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정적 사건 발생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Lee, Hee Jung),강명수(Kang, Myung S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기업이나 브랜드에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부정적 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장기적 관점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상대적으로 단기적 관점의 브랜드 태도가 부정적 사건의 발생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손실 유형과 브랜드 성격에 따라 부정적 사건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부정적 사건 이후에 기업이나 브랜드 차원의 회복 노력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 손실 유형과 회복 노력 유형의 일치 여부에 따른 회복 정도를 살펴보았다. 부정적 사건으로 인한 소비자의 손실 유형은 경제적 유형의 손실과 사회적 유형의 손실로 구분하였으며 브랜드 성격에 따른 영향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성실한 브랜드와 흥미진진한 브랜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 부정적 사건에 대한 연구는 포괄적 부정적 사건에 대해 다루거나 기업 입장의 부정적 사건 발생 원인에 대해 다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라 소비자 입장에서 부정적 사건으로 인해 어떤 손실을 입게 되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부정적 사건으로 인해 받는 손실의 유형에 따른 영향력에 대해 알아본 데 의미가 있겠다. 본 연구는 총 8가지 종류의 실험 상황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두 가지 성격의 브랜드에 대한 평소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를 알아본 후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주는 두 유형의 부정적 사건을 제시하고 2가지 종속변수를 재측정하였다. 이후 부정적 사건에 대한 회복 노력의 두 가지 유형을 제시하여 2가지 종속변수를 측정하여 회복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적 사건은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성실한 브랜드가 흥미진진한 브랜드보다 부정적 사건에 더 민감하였다. 다음으로 부정적 사건 이후 회복 노력을 기울였을 때 긍정적 영향이 발생했으며 특히 경제적 유형의 손실을 주는 부정적 사건의 경우 회복 노력의 긍정적 영향이 더 높았고 부정적 사건의 손실 유형과 회복 노력의 유형이 일치할 때 소비자에게 더 긍정적 영향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reports strategies of coping with the inevitable crisis of brands or products. We research the effects of crisis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Specifically, we study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onsumer loss type and brand personality. Also we consider the effects of recovery action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s of the accordance of consumer loss type and recovery action type. The consumer loss types are economic loss and social loss. In prior research, consumers were more sensitive about economic risks. Thus, we suggest that a crisis resulting in consumers' economic loss affects more negatively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The brand personalities are sincere and exciting. This study examines hypotheses with 8 kinds of experimental situations (2 brand personality x 2 consumer loss type x 2 recovery action). After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crisis and recovery action, they evaluated the loss types caused by crisis and types of recovery action. We checked that the participants properl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loss types and recovery action types. As a result, a crisis affects negatively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effect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attitude by loss type of crisis. Also, as was hypothesized, a sincere brand is more sensitive to a crisis than an exciting brand.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recovery actions for consumer loss due to crisi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very of a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Concretely speaking, when an economic loss crisis occurs compared to when a social loss crisis does, the degree of recovery of the dependent variables is higher.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differentiated influences of consumer loss type of crisis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Also, we identified different influences of brand personality and the effect of the accordance of recovery action with loss type caused by a crisis. Thus, we insist that this research has merits in that it could identify the impact of the loss type of crisis, brand personality and recovery action type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 KCI등재

        ROSA/LSTF test and RELAP5 code analyses on PWR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accident with recovery actions

        Takeshi Takeda 한국원자력학회 2018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0 No.6

        An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the OECD/NEA ROSA-2 Project with the large-scale test facility (LSTF),which simulated a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SGTR) accident due to a double-ended guillotine breakof one of steam generator (SG) U-tubes with operator recovery actions in a pressurized water reactor. Therelief valve of broken SG opened three times after the start of intact SG secondary-side depressurizationas the recovery action. Multi-dimensional phenomena specific to the SGTR accident appeared such assignificant thermal stratification in a cold leg in broken loop especially during the operation of highpressureinjection (HPI) system. The RELAP5/MOD3.3 code overpredicted the broken SG secondarysidepressure after the start of the intact SG secondary-side depressurization, and failed to calculatethe cold leg fluid temperature in broken loop.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the ruptured SG tubesand the HPI system operation differ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primary and SG secondarysidepressures through sensitivity analyses with the RELAP5 code.

      • KCI등재

        특집논문 : 점유권의 상속과 상속회복청구권

        권순한 ( Soon Han Kwo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硏究 Vol.21 No.3

        점유권은 사실상의 지배로부터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점에서 사실과 권리의 양면성을 갖는다. 그런데 점유권은 상속인에게 당연히 이전한다는 민법 제193조 규정에 의해 상속인은 사실상의 지배 없이도 점유권을 승계취득하게 되므로, 점유권의 상속제도는 사실상의 지배 없는 관념적 점유개념에 기초하여 물권법상의 점유와는 달리 상속에 의한 포괄승계의 법리에 의하여 점유권 승계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그러므로 점유권의 상속은 점유권의 이전으로 보기 보다는 피상속인의 점유에 따른 효과를 상속인에게 직접 인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상속이 개시되면 상속인은 포괄승계의 법리에 따라 피상속인의 권리·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므로 진정상속인은 상속재산에 속한 개별적 권리를 바로 행사할 수 있으나, 진정상속인은 상속권을 침해하는 참칭상속인을 상대로 상속회복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고 권리의 제척기간을 규정하고 있어 이러한 상속회복청구권의 본질이 무엇인가가 문제된다. 이에 대해 판례는 집합권리설의 논리를 따라 상속회복청구의 적용대상에 해당하는 때에는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 등 개별적인 권리도 행사할 수 없다고 하나, 이러한 견해는 소유권이나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은 소멸시효의 대상이 되지 않는데도 기간경과로 그 권리가 소멸하는 근거가 있느냐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판례가 갖는 문제의 원인은 상속회복청구권을 본권에 관한 청구권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 보는 데 있다. 그러나 상속회복청구의 전제로서 상속권을 단일한 하나의 권리로 볼 것이 아니고 상속인으로서의 지위에서 나오는 개별 권리나 일정한 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상속회복청구권을 상속인이 가지고 있는 지위로부터 나오는 권리나 지위 가운데 민법 제193조에 의해 당연승계된 점유권이 참칭상속인에 의해 침해된 때에 그 회복을 구하는 권리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진정상속인이 참칭상속인을 상대로 점유물의 반환을 구하는 것은 상속회복청구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이 적용되나, 그 제척기간 경과 후에도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 등 개별적 청구는 별도로 가능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속회복청구권을 점유보호청구권의 본질을 갖는 것으로서 점유보호청구권의 특칙으로서의 성질을 갖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상속회복청구권과 소유권 등 다른 개별 권리와의 불균형이 해소되고 다른 제도와의 관계를 모순 없이 설명할 수 있으며, 반환청구의 유형에 따른 적용법규가 매우 간명하게 정리된다. The possessory right in Civil Law includes both a fact that one has an actual control on an object and a right that one can benefit legitimately in the position of a possessor. Civil Code Article 193 provides that the possessory right devolves on the inheritor in case of succession. The function of the provision is to guarantee the possessory right of the inheritor regardless of whether he acquires an practical control over the inheritance. As a result, the abstract possession of the inheritor is protected like a possessory right. The succession to the possessory right of the inheritor is not based on the possession system which protects actual control over the object but on the inheritance system which devolves the right, duty and legal position of an inheritee inclusively and the nature of succession is the continuance of the inheritee`s position. In the meantime, Civil Code Article 999 provides that if the right of inheritance is infringed by a person who pretends to have the right of inheritance,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of inheritance or his agent by law may bring an action for recovery of inheritance, but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shall lapse at the expiration of three years from the date he come to know the infringement, or ten years from the date the right of inheritance is infringed. According to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the inheritor`s individual claims such as a real action based on the ownership are not allowed after the exclusion period of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passed. But it has difficulty explaining why a real action lapses as the exclusion period passes when an inheritor claims recovery of inheritance, because a real claim based on the ownership does not have an extinctive prescription. This problem is caused basically because the precedents regard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as a claim on a comprehensive right that includes all individual rights on the inheritance. To solve this problem clearly and explain the relation with other systems compatibly, we should consider the right of inheritance - the premise of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 not as a single right but as a common name for individual rights or certain positions that come from the position of an inheritor. And we should consider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a right for recovery which an inheritor can assert when - among all of his rights and positions that come from the position as an inheritor - his possessory right that is succeed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Article 193 is infringed by a person who pretends to be a true inheritor. Consequently,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has the same nature of the claim for protection of possessory right and is the special provision of possessory title, and individual claims such as a real action based on the ownership should be allowed even if the exclusion period of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passed.

      • SCISCIESCOPUS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dentifying severe status requiring early entrance of SAMG considering human action time

        No, Young Gyu,Lee, Chanyoung,Hur, Seop,Seong, Poong Hyun Elsevier 2018 Annals of nuclear energy Vol.122 No.-

        <P><B>Abstract</B></P> <P>The margin of human action time from severe accident management guideline (SAMG) entrance to reactor vessel (RV) failure was analyzed to compare the required human action time and available human action time based on a severe accident DB developed using MAAP 5.02 code. In order to analyze the margin of human action time, dominant initiating accidents are selected, such as small break loss of coolant accident (SBLOCA), medium break (MBLOCA), large break (LBLOCA), and station blackout (SBO) which account for about 80 percent of core damage frequency (CDF), and the worst scenario was selected in each initiating accident. In the analysis of the worst scenarios, it was confirmed that a human might be fail to prevent RV failure due to insufficient action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 that can determine the SAMG entry condition in advanc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component state to function recovery procedure (FRP). To verify the developed method, a cas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scenarios that feed & bleed (F&B) and aggressive cool down (ACD) operations are not successful within limited time after entering the FRP. As a result, the developed strategy flow chart can identify the SAMG entry condition in advance, and provide a human with sufficient action time to mitigate severe acci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provide some insights for revising the SAMG, or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accident management procedures (IAMPs).</P> <P><B>Highlight</B></P> <P> <UL> <LI>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analyze the SAMG entry condition for PWR. </LI> <LI> The human action time needed to mitigate a severe accident can be insufficient in the worst scenarios. </LI> <LI> A strategy flow chart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component state to functional recovery procedures (FRPs). </LI> <LI> The developed strategy flow chart was verified by the simulations. </LI> </UL> </P>

      • KCI등재

        호텔레스토랑 서비스회복 공정성지각이 고객감정과 행동의도의 영향관계 연구

        이준재,안성근 한국외식경영학회 2010 외식경영연구 Vol.13 No.1

        Effective service recovery relationship with customer not only strengthening relationship with customer but also exchanging big trouble into small. Based on actual problem and need of managing restaurant service in hotel, this study shows purpose in academic and executive views related service restaurant encounter. Therefore it shows this study’s results below. First, in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justice and customers’ emotion which is extended related literature review, it has examined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recovery justice newly. Second, as this study analyzes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affected by service recovery justice through customer’s emotion empirically, it examines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recovery and customer attitude significantly. Third, this study shows implications in the view of practice as reviewing of importance about service – the core of hotel management and recovering strategy for increasing effect of service management. If making up this study’s limitation, future study will be better in service recovery justice of hotel restaurant by scientific and objective study methods.

      • KCI등재후보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엄훈 ( Hoon U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6 교육인류학연구 Vol.9 No.1

        이 글은 2004년 1년간 서울 소재 K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읽기 부진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실행 연구의 보고서이다. 연구자는 계획 - 실행 - 관찰 - 반성 - 수정된 계획의 반성적 사이클을 통해 K 중학교에서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내었으며 연구자 스스로도 읽기 부진 학생을 보는 안목의 성장을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초기의 시행착오를 통하여 적절한 읽기 부진 보충학습반의 규모를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고, 자기주도적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자기주도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하여 연구자는 학생들의 읽기 행동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은 독해 능력과 독서에 대한 태도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K 중학교에서의 국지적 경험을 다른 국면으로 확산이 가능한 매개적 지식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성찰적 글쓰기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실행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하게 되었다. This is an action research report on the experience of running a reading recovery class in K middle school in Seoul in 2004. As a teacher-researcher, I developed a successful model for running a reading recovery class in K middle school through reflectional cycle, and recognition of learners` potential as well as weaknesses. I came to realize that the appropriate number of members was 4 to 5 and that self-directed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was very effective. During this program I was able to observe students` reading behaviour and send appropriate feedback to them. As a result,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improved gradually and evidently. Reflectional writing on the experience of this action research provided a new cognition on the validity of action research. Through the ongoing reflectional writing, local experience can be converted into mediational knowledge which can be diffused into another context.

      • KCI등재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웰니스 회복 행동 계획 (WRAP)이 회복에 미치는 효과

        정숙희,주찬미,김선형,허수연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Mary Ellen Copeland를 중심으로 한 정신장애인 당사자에 의해개발되어 동료지원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자기관리기법인 웰니스 회복 행동 계획(WRAP) 프로그램을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대상으로 실시하고, WRAP이 정신장애인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를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한 후 8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회복평가척도(RAS)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맨-휘트니(Mann-Whitney)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한결과, WRAP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회복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WRAP이 프로그램이 회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회복자상담사 양성프로그램 개발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8년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 동료상담사 양성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강선경,박주원,상종열,김용근,심수현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aining program for recovery mentor based on peer counselor program of 2018 Kangwon Land Addiction Care Center (KLACC) in order to get practice-based knowledge.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such as "how was the training program for peer counselor of 2018 KLACC?" and "what would be the requirement of completion of training program for peer counselor?", and peer counselor programs performed two times were explored. An action research was adopted, in which long-term residents gamblers in recovery participated in education, research, and activities. As a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through the spiraling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reflection and re-execution, it was found that the peer counselor program was useful for fostering fellow mentors rather than peer counselor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roductiv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 it is necessary to adjust coordination among educational subjects, to offer an advanced course, and to activate self-help group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discussion and suggestions.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동료집단 회복 상담 기반 구축을 위한 현장기반 지식을 얻기 위해서 2018년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가 도입한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2018년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은 어떠한가?’, ‘2018년 동료상담사 양성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연구질문을 설정하고,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동료상담사 양성과정과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탐색하였다.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 반성과 평가 과정을 실행연구를 통해 고찰한 결과,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은 전문상담사(Counselor)보다는 동료 멘토(Mentor)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 과목 간 조정, 보충(심화) 교육과정 개설, 참여자 자조모임의 활성화가 뒤따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회복자상담사 양성프로그램으로서 2018년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 동료상담사 양성프로그램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는 한편, 본 연구가 가진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형 금융기관의 정리제도에 관한 국제기준과 법제화

        이영경 ( Young Kyung Lee ) 한국금융법학회 2018 金融法硏究 Vol.15 No.2

        2008년 리만 브라더스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세계 각국은 대형 금융기관의 질서정연한 정리를 위한 제도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와 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 등 국제기구들은 시스템적 중요 금융기관(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의 정리를 위한 권고와 원칙들을 발표하고 있다. G-20 정상회담에서 국제적인 기준으로 승인된 금융안정위원회의 핵심원칙(Key Attributes of Effective Resolution Regimes for Financial Institutions)과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권고사항(Recommendations) 및 금융안정위원회의 정리조치 역외 유효성 원칙(Principles for Cross-border Effectiveness of Resolution Actions) 등을 비롯하여, 여러 국제기준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이들 국제기준은 시스템적 중요 금융기관에 적용되는 정리제도를 제시하고, 각국이 이를 도입하여 정리제도를 수렴할 것을 기본으로 한다. 국제기준이 요구하는 정리제도는 정리권한기관을 명확히 정하고, 그 기관에 광범위한 정리 권한과 정리수단을 부여하도록 한다. 그리고 채권자 손실부담을 위한 베일인 제도, 사전 회생 및 정리계획, 금융계약의 조기종료권의 일시 정지권한이 정리제도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 사항으로 요청된다. 또한, 관련 국가 권한기관들의 상호공조를 위하여 정보교환, 협약권한 및 협력의무를 법에 명시할 것을 요구한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 다수의 부실금융기관의 정리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상 금융기관의 정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현행법제는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문제된 대형 금융기관의 정리가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서, 현재 국제기구들을 중심으로 한 논의에 뒤처져 있다. 최근까지 국제기준에 따른 정리제도에서 요구되는 핵심사항인 베일인 제도, 사전 회생 및 정리계획, 금융계약의 조기종료권의 일시 정지권한에 관한 법개정 작업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상당 부분은 입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권한기관들과의 정보공유, 협력의무 등에 대한 법적 근거도 미비되어 있어 시급한 개선을 요한다. 국제기준에 따른 정리제도를 마련하여 대형 금융기관의 효율적 정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국제적인 요구이다. 이에 대응함에 있어 국제 기준에서 요구되는 것들이 정확히 무엇이며 그러한 것들이 왜 요구되는지를 이해하고, 우리 나라에서 법제화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은 무엇인지, 우리법상 상충되는 점은 없는지, 만일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고민할 시점이다. 본고는 이 중 첫 번째 단계, 즉 국제기준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우리나라의 법제화와 관련한 문제점들을 개략적으로 짚어보았다. 향후 국내 법제화 방법과 우리법과의 조화를 이루는 방법에 관한 깊은 연구와 함께 대형 금융기관의 정리법제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이다. After the global crisis occurred from Lehman Brothers’s failure, consensus about the necessity for orderly resolution procedures of large financial institutions has been formed among countries and efforts for the same have been made on the international leve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Cross- Border Bank Resolution Group of Basel Committee and Financial Stability Board have issued recommendations and principles regarding resolution regime for the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ore content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nsider the Korean laws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dmit that it is possible for a large financial institution to be failed, and pursue orderly resolution of such institutions without disrupting markets, and enhance market discipline to overcome moral hazard problem. In order to achieve it, they request for countries (i) to make their domestic laws to have resolution regime for the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pursuant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cluding provision of broad resolution tool and key schemes such as recovery and resolution plan, bail-in and automatic stay on the early termination rights, (ii) to have mechanisms to support cross-border effect of resolution actions and (iii) to share information and cooperate among the national authorities. Korea has a resolution regime for insolvent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current law, but it needs to be improved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mong other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recovery and resolution plan and temporary stay on early termination right into the laws. In addition, clear legal ground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with the foreign resolution authority should be established. However, it is also required to consider whether there will be conflict with the current law in reflec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how to resolve it. It is anticipated to study in depth and discuss about such matters in amendment of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