속격조사로서의 기능이 사라지고 주로 합성어 표지로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사이시옷은 그 표기가 가능한 일부 단어에서 합성어 표지로 쓰이고 있다. 합성어 표지로서의 사이시옷은 두 구성 요소의 결합을 공고히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사이시옷으로 인하여 생성된 합성명사는 구와의 구별이 명확해진다. 셋째,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명사가 될 때 그 사이에서 절단이 일어나는 유형이다. 절단은 다시 음운의 절단과 음절의 절단으로 나누어지고, 음절의 절단은 다시 공통 음절의 절단과 비공통 음절의 절단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절단 역시 사이시옷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합성명사에서 두 구성성분의 결합을 공고히 해주는 역할을 한다. This paper is on diachronic change which occurred from middle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in word-formation of compound nouns made by combination of nouns. I examined word-formation of compound nouns in three ways. First, the way that nouns are combined directly without inserting component have continued without changes since middle Korean. The most compound nouns have been made by this way,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from phrase. Second, the way that sai-siot is inserted between nouns has had many changes from middle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Sai-siot was used for genitive case marker in middle Korean, and in modern Korean it was used mostly for compound marker with funtion-change. In contemporary Korean it is used for compound marker in some words. In contemporary Korean, sai-siot has played a role to firmly combine two components, and compound nouns made by sai-siot are distinguished from phrases. Third way is the type that clipping occurs when compound noun is made by the combination of nouns. There are clipping of phoneme and that of syllable. And clipping of syllable is divided into clipping of same syllables and that of different ones. Such clipping has a role to firmly combine two components like sai-siot. From now on we have called the word made by clipping of different syllables blends. But clipping of different syllables happened in middle Korean and the word made by that way can be classified as compound nouns.

      • KCI등재

        구성족 개념에 따른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최형용 ( Choi Hyung-yong ),김혜지 ( Kim Hye-ji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80 No.-

        본고에서는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이 주변의 환경에 이끌릴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때 주변의 환경이란 같은 요소를 공유하는 구성족을 의미하는데 본고의 목적은 바로 이 구성족이 사이시옷의 출현에 관여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대 한국어에서의 사이시옷의 실현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구성족이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양상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at the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Sai-siot are affect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eans constituent family that shares same constituent. This paper observes the appearance of constituent family being concerned with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Sai-sio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survey. Through the survey this paper figured out that constituent family including modifier family and head family affect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Sai-siot.

      • KCI등재후보

        중세국어의 사이시옷과 합성명사

        남미정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2 언어와 정보 사회 Vol.18 No.-

        Nam, Mi-jeong(2012), "Sai-siot and Compound Nouns in Middle Korean,"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18.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orpheme ``ㅅ`` (Sai-siot) that was used to make a compound noun bridging two separate nouns in Middle Korean. Sai-siot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in usage in Middle Korean: one is the genitive case with grammatical function, ``-ㅅ``, and the other is Sait-sori ``ㅅ`` that was produced in the combination of two linguistic forms. These two kinds of ``-ㅅ`` had clearly different origins, but such a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to have dissipated in the specific environment of making a compound noun during the Middle Korean stage. In the end, there are cases where the constitution of noun phrases that used ``-ㅅ`` as genitive case became independent words, and there are cases where Sait-sori ``ㅅ`` was produced in connection with ``noun+noun``. The ``ㅅ`` that is shown in compound nouns in Modern Korean should not confine its origin only to the genitive case of ``-ㅅ`` in Middle Korean; the ``ㅅ`` that is used in compound nouns in Modern Korean remains as a mixed use of both genitive case and Sait-sori in the structure of compound nouns rather than a complete succession of the genitive case of ``-ㅅ`` in Middle Korean.

      • KCI등재

        15세기 사이시옷에 대한 검토 - 비전형적 경향의 사이시옷을 중심으로 -

        김정인 한국어교육학회 2023 국어교육 Vol.- No.181

        이 글은 15세기 당시 비전형적 표기 양상의 사이시옷이 개재된 구성을 검토함으로써 사이시옷의 성격을 구명하였다. 사이시옷의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①부류는 당시 속격 ㅅ의 음가가 변화하여 이를 이표기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속격 ㅅ이 공전 적용되는 이표기 구성)와 그 개재 배경을 포착할 수 없는 경우(ㅿ류)이다. ②부류는 속격 ㅅ의 음가가 ㆆ으로 변하면서 이것이 공전적용될 때에는 표기에서 배제되는 경우(‘西ㅅ녁’류, ‘X+이표기+字’ 구성 속 이표기)이다. 둘은 그 음가가 변하였음에도 여전히 표기로 ‘ㅅ’을 택하였는지 아니면 이표기를 택하였는지의 차이만 있다. ③부류는 당시 속격 ㅅ의 음가 변화에 더하여 속격 ㅅ의 문법적 지위가 불안정한 것이 겹쳐 재분석에 의해 사잇소리가 개재된 경우(후행요소 두음 병서 표기류, ‘X쏘리’류, ‘X+ㅈ+字’ 및 ‘Xᄍᆞ’ 구성 등)와 동일 어휘장 내에서 발생한 계열적 유추에 의해 사잇소리가 개재된 경우(‘엄쏘리’ 등)로 나뉜다. 사잇소리 개재 구성은 속격 ㅅ의 음가 변화와 불안정한 문법적 지위로 인해 그 내재적 문법이 약화된 언어사용자가 속격 구성을 재분석한 결과로 자연히 이 사잇소리는 속격 ㅅ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결국 이 시기 사이시옷은 속격 ㅅ 외에도 사잇소리 또한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현대국어 사잇소리에 대한 관견 - 현대국어 화자의 사잇소리의 인식과 사잇소리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김정인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0 No.-

        본고는 현대국어 사잇소리에 대한 화자들의 인식과 사잇소리의 실현 양상을 통하여 그것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속격‘ㅅ’의 소멸 이후 사잇소리에 대한 화자들의 약화된 문법적 인식력은 사잇소리의 실현에도 사이시옷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으려는 경향으로 나타나며 이는 사잇소리가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방증한다. 사잇소리의 출현 양상 역시 규범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확인된다. 사잇소리의 실현 기준이 분명하지 않은 결과, 친숙도가 낮은 어휘에서는 사잇소리를 실현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며 화자들은 ㅅ전치성·후치성, 유추 등을 동원하여 사잇소리를 실현한다. 그 출현의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고 분포의 파악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사잇소리는 음운론이든 그 외의 분야에서든 정의하기 힘들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현대국어의 사잇소리는 고빈도의 어휘에서 살아남아 있을 뿐, 실질적으로는 쇠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contemporary Korean sait-sori (medial sound) through speakers’ perception and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sait-sori. Textbooks by traditional grammarians show that grammatical recognition was weakened after genitive‘ㅅ’ (genitive s) became extinct. Because of this, the grammarians were reluctant to write sai-siot in the same way as contemporary speakers. This tells us that sait-sori does not have any meaning or function. Therefore the standard of realiz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norms of written and spoken Korean: there are some words that do not meet the standards of the norm. As a result of equivocal realization standards, words with a low intimacy degree do not tend to realize sait-sori and speakers use other means such as siot prepositionality, siot postpositionality and analogy. As speakers can not specify the standards, the realization of sait-sori is out of regularity and it is impossible to figure out its distribution.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at sait-sori is a concept that is difficult to define in any fields, including phonology. As a result, sait-sori in contemporary Korean has merely survived in words with high frequency and is now declining.

      • KCI등재

        사이시옷 개재 명사의 형성에 관한 몇 문제 - 형성 기제와 형성 기제의 동인을 중심으로 -

        김정인 한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 Vol.0 No.165

        The mechanism of formation of “N+ㅅ+N” compounds in Middle Korean corresponds to the lexicalization of syntactic composition and the analysis of the sait-sori phenomenon, which was caused by the phonetic change of the genitive “ㅅ” in the 15th century. In Modern Korean, the genitive “ㅅ” disappeared, remaining in many words as a form of trace. Thus, the sait-sori phenomenon became a motive of analysis as the mechanism of formation of the “N+ㅅ+N” compound. The trace of the genitive “ㅅ” remained even after its disappearance, causing modern Korean speakers to carry a memory burde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ait-sori phenomenon expanded its domain of work and reproduced many “N+ㅅ+N” compounds.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Korean sai-siot became unexpected and irregular.

      • KCI등재

        15세기 국어 ‘N1+ㅅ+N2’ 구성 속 사이시옷의 정체성과 관련한 제문제

        김정인 ( Kim Jung-in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3 No.-

        본고는 15세기 국어의 ‘N1+ㅅ+N2’ 구성에 출현하는 속격의 ‘ㅅ’과 사잇소리의 두 개념으로 존재하였다면 사잇소리의 구체적인 음운론적 기능과 출현 환경, 기원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문헌에서 ‘ㅅ’ 외에 ‘ㄱ, ㄷ, ㅂ, ㅸ, ㆆ’ 등의 표기가 보이는 이유와 이들의 정체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가에 목적을 두고 기술되었다. 구 구성에서 합성어로의 변화와 맞물려 15세기 음절말 ‘ㅅ’의 외파화에서 불파화로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N2 두음의 음운 변화를 유발하는 ‘ㅅ’은 본래 속격의 문법형태소에서 비롯되었으나 음운론적 기능을 갖는 사잇소리로서 언중들에게 새로이 인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은 ‘바믈’ 등에서 출현하는 ‘ㅅ’ 역시 이미 문법형태소로는 인식되지 않았지만 그것이 출현하는 음운론적 환경을 보았을 때, 음가 실현은 불가능하나 해당 구성이 이미 합성어로 굳어진 관계로 단지 표기로만 존재했었다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편 그 당시 합성어와 구 구성을 구분하는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당대의 표기자들은 이를 ‘ㅅ’과 ‘ㄱ, ㄷ, ㅂ, ㅸ, ㆆ’ 등으로 나누어 전자는 속격의 문법형태소 ‘ㅅ’을 위한 표기로, 후자는 사잇소리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음절말 ‘ㅅ’의 불파화와 맞물려 이들 표기의 실제 발음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ㅅ’으로의 합류를 초래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는 사이시옷이 개재된 표기를 두고 해석상의 여러 혼선을 빚게 된 주요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다. In the 15<sup>th</sup> century, Sait-Sori, inherently rooted in the genitive, appeared as glottalization or nasal assimilation by unreleased ‘ㅅ’ at the end of a syllable in ‘N1+N2’ composition. Since Sait-Sori did not have anything to do with compounds and unreleasing, it is assumed that phrases and compounds coexisted even before unreleasing appeared. The change from phrases to compounds and from releasing to unreleasing made the public recognize ‘ㅅ’ which caused phonological change of initial sound of N2 as Sait-Sori that had phonological function. This aspect is deserved to be noticed because it can make an assumption- ‘ㅅ’ of ‘바□믈’ was not also recognized as the genitive but based on its phonological situation, it was just a writing without any phonetic value as it was already a compound in the 15<sup>th</sup> century- possible. At that time, some criteria distinguishing phrases and compounds made writers use ‘ㅅ’ and ‘ㄱ, ㄷ, ㅂ, ㅸ, ㆆ’ separately, or the former was written when genitive marker was necessary and the latter was for Sait-Sori. These two were not distinguished anymore because ‘ㅅ’ was unreleased at the end of a syllable. As a result, this can be figured out a main reason to cause confusion in interpreting ‘ㅅ’ in the 15<sup>th</sup> century.

      • KCI등재

        <한글 맞춤법> 제29항 해설(2018)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종희(Park Jong-hee)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한글 맞춤법> 제29항은 ‘ㄹ’말음 명사가 합성명사를 이룰 경우, 사이시옷이 개재되어 자음군 ‘ㄽ’이 발생할 때의 발음을 ‘ㄷ’으로 문자화한 규정이다. 그런데 ‘ㄷ’으로 정착된 이유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들이 제시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변이형 ‘ㄷ’이 자음군 ‘ㄽ’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고 이의 발생 과정을 OT-CC 방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입력-출력형’ 문법의 최적형인 ‘숟가락’을 포함한 여러 출력-변이형들 즉, ‘숟까락, 수까락, 숙까락’과 화자에 따른 ‘쑤깔, 쑥깔, 숟깔, 수깔’ 등에서 음소주의와 형태주의를 모두 고려한 ‘숟가락’을 표준 표기형으로 선택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숟’은 음소주의 그리고 ‘가락’은 형태주의에 입각한 표기형이다. 그러므로 <한글 맞춤법> 제29항에서 ‘ㄷ’으로 적기로 한 것은 결국 최적형을 표기에 반영하자는 취지였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최적형을 문자화한 것이 제29항 및 기존의 해설로서 이는 이희승 외(2015)의 해설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내용으로 보인다. In Korean, originally, when the noun with a stem final ‘ㄹ’ was connected with another noun in order to make a compound noun, Sai-siot ‘ㅅ’ was inserted between two nouns, producing a coda consonant cluster ‘ㄽ’. This consonant cluster ‘ㄽ’ became simplified as either ‘ㄹ’ or ‘ㅅ’. However ‘ㄷ’ has also appeared as the coda consonant in modern Korean orthography. Many explanations for the appearance of ‘ㄷ’ have been proposed. One holds that ‘ㄹ’ had diachronically changed to ‘ㄷ’ but the process of diachronical development had not yet been observed at the time of this change. Another explanation holds that ‘ㅅ’ changed to ‘ㄷ’. However, this explanation conflicts with the seventh provision which holds that, when the sound [s] was purely pronounced without any other modification, [s] would be recorded as the character ‘ㅅ’. This paper offers two other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the appearance of ‘ㄷ’. One explanation is the dissimilation on the tier of [+continuant<SUB>classic</SUB>] by the OCP within the consonant cluster ‘ㄽ’. The feature [continuant] has been assigned different phonetic definitions in order to account for different sets of data, so one explanation that accounts for both sets of data is that [continuant] has two elements. Those elements may be [continuant<SUB>mid-sagittal</SUB>], which would require unrestricted airflow in the mid-sagittal region of the oral cavity for a + value, and [continuant<SUB>classic</SUB>], which would merely require unrestricted airflow through some part of the oral cavity for a + value. A lateral consonant would be specified as [+continuant<SUB>classic</SUB>, -continuant<SUB>mid-sagittal</SUB>]. In this process, the consonant cluster ‘ㄽ’ changes to ‘ㄷㅅ’ like the intermediate form. The other process is the simplification of the consonant cluster by deleting one of the component consonants. Through these two processes, ‘ㄷ’ could have been derived from ‘ㄽ’. These two processes could replace the precedent constraint in the OT-CC.

      • KCI등재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최형용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8 No.-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whether the argument suggested consistently in Choi (2008, 2018ㄱ) on not employing ‘sai-siot’ in the case of ‘Sino-Korean + Korean native words’ is applicable to non-listed words. To achieve this goal, using the result of a survey by Choi (2018ㄴ), I tried to show the ‘sai-siot’ orthography of non-listed words, the ’sai-siot’ pronunciation of non-listed words according to ‘sai-sori’ phenomen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ratio of ‘sai-siot’ orthography with non-listed words is much lower than that of ‘sai-siot’ orthography with listed words, I discovered that the whole tendency of ‘sai-siot’ orthography in ‘Korean native words + Korean native words’, ‘Korean native words + Sino-Korean’ and ‘Sino-Korean + Korean native words’ is consistent with Choi(2008, 2018ㄱ). It is more notable that the ratio of ‘sai-siot’ orthography with non-listed words is much lower, even though there were no large differences in the ratio of ‘sai-sori’ phenomena between non-listed words and listed word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ai-siot’ regulation in Korean orthography looses its effect. Therefore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ai-siot’ regulation in Korean orthography by not employing ‘sai-siot’ as the main point should begin from the ‘Sino-Korean + Korean native words’ and gradually be expanded to other environments. 본고는 최형용(2008, 2018ㄱ)에서 일관적으로 ‘한자어+고유어’의 경우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한 주장이 미등재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형용(2018ㄴ)의 미등재어에 대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사이시옷의 표기 양상,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 양상,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과 사이시옷 표기와의 상관관계를 따져 보았다. 그 결과 미등재어의 사이시옷 표기 빈도는 전체적으로 등재어의 경우보다 낮았지만 그 양상은 이전의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어 최형용(2008, 2018ㄱ)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 양상은 등재어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사이시옷의 표기로 이어진 경우는 더 적어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적용이 원활하지 않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현행 규정에서 사이시옷을 표기해야 하는 경우 가운데 ‘한자어+고유어’에서부터 사이시옷을 적지 않도록 하고 점진적으로는 사이시옷 표기를 줄여 나가는 쪽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