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태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인간의 움직임

        남인수(Nam, In Soo)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39 No.-

        This study examined the new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human movement. Human movement is reviewed in three aspects, or information-processing perspective, dynamic perspective,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Among the three aspects,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was to try to understand human movement by using three concepts of direct perception, affordance, invariants. Especially, direct perception in the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human move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That is, it was understood that in the information-processing perspective, human movement about the inflowed external information was formed by hierarchical control structure. But it was understood that in the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human movement about the inflowed external information was formed by causal control structure. Therefore,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about the human movement is very suitable for explaining motor performance formed mainly by using visual perception information of postural control, locomotion, downhill behavior of skiing, long jumping, etc.

      • KCI등재

        COVID-19 시대 대규모 감정일기에서 관찰된 조망수용능력과 심리적, 정서적 특성의 관계: 군집분석을 사용한 접근

        김지원,정윤원,이윤경,Sowon Hahn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인간에게 공감할 수 있는 AI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수집된 대규모 COVID-19 감정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자가 분류한 조망수용수준과 심리적, 정서적 특성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먼저 연구참여자 5,403명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된 단축형 자기보고식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경과민성, 우호성, 외로움, 공감, 지각된 스트레스의 문항이 일부 선별되었다.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를 세 개의 조망수용 군집으로 나누고 각 군집간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높은 조망수용능력 군집은 낮은 조망수용능력 군집보다 높은 수준의 우호성, 공감 수준을 보였고, 보다 낮은 일기스트레스와 낮은 부정정서 수준을 나타냈다. 낮은 조망 수용능력 군집은 세 집단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신경과민성, 외로움, 지각된 스트레스, 일기스트레스, 그리고 높은 부정정서 수준을 보였다. 조망수용능력이 확인되지 않은 미결정 군집은 가장 낮은 신경과민성, 외로움, 지각된 스트레스와 부정정서 수준을 보였다. 미결정 집단을 제외한 조망수용수준과 심리적, 정서적 특성의 관계는 선행연구에서 시사된 바와 일치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신건강개입 발전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sing large data collected during COVID-19,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spective-taking levels of diary writers evaluated by the third party were associated with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perspective-taking levels of the 5,403 participants who wrote diary entries on their thoughts and emotions, along with their self-repor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erspective-taking profiles. We examine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traits between groups. The higher perspective-taking group exhibited higher agreeableness, higher trait empathy, lower diary stress, and less unpleasant feelings than the lower perspective-taking group. Neuroticism, loneliness, perceived stress, diary stress, and unpleasant feelings were the highest in the lower perspective-taking group. Neuroticism, loneliness, perceived stress, and unpleasant feelings were the lowest in the undetermined group. Our findings mirrored the previously documented links between self-reporte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psychological qualities. Applications for large-scale text-based mental health therapi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미래지향 시간관이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효과: 낙관성으로 조절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김은주,이창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미래지향 시간관이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효과:낙관성으로 조절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김 은 주ㆍ이 창 현 연구 목적: 미래지향 시간관이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 시간관과 외상후성장의 관계를 심리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낙관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과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미래지향 시간관과 외상후성장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심리적 유연성과 외상후성장의 관계를 낙관성이 조절하였다. 셋째, 미래지향 시간관과 외상후성장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가 낙관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미래지향 시간관이 외상후성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낙관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외상 이후 심리적 성장이 필요한 내담자들에게 심리적 유연성 혹은 낙관성을 증진시키는 개입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미래지향 시간관, 심리적 유연성, 낙관성, 외상후성장,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on Post-traumatic Growth: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Moderated by Optimism Eunjoo Kim* & Chang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sychological flexi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o verify whether optimism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350 adul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optimism.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t was found that optimism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optimism in counseling settings when clients complain of post-traumatic growth problems due to lack of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Key Words: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Psychological Flexibility, Optimism, Post-traumatic Growth, Moderated Mediating Effect □ 접수일: 2024년 3월 28일, 수정일: 2024년 4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주저자, 도봉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사(First Author, Counselor, Dobong-gu Counseling & Welfare Center for Youth, Email: bonniekej@naver.com)**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장(Corresponding Author, Director, Hana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 KCI등재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지리적 관점에 기반한 예화 구조 연구

        방민권 ( Min Kwon Bang ),최재영 ( Jae Yung Cho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적 관점을 분석하고, 균형 잡힌 윤리적 관점을 위한 대안을 지리적 관점과의 결합을 통해 모색해 보는 것에 있다. 윤리적 관점은 크게 의무론적 관점과 목적론적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적 관점은 목적론적 관점이 강조된 목적론적 편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적 관점, 특히 사적 지리 개념에 기반하여 심리적 거리 예화 구조와 인지 부조화 예화 구조를 설계하였고, 인지 부조화 예화 구조는 사적 지리의 스케일에 따라 의무론 모델과 목적론 모델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 두 예화 구조를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예화에 실제로 적용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thical perspectiv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and to explore alternatives for a balanced ethical perspective by combining it with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ethical perspective can be divided into the deontological perspective and the teleological perspective. The ethical perspectiv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shows a teleological bias emphasizing the teleologic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psychological distance example structure based on geogra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the concept of private geography, and the cognitive dissonant example structure. The cognitive dissonance example structure is divided into the deontology model and the teleological model according to the scale of private geography. And we applied these two example structures to the examples presented in a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 KCI등재

        사회심리학과 과정신학의 대화를 통한 목회상담세우기

        이희철 ( Lee Hee Cheol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0 No.-

        본 논문에서는 상담은 관점이라고 주장한다. 관점은 상담의 방향과 방법을 결정한다. 목회상담이 다른 상담과 다른 이유는 기독교적 관점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관점으로서 목회상담을 더 풍성하게하기 위해 신학과 심리학의 대화를 시도한다. 신학으로서 존 캅의 과정신학을, 심리학으로서 조지 허버트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선택하였다. 과정신학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제시된 사례속에 나타난“인간의 유한성의 문제”와“소외와 수치심의 문제”를 과정신학적이고 사회심리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적인 문제로 머물지 않고 인간의 도덕성과 궁극적 관심으로 연결된다. 조지 허버트 미드의 사회심리학과 존 캅의 과정신학의 대화를 통해 유한성, 소외, 수치심의 실존적 문제에 세 가지 새로운 신학적 심리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첫째, 인간의 유한성은 서로를 필요로 하고 관계 속에 함께 머물게 한다. 둘째, 소외는 개인적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현실로서 아가페 사랑을 위한 공동체의 노력을 요구한다. 셋째, 수치심은 개인의 사적인 감정이 아니라 끊어진 사회적 결속을 사랑과 수용을 통해 회복시키라는 신호이다. 결론에서 목회상담은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한 실천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인의 실존적 문제를 사적인 문제로만 치부하지 말고 공동의 책임을 요구하고 관계 속에서 개인을 보고 개인의 내면에 역동적으로 존재하는 사회를 보는 실천적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Counseling requires a perspective. The perspective determines the way counseling is performed. A perspective determines which technique to use in counseling. Christian counseling is different from other types of counseling because of its perspective. Christian counseling should use a Christian perspectiv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reate a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in order to make Christian counseling more profound. For this dialogue, a case is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process theology and social psychology, using John Cobb’s process theology and George Herbert Mead’s symbolic interactionism. Human predicaments may include finitude, shame, and isolation. The presented case, which is embedded with these existential human predicaments is analyzed both theologically and psychologically.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ree new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are suggested. First, human finitude requires interdependency and makes communal relationships possible. Second, isolation requires a communal attempt to make agape love possible among us because isolation cannot be a personal choice. Third, shame is not a personal emotion but a social signal to call for restoration of broken social bonds through acceptance and lov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Christian counseling should be a social practice because of these perspectives. At the end, this article insists that communal responsibility should be demanded because human predicaments are not solely personal.

      • KCI등재

        繪畵의 動的 구조론

        이와키 겐이치(岩城見一),이미림(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4 美術史論壇 Vol.- No.19

        예술은 우리들의 행동, 사고 그리고 감정을 변화시키고 구성하는 미디어 중 하나이다. 즉 예술은 다양한 차원에서 세계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제해야 하는 것은 우리들의 지각조차도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오늘날 사람들은 천동설이 아닌 지동설의 체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이미 인식하며 살아가듯이, 이처럼 지각이 역사적으로 한정된 조건하에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지각 그 자체에서는 우리들이 접하는 모든 것들이 늘 상대적이고 역사적으로 한정된 것이 라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은 그다지 쉽지 않은 듯하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지각을 통해서 대상과 직접 관계하고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우리들의 지각은 태양은 언제나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인지과학에 있어서 한 가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인지과학으로서의 지각심리학은 때때로 지각의 역사적 상대성을 망각하므로 우리들의 지각은 본질적으로 불변의 방법으로 현상을 직접 받아들인다는 기묘한 신념에 사로 잡혀 있다. 우리들의 시각과 관련하여, 오행은 ‘인지과학으로 발전하여 19세기 말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객관성을 과시해온’ 계산주의 심리학에 있어서는 걸림돌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심리학은 시각세계에서의 오행은 현실의 3차원 공간에서 현실의 대상과 이를 보는 현실의 주체와의 사이의 관계에 의해 성립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정에 따르게 되면, 2차원 공간에서 실현되는 오행은, 즉 회화나 그 밖의 2차원의 작품에서 실현되는 오행은 현실의 3차원 세계의 ‘착각’ 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견상의 과학적 객관성을 위해 계산주의 심리학은 오랫동안 예술론으로 간주되었고, 과학적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우리들이 이러한 심리학의 전제를 받아들이게 된다면, 회화의 모든 장르, 예를 들면 고대 이집트 회화나 중세 유럽 회화, 동양 회화와 아동회화, 그리고 추상회화조차도 항상 각각 특유의 원근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르네상스 이래의 유럽 근대 회회에서 표현된 것만이 진정한 오행의 모범이 되어버리게 된다. 즉 르네상스 이래의 유렵 근대 회화만이 기하학적 투시법에 따라3차원의 착각을 완전히 실현했다고 여기게 되는 것이다. ‘오행 시각이 현실세계에 기초를 둔다는 가정은 정말로 올바른 것일까?’라는 의문이 생긴다. 만약에 우리들이 계산주의 심리학과 기하학적 투시도법 등 이들 간의 견고한 상호 관계에서 해방되었다면, 근대 유럽 회화 외부의 여러 다양한 문화에서 생겨난 회화가 지닌 특유의 리얼리티를 이해하는 다른 견해를 이끌어 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까? Art is a medium which changes and constructs our behavior and thinking and also our feelings: namely art provides us new views of the world in the various dimensions of our lives, In this sense, we should assume that even our perceptions arent only natural, but also historical. Theoretically, it wouldnt be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historically limited condition of our perceptions, as we have learned that we live today in the heliocentric and not in the geocentric system, Practically, however, it is not easy for our perceptions themselves to understand that everything which we meet is always a relative, i.e. a historically limited, because we believe that we directly relate to the objects through perception, For instance, we automatically perceive that the sun always rises in the east and sets in the west, Herein lies one of the difficulties pertaining to the cognitive sciences. Particularly, the psychology of perception as a cognitive science sometimes forgets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relativity of the perception and so, it is prepossessed with strange beliefs that our perceptions directly catch appearances in essentially unchanged ways. Concerning our visual perceptions, the depth is a serious stumbling block for the computational psychology which has developed as a cognitive science and made a boast of its scientific objectivit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oday, This psychology insists that the depth in the visual world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objects and real subjects which look at them in the real, three 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is assumption, the depth which is realized in the second dimension, i.e. the depth in painting or other two dimensional products is only an illusion of the real, three dimensional world. Because of this apparently scientific objectivity, the computational psychology has provided the theories of art with a scientific base for a long time. However, if we accept the prerequisite condition of this psychology, modem European painting since the Renaissance is only a paradigm of the authentic depth in painting and so, a criterion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painting. even if every painting, such as painting from the period of the ancient Egyptians, the European Middle Ages, the Asian countries, children, or even abstract paintings etc, always have their peculiar depths. Namely, it is supposed to realize completely three dimensional illusion following the geometric perspective. Is the assumption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depth depends on the real world really valid? Couldn't we find other viewpoints to understand the peculiar realities of paintings from various cultures outside of modem European paintings if we could be emancipated from the fixed correlation between the computational psychology and the modem western theory of geometric perspective? Regarding the dynamic structures of visual arts, this essay will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 KCI등재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새로운 과거: 쿠르트 레빈의 'action-research'를 중심으로

        서근원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Kurt Lewin (1890-1947), famous progenitor of action research and social psychology. He wa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social practitioner. This will help us find a way of performing it in Korean school situation. Lewin had tried to establish Psycholog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from philosophy or physiology by scientifically explaining human behavior. The Field Theory was his answer to his project. The field is a subjective inter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a person. The field constructs his life space and determines his behavior. On the basis of field theory, Lewin tried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iscrimination between social groups of Jews and Anglo or black and white. He suggests that the spiral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diagnosis is necessar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He called this as social practice or rational social management. The ke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is an action that is able to transform the behavior determined by the field of a person. It is the ne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person to comprehend his life space from his perspective. A comparative experiment will let us find out the proper action to change his behavior. Lewin called this process of inquiry as ‘action-research.’ The ‘action-research’ of Lewin is an inquiry exploring an action that can change existing behaviors that caus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in intergroup relationships into new behaviors. The primary purpose of his ‘action-research’ is to transform the behavior of practitioner. It is a means to change society. The social practice and ‘action-research’ of Lewin would be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chools. Viewing from a pupil’s perspective can be a case of Lewin’s ‘action-research’ for Korean school teachers. 이 연구는 흔히 실행연구로 번역되는 ‘action research’를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실천가인 레빈(Kurt Lewin, 1890-1947)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action research’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빈은 인간의 행동(behavior)을 과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을 철학이나 생리학으로부터 독립된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했다. 그 목적을 위해서 그는 장이론(field theory)을 개발했다. 장은 한 사람의 주변에 놓여있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이 그의 의식 속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한 사람의 주관적인 생활공간(life space)을 구성한다. 한 개인의 행동은 그가 어떤 장에 놓여있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레빈은 이러한 장이론을 바탕으로 집단 간 차별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집단 간 관계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획, 실행, 사실-발견의 나선적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사회적 실천 또는 합리적인 사회 관리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적 실천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에 의해서 구속되는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행위(action)이라고 불렀다. 그런 행위를 찾기 위해서는 장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당사자들을 관찰하고 면담하여 그들의 생활공간을 그들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 실험 등을 통해서 그들의 기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을 찾아야 한다. 레빈은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action-research’라고 불렀다. 레빈의 ‘action-research’는 집단 간 관계에서 차별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기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행위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그러기 위해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가의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실천가들의 행동을 변화함으로서 사회를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레빈의 이러한 사회적 실천과 그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action-research’는 현재 한국의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곽솔이,박성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9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7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uture time perspective. Survey were completed by high school student in Daejeon, and 87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rocedure using SPSS Ver. 19.0 and AMOS Ver. 18.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ffec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uture time perspective directly.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is affects career adapt-abilities directly. Third, there was partial mediation func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ies.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adapt-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personal factors such 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re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소재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87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적지지는 긍정심리자본, 미래지향시간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은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과 긍정심리자본, 미래지향시간관과 같은 개인적 요인이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변임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중년부부의 영적 심리적 안녕감, 조망수용, 부부갈등 대처행동과 결혼안정성의 구조적 관계 연구

        김진순,오윤선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3 복음과 상담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spective-taking,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marriage stability of middle-aged Christian coupl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724 middle-aged Christian couples in Korea. For statistical data, SPSS 21.0 and AMOS 26.0 were use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5% or 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n effect on couple Perspective-taking,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marital stability. Second, Perspective-taking of the couple's view has an effect on marital conflict confrontation behavior and marital stability. Thir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 showed an influence on marriage stability. Fourth,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direct effect (B=.165, p<.001) and an indirect effect (B=.089, p<.001) on marital stability through the path of Marital Perspective-taking acceptance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is means that direct effects, indirect effects, and sequential effects have been proven i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ric relationships through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중년부부의 영적심리적 안녕감, 조망수용, 부부갈등 대처행동과 결혼안정성의 구조적 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기독교 중년부부 724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통계 자료는 SPSS 21.0과 AMOS 26.0을 활용했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5% 이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심리적 안녕감은 조망수용, 부부갈등 대처행동, 결혼안정성에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조망수용은 부부갈등 대처행동과 결혼안정성에 영향력이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 대처행동은 결혼안정성에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영적심리적 안녕감은 조망수용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경로를 통해 직접효과(B=.165,p<.001), 간접효과(B=.089,p<.001)로 결혼안정성에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매개변수관계에서 직접효과, 간접효과 순차적 효과 모두 입증되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의인화 광고메시지 효과 차이 : 화자의 인칭 시점과 광고주의 그린신뢰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주경희(Chu, Kyounghee),김지윤(Kim, Ji Yoo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그린 공익광고 속 의인화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속 화자의 시점과 광고하는 주체(광고주)의 그린신뢰성 수준에 따라서 의인화 메시지의 설득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즉, 광고주의 그린신뢰성(공공기관 vs. 사기업)에 따라서 효과적인 광고 속 화자의 시점(1인칭 시점 vs. 3인칭 시점)이 다른지 밝히고자 한다. 실험 결과, 광고주의 그린신뢰성이 높은 공공기관의 경우, 광고 속 화자가 1인칭 시점일 때 3인칭 시점보다 설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광고주의 그린신뢰성이 낮은 사기업인 경우, 광고 속 화자의 인칭 시점이 3인칭 시점일 때 1인칭 시점보다 설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린 공익광고 속 의인화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있어서, 심리적 반발이론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가설을 제안하고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수사법을 활용한 공익 광고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동시에 인칭 시점을 그린 광고 영역으로 적용하여 보다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존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personification ad message according to the narrator’s person perspective and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suasive effectiveness of personification ad message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a narrator’s person perspective and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In case of high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there is a better message attitude toward a narrator’s first person perspective rather than a narrator’s third person perspective while in case of low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there is a better message attitude toward a narrator’s third person perspective rather than a narrator’s first person perspective. This has some contributions in that it builds the basics for relevant studies and expands research domain of green advertising literature using rhetorics. Also, the link between person perspectiv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provides a new look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