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좀적 관점에서 본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의 이질적 관계 특성 연구

        김재흠 ( Kim Jaeheum ),김지은 ( Kim Ji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자는 온라인이 축을 이루는 시대에 오프라인 공간의 물리적인 가치와 의미를 떠올리며 온라인에서 느끼지 못할 감각을 실제로 경험하고 싶어 한다. 이는 고정된 관점을 거부하고 이질성을 추구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 리테일 스페이스의 예측할 수 없고 끊임없는 새로움과 제약된 경계를 허물어 무한한 가능성의 통섭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브랜드의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는 서로 관련이 없을 것만 같은 이종간의 다양한 분야가 서로 교류, 융합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뛰어난 생산성을 나타내고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는 공간으로써 항시 새로운 환경을 추구하는 장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예술,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장르들이 융, 복합되어 나타나고 유동적인 가치체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사고의 경계를 확장하고 다원화를 통해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질 들뢰즈와 가타리(Deleuze and Guattari)의 사유체계인 리좀(Rhizome)개념은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요소와 특성을 연구함에 맥락과 특성을 같이 해 공간 분석에 중요한 철학적 사유라고 판단하였다. 탈 영토화를 통한 생전 겪어보지 못한 이질적인 경험은 리좀적 관점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통섭을 형성해 나가고 있는 퓨처리테일 스페이스의 특성을 리좀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질적인 관계요소를 도출하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각과 잠재성, 미래적 가치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리좀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의 유형과 특징에 관해 연구한다. 둘째,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에서 드러난 이질적 관계를 설계해 요소를 도출하고 리좀과의 상관관계를 정리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리좀적 관점에서 본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의 이질적 관계맺기를 통해 조형 언어를 도출하고 분석의 틀을 구축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결과) 사례 분석의 대상을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의 대표적 공간인 하우스 도산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제품을 물리적으로 전달하기만 했던 기존의 리테일 스페이스와 달리 새로운 경험과 이질적인 요소가 접속함으로써 탈 영토화의 공간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리테일 스페이스의 공통적인 흐름은 뒤집기, 침투시키기, 결합하기, 경계 허물기의 방식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병치성, 중첩성, 역동성, 비 물질성, 무작위적 연결, 선택적 경로, 순환성, 거대성, 모호성, 투명성의 조형 언어를 추출하여 공간 구성 요소를 범주화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처럼 이질적인 요소들의 관계 맺기는 새로운 발전을 일으키는 촉발제의 역할을 하였으며,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에 리좀적 관점의 특성이 전체적으로 어우러짐으로써 이질성을 가진 다양한 요소가 융, 복합을 이루면서 여러 가능성을 가진 열린 공간으로서 계획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는 판매라는 기능적 역할을 넘어서 이질적인 자극과 영감을 전달하는 공간으로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하나의 장으로서 미래의 가치를 형성하고 있다. 미래의 리테일 스페이스에서 보이는 공간 구성, 동선, 프로그램, 경계의 이질적 관계 특성은 미래를 구축하는 요소로써, 리좀의 탈 영토화를 통한 이질적인 요소들은 서로 연결성을 가지며 비 위계적이고 다 중심 공간으로 확장함으로써 진정한 가치와 지속 가능한 퓨처 리테일 스토어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n era of online retailing, consumers increasingly want to experience the physical value and meaning of offline spaces. This dispels a fixed perspective and breaks down the unpredictable newness and constrained boundaries of retail space seeking heterogeneity, demanding the passage of infinite possibilities. As an efficient means of marketing communication for brands, future retail spaces are consistently pursuing a new environment as a space that exhibits original ideas or exceptional productivity by interacting, and consolidating various fields that may not be rela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various genres are fused throughout art, culture, and society, and a fluid value system is being formed, which is pursuing constant chang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boundaries of thinking. Accordingly, the rhizome of Deleuze and Guattari judged that it was an important philosophical reason for spatial analysis along with context and characteristics in studying the spati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retail spac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 perspective of heterogeneous experience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in life through de-territorialization. (Method)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retail spaces, starting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data. Second, it designs the heterogeneous relationships revealed in the future retail space to derive elements and organize the correlation with rhizome. Third, based on this, the formative language is derived through the heterogeneous relationship between future retail spaces viewed from a rhizomatic point of view, and the case is analyzed by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analysis. (Results) By limiting the scope of the case analysis to Haus Dosan, which is a representative space among future retail spaces, new experiences and heterogeneous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se types of retail spaces played a role in overturning, infiltrating, combining, and breaking boundaries. It can be seen that this was planned as an open space with various possibilitie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retail space's rhizome perspective were harmonized as a whole, and various elements with heterogeneity were fused and combined. (Conclusions) Future retail space is forming future values as a place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nd as a space that conveys heterogeneous stimuli and inspiration beyond the functional role of sales. The heterogeneou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movement, program, and boundary shown in future retail spaces are factors that build the future, and heterogeneous elements through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res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expected to revitalize true value and sustainable future retail space.

      • KCI등재

        <종이의 집>에 나타난 탈 중심적 사고

        임주인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3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4 No.1

        In <The Money Heist>, a criticism of Spain's monetary policy and stimulus package, which was brought to the brink of bankruptcy in 2008 due to the bursting of the real estate bubble and a large number of bad loans, continues throughout the series. The robbers' designation of the central bank and the mint as the site of the raid shows the anger of the Spanish people against the government and financial officials who caused the Spanish financial crisis. I would like to interpret some aspects of internal resistance, such as conflicts and clashes between characters, as Deleuze's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Deleuze sees minorities on the periphery beyond the control of state apparatus as nomadic subjects, and argues for a break free from the violence of the monolithic ideologies of formal culture, centering on the dissolution of individual subjects, the disappearance of the essential, and the rise of the marginal other. In The House of Paper, which features a minority of anti-heroic characters as the central characters, from the Picaresque novels of the 16th ~ 17th centuries to the detective novel Novella Negra today, we see that Dali's surrealist perspective, which was critical of the existing art world and the social system of the time, is in line with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in order to express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ought that is free from all aesthetic and moral preconceptions without being dominated by logic. <종이의 집>에서는 2008년 부동산 거품 붕괴와 거대 부실채권으로 인해 파산지경에 이른 스페인의 금융정책과 경기부양책에 대한 비판이 전 편에 걸쳐서 이어진다. 강도들이 중앙은행과 조폐국을 습격장소로 지목한 것은 스페인 금융위기를 야기시킨 정부과 금융 당국자들에 대한 스페인 국민의 분노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등장인물 간의 갈등과 충돌 등 내부의 크고 작은 저항의 일면을 들뢰즈의 탈영토화의 개념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들뢰즈는 국가 장치의 통제가 미치지 않는 주변부에 위치한 소수자들을 유목적 주체로 보고, 개인의 주체 해체와 본질적인 것의 소멸 및 주변부 타자들의 부상을 중심으로 공식 문화가 지닌 획일적인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16~17세기의 피카레스크 소설을 비롯해서 오늘날의 탐정소설 노벨라 네그라에 이르기까지 반 영웅주의 소설의 계보를 잇고 있는 소수계층의 반 영웅적 인물을 중심 캐릭터로 등장시킨 <종이의 집>에서 논리에 지배당하지 않고 미학적이고 도덕적인 모든 선입견에서 벗어나는 사유의 실제작용을 표현하고자 기존 미술 세계와 당시의 사회 체제에 대해 비판적 입장에 섰던 달리의 초현실주의적 시각이 탈영토화 개념과 맞닿아있음을 확인해본다.

      • KCI등재

        들뢰즈 관점에서 디킨즈의 『어려운 시절』 읽기

        박종성 ( Jong-seong Park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8 근대 영미소설 Vol.25 No.3

        This paper aims to look afresh at Charles Dickens’s Hard Times (1854) from the perspective of Gill Deleuze by using Deleuzian keywords and expressions, such as “becoming,” “the machine desirante” (the war machine), the line of flight, deterritorialization, and the state apparatus. The existing scholarship on Hard Times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disadvantages of utilitarianism, namely the extermination of fancy and imagination, and Dickens’s double distancing from Utilitarianism philosophy and the Union of Radical Workers. Irrespective of those realities, it is clear; that Dickens celebrates the vitality and virtues of ordinary people, particularly such female characters as Louisa Bounderby and Sissy Jupe. To begin with, I consider utilitarianism prevalent in schools, factories, and society to be, what Deleuze calls, the state apparatus which demands a total submission into a monolithic and dehumanizing ideology to which both Utilitarianism and patriarchy belong. Mr. Gradgrind and Mr. Bounderby are ruthless tyrants. By contrast, Louisa and Sissy are the subversive female figures who take the line of flight driven by the machine desirante. Particularly, the solidarity forged by Louisa-Sissy-Racheal is a clear indication of rhizomic connection (or articulation),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generation of creative forces or subversive energies. Sleary Company, a nomadic circus, has a special significance as an alternative to a monotonous life of factory and school. Sleary Company can be seen as, to borrow a Deleuzian term, “le Lisse” (the Smooth) in which a natural and vibrant life is in full swing. At the core of my argument is the possible link that can be safely established between Dickens and Deleuze who advocates the idea of deterritorialization. Also, the Louisa-Sissy-Rachael sisterhood provides a counter-pensee in that they have gone awry from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namely Utilitarianism and patriarchy. In conclusion, there are remarkable overlapping territories between Dickens and Deleuze, although Dickens fails to recognize workers’ potentials for radical social change. It must be emphasized that Dickens is in favor of singularity and creativity, both elements that are required to enliven our lives, in order to avoid being enslaved by the state apparatus.

      • KCI등재

        유목민의 혁명: 캐씨 박 홍의 『댄스 댄스 혁명』의 들뢰즈적 읽기

        윤희수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18 현대영미시연구 Vol.24 No.2

        This paper analyzes Dance Dance Revolution by Cathy Park Hong, one of the leading second-generation Asian-American poets, and explores the meaning of revolution in its title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poet belonging to an ethnic minority.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revolution carried out by the poet, this study will employ some Deleuzean concepts such as nomad, rhizome, and deterritorialization. Dance Dance Revolution is a poem sequence in two voices. The Guide, a migrant or nomad working for a hotel in the Desert, is a former Korean dissident from the Kwangju Uprising of 1980. While she speaks a hybridized language called Desert Creole, the Historian interviews the Guide and annotates her commentaries in standard English. The Desert Creole spoken by the Guide is a rhizomatic combination of multiple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nd Korean. Crossing the borderlines of various deterritorialized languages, the poet carries out a revolution by which she challenges and subverts the dominancy of the major language. Praising the “beige population” reproduced by miscegenating couples in the Desert, Hong presents the image of genuine ethnic diversity. The poet also problematizes the validity of official history hiding and erasing many meaningful historical facts. In this poem sequence, Hong presents an imagined place, where ethnically diverse people liberated from the repress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oots use hybrid languages without reserve.

      • KCI등재

        사건으로서의 교육: 육하원칙에 따른 『천 개의 고원』의 교육학적 해석

        김영철 ( Young Chu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2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교육의 본성을 묻는다. 이 논문은 이와는 다른 교육에 관한 질문, 즉 교육을 사건으로 보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우리는 ‘교육은 누가, 어디서, 언제, 왜,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라는, 육하원칙에 따른 질문을 할 수 있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저서 ..천 개의 고원..의 열다섯 번째 고원(‘결론’)에는, 이 저서에 포함된 다른 고원들을 관통하는 여섯 개의 핵심 개념이 요약 제시되어 있다. 이 저서의 부제가 보여주듯이, 이 저서는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이라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개의핵심 개념이 그 사건을 육하원칙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고 보고,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여섯개의 핵심 개념을 ‘사건으로서의 교육’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변형시킨다. 교육적 주체, 공간, 시간, 방향, 경로, 그리고 방법으로 요약될 수 있는, 누가 교육을 하는가, 어디에서 교육을 하는가, 언제 교육이 이루어지는가, 왜 교육을 하는가, 무엇을 교육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교육을 하는가, 하는 육하원칙에 따른 질문들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요약 제시한 지층, 배치, 리좀, 고른판, 탈영토화, 그리고 추상기계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답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여, 이 논문은 교육적인 것을 선별하고, 교육을 바라보는 지평을 넓히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The question `what is education?`` asks the static and architectonic nature of education. Is it possible to ask another question on the education different from the question? ``Who does education, where it take place, when it occur, why is it performed, what does it take as an object, and how is it carried out?` is the alternative question on the education this study has. As it is universally known, this question is based on 5W1H of which journalism usually makes employ as a necessary conditions of reporting an accident or an event. The six core concepts in the A thousand plateaus written by Deleuze and Guattari, namely, strata, assemblage, rhizome, plane of consistency, deterritorialization, and abstract machines are often seen and passing through at the rest 14 plateaus, but condensedly explained at the last 15th plateau. A thousand plateaus has the subtitle,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that is the distinguishing event in the present age. I think Deleuze and Guattari tried to delve into the event by way of the core six concepts at the last plateau.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the six concepts as the educational concepts such as the educational subject, space, time, direction, route, and method. Conclusively, 1) the strata as educational subject is not the determined, but the determining, 2) the assemblage as educational space is not the reterritorializing, but the deterritorializing, 3) the rhizome as educational time is not the line dependent on the point, but the line independent on it, 4) the plane of consistency as educational direction is not the stratification, but the counter-stratification, 5) the deterritorialization as educational route is not the negative and limited, but the positive and unlimited, and finally 6) the abstract machine as educational method is not with proviso the abstract machine of stratification, the axiomatic or overcoding abstract machine, and the negative abstract machine of consistency, but the positive abstract machine of consistency.

      • KCI등재후보

        엮기의 조형을 통한 "매달기" 설치오브제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 박홍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개념은 설치미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작업으로서 인체에서 벗어나 생물과 인간 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박홍필의 ‘엮기’는 들뢰즈의 리좀과 같이 인간과 자연의 생명들을 보이지 않게 연결시키는 망을 표현하고 있다. 엮기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여 형태를 만들어 내며, 형태는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형태는 들뢰즈의 리좀의 개념과 같이 형태와구조상에서 위계적이지 않고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개념으로서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오브제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박홍필의 조형 개념은 공산품보다는 자연 재료를 소재로 가느다란 그물망으로 제작한 엮기의 오브제에서 비롯된다. 박홍필의 엮기 오브제와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며, 바람에 흔들리는 순간 움직임이 있으며 관람자가 그 앞을 지나는 순간에도 움직임이 있다. 그렇기에 박홍필의 엮기의 오브제는 니코스 스탠코스가 현대미술의 특징이라고 말한 ‘우연’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엮기 오브제의 매듭에 있는 원형의 사각형과 설치를 통해 생기는 그림자의 형태 또한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다. 원형의 사각형은 생명체의 상징을 의미하며, 그물망은 생명체 간의 보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인 선들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자는 생명체의 죽음 이후의 세계 이다. 이러한 조형의 상징은 들뢰즈의 개념을 수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생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들뢰즈. 가타리의 생명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써 생명인 동시에 죽음으로써의, 생명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데, 들뢰즈의 의미에서 해석하자면 이 신체나 저 신체의 죽음은 전혀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죽음이 없다면 변화도 진정한 생명도 그 근본적인 의미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인체에서 벗어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엮기의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현대 미술의 주된 주제가 되는 생명의 개념을 인간 중심에서 벗어나 생물을 비롯하여 인간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죽음이후의 세계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Park Hong-pil, whos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is the extending work for the installation art. I have made a study for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with free to human``s body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My ``weav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net on connecting the human as like Gilles Deleuze’s ``rhizome`` to life of nature invisibly. ``Weaving`` has to create forms trough the repetition continuously and forms has to create another new forms departing from the form, that is basic and simple linked with. This form,as like the conception of rhizome by Deluze,is not hierarchical on the form and the structure as like the conception, also, that is creat to new form depart form the basic, simple link with as the concept what comes first or later. Th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by Park Hong pil mean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eaving`` object. My modeling concept derived from the woven object with thin n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not from any industrial products. I have incarnated both of my modeling concepts of hanging and weaving with recurring square nets. Moreover, there are the movent at the moment when the wind blows, also, they repetitively move back and forth and even when a viewer passes in front of thework, the square nets also move. This explains that my work depends on the element of ``contingency`` Nikos Stangos referred to as one of the hallmarks of Contemporary art. The shadows shifting every minute by the movement of woven and suspended squares and nets are also a primary element of shaping on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The squares in my works stand for life while the nets stand for organic lines invisibly linking life forms to one another. The shadows are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These modeling symbols are founded on the notion Deleuze underlined,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image of living bodies. They are also based on the notion appropriated from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life, referring to the nature of life. In Deleuze’s view, the death of bodies is by no means negative: it means that in an elemental sense any change and life would not exist without the death of organisms. That is,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is to represent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 and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 KCI등재후보

        울프의 올란도 : 들뢰즈/ 가타리의 "여성-되기" Deleuze and Guattari's "Becoming-Woman"

        김진옥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03 제임스조이스저널 Vol.9 No.2

        Orlando cross-dresses as a woman, and chooses "a woman's sex." Bored with the restrictions of her femininity, Orlando decides to "cross-dress" as a man and seek adventure. Orlando's transvestism and transsexuality in Orlando deconstruct the binary gender system, and further open up the space for multiplicity of sex and self.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Orlando's desire for becoming a woman, using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becoming-woman." Orlando's vision of self is not binary but multiple ; not dualistic but interconnected; not fixed but flowing. Deleuze and Guattari insist that all binaries privilege one term as standard, "white", "male", "adult", "rational". "Becoming-woman" is a first shift, destabilizing Western "binary oppositions." They oppose the linear, self-reflexive mode of thought, "logocentrism" that Derrida and others criticize. As Deleuze and Guattari suggest, Orlando "deterritorializes" the normative models and seek multiplicity of self. Orlando's change of his/her clothes subverts the hierarchical binary gender structure. The category "sex" is an artifice : gender as a performance is apparent in many scenes in Orlando. Orlando's transvestism deconstructs the dichotomous vision of self and doubles his/her pleasure. Orlando attempts to "deterritorialize" and to draw a "line of flight" between states which displace and disorient subjects and identities. He/she subverts the conventional meanings of identity, desire and modes of thinking. His/her vision of the self does not rest upon the dichotomous opposition of masculine and feminine positions, but rather on a multiplicity of self and sexuality. Orlando's self and sexuality, borrowing Deleuze and Guattari's terms, are "rhizomatic" (going in all directions, any point connecting with any other point, as opposed to the branching structure of the tree). Orlando as a biographical writer describes his/her multiple selves: "the boy as a poet, the young man as Sasha's lover," self as "an ambassador, or the Gipsy, or the Fine Lady…." Her/his selves, as in a rhizome group, are continuously connected with other various objects. The narrator states that "all (Orlando's) selves were different," and "she may have called upon any one of them." In this way, Orlando has "n" selves and "n" sexualities. The final scene of Orlando (in which the narrator describes the flight of "a wild goose") symbolizes Orlando's desire to redefine the conventional forms of self and sexuality.

      • KCI등재

        코나투스’ㆍ‘몸[身]’ㆍ‘살[肉]’ㆍ‘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들뢰즈의 ‘알’을 중심으로 ―

        성회경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4 No.2

        This study discusses G. Deleuze's cultural ecology focusing on his egg-metaphor. It focuses on how his cultural ecology of egg overcomes the phenomenological interculturalism. The ecology of the difference in Deleuze is incompatible with the ecology of similarities in phenomenology. However, there seems to be a slight honeymo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define Deleuze as the counterpoint of phenomenology. Of course, parts that can not be encountered with phenomenology are found throughout Deleuze's. Above all, Deleuze's criticism is that phenomenology, like modern consciousness philosophy, is locked in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Deleuze's intrinsic philosophy of breaking away from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extending it to the horizon of pure intrinsicity has a fundamental difference from the phenomenological intrinsic philosophy. The interculturalism of phenomenology presupposes other cultures as a similarity of my culture, and expounds the mutual cultural structure between the two. However, The model of organic-centered Deleuze's idea, which defines others as my analogies, is in line with the theory of human-centered or self-centered cultural composition. The ecology of Deleuze's eggs emphasizes the fundamental life and capacity of the pre-organisms. He emphasize wrinkles and singularity that can not be reduced to organic order. He expose singularity that can not be returned to transcendental principles and emphasize the singularity and individuality of each culture as the basis of cultural ecology. 본 연구는 들뢰즈의 알-메타포를 중심으로 그의 문화생태학을 논의한다. 그의 알의 문화생태학이 현상학적 상호문화주의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들뢰즈의 차이의 생태학은 현상학의 유사성의 생태학과 양립할 수 없다. 그러나 들뢰즈를 현상학의 대척점에 서 있는 것으로 규정하기에는 양자 사이에 미미한 밀월관계가 있어 보인다. 물론 현상학과 조우할 수 없는 부분들이 들뢰즈의 사유 곳곳에서 발견된다. 무엇보다도 현상학 역시 근대 의식철학과 마찬가지로 초월적 의식에 갇혀 있다는 것이 들뢰즈의 비판이다. 초월적 존재로부터 결별하고 그것을 순수한 내재성의 지평으로 확장해 가는 들뢰즈의 내재철학은 현상학적 내재철학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다. 현상학의 상호문화주의는 타문화를 나의 문화의 유사체로 전제하고, 양자 사이의 상호문화적 구조를 해명한다. 그러나 들뢰즈는 타자를 나의 유사체로 규정하는 유기체중심의 사유모델은 인간 중심 혹은 자아중심의 문화구성론과 궤를 같이 한다고 비판한다. 들뢰즈의 알의 생태학은 유기체 이전의 근원적인 생명과 역량을 강조한다. 그는 유기체적 질서로 환원될 수 없는 주름(wriankle)과 특이성(singularity)을 강조한다. 초월적 원리로 환원될 수 없는 특이성들을 드러내고 각 문화의 특이성과 개체성을 문화생태학의 토대로 강조한다.

      • KCI등재

        노마디즘 관점에서 본 진정성 추구 여행

        변찬복(Byun, Chan-B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3 No.-

        본고에서는 여행 동기와 여행체험과 관련하여 그동안 관광학계에서 논의되어 왔던 진정성 개념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의 연결점을 조망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오늘날 즐거움 추구 여행과 함께 정신 고양을 목적으로 하는 진정성 추구 여행이 증가함에 따라 진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노마디즘적 행동양식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서 진정성과 노마디즘의 연결점을 고찰하는 것은 시의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고의 연구대상은 실크로드를 도보로 여행한 베르나르 올리비에의 여행 서사이다. 올리비에는 안정적인 삶이나 정주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는 여행자가 아니며 자신을 통제하고 고착화하는 영토를 벗어나서 지속적인 차이와 생성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탈영토화(deterritorialisation)를 실행하는 여행자이다. 또한 올리비에는 문명과의 단절, 자연과의 접속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미지층화·미형태화된 순수한 질료적 흐름으로 만들려는 욕망을 갖고 있었다. 올리비에는 여행의 마무리 단계에서 여행의 근본 목적을 해명하지는 못하였으나 분명한 것은 안락한 정주적 삶과 고착화된 사유에 의해 지배되는 현대세계의 일상성에 대한 강한 저항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linking point between authenti-seeking travel and Deleuzian nomadism. Having some thoughts of linking bridge between the two factors would be a timely move in that the numbers of both authenti-seeking travelers and contemporary nomads are rapidly increased in these days. Ollivier does not place any absolute value in the stability and settlement of his life. He pursues deterritorization which creates constant difference and production by escaping from the territory. He also tries to make his body destratified and destructured by disconnecting himself from civilized societies. Even though he does not offer elucidation about the travel motive, the thing clear is the fact that he is charged with a strong resistance against everydayness which are dominated with sedentary thoughts and comfortable lives.

      • KCI등재

        김열규의 『한국문학사』 기술의 특수성

        류정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일종의 상호텍스트성의 궤적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 ‘김열규’를 욕망하고 행동하는 주체이자, 기호체계에 귀속될 수밖에 없는 주체로 전제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열리는 길이 어떤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사』의 특수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지는 시학적이며 구조적인 측면을, 다른 하나는 각 텍스트가 연계되는 다소 무질서해 보이는 리좀적 측면을 살피는 것이다. 『한국문학사』를 이루는 세 장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연계되는데, 그 개별 텍스트(가령 <단군신화>) 분석에서 특히 시학적이며 구조적 시각은 두드러진다. 텍스트 세부를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참신하고도 풍부한 논의를 생산한다. 또한 『삼국유사』가 현대 텍스트에까지 잇달아 있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통합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문학사』는 『삼국유사』뿐 아니라 현대문학 및 문화 콘텐츠들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주 텍스트와 부 텍스트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그리고-그리고-그리고’로 무수히 확장되는 수평적 연결망은 마치 리좀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이러한 두 측면의 관계를 밝히면서 결국 문학 작품의 유기성을 전제하는 통합과 종합의 의지가 리좀적 방향으로 견인된다고 본다. 『한국문학사』는 단순히 강의실 밖으로의 공간적 탈주 혹은 고전에서 현대로의 시간적 탈주뿐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는 인식적 탈주를 감행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는 한국문학을 봉쇄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재영토화한다. 『한국문학사』는 ‘문학사 아닌’-‘새로운 문학사’의 사이에 있는 텍스트이며, 그 담론적 저자로서 김열규는 탈주선을 그리는, 당대로서는 유표화된 유목적 주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