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최정순(Jeong-soon, Choe),윤지원(Ji-wo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rough analysing the aspects and issues of each field in Korean Education and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Before that,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by the criteria and procedure will be done. To do that,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as refined. In this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defined as ‘Korean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Korean from entering the University to graduation’ which included from general Korean to study skills needed in academic situation.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ntil 2011 are 209(104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Doctorate, 105 academic journal papers). They were analysed after classifying by the year and the category, by the topic(present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evaluation), and by the research method(data analysis, needs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Research papers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presented less than 10 pieces every year from 2000 to 2005 but from 2006 more than 10 papers were presented every year. Furthermore when it was compared total papers presented between 2000 and 2011, they were increased about 40 times in 10 years which indicates that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ill constantly b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topic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present condition, evaluation in order were studied. In language skill field, ‘writing’ was mostly studied and ‘vocabulary and grammar’,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as follow. Lastly,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needs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complex analysis’ in turns were researched. This paper suggests 4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must be clarified clearly. It is needed a profound discussion on detailed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matter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related to employment and specialities. Secondly, diverse materia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evaluation tools must be developed.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various reading material in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text books for improving writing skill specified by the speciality like writing report, text book development or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Thirdly, research for association between other skill to make not to lean too much toward on one skill must be needed.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in Korean study after acquiring certain level in proficiency. Such as writing and reading skill, writing and speaking skill, writing skill and listening skill, appropriated association with other skills and balanced research in language skill area must be studied.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is differentiated by the area of speciality. Fourthly,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 vari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must be reconsidered.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leaned too much on data analysis and analysis of study skill. For more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 must be found through the diverse research method. 본고는 2011년까지의 한국어교육 연구 중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결과물들을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구분하고 정리하여 각 영역 연구의 쟁점과 양상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개념부터 재정리하였다. 본 고에서는‘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않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입학 전부터 졸업할 때까지 학업 수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모든 한국어’를 ‘학문 목적 한국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는 ‘공통 한국어’에서부터 대학(원)학업 상황에서 필요한 학업 기술(study skills)까지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범주 또한 교양ㆍ전공 별로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다. 2011년까지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총 209편(석ㆍ박사 학위 논문 104편, 학술지 논문 105편)이다. 먼저 연도별ㆍ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다음 주제별(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내용, 방법, 자료, 평가)로, 그리고 연구 방법별(자료분석, 요구분석, 학습 기술 분석, 현황분석)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2000년에 학술지 논문을 시작으로 2005년도까지 1편에서 9편으로 매년 10편 이하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6년부터 해마다 약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0년과 2011년의 전체 논문 편수를 비교하면 10년 사이 약 40배 이상이 증가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 분야 연구가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내용, 방법, 자료, 현황, 평가 관련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 기능 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쓰기’ 영역의 연구가 압도적이며, ‘어휘 및 문법’, ‘읽기’, ‘말하기’, ‘듣기’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연구 방법별로 분류해보니, ‘자료 분석’, ‘학습 기술 분석’, ‘요구 분석’, ‘현황 분석’, ‘복합 분석’ 순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총 네 가지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 정립이 명확해져야 한다. 한국어 특수성을 고려한 상세 구분 및 대상의 문제, 전공 및 취업과의 연계를 통한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필요하다.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 수준의 다양한 읽기 자료라든지, 보고서 등 전공별 특성화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토론 및 발표 능력의향상을 위한 전략이나 교재의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연구 및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어느 한 기능에만 편중되지 않고 기능 간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어느 정도의 숙련도를 갖춘 상태에서의 한국어 학습은 더 이상 분리적일 수 없고 통합적인 접근이 절대적이다. 즉, 쓰기 기능과 읽기 기능, 쓰기 기능과 말하기 기능, 쓰기 기능과 듣기 기능 등 다른 기능 영역과의 적절한 연계와 함께 균형 있는 기능 영역 연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공 영역별로 차별화된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을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연구 방법의 다양화 및 협업연구의 필요성을 재인식해야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은 자료 분석 및 학습 기술 분석에만 너무 치우쳐 있다.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연구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결과가 도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나치게 큰 주제를 선정한다든지, ‘학문 목적’ 다음에 이어지는 반복적이고 비슷한 주제 연구, 당위성 주장 및 이론 소개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주제나 문제들을 찾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연구 -다양성 및 난이도를 중심으로-

        심재경,강민석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with a focus on text variety and text difficulty,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investigating text variety, we examined themes, functions, and genres of texts in three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nd for measuring text difficulty, we constructed three corpora(reading materials in intermediate textbooks, advanced textbooks and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then statist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ext difficulty of them through sentence length, word difficulty, and ending(eomi) difficul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were concentrated on the ‘humanities/social’ domain, informative function and the commentary genre. And the text difficulty of th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was same as the difficulty level of the general purpose-advanced textbooks.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at the difficulty of the Korean read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s needs to be subdivided, and the text diversity should be increased.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내 읽기 텍스트의 다양성과 난이도를 살펴보고, 이를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상황에 비추어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3종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내의 읽기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주제, 기능, 장르의 다양성을 분석하였고,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텍스트 말뭉치와 일반 목적 한국어 읽기 텍스트 말뭉치를 구축하여 문장 길이, 어휘 난이도, 어미 난이도를 통해 텍스트 난이도를 산출, 그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텍스트는 ‘인문/사회’ 영역의 주제, 제보적 기능의 텍스트, 설명문 장르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텍스트 난이도는 일반 목적 고급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수준과 일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텍스트는 현재의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일반적 등급에 맞게 최소한 중급 수준에서부터 선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텍스트의 다양성의 제고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과 일본어교육에서의 학문 목적 쓰기 교재 분석

        혼다 토모쿠니,김인규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new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this,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on which few studies with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have been conducted so far. The reason is that it is thought that Japanese education shares much similarity with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a Korean writing textbook for Academic Purposes and Japanese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Three categories of analysis are employed for this study: basic writing, basic organization of text, and assistant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extbooks. Based on these categories, one Korean writing textbook and four Japanese writing textbooks are analyzed. The textbooks from two countries are almost same, but they are different in approaches to types of exercises and learning contents. Especially, in terms of assistant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Japanese writing textbooks focus more on materials for teachers, which help them use textbooks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writing textbook focuses more on materials for learners such as various glossaries compared with those of Japanese. 본고는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모색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비교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학문 목적을 위한 일본어교육에 관심을 두었다. 그 이유는 언어적․문화적 유사점이 많은 일본어교육에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연구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와 학문 목적 일본어 쓰기 교재를 분석하였는데 분석 범주는 ‘글쓰기 기초, 글의 기본 구성, 교수ㆍ학습 지원 기능의 세 가지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쓰기 교재 한 권, 일본어 쓰기 교재 네 권을 분석하였다. 양국의 교재는 대동소이하지만 연습 문제의 유형, 학습 내용에 대한 접근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교수ㆍ학습 지원 기능에 있어서는 학문 목적 일본어 쓰기 교재가 교사 지침에 강조를 둔 반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는 일본어 쓰기 교재와 비교하여 볼 때 다양한 용어집을 제공하여 자료적인 측면을 더 고려하였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홍은실,박현정,조수진,민병곤,안현기,오예림,강석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어 교육 Vol.27 No.4

        Eunsil Hong, Hyunjeong Park, Sujin Cho, Byeonggon Min, Hyunkee Ahn, Yelim Oh & Seokhan Kang. 2016. The Needs Analysis of Korean Speaking Test for the Academic Purpos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7-4: 243-2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ed groups’ needs for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Two hundred twenty nin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ne hundred three professors who have taught foreign students, and forty one university institutional staff members whose work is related to foreign students have taken part in the survey. The direction for testing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needs survey.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speaking test for the academic purposes should be adopted because the tests for the general purposes could not cover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foreign students. Also the criteria for the test are needed to be set up to mitigate the perception gap of interested groups’ academic speaking proficiency. Futhermore, we reviewed various constructs beyond linguistic competence and considered test takers’ background variables when we develop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의 구성 요소 연구

        전형길(Hyeoung Gil Jeon),박진욱(Jin Wook Park) 한국어학회 2011 한국어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fine and establish elements of the thinking skil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has rapidly increased and this poses demands for a differentiated and more specific curriculum. Nowadays teaching materials and syllabuses for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have been developed, yet showing many problems about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systemicity of the curriculum. This article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ourse communities and its context in order to define first the concept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second to establish the elements of thinking skil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is study suggests three types of thinking skills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e first one is the thinking ability required for academic communication. Thinking ability can be defined as the knowledge that combine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the thinking skills needed to process such knowledge. The second one is language use ability. It makes possible to understand or express meaning in the academic context. Language use ability indicates the ability to use distinct language skills and even integrated language skills in the academic discourse. This article took into consideration that academic discourse can be performed all over individual and social domains. The last one is study skill, considered as a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kill for a proficient academic performance. The three kind of thinking skills suggested by this articles are presented as theoretically grounded.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 연구: 설명 텍스트를 중심으로

        형재연 한성어문학회 2022 漢城語文學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for educational contents and direction of expository texts intended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by analyzing the structures of and markers on expository texts i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One of the writ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required by universities is ‘exposition’. Research in Korean writing education have already covered contents about ‘exposition’, and relevant research results are constantly presented.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focusing on ‘expository texts’ i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In this study, therefore, three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published by university pres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ith a focus on ‘expository texts’ amo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contents method of expository text’, ‘types of expository text development’, and ‘markers on expository text’ were used as criteria for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ed for a syllabus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methods of developing structures of expository text. Seco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goals and content categories between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nd writing textbooks for Koreans. Third, contents about writing procedure were needed in the types of expository text development. Fourth, there was a need to reinforce the contents about the markers on expository text. Fifth, there was a need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information ethic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of expository texts for Korea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본고는 학문 목적의 쓰기 교재 내용 중 설명 텍스트의 구조 및 방식과 표지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명 텍스트의 교육 내용과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문 목적의 작문 기술 방법 중 하나는 ‘설명’이다. 한국어 교육 분야의 쓰기 연구는 이미 ‘설명’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연구 결과물도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학문 목적의 쓰기 교재의 ‘설명 텍스트’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대학 기관에서 출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3권을 선정하였다. 교재의 내용 중에서 ‘설명 텍스트’를 중심으로 ‘설명 텍스트의 구조’, ‘설명 텍스트의 전개 방식’, ‘설명 텍스트의 표지’를 준거 삼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설명 텍스트의 구조에 대해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수요목이 필요했다. 둘째, 학문 목적의 한국어 쓰기 교재와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교재의 목표와 내용 범주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설명 텍스트의 전개 방식 중 쓰기 절차에 대한 내용의 보완이 필요했다. 넷째, 설명 텍스트의 표지에 대한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정보 윤리에 대한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설명 텍스트를 교수-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저작권법상 수업목적 저작물의 이용과 보상금의 분배

        박성호 한국정보법학회 2018 정보법학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compensation in case of using copyrighted works for teaching purpose. Article 25 (4) and Article 31 (5) of the Copyright Act stipulate that copyright is limited if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In such cases, a person who uses the copyrighted work under a copyright limitation will have a statutory license, which obliges him to pay compensation. There are four types of obligation to pay such compensation. First, it is the compensation that occurs when a work is in a school textbook pursuant to Article 25 (1) and (4) of the Copyright Act. Second, it is the compensation that arises when a copyrighted work is used for teaching purposes pursuant to Article 25 (2) and (4) of the Copyright Act. Third, it is the compensation that arises when a copyrighted work is us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teaching according to Article 25 Clause (2) and (4) of the Copyright Act. Fourth, it is the compensation that arises when a work is used in the library pursuant to Article 31 (5) of the Copyright Act. Of these four types, this paper only deals with the second type of compens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two parts to examine “whether to distribute compensation to the publisher in the case of using a work for teaching purposes”(part II), and “how to use the non-distributable compensation for the public interest purposes”(part III). These two parts are all related to problems that have not yet been solved around the distribution of compensation in the case of using a work for teaching purposes.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we have not yet solved the problem of such compensation for teaching purpose. First of all,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ute of law, under which historical background the Article 25 (2) and (4) of the Copyright Act was made. Seco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evaluate Article 25 (2) and (4) of the Copyright Act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 hope this paper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reflection on the lack of research so far. 본 논문의 목적은 저작권법에 따라 수업목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한 경우 그 보상금 의 분배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저작권법 제25조 제4항과 제31조 제5항은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저작권이 제한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때 저작권의 제한에 따라 저작 물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법정허락(statutory license)에 따른 저작권 보상금의 지급의 무가 생긴다. 이러한 보상금 지급의무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교과용 도서 보 상금(제25조 제1항과 제4항), 둘째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제25조 제2항⋅제4 항), 셋째 수업지원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제25조 제2항과 제4항), 넷째 도서관 보상 금(제31조 제5항)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네 가지 유형 중 둘째 유형의 보상금만을 연 구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의 설정출판권자 등에 대한 분배 가능성’(II)과 ‘미분배 보상금의 공익목적 사 용방안’(III)에 대해 검토한다. 이렇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하는 부분은 모두 수업 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을 둘러싸고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과 관련이 있다. 네 가지 유형의 저작권 보상금 중 특히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을 둘러싸고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쟁점이 적지 않은 원인 중의 하나는 저작권법 제25조 제2항⋅제4항의 입법적 원점으로 되돌아가 제도 자체의 취지를 고찰하고 분석하는 입법사 내지 조문 성립사에 관한 연구의 부족에서 연유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이 이 러한 법제사적 관점, 그리고 이와 관련된 비교법적 관점의 연구에 하나의 단초가 되 었으면 한다.

      • KCI등재

        교재 분석을 통한 전공 기초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박지영(Park, Jiyoung)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books for learners of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is divided into language for general purposes and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This article deals with textbooks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for learners who entered university and are facing major learning. Foreign students have the greatest difficulty in lack of knowledge about the basic content of major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fter entering university. Recentl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in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so that they can acquire basic knowledge to take courses in university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apable of understanding lectures according to the needs of learners. However,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culture classes, speaking and listening for lecture listening and presentation, 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report writing.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d on textbooks to understand the basic content of major subjects as a specific academic purpose and improve more than advanced Korean proficiency. This article aims to make proposals to develop a new textbook by analyzing and evaluating previously developed textbooks.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unit structure of the textbook is appropriate for the basic curriculum of major learning the content i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textbook is useful to improv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 KCI등재

        한국어교육 성장기에 편찬된 영어권의 군사 목적 한국어교재에 대한 연구

        고경민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Korean textbooks for military purposes that had been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until 1988, which had become the foothold of the international growth peri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Following the 1944 liberation, Korean textbooks for military purposes were actively compiled until the 1970s, most of which were published in the U.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books for military purposes during this period, which was the intermediate period between the beginning of Korean textbook compilation, started by Japanese researchers and Western missionaries some 100 years ago, and the present day.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books, such as the purpose for compilation,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composition, by analyzing their particular objectives, e.g., military purposes.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and it is envisag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about this period and fill the prevailing gap in the literature.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의 성장기라 할 수 있는 해방 이후부터 대내외적 성장의 발판이 된 1988년 이전까지 간행된 영어권의 군사 목적 한국어교재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사 목적의 한국어교재는 해방 즈음인 1944년부터 시작해서 1970년대까지 활발히 편찬되었는데, 특히 군사적 협력 관계인 미국에서 주로 간행되었다. 근현대 일본인 연구자와 서양인 선교사에 의해 시작된 한국어교재 편찬이 100여 년의 시간을 거쳐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태동기와 안정기의 중간에 성장기가 자리 잡고 있다. 그렇기에 성장기의 교재에는 교수법이나교수요목, 교재 구성이나 교재 내 활동 등 근현대 교재가 지금의 교재로 이행되는 과정의 중간 모습을 담고 있다. 한국어교재에 대한 연구는 그간 근대 중심의 통시적 연구와 2000년 이후간행된 교재의 유형, 분석, 개발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근대와 현대 한국어교재의 가교 역할을 충분히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교재에 대한 연구는 여러 사유로 연구자들의 관심과 조명을 받지 못했다. 특히 대내외적 관심이 집중되었던 19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의 설립과 유학생의 증가, 정부의 지원 등 한국어교육이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는데 1945년부터 1988년까지 간행된 교재들은 이 중 어느 시기에도 포함되지 못해 실질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이 시기 편찬된 한국어교재 가운데 특수 목적으로 분류되는 군사 목적 한국어교재 몇 종을 분석하고, 이를 편찬 목적, 교수법, 교재의 구성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재 연구의 공백기라 할 수 있는 이 시기 교재에 대한 기초자료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KTX 이용목적별 만족도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지남석,이건호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3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pattern of Daejeon KTX station users based upon their purposes of using KTX. The analysis results summarized the following. Firstly,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purposes of using KTX were ranked in order of Business(42.9%), Social activity(38.0%) and Tourism and leisure(19.2%). Secondly, Users recognize that Punctuality(4.17)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hoose KTX and also Punctuality(3.79) provided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satisfaction. Thirdly, the analysis result of influential factors of satisfaction shows that satisfaction with comfortableness provided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all purposes of using KTX. Lastly, the comparison result of influential factors based upon purposes of using KTX shows that satisfaction with comfortableness provided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satisfaction for business purpose, while satisfaction with safety provided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satisfaction for tourism and leisure purpos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is very important strategy to vitalize public transportation by inducing continuous use of customers. This study regards it as meaningful to analyze customer satisfaction in detail based upon purposes of using KTX and expand the perspective of the existing studies. If further studies which reflect improvement of service and satisfac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are developed, strategies which effectively vitalize public transportation can be derived. KTX는 2004년 개통 이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역간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 해 왔다. 앞으로 고속철도가 확대 개통될 경우, 그 영향력이 증대될 것으로 예측된다는 점에서 이용자 서비스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KTX 대전역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목적에 따른 만족도와 영향요인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TX 이용목적은 ‘비즈니스’가 42.9%로 가장 많고, ‘친교’가 38.0%, ‘관광레저’가 19.2%로 파악되었다. 둘째, KTX 선택에 있어 이용자들은‘정시성(4.17)’을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으로 인식하고, 만족도 역시 ‘정시성(3.79)’이 가장 높았다. 셋째, 만족도 영향요인을 검토한 결과, 3개 이용목적 모두 쾌적성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용목적별 영향요인 비교 결과, 쾌적성은 비즈니스 목적에서, 안전성은 관광레저 목적에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관점을 확대하여 이용목적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를 개선함은 향후 지속적인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서비스 제고 전략이 될 수 있다.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서비스를 증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지속됨으로써 지역간 이동수단으로서의 대중교통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