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거부민감성(Rejection Sensitivity)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황정현(Jung Hyun Hwang)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1 상담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거부민감성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있을 연구들을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거부민감성’을 검색하고 2011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KCI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 3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년도, 연구대상, 사용 척도, 연구방법, 연구 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해보았다. 거부민감성은 2020년도에 논문이 가장 많이 발행되었으며,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거부민감성척도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가 주로 사용되었다. 나아가, 통계분석으로는 상관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 변인별 동향은 거부민감성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거부민감성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domestic Rejection Sensitiv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To this end, the phrase, ‘Rejection Sensitivity’ was searched on the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selected 36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KCI from 2011 to 2020,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study subjects, research scales, and variables. Results: Studies about Rejection Sensitivity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2020,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was mainly used as a measurement tool. Furthermore,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correlation analysis, and in terms of variables, Rejection Sensitivity was most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objective is to pres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the study on future Rejection Sensitivity.

      • KCI등재

        대학생의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설보경,김희경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 total of 327 undergraduate students (153 male, 174 female) completed RSQ(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ICQ(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SADS(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Social anxiety was directly affect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indirectly affected through interpersonal sensi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improv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s well as a reduc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to relieve undergraduate students’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가자는 대학생327명(남학생 153명, 여학생 174명)이었고, 거절민감성 척도(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거절민감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은 낮고 사회불안 수준은 높았으며, 대인관계 유능성이 낮을수록 사회불안 수준은 높았다.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거절민감성은 사회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대인관계 유능성을 매개로 사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개입에서 거절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거부민감성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해석편향과 부정적 기억편향의 이중매개 효과 검증

        박정현,이종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1

        Rejection sensitivity and negative cognitive bias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is a concept that explain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nd reactions to rejection. Individuals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anxiously expect, readily perceive, and overreact to rejection. Cognitive bias is a pattern of deviation that occurs when people interpret and remember given information or situations. Depressed people have negative cognitive bia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negative memory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amo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 total of 15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and Similarity Rating Task using E-prime Software.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his field.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and the two alternativ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he complete dual mediation model attained the best fit for present study. The finding suggests that high rejection sensitivity may contribute to depression through the increase of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negative memory bias. Our findings support the combined cognitive bias hypothesis proposed by Hirsch and colleag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Finally,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가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최단비,권호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4

        본 연구는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각 변인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지, 매개 경로를 성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성인남녀 381명을 모집하여 병리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네 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온라인 자기보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자기애적 취약성과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고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병리적 자기애와 신체적 폭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이 매개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기애적 웅대성과 자기애적 취약성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남녀 모두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을 촉진하며 이 과정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병리적 자기애가 거부민감성을 통해 통제행동 가해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아 매개 경로에 성차가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each variable, further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mediating pathway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81 men and women in 20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online self-report surveys was conduct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of pathological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of verifying gender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a higher vulnerability to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mitted more psycholog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controlling behavior than men. As a result of the medi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 mediated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psychological violence and control behavior, but it show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sexual violence.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physical violenc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is mediating pathway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nari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control behavior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promotes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both men and women, and rejection sensitivity acts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the control behavior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indicating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ed pathway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적, 성적학대 경험이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

        곽연희,정원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4

        본 연구는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과 성인지감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의 매개를 통하여 성인지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3개 중, 고등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권 관점에서의 성인지감수성을 성차별 감수성, 양성평등의식, 성폭력 감수성 등의 3가지 요인으로 측정하였고, 피학대경험은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성적 학대 등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나 요인 간의 상관계수가 높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존재하여 회귀모형의 변수선택을 단계적 선택법을 적용하여 유의성이 낮은 변수인 신체적 학대와 방임 변수는 제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정서적 학대는 성인지감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성적 학대는 성차별감수성과 성폭력감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정서적 학대와 성적 학대 모두 거부불안민감성, 거부분노민감성 및 거부우울민감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매개효과가 검증이 된 경로는 정서학대가 거부분노민감성과 거부우울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성학대가 거부분노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성차별감수성과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성학대가 거부우울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양성평등의식과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등의 6가지였다. 피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부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성인지감수성의 중요성이 증대하지만 성인지감수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지만 학대경험과 거부민감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adolescents' experience of maltreatment affects rejection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and whether adolescents' experience of maltreatment affects gender sensitivity through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Gender sensitivity in terms of human rights was measured by three factors such as sex discrimination sensitivity,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sexual violence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abus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 sensitivity, but sexual abuse has a positive effect on gender discrimination sensitivity and sexual violence sensitivity. Second, both emotional abuse and sexual abuse have positive effects on rejection anxiety sensitivity, rejection anger sensitivity, and rejection depression sensitivity. Third, the paths that the 7 mediating effects are verified. Although the importance of gender sensitiveness has been increasing,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sensitivit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abuse experie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have. By analyzing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n gender responsivenes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confusion of gender sensitivity that can occur when adolescents enter the society after they become adults and seek programs that can prevent such confusion in advance You can do it.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박우람 ( Wooram Par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3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33명에게 부모의 양육태도, 거부 민감성,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거부민감성,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거부민감성과는 부적 상관,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 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민 감성에 영향을 주어 다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양육태도별 매개경로 중 적대적 양육태도, 통제적 양육태도는 완전매개 모형이 지지되었고, 비성취적, 비합리적 양육태도의 경우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이는 양육태도 영역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하는 유의미한 경로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태도별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매개경로가 다르다는 점을 알아내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다양한 교육적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52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researching the measure of parenting attitude,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este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among negative parenting attitude,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esteem. negative parenting attitude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jection sensitivity bu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econd, the study about rejection sensitivity`s mediator effect i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 esteem shows the significance of the simple mediating effect which means tha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gives an influence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esteem too. Also, a sectional mediated model of mediated pathways set in this study has shown to be a better fit than a perfect mediated model as an alternative model. It means tha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does not have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but has an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by increasing a child`s rejection sensitivity in a roundabout way. Also, children who experienc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n their early life have a highly sensitive cognitive weakness for rejection. So, they have low self-esteem because their self worth is low and then they do not consider themselves as valuable due to repeated instances of rejection. Lastl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박소연 ( So Youn Park ),진미경 ( Mi Kyoung Ji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 있어서 거부민감성이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52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 개정본, 아동용 거부민감성 질문지와 아동의 외로움 및 사회불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외로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이 부모와 애착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거부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이 부모와 애착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도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자로서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함과 동시에, 아동심리치료 시 인지적 접근과 부모-자녀 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20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unggi. They completed a number of questionnaires;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IPPA-R),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CRSQ), and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AS 8.2 statistics program. In addition, Baron and Kenny`s (1986) model was used to verify any mediation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neliness. Children were found to be less lonely when they felt high attachment levels to their parents. Second, children`s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jection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when children felt high attachment to the parents, they had low rejection sensi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when children felt high rejection sensitibity, they felt more lonely.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Accordingly, parent attachment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loneliness but also had an effect on lonelines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These finding were utilized for a discussion of integrated approaches of cognitive programs for child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 KCI등재후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박우람 ( Woo Ram Park ),홍상황 ( Sang Hwang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아동의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466명에게 거부민감성,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과는 정적 상관, 친구관계의 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연구의 매개변인인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도 친구관계의 질과 각각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영향을 주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적대감이 관계적 공격성보다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과의 관계를 더 잘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적대감에 영향을 미친 다음 관계적 공격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친구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설정한 모형들 중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친구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를 통해 친구관계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친구관계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을 완화하는 개입을 하기 전에 친구관계에서 순간적인 갈등으로 발생하는 분노 및 적개심과 같은 정서를 완화할 수 있는 적대감 및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같은 인지정서적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mong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friendship.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46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measuring the scales of rejection sensitivity, hostility, relational aggression and quality of friendship.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ostility, relational aggression bu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friendship. also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is study present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friendship. Second, by the study of mediating effect,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on the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respectively. So the single mediating effect that has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becomes more meaningful. It represents that hostility better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friendship. Meanwhil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hostility and then the development of relational aggression. It also represents again significance of dual mediating effect that affects quality of friendship. Especi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has more goodness than the full mediating effect.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directly the quality of friendship,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friendship by mediating between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represents the need of the cognitive-emotional intervention such as hostility and anger management program that can alleviate emotions like anger and enmity which occur in a moment before the intervention that can alleviate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in students who can be lowered in friendship from rejection sensitivity.

      • KCI등재

        거부민감성의 이해와 성경적인 대처방안 연구

        김준수 ( Jun Soo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3 복음과 상담 Vol.20 No.-

        To help explain maladaptive reactions to rejection, Downey & Feldman proposed a specific cognitive-affective disposition called rejection sensitivity. At the core of this disposition is the anxious expectation of being rejected by people who are important to the self, an expectation developed through exposure to serve and prolonged rejection. Those who are high in rejection sensitivity show a heightened tendency to anxiously expect, readily perceive, and intensely react to rejection. John Bowlby`s attachment theory helps to understand a cause of rejection sensitivity. John Bowlby devoted extensive research to the concept of attachment viewing that early experiences in childhood, specially strong emotional bonds to particular individual,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development and behavior later in life. Nevertheless the psychological research helps to understand the rejection sensitivity, this paper emphasizes the fact that It is the Bible that really reveals the true cause of it. To find the genesis of rejection, we go back to the beginning, to Genesis, and see that the roots of rejection harken back to the root of humanity, the first man Adam`s rebellious sin against God. However, God, through the cross of the Jesus Christ, granted our salvation and acceptance. The Gospel has the remedy against the fear and anxiety of rejection and, in order that happen, the positional sanctification needs to be emphasized. Knowing who we are in Christ, our positional sanctification, is the biblical key to getting over from the high rejection sensitivi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미성(Mi-Seong Kim),김광수(Kawng-Soo Kim),양곤성(Gon-Sung Y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와 두 변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 4~6학년 고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Johnson-Neyman기법을 활용하여 조건부 효과의 크기를 확인하고,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로 볼 때 부모지지, 교사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했으며, 거부민감성이 높은 집단 중 부모지지가 낮은 집단의 회복탄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개인 외적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거부민감성이 고수준이고 부모지지가 저수준 집단의 회복탄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결과는 높은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작은 어려움에도 쉽게 좌절하는 아동에게 부모지지가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4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F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Johnson-Neyman technique,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silience was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nd teacher support were significant, and the group with a low parental support among the groups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the lowest 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silience. The group with a high rejection sensitivity and low parental support showed the lowest level of resilience, which suggests that parental support is a necessary priority for children who are easily frustrated by difficulties due to high rejection sensi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