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여론과 외교정책: 국민의 역사 인식, 정치적 환경,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박명희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공간 Vol.34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perceptions of the people of both Korea and Japan,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 framing by the government that shapes public opinion on foreign policy. This study uses the issues of comfort women and Koreans forced laborers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1910-1945) as examples. It also uses the results of a Korea-Japan Joint Public Opinion Poll conducted by the East Asian Institute (EAI) and Genron NPO from 2013 to 202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less of the government’s foreign policy, the comfort women issue remains the most significant historical matter for the Korean people, and the textbook issue for the Japanese. Changes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are driving public opinion in both countries. The framing of diplomatic issues by policymaker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their people. In Japan, the government’s framing of the issues of comfort women and forced labor was found to be accepted by public opinion. It mean that the public opinion on individual issues needs to be interpreted in the political context of each country and public opin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한일 양국에서 외교정책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는 양국 국민의 고정적 인식, 정치적 환경, 정부의 프레이밍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위안부합의, 강제동원피해자 문제를 사례로 살펴보았으며, 2013년부터 2023 년까지의 한국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겐론(言論)NPO의 「한일국민상호인식조 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간 해결해야 할 역사문 제로 한국 국민에게는 위안부 문제, 일본 국민에게는 한국의 역사 교과서 문제가 고정적 인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둘째, 정치적 환경변화가 위안부 문제, 강제동원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양국의 여론을 견인하고 있다. 셋째, 정책결정자의 외교 현안에 대한 프레이밍이 자국민의 인식 틀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정부의 위안부 문제, 강제 동원피해자 문제에 대한 프레임이 그대로 여론에 수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개별현안에 대한 양국 국민의 여론은 각국이 가지는 정치적 맥락 하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으며, 양국 정부의 노력 여하에 따라 여론이 바뀔 수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사전지식과 뉴스 프레임이 공중의 태도와 소셜 미디어 의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드 이슈를 중심으로-

        김미경,이은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7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public attitude and social opinion participation of Thaad issue by the combination of prior knowledge(high/low) and news frame(positive /negative). This study set 2×2 factorial desig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news frame is more leadingly influenced to issue relevant involvement, one factor of public attitude than prior knowledge. The news consumers of low-prior knowledge and positive news frame showed high issue-relevant involvement. In the other factor of public attitude, value relevant involvement, prior knowledge level and news frame affect interactively. The value relevant involvement is high to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negative news frame. Politic relevant involvement is leadingly influenced by news frame.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positive framing news is strongly involved politically. Secondly, the consistency of attitude is affected leadingly by news frame.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positive framing news is expected to keep consistent attitude. Thirdly, in the social opinion participation behavior such as ‘like’, ‘post’ and ‘share’, only ‘post’ is leadingly influenced by prior knowledge and ‘like’ and ‘share’ is leadingly affected by news frame. 본 연구는 ‘사드’에 대한 지식의 고/저와 뉴스 프레임의 긍정/부정의 각 조합이 이슈에 대한 태도와 소셜 의견 참여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2 계승(factorial) 설계를 통해서 한 축은 메시지 프레임을 다른 축은 사전 지식의 정보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슈관여측면에서 사드에 대한 지식이 낮은 사람들은 뉴스 보도 논조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높은 이슈관여도를 보이고 있다. 연구결과 사전지식이 낮고 긍정적인 뉴스를 읽은 연구 참여자들의 이슈관여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가치관여에는 사전지식수준과 뉴스보도 논조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지식이 높고 부정적인 뉴스를 본 사람의 가치관여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정치관여는 사전지식 수준 보다는 뉴스 보도의 논조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전 지식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뉴스를 읽은 연구 참여자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태도의 일관성에서는 뉴스 보도 논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전지식이 높고 긍정적인 뉴스를 접한 사람들이 태도를 일관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셋째, 소셜 의견 참여를 좋아요, 댓글달기, 공유하기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사전지식 수준에는 댓글달기가 영향을 받았으며, 좋아요와 공유하기는 뉴스 보도 논조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언론의 정파성과 국가이익

        최종환(Choi, Jong Hwan),김성해(Kim, Sung Hae),이현주(Lee, Hyun Ju)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1

        1950년 한국전쟁 발발직후 한국은 작전역량 부족이라는 이유로 전시작전권을 미국에 이양했다. 2006년 9월 노무현 정부는 미국과 전작권 환수에 합의하였지만 정권이 교체되면서 이 문제는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정치적 입장에 따라 안보를 둘러싼 국익논쟁 역시 치열하게 진행되었다. 언론은 전작권 논의 과정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을까? 언론은 국가이익이라는 보편성을 위해 정파성이라는 이해관계를 넘어서고 있는 것일까? 국가이익의 재구성에 있어 언론은 과연 어떤 식으로 개입하는 것일까? 이 연구는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사의 프레임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진영논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작권 환수에 대한 언론의 입장을 확인 한 다음 정부 시기별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했다. 분석 샘플은 한국 ABC협회가 발표한 2013년 신문발행부수를 기준으로 상위 6개 일간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에 실린 사설 221개다. 분석 시기는 전작권 환수를 합의했던 노무현 정부를 비롯해 환수를 연기한 이명박 및 박근혜 정부를 포함했다. 귀납적 방식으로 프레임을 선정하기 위해 국가이익을 안보, 경제, 명예 및 지식 등의 차원으로 구분했으며, 각 차원에 대한 찬성과 중립, 반대 입장을 중심으로 모두 20개의 프레임을 설정했다. 전작권 보도의 정파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문제로 언론사별 프레임 비중과 국가이익 차원의 프레임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언론은 객관적 중재자가 아닌 주관적 개입자로 국가이익 재구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담론 경쟁을 통해 재구성되는 국가이익의 실체를 제시하고, 대내외 정책을 둘러싼 합리적 담론 경쟁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고민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Wartime Operational Control doesn t belong to South Koreans. The late president Sungman Rhee gave it to U.S. government in fear of lacking cap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Since then, there has followed ongoing debates over retrieving or leaving it alone. While pro-American block argue the benefit of following U.S. leadership under the current order, the other one insists the necessity of having military control especially in the time of hegemony transition. Heated controversial is easily found in Korean news media as well. This paper thu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tisan journalism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associated with the control. Given the fact that editorials in mainstream newspapers have great impact on shaping public opinion, it analyzed six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Dongailbo, Hangyere, Kyunghwang, Mailgyengje and Hankookgyengje by differing political regim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discursive strategies adopted by partisan newspapers, it analyzed news frames in terms of security, economy, dignity and knowledge. Such frames as security normalization, matured alliance, sovereignty redemption, alternative order, lacking of preparation and political propaganda were contrived as a result of pilot study,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existed a wide range of difference in terms of frame. While conservative newspapers take advantage of those frames entangled with oppositional position, it was common to find supporting frames in the liberal ones. Journalistic partisanship was not immune from public opinion, political regime and the spirit of the age as well. When public opinion favored more national pride than humble alliance, for instance, even ultra conservative newspapers shifted their stance to defensive frames. By disclosing the reality of discursive competition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such news ecosystem in which diversity of opinion helps to facilitate market place of ideas.

      • KCI등재후보

        언론의 정파성과 국가이익 : 전시작전권 프레임 분석을 통해서 본 진영논리의 실체

        최종환,김성해,이현주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1

        1950년 한국전쟁 발발직후 한국은 작전역량 부족이라는 이유로 전시작전권을 미국에 이양했다. 2006년 9월 노무현 정부는 미국과 전작권 환수에 합의하였지만 정권이 교체되면서 이 문제는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정치적 입장에 따라 안보를 둘러싼 국익논쟁 역시 치열하게 진행되었다. 언론은 전작권 논의 과정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을까? 언론은 국가이익이라는 보편성을 위해 정파성이라는 이해관계를 넘어서고 있는 것일까? 국가이익의 재구성에 있어 언론은 과연 어떤 식으로 개입하는 것일까? 이 연구는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사의 프레임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진영논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작권 환수에 대한 언론의 입장을 확인 한 다음 정부 시기별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했다. 분석 샘플은 한국 ABC협회가 발표한 2013년 신문발행부수를 기준으로 상위 6개 일간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에 실린 사설 221개다. 분석 시기는 전작권 환수를 합의했던 노무현 정부를 비롯해 환수를 연기한 이명박 및 박근혜 정부를 포함했다. 귀납적 방식으로 프레임을 선정하기 위해 국가이익을 안보, 경제, 명예 및 지식 등의 차원으로 구분했으며, 각 차원에 대한 찬성과 중립, 반대 입장을 중심으로 모두 20개의 프레임을 설정했다. 전작권 보도의 정파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문제로 언론사별 프레임 비중과 국가이익 차원의 프레임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언론은 객관적 중재자가 아닌 주관적 개입자로 국가이익 재구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담론 경쟁을 통해 재구성되는 국가이익의 실체를 제시하고, 대내외 정책을 둘러싼 합리적 담론 경쟁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고민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Wartime Operational Control doesn't belong to South Koreans. The late president Sungman Rhee gave it to U.S. government in fear of lacking cap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Since then, there has followed ongoing debates over retrieving or leaving it alone. While pro-American block argue the benefit of following U.S. leadership under the current order, the other one insists the necessity of having military control especially in the time of hegemony transition. Heated controversial is easily found in Korean news media as well. This paper thu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tisan journalism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associated with the control. Given the fact that editorials in mainstream newspapers have great impact on shaping public opinion, it analyzed six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Dongailbo, Hangyere, Kyunghwang, Mailgyengje and Hankookgyengje by differing political regim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discursive strategies adopted by partisan newspapers, it analyzed news frames in terms of security, economy, dignity and knowledge. Such frames as security normalization, matured alliance, sovereignty redemption, alternative order, lacking of preparation and political propaganda were contrived as a result of pilot study,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existed a wide range of difference in terms of frame. While conservative newspapers take advantage of those frames entangled with oppositional position, it was common to find supporting frames in the liberal ones. Journalistic partisanship was not immune from public opinion, political regime and the spirit of the age as well. When public opinion favored more national pride than humble alliance, for instance, even ultra conservative newspapers shifted their stance to defensive frames. By disclosing the reality of discursive competition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such news ecosystem in which diversity of opinion helps to facilitate market place of ideas.

      • 한국언론의 보수와 진보 프레임에 관한 분석적 고찰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한미 FTA 사설 분석-

        심흥식 ( Heung Sik Shim ) 한국협상학회 2013 협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정치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여론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언론의 프레임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 언론의 프레임은 이데올로기적 양극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의제가 왜곡되어 독자들에게 전달됨으로써 공론장에서 언론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진보언론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 한미FTA 협상 시작부터 발효까지 전 기간 동안 게재한 사설을 대상으로 프레임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언론의 이념적 양극화 행태를 밝히고 극복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한국 언론이 안고 있는 ‘유사 권력기관화’ 양상에 주목했다.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중 언론이 세상을 구성하고 틀을 짠다는 프레이밍 이론을 분석연구의 중심 축으로 했다. 한국 언론의 보수-진보 프레임에 관한 분석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미FTA 사설분석으로 도출된 프레임은 외교 프레임으로는 ‘자주-한미동맹(경제동맹)-중립 프레임’ 순으로, 경제 프레임은 ‘이익 불균형- 국가경쟁력 강화- 개방 - 경제적 약자 보호프레임’ 순으로 나타났다. 소구 프레임의 경우 이성적 소구가 감성적 소구 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둘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프레임 주제별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외교 프레임에서 조선일보는 ‘한미동맹’, 한겨레신문은 ‘자주’ 프레임으로 치열하게 대립했다. 경제 프레임에서도 조선일보는 ‘국가경쟁력 강화-개방’이 주요 프레임이었고, 한겨레신문은 ‘이익 불균형-경제적 약자 보호’ 프레임 순으로 나타나 상반된 프레임을 보였다. 즉 경제 프레임에서도 보수와 진보언론은 정반대의 가치로 대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찬성 및 반대 프레임에서도 조선일보는 96%찬성 논조를 보였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반대?유보 프레임이 60%, 중립 프레임이 40%로 반대프레임에 무게가 실렸다. 연구 결과, 한국 언론이 이데올로기적으로 심각한 양극화 양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보수-진보 언론은 한미FTA 찬반을 놓고 합의점이나 접점을 찾지 못했고,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대립 구도는 향후에도 한국사회의 갈등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언론보도에 대한 개별적 프레임 추출 연구를 확장해 언론 프레임이 함의하는 이데올로기적 의미와 여론형성 과정에서 헤게모니적 쟁투 등에 관한 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 즉 개별 미디어 차원을 넘어서서 공론장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민주주의와 소통구조를 만드는 연구로 진전되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nalyse the frames of newspaper editorial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political communication process. Due to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Korean newspapers` framing,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Korean newspapers distorted the public agenda, and subsequently the newspapers failed to form public sphere. In this context, the study analyzed the editorials on the Korea-USA FTA issues from the commencement to the activation in Chosun-Ilbo and Hankyoreh. While Chosun-Ilbo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conservative newspaper, Hankyoreh i s r 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progressive newspaper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newspapers, and proposed the possible alternatives to lessen the harmful effects of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newspapers. Through the review of Habermas` public sphere theor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seudo-power institution" phenomenon of the Korean press.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review of the agenda-setting theory and framing theory,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s role of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The major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iplomacy issues, sovereignty frame and Korea-USA solidarity frame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economic issues, unbalanced interest frame, competitiveness frame, open-door policy frame, and protection of economic minority frame were emerged. It, also, was identified that more editorials had rational appeal frame than emotional appeal frame. Second, Chosun-Ilbo and Hankyoreh showed differences in the thematic frame. Regarding the diplomacy issues, while Chosun-Ilbo framed the editorials in the Korea-USA solidarity frame, Hankyoreh framed editorials in the sovereignty frame. Regarding the economic issues, while Chosun-Ilbo framed editorials in the competitiveness frame and open-door policy frame, Hankyoreh framed the editorials in the unbalanced interest frame and protection of economic minority frame. While 96% of the editorials in Chosun-Ilbo were positive toward the Korea-USA FTA, 60% of the editorials in Hankyoreh were negative toward the FTA. The analyses substantiated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Korean newspapers. This means that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of the newspapers may prompt the conflict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discusses frame formation process and the impacts of the media frames on the political process.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신문과 블로그에 나타난 뉴스 프레임의 특성 비교분석

        안종묵(Ahn, Jong-Moo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4

        인터넷 미디어는 대통령의 독도방문과 같은 정치이슈를 프레이밍하고 있으면서도 미디어의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 정치이슈에 대해 온라인신문의 경우 미디어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상이한 ‘책임귀인’ 뉴스 프레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블로그의 경우 신중해야할 정치뉴스에서도 ‘인간적 흥미’를 통해 연성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넷 미디어의 뉴스 프레임에 의해서 만들어진 정치이슈와 관련된 여론은 온라인신문의 뉴스 프레임의 특성 및 블로그의 미디어로서 속성이 반영되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전문적인 정치적 사안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인지하지 않은 상황에서 미디어가 제시하는 정치관련 뉴스 프레임은 사람들의 정치현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가 정치뉴스에 대해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제시하느냐하는 문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ws frame according to the political mews on online newspapers and blogs with special reference to an issue of the president’s visiting Dokdo.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reveal the following: Internet medias make an news frame from the political issue, however online newspapers and blogs reflect their medias‘ characteristics on the news frame. In case of the online newspapers, there are different news frames according to medias’ ideological inclinations. And in case of the blogs, the blogs have obvious limits that the media publish an political news. In su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news frame of the online newspapers reflects medias’ ideological inclinations, and that the blog can distort the online-journalism because of the obvious limits. So we keep internet medias’ characteristics in forming public opinion.

      • KCI우수등재

        국내 일간지의 트위터 이슈에 관한 보도 프레임 분석

        이수범(Soo Bum Lee),강연곤(Youn Gon Kang)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spectives of Korean daily newspapers’ coverage on Twitter.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frame analysis by selecting a total of 387 news articles from four daily newspapers that represent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voices. The preliminary analysis shows that Korean daily newspapers used “political agenda-formation of public opinion” frame most frequently acknowledging Twitter’s role in political communic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public opin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w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framed Twitter. The conservative newspapers most frequently used “misinformation-rumor” frame that describes Twitter as the root of misinformation or rumor. On the contrary, the progressive newspapers most frequently used “encouragement for voting” frame that focuses on Twitter influences on making people interested in elections and motivating the citizen to participate in politics. Also the conservative newspapers hold negative tone toward political influences of Twitter, whereas the progressive newspapers hold positive tone toward political influence of Twitter. Meanwhile, the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used Twitter message as the most important news source.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newspapers adopt different point of views toward the roles and influences of Twitter in political communication and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ideologies.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정치학과 수사학의 거리

        오양진(Yang Jin O)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50

        This writing aims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rhetoric form of a novelist and the political content of a craftsman in Lee, Cheong-jun`s novels, and to discuss its result. First of all, the subject that is common to Lee, Cheong-jun`s craftsman novels is not an occupational value of a craftsman but a difficulty of life that the craftsman is placed in. This above all means a political critique about the a social change of industrialization. By the way, the obviousness in political meaning is weakened as being combined with silence motifs that comes from a collapse of public foundation leading a deterioration of public opinion. Also the silence as a factor stopping Lee, Cheong-jun`s novels works as a narrative obstacle to his novels. At this time, an interest in his novels moves from a craftsman novel to a frame novel. The frame form becomes just a narrative form that breaks through the narrative obstacle to Lee, Cheong-jun`s novels by structurizing the silence. But the breakthrough of the narrative obstacle does not solve even political obstacle. Of course, his frame novels succeeds in taking over by means of a different method the political assignment of his earlier craftsman novels through the idea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a narrative silence. Namely, Lee, Cheong-jun`s novels are converted from politics of a craftsman that has a political meaning only by a truth to politics of form that narratives embracing various truths mean directly critique from the dimension of a restriction of dogmatism. However, there is a certain questionable point in that we understand the politics of form in Lee, Cheong-jun`s novels only as an effective resistance about a suppressive situation in the 1960`s. For this doubling a participation and an exclusion with readers, in fact, sweeps away grounds to make public opinion out of private opinions by substituting the form of secret for a public discussion.

      • KCI우수등재

        정치화된 정책과 정책의 담론화: 부자감세 담론의 역사성과 정치성

        강국진 ( Kuk Jin Kang ),김성해 ( Sung Hae Ki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2

        감세정책은 현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자 했던 정책 중의 하나다. 그리고 언론을 통해 확산된 ``부자감세`` 논쟁은 감세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여론 변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감세논쟁에서 정치적 후원그룹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책에 대한 우호적 여론을 이끌어내기 위해 치열한 담론경쟁을 벌였으며, 정책은 정치적 투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연구는 감세정책을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구조화 되어 있으며, 상황에 따라 그 논리와 핵심 가정들이 어떻게 변화했고, 그 과정에서 언론은 담론의 정치화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분석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감세 담론은 정책을 수용하는지 여부와 정부에 대한 태도에 따라 다양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담론은 또한 여론의 향배에 따라 적극적으로 변화했다. 정책 논란 초기에 지배적이었던 ``낙수효과`` 프레임은 ``포퓰리즘`` 프레임으로 점차 대체되었고 ``양극화`` 프레임의 영향력은 꾸준히 증가했다. 끝으로, 이명박 정부에 대한 일반적 입장을 대변하듯 감세정책 보도에 있어서도 언론사의 정치적 편향성은 두드러졌다. 한겨레는 ``부자감세`` 담론을 적극 수용하고 확산했으며, 이와 달리 매일경제와 동아일보에서는 이 담론을 배재하고 그 의미를 폄하하려는 노력이 뚜렷했다. 이 연구를 통해 특정 정책을 둘러싼 담론경쟁은 물론 담론의 역사성과 정치성을 확인했으며, 이를 계기로 정책에 대한 담론분석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ax relief policy has been one of the top priorities of the incumbent president Lee Myongbak. However, not only the development of recent economic crisis but strong resentment against ``tax relief for the rich`` helped to bring about hostile public opinion. This study explores the dynamic of such a shift of public opinion by examining the structure, historical development, and political purpose of such discourse. For this purpose, news coverage over the topic published by four national newspapers including Chosun, Hangyere, Seoul, and Mail Economy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policy position, attitude toward government, logical frames, and related presuppos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media frames interwoven with the discourse shifted from ``trickle-down effect`` to ``populism,`` while ``polarization`` became dominant. In the process, newspapers played a critical part in promoting their own argument as a political advocacy group. Such discursive strategies as sourcing, priming, and framing prevailed as well. The authors hope this research would be a catalyst for additional discourse analysis in the field of policy study.

      • KCI등재

        대의민주주의와 소통

        이소영(LEE SO YOUNG) 21세기정치학회 2010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0 No.3

        This study discusses the reality and limitations of political communication under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by exploring the case of U.S. healthcare reform in 2009-2010 and tries to suggest the elements for a better democracy in terms of communication. As healthcare reform was the issue showing the sharp ideological cleavage in American society, Obama and the Democratic Party had to continue to change their reform proposal to compromise between the opinions of the conservatives and their traditional supporters who are progressive. During this process, they experienced to lose the initiative in public opinion to the opponents and finally lost the midterm elections. This case implies that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in a democracy requires policy makers to secure the communication mechanism through which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new policy can be delivered to the public. And it also suggests the need for framing the policy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