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ynaptic Protein Degradation as a Mechanism in Memory Reorganization

        Kaang, Bong-Kiun,Lee, Sue-Hyun,Kim, Hyoung SAGE Publications 2009 The neuroscientist Vol.15 No.5

        <P>An accumulating body of evidence shows that reactivated long-term memory undergoes a dynamic process called reconsolidation, in which de novo protein synthesis is required to maintain the memory. These findings open up a new dimension in the field of memory research. However, few studies have shown how once-consolidated memory becomes labile. The authors’ recent findings have demonstrated that pre-existing long-term memory becomes unstable via the ubiquitin/ proteasome-dependent protein degradation pathway and that this labile state is required for the reorganization of fear memory. Here, the authors review this finding and focus on the labile state that is critical for the reorganization of memory triggered after memory retrieval.</P>

      • Protein Degradation during Reconsolidation as a Mechanism for Memory Reorganization

        Kaang, Bong-Kiun,Choi, Jun-Hyeok Frontiers Research Foundation 2011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Vol.5 No.-

        <P>Memory is a reference formed from a past experience that is used to respond to present situations. However, the world is dynamic and situations change, so it is important to update the memory with new information each time it is reactivated in order to adjust the response in the future. Recent researches indicate that memory may undergo a dynamic process that could work as an updating mechanism. This process which is called reconsolidation involves destabilization of the memory after it is reactivated, followed by restabilization. Recent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initial destabilization process of reconsolidation requires protein degradation. Using protein degradation inhibition as a method to block reconsolidation, recent researches suggest that reconsolidation, especially the protein degradation-dependent destabilization process is necessary for memory reorganization.</P>

      • KCI등재

        『관촌수필』을 구성하는 기억과 망탈리테

        송호영 ( Song Ho-young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2

        이 논문의 목적은 이문구의 연작소설 『관촌수필』이 내장한 망탈리테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소설은 서술화자의 기억이 주조를 이루므로 무엇보다 기억이란 무엇인지 살피고, 공시적 망탈리테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관촌수필』의 서술화자 ‘나’의 기억을 추적하며 탐색한다. 베르그손은 『물질과 기억』에서 기억의 역동적 본성을 기억이미지와 지각이미지의 결합으로 해명한 바 있다. 그에 의하면 기억이란, 정신의 삶이 전개되는 시간 속에서 과거 전체를 보존 했다가 현재의 순간으로 연장하여, 적절하게 활용하는 정신의 운동성이라 풀어 말한다. 기억의 존재의미를 현재의 필요에 의해 적절히 변용·왜곡되어 회상하는 이미지로 개념화 한다면, 『관촌수필』의 서술화자 ‘나’가 재생하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이미지도 현재의 실용적 요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용되어 기술되었으리라는 합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관촌수필』에 의해 재구성된 기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글은 20세기 중반 근 현대 질서를 형성하며 지배담론으로 자리 잡은 ‘존재론적 개인’에 대한 관념을 신 구세대의 망탈리테로 구분해 탐색하며, 에피스테메 변곡점에서 상호의존적으로 슬기롭게 대처하는 선조의 지혜를 밝힌다. 두 세대가 내장한 ‘존재론적 개인’에 대한 관념의 차이는 구세대에서 신세대로 나아가며 분화되는 망탈리테를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그런데 기억이 변용된 이미지라면 ‘나’가 구성한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망탈리테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나’의 기억은 무의식적으로 의도된 산물은 아닐까. ‘나’는 왜 그들을 『관촌수필』에서 그렇게 형상화 했는가라는 의문은 자연스럽다. 필자는 그 원인의 일단을 1970년대가 지배하는 시대정신과 망탈리테에 비추어 살펴본다. 1970년대를 구성하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성을 『창작과 비평』의 리얼리즘적 경향성으로 조망한다면, 이문구와 『창비』의 민중문학 지향이 『관촌수필』에 구현되었으리라는 짐작은 대체로 맞아 보인다. 1970년대의 이문구와 『창비』에게는 1970년대의 망탈리테를 1950년대의 망탈리테로 기입하며, 1970년대의 민중문학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전승된 전통으로 되살리려는 시도가 엿보이는 데, 이 논문은 이에 대한 증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fining the character of mentalite included in Lee Mun-gu's series novel Gwanchonsupil. Since the novel is mainly comprised of the memories of narrator,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definition of memory and explore the effects of synchronic mentalite by tracing the memories of the narrator in Gwanchonsupil. Henri Bergson explained the dynamic essence of memory as the combination of memory image and perception image in Material and Memory. He stated that memory is motility of mind used adequately by preserving entire past and extending it into present moment in the time when life of mind is unfolded. When ontological meaning of memory is conceptualized into recollected image by adequat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based on necessity of the present, the reasonable deduction that images of grandfather and father played by the narrator of Gwanchonsupil must have been described after selective transformation based on practical demand of the present becomes possible. What does the memory reorganized by Gwanchonsupil imply?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toward ‘ontological individual’, which has become a dominant discourse after forming modern and contemporary order in the mid-20th century, by dividing it into mentalite of the new generation and the old generation and identifies the wisdom of ancestors who responded wisely and interdependently at episteme inflection point.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 toward ‘ontological individual’ inherent in the two generations becomes an occasion of identifying mentalite which is divided upon shifting from the old generation to the new generation. If it were for image with transformed memory, how should mentalite of grandfather and father organized by the narrator be interpreted? Isn't memory of the narrator an unconsciously intended product? It is natural to question why the narrator embodied them in such a way in Gwanchonsupil. This study examines a part of the cause by reflecting on mindset and mentalite dominant in the 1970s.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the society of the 1970s from the realism tendency of Creation and Criticism, the assumption that public literature orientedness by Lee Mun-gu and Changbi was materialized in Gwanchonsupil seems mostly true. Lee Mun-gu and Changbi of the 1970s attempted to revive the 1970s public literature ideology as naturally succeeded tradition by recording the 1970s mentalite as the 1950s mentalite.

      • KCI등재
      • KCI등재

        포로 체험의 재구성과 기억의 공유

        김미향 ( Kim Mi Hy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이 연구는 공적 기억인 역사 속에 숨어 있는 개인의 체험과 기억을, 문학을 통해 해석해 냄으로써 한국전쟁 포로 소설의 특징과 존재 방식을 재구해 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전쟁의 목적조차 잃은 채 과열된 갈등으로 폭력과 살육으로 폭주하는 포로들의 모습을 통해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증명하였고, Ⅲ장에서는 전쟁의 직접성에서 벗어나 일상이 전경화 된 상태에서 포로 체험의 기억을 타자와 공유하면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포로들의 삶이 개인의 특별한 체험에 불과하다고 치부하거나 또는 `포로`라는 이름으로 이들의 삶을 일률적으로 규정짓지 않고 포로들 각각의 삶을 통해 그 함축된 의미를 고찰해낸다면 이데올로기 대결의 가장 중심에 놓인 핵심적 인물인 포로들이 전쟁으로 고통 받고 희생된 대표적 `비극적 삶의 주체`임을 증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역사를 보는 시각은 더 다양해지고 우리 전쟁문학의 스펙트럼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In the situation tied to the immediacy of war, reorganization of repetitive captive experiences led to tragic ending by making captives` scars fixed. Also, fierce conflicts among captives in the prison camp resulted in cruel slaughter and violence, and Southern Government which had left them in the danger of murder and violence used them politically under the pretense of the release, never considering captives. Captives forgot the purpose of the war and rushed to the violence and slaughter without telling friends from enemies due to excessive conflicts among them, which obviously reveals unrealistic ideology. On the other hand, starting to share the memory of the captive experiences in a state that daily lives are in the foreground, the characters in Kim`s work who are free themselves from the immediacy of war arouse others` sympathy. However, whether the ending is tragic or reconciliatory, it has in common the fact that they are not courageous soldiers or vicious enemies who engaged in the battle field but are normal people and captives of Korean War. They show us that the violence in the prison camp wasn`t individual choice but inevitable result of the war, along with the tragic ending they chose. This makes us check that the captives, key characters placed in the center of ideology confrontation, may be actually representative victims by the ideology, all of whom were most irrelevant to the ideology.

      • KCI등재

        전쟁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국가 만들기 -역사/다큐멘터리/기억

        이명자 평화문제연구소 2011 統一問題硏究 Vol.23 No.2

        The Korean War was an explosion of unresolved problems connected to ideology, politics and society. Considered from a cultural viewpoint, the Korean War produced a foundation that was important for constructing state identity in South and North Korea. Both Korean governments tried to create a state or state identity direc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s colonial rule. Nevertheless there was a feeling of shared Korean culture regardless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mong the public. But after the Korean War, the division was finalized and Koreans had to choose which state to settle in. Charles Tilly described this as ``a state was made through war``. After the Korean W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ok the role of a bulwark against communism, increased the role of the state in society and developed a pro-American lin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ssumed a broad anti-imperial sentiment, accelerated the Kim Il Sung ideology and the socialist revolution, for example through agricultural cooperative farms. Movies contribute to form the memory and history of communities. During the Korean War both South and North Korean filmmakers were mobilized by their governments and made many documentaries, newsreels and feature films. Filmmakers called ``war filmmakers`` made movies in Deagu and Busan in South Korea. Right after the beginning of the war, Kim Il Sung enlisted the help of filmmakers and the resulting films moved many people to volunteer for the army in North Korea. Because they were of prime important documentaries and newsreels were made with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army. As official government narrative the Korean War documentary was different in the two Koreas. This article follows White`s assumption that history is a narrative that has been made by someone, not a mere representation of facts. I try to map the mirror image between the South Korean documentary, A March of Justice and the North Korean documentary, A War of Justic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of war documentary and state-identity. 현대 남북한 체제 형성에서 주요한 전환점인 한국전쟁은 해방 후 시작된 좌우대립과 정치적, 사회적 갈등의 총체적 폭발이었다.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한국전쟁은 남북의 국민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해방 직후부터 남북은 적대감에 기반한 체제 만들기와 국민의 창조를 시도했지만 오랫동안 유지해온 공동체의 경험과 일체감이 남북의 대중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은 남과 북을 돌이킬 수없게 나누었고 대중들은 생존을 위해서라도 국가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다. ‘전쟁이 국가를 만든다’는 틸리의 명제가 남북한 체제형성에도 적중한것이다. 전쟁 이후 남한에서는 반공이데올로기가 정착하고 국가의 자율성이 증대했으며 군부를 비롯한 국가억압기구가 불균형적으로 비대화하였고 대미종속이 구조화되었다. 북한 역시 반제국주의 정서가 내면화되고 협동농장의 완성 등 사회주의 혁명이 가속화 되고 김일성 유일지도체제가 강화되었으며 새로운중.소관계가 성립되었다. 역사를 기억으로, 기억을 역사로 만드는 주요장치인 영화는 공동체의 기억 만들기에 기여했는데 전쟁기 동안 남북의 영화인들은 ‘종군영화인’이라는 이름 하에 동원되어 각종 다큐멘터리, 극영화, 시보영화를 제작했다. 남한에서는 피난지 대구와 부산을 중심으로 영화인들이 군부대에 소속되어 영화제작에 나섰다. 북한에서는 전쟁 발발 직후 김일성의 호소를 시작으로 12조로 편성된 영화인들의 종군활동이 시작되었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극영화보다 다큐멘터리와 시보, 뉴스영화에 힘을 실어주었고 정부와 군부대의 후원을 받으며 제작된 다큐멘터리는 한국전쟁에 대한 제도권 내의 공식기억을 대변했다. 남북한 체제의 관점에 의해 구성된 내러티브인 한국 전쟁에 대한 역사서술은 그 이데올로기 편차가 매우 크지만 제작방식과 목적에서는 일치한다. 역사가 반영이 아니라 구성이며 하나의 내러티브라는 헤이든 화이트 이후 역사학의 관점을 받아들여, 이 글은 한국 전쟁 동안 제작된 남북의 다큐멘터리 <정의의 진격>과 <정의의 전쟁>이 어떠한 경로를 경유해 국민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가를 두 영화의 거울상 이미지와 함께 분석한다.

      • KCI등재

        고구려 陵園制의 쇠퇴와 그 배경

        강진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3 No.-

        During the years when Pyeong-yang served as the capital of Goguryeo, the royal tombs were built with smaller mounds and with few additional facilities. This change suggests that the royal tomb system of Goguryeo declined during this period while it was organized and rearranged during the years when Guknae was the capital of Goguryeo.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is decline. First of all, the fashion of light funeral convention in China affected the system of Goguryeo, making the size of the mounds smaller and eventually bringing about the decline of the royal tomb system.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Goguryeo had vigorous exchanges with China during this time. Secondly, people did not put as much importance on the tombs as they did in the past. Since the tombs did not function as the places where the ancestral rites were mainly held during this period, people did not feel the necessity to build huge tombs. Finally, the royal tomb system declined because the change in the afterlife view and the spiritual viewpoint prevented people from viewing tombs as the shelter of the dead.

      • KCI등재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

        김영미(Kim, You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강로전」은 실제 역사 인물 강홍립의 참전기를 서사화한 작품인데 본고는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은 동심원적인 구조를 보인다. 즉 강홍립을 점차 악인으로 서사화하는 서술 양상은 소문이 확산되어 사실적 차원으로 확정되는 과정과 하나의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대를 한몸에 받던 대원수 강홍립이 어떻게 서서히 역적이 되어가는지, 즉 역적 서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분석했다. 역적 서사는 주인공 강홍립을 중심으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강홍립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완성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일대다(一對多)의 관계 속에서 강홍립을 철저히 악인으로 만드는 서사 형태인데, 극단적 선악 대립을 선보이는 영웅 서사와 이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 「강로전」에서 ‘소문’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작가 권칙은 「강로전」의 모든 내용이 정체를 특정할 수 없는 ‘어느 노승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이렇게 ‘누구에게선가, 어디에선가 들었다’는 것은 소문을 전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접인용의 틀이다. 소문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이나 이념에 부합될 때 더 쉽게 받아들이게 되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적 경향을 보이는데, 「강로전」에서 기댄 편향적 이념은 바로 ‘대명 의리’이다. 「강로전」 이야기는 ‘대명 의리’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재구(再構)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기억과 연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가 권칙의 자기 변명의 의도와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적 관념 속에서 ‘강홍립’은 기억되고 재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문의 틀을 원용하고 소문의 편향성을 기반으로 했던 허구로서의 「강로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사실’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강로전」에서는 이야기 전달자 노승을 등장시켜 강홍립 이야기가 일종의 소문임을 밝혔었던 것에 비해 후대 이건(李健, 1614∼1662)의 「강로전」이나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의 「강홍립전」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전달자를 없애고 한문의 ‘전(傳)’ 양식을 띠게 된다. 그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지 못하고 ‘소문’의 속성이 강했던 강홍립 이야기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문의 수용 문턱(thresholds)을 지나 범사회적으로 수렴되면서 점점 ‘사실’로 고착된다. 권칙에 의해 서술된 ‘강홍립’이 소문의 확산과 맞물려 ‘사실’ 차원에서 악인의 대표적 표상이 되는 것이다. Gangro-jeon tells the story of Gang Honglib who fought against the Qing army. In this paper, I analyze narrative modes of Gangro-jeon and its use of rumors. The story follows General Gang who gradually turns out to be a traitor. Gang stands in the middle of the stage, and several characters come in and go out of it in turn. They severely criticize him and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end. This many-on-one unidirectional relationship makes him a helpless villain. The 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ero wherein some extreme antagonism is show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Rumors are tactfully utilized in Gangro-jeon. Gwon Chik, who wrote Gangro-jeon, tells us that he heard the whole story from an old monk whose identity he could not specify. This is a typical frame of indirect quotation from someone somewhere. If people hear a rumor which corresponds to their belief or ideology, it results in a confirmation bias. The ideology of Gangro-jeon is based on the idea of obligation to the Ming dynasty. Gangro-jeon’s plot does not care whether it is true to historical facts but simply reorganizes them in accordance with its ideology. Furthermore, it reveals how memorization works in a novel.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fallibly what a historical character did and what happened to him. Gang Honglib was memorized and reorganized in the matrix of social ideology of Gwon Chik and the Joseon dynasty. Gangro-jeon, which adapted the frame and bias of rumors, began to be accepted as the story of real facts. The old monk whom Gwon Chik introduced to reveal the source of his story disappeared off the plot in later versions. One of them, Lee Gun’s Gangro-jeon, resembles a biography. Rumors were the source of the story of Gang Honglib, which was a fiction at first, but it was accepted and fixed as the record of historical fa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mors that passed through social thresholds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ce the argument that Gang was a turncoat, or a traitor, was received, it made him a typical vill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