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문식성 계발을 위한 내용문식성과 읽기 과제 모형 탐색

        박수자 한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 Vol.0 No.164

        This study explores theories of content literacy and disciplinary literacy in search of implications for reading content development, building on the reading competency concept and assessment framework of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8 that reflects the orientation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emphasized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close reading, complex texts, and multiple-document reading. The effects of generic literacy skills have been widely questioned by secondary subject teachers. A new disciplinary literacy theory asserts the need to balance content and literacy, going so far as to suggest unique literacy skills for subject content. PISA trends and advanced literacy instruction in disciplinary literacy theory, underlying readers’ roles and goals and authentic reading tasks, suggest models for content-area reading and content literacy instruction. In Korea, the psychological approach to reading competency, which still adheres to the 2015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be converted to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ext-based reading tasks with multiple documents. To do so requires empirical studies for reading task development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disciplinary specialists and literacy experts.

      • KCI등재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박주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ceptualization models of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through conceptual differences of these literacy by reviewing and defining the concepts of literacy as well as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Computer literacy has emerged a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since then, computer literacy has since changed to IT, ICT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ization model of the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was developed. In this model, these literacy whose term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a, have been classified as medium-centered literacy. And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utilizing, and evaluating texts and information is categorized as process-oriented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s a core competence to critically think and evaluate the texts that are on media,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duce the reading and the information gap among readers.

      • KCI등재

        기획 주제 : 문학과 독서의 상생적 조망 ; 문학교육과 문식성 신장

        이재기 ( Jae Ki Lee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2

        이 논문의 목적은 문식성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의 위상과 전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필자는 공시적·통시적 맥락에서 그동안 어떤 문식성이 제안되어 왔는지 살피면서 국어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문식성으로 자발적 문식성, 기능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식성을 신장시키는 데 있어서 문학교육은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 문학교육은 어떻게 기획되고, 실천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발적 문식성은 여가 시간에 또는 기꺼이 시간을 내서 텍스트를 읽는 독서 성향, 또는 독자의 태도를 의미한다. 자발적 문식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매력적인 독서 경험이 필요한 데, 문학 텍스트 읽기 경험은 가장 매력적인 독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적 문식성은 개인적·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읽기·쓰기 능력이다. 지속적인 문학 독서를 통해서 기능적 문식성은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다양한 문학 개념·지식이 ``소통의 맥락``에서 교육될때, 문학교육은 기능적 문식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문화적 문식성이 개인이 공동체 생활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문화 지식이라고 할 때, 문학교육 과정은 문화적 문식성 형성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비판적 문식성은 지배 담론으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한다. 문학 독서의 과정은 지배적 담론을 성찰하고, 폭로하고, 해체하는 과정이면서 지배 담론에 맞는 저항 담론을 구축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문학교육이 문식성 신장을 목표로 삼을 때, 현재의 문학교육 방법론은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먼저, 문학 텍스트와 정보 텍스트의 소통을 막는 완고한 영역 구분을 해체할 필요가 있다. 문학 독서 활동은 독자의 반응을 형성하고, 심화하고, 성찰하는 과정이다. 독자 반응의 형성·심화·성찰을 위해서는 독자, 텍스트, 맥락의 통기성을 강화해야 한다. 필자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문학교육 방법론으로 ``맥락 중심 해석 활동``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for literacies. I investigate which literacies have been suggested over time and space, and propose literacies Korean education should follow after, such as voluntary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And I argue how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planned and practiced to improve student`s literacies. Voluntary literacy means reading propensity or reader`s attitude reading text in leisure time or making time to read with pleasure. To improve voluntary literacy, it is needed to have charming reading experience and literary text reading experience is the most charming reading experience. Functional literacy mea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meeting the need of individual and society. To improve functional literacy it is needed reading literacy text continuously, and learning various literary concept and knowledge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Cultural literacy means the knowledge of culture needed for individual to participate in community life. Literary education is cultural literacy forming process in itself. Critical literacy pursues emancipation from the dominant discourse. Reading process of literary text is the process of reflecting, exposing and deconstructing the dominant discourse, and constructing resistant discourse against the dominant discourse. For literary education to contribute to student`s literacy improvement, current literary education methodology should be innovated. First, we need to deconstruct the stubborn domain division in korean language arts obstructing communication between literary text and informative text. Second, we need to strengthen the ventilation among reader, text and context to help reader`s forming, deepening and reflecting his/her responses. I propose ``context-centered interpretive activity`` as alternative literary education methodology.

      • KCI등재

        어머니 읽기동기와 출현적 문해능력 간의 관계에서 가정문해환경과 유아 읽기동기의 순차매개효과

        황윤세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6

        본 연구는 어머니 읽기동기와 출현적 문해능력 간의 관계에서 가정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유치원 만 4세와 5세 유아 377명과그들의 어머니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읽기동기, 가정의 문해환경, 유아의읽기동기, 그리고 출현적 문해능력 간에는 의미있는 관련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읽기동기는가정문해환경, 유아의 읽기동기를 통해 출현적 문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순차매개효과를 보였고 이를 검증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읽기동기와 가정문해환경은 유아의 읽기동기 그리고 출현적 문해능력 발달에 주요변인이라는 근거를 제시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Specifically, the dual mediating role of b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was observed. A total of 377 children aged 4-5, and 13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in Seoul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employing SPSS 27.0 and Amos 27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ding motivation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Second, mother’s reading motivation increase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s well as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findings indicate the critical role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dual mediated b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 KCI등재

        기획 주제 : 문학과 독서의 상생적 조망 ; 읽기 능력 평가의 현황과 과제 -문학 평가와의 유관성을 중심으로-

        김남희 ( Nam Hee Kim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2

        이 연구는 대규모 평가의 평가틀을 중심으로, 기존의 읽기 능력 평가가 측정하고자 하는 평가 내용을 검토하고 국제 동향과 비교함으로써, 읽기 능력전반을 충실히 평가하기 위해 읽기와 문학 평가가 공동으로 모색하여야 할 과제를 고찰하고 있다. 읽기 능력에 대한 온전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학 수용 능력을 포괄한 읽기 능력 전반에 대한 이론적 구도 설정과 세부평가 내용 구안 과정에서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 공동의 모색이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국내의 대규모 평가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대표적이다. 읽기 능력 평가의 국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평가로는 미국의 SAT와 OECD 주관의 PISA가 대표적이다. 학업성취도 평가를 제외한 국내·외 대규모 언어 영역 평가는 대체로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읽기 능력을 읽기 능력 일반의 범주에 포괄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평가틀 차원에서 읽기 능력과 문학 능력의 상관 관계를 명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기에, 이들 평가가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의 유관성을 적극적으로 요목화할 필요가 있다.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는 읽기 능력의 하위 영역에 대한 접근, 서사적 사고를 요하는 추론 능력의 강조,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에 대한 관심 등의 차원에서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관성을 고려하면서,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가 교육과정에 의해 구획된 영역 경계를 초월하여 인간의 읽기 능력전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들에 대한 공동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읽기 능력 전체를 조망하는 평가 구조를 이론 차원에서 구안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를 명확히 밝혀 평가의 구인 타당 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사고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추론 능력에 대한 평가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를 강조하는 최근의 읽기관 변화를 평가 구조와 평가 도구에 반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ject which both assessment of reading and assessment of literary should solve for rating general reading literacy. So I examined the contents of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made a comparison with global trend based on the frameworks of existing assess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re typical test for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in domestic scale. We also have SAT in U.S. and OECD PISA for international test of reading literacy assessment. These kinds of tests classified reading literacy on literary texts as a category of general reading literacy. Therefore I tried to prove the relevance betwee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in this study. Regarding such relevance, following items should be investigated i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together. 1) Framework to cover the whole phase of reading literacy should be established theoretically through proving of fundamental elements of reading literacy. 2) We should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for assessing the inferential process like narrative thinking. 3)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reading is important as social act.

      • KCI등재

        직무독자 에대한탐구

        이형래 ( Hyeong Rae Lee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6

        이 연구의 목적은 직무독자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직무독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직업문식성 개념을 규정하였다. 직업문식성은 직장에서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직업문식성은 모든 직무 수행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읽기 문식성은 직업문식성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이다. 읽기 문식성을 탐구하는 것은 직무독자를 탐구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읽기 문식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직무독자의 직무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나 읽기 문식성, 직무독자의 개념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먼저 직업의 일과표와 직무독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세 종류의 직업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직무독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독자에게는 고도의 읽기 문식성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세 종류의 직무에 요구되는 읽기 문식성은 기능적 직업문식성과 비판적 직업문식성과 관련되어 있다. 이 분석을 통해 직무 독자에게 요구되는 자질로 기능적 직업문식성과 비판적 직업문식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사실들을 통해 성인 독자를 위한 읽기 문식성 교육이나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직무독자를 위한 현재 직업문식성 교육이나 연수가 유능한 직무독자를 계발하는 데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등수준의 국어사용 능력, 능동성, 책무성, 학습, 읽기 전략과 초인지 전략, 자기 조정 등과 같은 6가지 항목들은 직무독자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데 안내 구실을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갖고 있다. 첫째, 직업문식성이나 직무독자에 대한 논의가 기업이나 국가의 인적자원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된다는 점이다. 둘째, 직무독자의 기능적 직업문식성과 비판적 직업문식성의 개념 정립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자기 계발을 할 수 있는 정보로 작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 characteristic of workplace reader. To analyze a characteristic of workplace reader, Job literacy was conceptualized. Job literacy directly related to the ability to effectively do workplace reader`s duties. Therefore, it is crucial for all job practician. Reading literacy is a main concept of job literacy. To explore Reading literacy is to explore workplace reader. Whatever importance of Reading literacy, there has been the lack of interest in identifying the concept of workplace reader and reading literacy and in discussing its significance for the workplace reader`s duties. This study first analyzed three kinds of jobs, using an analysis tool that includes two sectors called a daily schedule, characteristic of workplace reader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some quality of workplace readers to do duties. The result showed that workplace readers require a high level of reading liter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ata, reading literacy of three kinds of job was especially related to the functional job literacy and critical job literacy. Through these analyses,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readers. All findings and discussions in the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reading literacy training is necessary for adult in the workplace. It meant that the current job literacy education for the workplace reader did not work for enlarging the most qualified workplace readers. The following list of 6 items provides a basic guide to workplace readers: Higher-level korean language ability, activeness, responsibility, learning, reading strategy and metacognition strategy, self-regulation. The findings also provided some implications. First, the concept of reading literacy and job literacy discussed in this study would be a meaningful foundation for companies to develop plans for human resources. Second, through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of the workplace readers were identified, and it would be helpful information for self-enrichment of workplace readers and educating the individual workplace readers.

      • KCI등재후보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위험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주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2

        Reading is important tool to acquire required information for social life and school study and make unified lingual system with closed relation to speaking and writing. No proper educational measures to children with difficulties to reading shows high possibility to be diagnosed and identified as reading disabilities later. Those children are at risk reading disabilities. This study designs and applies balanced literacy program with diverse activities not by unilateral aspect but by complementary aspect of pronunciation oriented teaching method and total lingual approach for conception progress of at risk reading disability children's reading. In this study, balanced literacy program unifies reading activities reasonably and includes teaching method of reading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All three children made progress of reading ability in the phase of intervention than in baseline phase and preserved in maintenance phase. Diverse activities of reading segment based text writing and letter practice activities in balanced literacy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본 연구는 발음중심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 중심 교수법을 결합한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와 비단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3명의 읽기장애 위험아동 모두 단어 읽기능력이 기초선 단계보다는 중재 단계에서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유지 단계에서도 유지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와 비단어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김남희 ( Nam Hee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terest on the change of literacy environment which has been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discuss the 21C Korean competence. The interest on these kinds of change are well shown in the reading assessment in OECD PIS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ding literacy which are required to the 21C peopl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eory, framework and items of PISA 2009 reading assessment. First, existing arguments which have studied the change of literacy environment were examined. There are many kinds of existing arguments defined new era as new media age and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ew literacy concept. Multi literacy and multi-modal literacy are typical examples of these arguments. Arising arguments which emphasize the new literacy have a tendency on the critical literacy study on the focus of social function of literacy. On the contrary, other argumentations define these change as the aspect of the late age of print and insist integrative approach of old literacy and new literacy. Reading literacy in PISA covers both perspective. Especially, PISA DRA reveals that critical thinking is the key factor on digital literacy. Hypertext reading that is comprised of text processing and navigation is also regarded as key factor on digital literacy. Therefore, the change in literacy environment doesn`t mean the variation of core meaning of required reading literacy. It is strongly required to develop the ability of making meaning and critical literacy for text to fulfill the Korean competence for 21C. It is just needed to get familiar with the diverse channel that classify the meaning of text in considering of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xt.

      • KCI등재

        패턴 북(Pattern Books) 읽기를 통한 초등학생 영어 리터러시 향상 연구

        권은희(Kwon, Eun-hee),박성수(Park, Seong-soo)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4 초등영어교육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appropriate and easily applicatory method for developing English literacy of middle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s intend to examine research questions such as the effect of reading patterned books on literacy development and affective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To figure out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the researchers design the study which consisted of 12 lessons from May to July, 2012. Forty-seven four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no control group. Main materials for lessons are patterned books. Reading activity is focused on oral reading such as reading aloud and shared reading including echo reading, choral reading, and cloze reading. For the affective domain including degrees of interest,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learning, students are suppos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for the study. For the cognitive domain, results of reading test including alliteration and rhyme awareness, reading comprehension, oral reading and writing test are analyzed quantitatively. Through this study, it is uncovered that reading patterned books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early literacy and affective domain of middle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re shown in means of learners' test results. Since 3rd and 4th graders begin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ading patterned books can create interest, meaningful context and examples of authentic language use. Reading patterned books can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arly literacy skills and prepare them in becoming fluent reader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y at the initial stage of learning is pivotal in becoming an independent reader. Therefore, it is crucial for educators to pay attention to and trace students' process of literacy development using running records to keep track of their progression.

      • KCI등재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김유미 ( You Mi Kim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학습자의 기능적 문식성(functional literacy)과 비 판적 문식성(critical literacy)을 균형 있게 신장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 현재의 비판적 읽기 교육은 국어교육 초기 에 비해 외연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글을 읽고 내용의 타당성 이나 표현의 효과성, 자료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기능 중심의 활동이 주된 교수.학습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의 결과가 원리나 방향 제시 수준 에 머물러 있으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 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판적 담화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관점과 방법을 읽기 교육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담화분석은 담화분석 연구의 한 유형으로서 사회적 권력 남용, 지배, 불평등이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말이나 글에 의해 구현되고 재생산 되고 저항되는 방식을 연구하는, 비판적 사회학의 접근법 중 하나이다. 비판 적 담화분석은 텍스트의 언어적 실현 양상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관련지어 이해하게 하고 그 속에 담긴 공동체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신념 등을 인식하 고 비판하게 함으로써 텍스트와 독자의 인지적 작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비판적 담화분석의 개념, 원리, 방법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 고 이것을 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의 절차를 ‘인식 확장’, ‘비판적 담화분석 실행’, ‘확인 및 내면화’의 3단계로 구안하였다. ‘인식 확장’ 단계에는 ‘언어 사용(읽기)에 대한 인식’과 ‘자기반성적 점검’을, ‘비판적 담화 분석 실행’ 단계에는 ‘언어적 실현 분석’, ‘사회적 맥락 분석’, ‘언어적 실현과 사회적 실재의 연관성 해석 및 문제점 비판’을, ‘확인 및 내면화’에는 ‘분석 결과의 표현 및 확인’과 ‘학습 내용 내면화’를 세부 내용으로 구성하고 각각 에 적합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안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에 참가한 81명의 학생들 중 61명을 재선정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한 실험은 61명의 학생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내용의 수업을 수행하고 그들의 비판적 읽기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첫 번째 집단에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수업을, 두 번째 집단에는 기존의 학습방식에 따른 비판적 읽기 수업을, 세 번째 집단에 는 비판적 읽기와 무관한 외래어 표기법 수업을 수행하였다. 총 3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에게 동일한 논평을 읽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제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내용 분석 을 하여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new contents and methods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improve their critical literacy. At present, the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s mainly centered on those activities aimed at evaluating the validity of contents, effectiveness of expression, appropriateness of materials, etc., while putting a less focus on the context of texts or their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a principle and method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should be also applied to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bias in the current reading education and keep a balance between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this study, the procedure of such reading education consists of three stages; “expanding recognition”, “practic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ascertainment and internalization” In more detail, the stage of expanding recognition includes “recognition on language use (reading)” and “self-reflective monitoring”. The next stage of practic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composed of “analysis of linguistic realization”, “analysis of social contexts” and “interpretation of connection between linguistic realization and social reality”. And, the last stage of ascertainment and internalization consists of “expression and ascertainment of analysis results” and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newly devis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61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81 ones who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tudy,and the critical reading classes were carried out for them. This test for verification wa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ose 61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receive different classes from each other. The first group was involved in a reading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second group was placed in a critical reading class according to an existing learning method, and the third group took a spelling class,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critical reading. After those classes were performed a total of three times, 61 students were given the same articles and ask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m. Then, we came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hibited an educational effect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on task performanc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when reading the article, thos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e contents, expressions and structures of the article in an overall aspect and criticizing it based on logical and objective grounds. They went so far as to figure out even social cognition embedded in texts by understanding them in social contexts, and express meaning construction in a more logical and systematic way after critical rea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tailed method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which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recent times. It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students`` critical reading performance aspects empirically, find out problems, and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result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actual classes, which has emerged as a relatively new field of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ircles, and applied it to teaching and learning area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