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岩刻畵에 나타난 性形象 그림에 대한 지역비교 - 사람 소재의 그림을 중심으로 -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아시아 8개국, 아메리카 8개국, 유럽8개국, 중동과 아프리카 9개국등 모두 33개국에 분포한 암각화 중에서 사람이 모티프가 되어 전개한 성신앙의 성형상 그림들만을 가려내 형상별로 그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그림은“남성상”과 여성상”,“교합상”과“임산상”,“수간상”으로 나누어 보았고 신앙의식 을 가름해 볼 제의그림을 따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 그림들은‘수렵과 어로’,‘목축과 농경’의“생업활동”그림과 祈子 등“생식행위”의 그 림 중에서 주로 등장하는데 집단의 번성과 풍요와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 생식주술로 의례를 행 했던 제의물이다. 이 같이 그림 제작의 배경에 샤머니즘 사유세계의 의식을 폭넓게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 타난 그림 양상에 있어서도 범세계적 지역 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시기가 지나면서 신앙 의식이 깊게 고도화됨에 따라 그림 형식에도 변화가 왔는데 초기 구상적 실상묘사의 회화성 그 림에서 후기 상징적 추상묘사의 도형그림으로 점차 遷移되어 갔다. 또한 철기 도구를 사용하면 서부터 만기에는 형상축약의 세선 그림이 새겨지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여성 그림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Select only sexual figures on petroglyph developed based upon anthropomorphic figures distributed in 33 countries (8 nations Asia, 8 nations in America, 8 nations in Europe, nine countries in Middle East and Africa), arranged according to its specific characters. As for the figures, divided “male figure”, “female figure”, “coitus figure”, “Pregnancy and Delivery Figure”, “ bestiality figure” and as for the religious figures, describing religious ceremony, divided seperately. These figures appeared mainly in the figures of occupational activities such as hunting and fishing, pasturage and agriculture, and coitus activities praying for their son, and all of these interpreted as religious materials praying for prosperity, abundance and safety for their community. As for the background in creating petroglyph, being having globally in common, shamanic speculative consciousness world, the appearance of the figures presented were not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the regions of the world researched. Only but, passing times, with the religious conception developed profoundly, the style of figures changed, such as depicting figures to symbolic and abstractive figures. And also, from the time of using iron implement, in later time, fine-lined figures engraved. And these phenomena were remarkable for the figures depicing female.

      • KCI등재

        Exploration and Analysis of "Integration of Chinese and Western Cultures" of Chinese Realistic Ink Wash Figure Painting

        Guo Yua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1 No.1

        Chinese figure painting is the earliest type of painting to be mat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After its peak in the Jin and Tang dynasties, Chinese figure painting turned into a low tid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y Fourth New Culture Movement's concept of "introducing the Western culture into China", realistic ink wash figure painting emerged, which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ainting. Realistic ink wash figure painting is a new kind of painting that combines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methods with concepts of Western scientific painting. With the mutual reconciliation of realistic modeling and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it makes up for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Chinese figure painting in reproducing life, thus forming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Chinese figure painting. Through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fusion of Chinese realistic ink figure painting with Chinese and Western, this paper accurately grasp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language, which is an important guide to the creation of Chinese realistic ink painting today.

      • KCI등재

        게이블 헤드드레스의 제작에 관한 연구

        김경희 한국의류학회 2003 한국의류학회지 Vol.27 No.3,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wer and more direct design techniqu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exert creativity in designing. The headdress, one of dress items, was selected so that the change might be investigated in designs and production methods. A headdress was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nd portrait analysis. The target period of the study was limited to Henry Ⅶ and Henry Ⅷ(1485~1547) when gable headdress was put on. The details and the patterns of gable headdress were identified for the selected gable hood to be manufactured. It was not possible to get the same dress material, so a similar one was made as in the pictures. The same was done to the color. Putting the focus of the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the figure in the portrait, some dimension were measured in bodily proportion and patterns were made by three-dimensional cutting. As results, some dimensions used in the manufacture had some limits.

      • KCI등재

        정지용의 「백록담」과 오탁번의 「백두산 천지」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고형진 ( Ko¸ Hyung-ji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69 No.-

        이 글은 정지용의 「백록담」과 오탁번의 「백두산 천지」를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두 작품은 첫째, 산 정상에 호수를 지닌 분화산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둘째, 두 작품은 산 정상을 향한 등정기록이며, 그 과정을 자생식물의 키가 낮아지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고, 수목한계선의 설정으로 정상부근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며, 산 정상에 도달해 화자가 기도를 하거나 그것을 의식하는 것으로 끝난다는 점에서 시의 기본 구조가 유사하다. 셋째, 두 작품은 산의 풍경을 그곳의 자생식물의 제시와 나열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넷째, 두 작품은 시의 요소로 언어를 가장 중시하고 있으며, 비유의 구사가 뛰어난데, 「백록담」은 비유의 보조관념이 사물에 집중된 반면 「백두산 천지」는 생명체의 외양으로 되어 있어, 전자가 풍경의 미적 재현에 치중한 반면 후자는 풍경의 정겨움을 드러내는데 치중한다. 두 작품은 시의 형식과 상상력, 주제, 언어의 세부적 구사 면에서 각각 독창성을 지닌다. 두 작품은 산 정상을 향한 등정과정을 다루고 있지만, 그것을 시의 형식 안에 담아내는 방식은 크게 다르다. 「백록담」은 수직적 등정과정과 수평적 한라산 풍경이 섞여 구조화되어 있으며, 한라산의 산 속 풍경이 여러 개로 장면화 되어 그려지고 있다. 특별히 아홉 개의 연으로 구성한 것은 깊고 높은 한라산의 모습을 꽉 차고 높은 느낌을 주는 숫자 9위 정서를 활용해 전하고자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백두산 천지」는 처음부터 일관되게 수직적 등정과정을 순차적으로 그리면서 등정을 향한 화자의 기대와 설렘, 발자국과 숨소리까지 전해준다. 이 시는 화자가 백두산 천지를 등정하여 천지 속에서 태아가 되어 유아의 ‘나’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진술하여 매우 역동적이고 서사적인 상상력을 보여 준다. 주제적 측면에서 「백록담」은 한라산의 미적, 자연과학적, 평화적 세계를 그리며 우리 자연의 소중함을 전하면서, 그 소중한 자연이 처한 식민지 상황을 암묵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백두산 천지」는 백두산 천지를 민족의 성지로 그리고, 그 안에서 자기 정체성을 돌아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측면에서 「백록담」은 다채로운 수사로 한라산의 자연풍경을 생생히 드러내고 있으며, 「백두산 천지」는 순결한 모국어의 채집과 한자어 조어에 담긴 비유의 활용 등 언어 자체에 대한 천착으로 백두산 천지가 지닌 민족 성지로서의 의미를 잘 구현해 내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Jeong Ji-yong's 「Baekrokdam」 and Oh Takban's 「Baekdusan Cheonji」 from a mutual point of v iew. The two works have something in common, first of all, in that they are based on a volcano with a lake at the top of the mountain. Second, the two works are climbing records to the top of the mountain, describing the process as lowering the height of the native plants, indicating that they have reached the summit by setting the arboretum limit line, a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poem is similar in that the speaker reaches the top of the mountain. Third, the two work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reveal the mountain scenery by presenting and listing native plants there. A total of 16 native plants appear in 「Baekrokdam」 and 10 native plants appear in 「Baekdusan Cheonji」. Fourth, the two works place great importance on language as elements of poetry, and the paraphrase is excellent, while 「Baekrokdam」 focuses on things, while 「Baekdusan Cheonji」 focuses on the appearance of life, so the former focuses on the aesthetic reproduction of scenery while the latter focuses on revealing the warmth of scenery. The two works each have originality in terms of the form and imagination of poetry, the subject and the detailed syntax of language. The two works deal with the climbing process towards the top of the mountain, but the way they capture it in the form of poetry is very different. 「Baekrokdam」 is structured by mixing vertical ascent and horizontal Hallasan Mountain scenery, and i s depicted in several scenes f rom Mt. Halla. The specially arranged nine kites are intended to embody the deep, high mountain features with the sentiment of numbers. On the other hand, 「Baekdusan Cheonji」 depicts the vertical ascent process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conveying the speaker's expectations, excitement, footprints, and breathing. The poem shows a very dynamic and epic imagination by showing the speaker's imagination of climbing the entire mountain and becoming a fetus in the heaven and reborn as the "I" of an infant. In terms of subject matter, 「Baekrokdam」 implicitly reveals the colonial situation of the precious nature by portraying the aesthetic, natural science, and peaceful world of Hallasan Mountain, and 「Baekdusan Cheonji」 is a work of reflecting on the natural identity of the people. Finally, in terms of language, 「Baekrokdam」 vividly rev eals t he natural s cenery of H allasan M ountain t hrough i ts c olorful rhetoric, and 「Baekdusan Cheonji」 embodies the meaning of “Baekdusan Mountain Cheonji” a national holy place with its natural language, including its pure Korean language and the arrival of a metaphor in Chines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