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본 연구는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심우도(尋牛圖)’는 동자가 소를 찾아가는 모습으로 인간의 수도과정을 비유한 도상이다. 심우도의 동자는 수도자이고, 소는 상제께서 세상에 펼친 대순사상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심우도가 이화-기화-실화의 공공작용의 3단계로 전개됨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공공작용의 이화단계는 ‘심심유오(深深有悟)’와 ‘봉득신교(奉得神敎)’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심심유오’는 깊고 깊은 생각 속에 봉득신교에 대한 자각이 있기에 생각이화의 도리를 발견한다.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어느 순간 인간 존재의 근원에 의문을 갖고 음양합덕의 생각이화에 의해 봉득신교를 받들면서 도상은 소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의 공공작용의 기화단계는 ‘면이수지(勉而修之)’와 ‘성지우성(誠之又誠)’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면이수지’는 부지런히 수도에 매진하여 소의 기운을 감득하고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인조화를 모색하며 생명파악에 집중한다. 아울러 해원상생에 의한 생명기화를 통해 정성에 또 정성을 들여 선천의 상극기운과 습관을 버리고, 도상은 이치를 감득하고 소를 탄 채로 피리를 부는 형상이다. 그리고 공공작용의 실화단계는 ‘도통진경(道通眞境)’과 ‘도지통명(道之通明)’의 상관연동으로 일상생활에서 도를 체화하는 단계이다. ‘도통진경’은 참된 도에 이름이며, 피리를 불며 흰 소를 타고 가는 동자의 도상에서 도를 체화하는 경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지통명’은 마침내 도가 밝아져 후천개벽 세상을 전개함을 의미한다. 흰 소를 따라간 동자는 신선이 되었다. 선녀들이 음악을 들려주고, 불로초가 피어 있고, 학들이 노니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모습이다. 인간은 지상신선 되고, 지상선경이 되어 인존구현의 생활실화로 드러나서 시공(時空)을 넘나드는 대자유인으로 결실을 맺는 형상이다. 대순사상 심우도는 동자가 소를 찾아 좁고 험한 산길을 지나가는 모습에서 출발하여 소의 뒷모습을 본 이후 앞으로 가야할 길이 험난한 줄 알면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도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부지런히 나아가는 근면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동자는 흰 소를 만나 친해지는 시기로 전환이 되면서 일상생활이 변모한다. 동자는 ‘흰 소(白牛)’를 상봉하며, ‘도지통명’의 생활실화를 통해 인존구현의 진여실상을 평상심으로 구현한다. 본 연구는 문헌학과 해석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분석으로 다양ㆍ다중ㆍ다층의 해석학으로 후천개벽의 생활실화에 접근하며, 후천개벽의 실천담론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대순사상 심우도의 미래전망은 생각이화ㆍ생명기화ㆍ생활실화의 삼차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ommunal action in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as an expression of future prospects. The Ox Seeking Pictures in Daesoon Thought seeks out renewal of thought, renewal of life, and true living. Here, the Ox Seeking Pictures symbolize a world in which good fortune comes true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the ox and the supporting teaching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prospects for achieving the renewal of thought. The correlation between Deep Contemplation Leading to Awakening and Finding and Following Heavenly Teachings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reason into a practice implemented in daily life. The correlation between a human being’s awareness and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s transformation into true living based on everyday practic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In this investigation, we can say that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symbolize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lives. No life should be destroyed or violated by another. Heaven, Earth, and Humanity can be changed and born anew. The visions of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 that this paradise in the world results from Daesoon principles. This provides a unique insight when compared to the bodhisattva ideal conveyed through the Ox Seeking Pictures of Mahayana Buddhism. Daesoon’s Ox Seeking Pictures consist of a three-way interlocking of renewal of thought, implementation in lif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The communal spirituality based in Daesoon Trut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nd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he renewal of thought through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a new life based upon the spirit of Mutual Beneficence. Third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this narrative picture shows the oxherd as searching for an ox which is the symbol of Daesoon Truth and Dao. Even though he catches the ox, he is still holds the rope to tie the ox to himself. He makes an effort to keep the ox steady. Finally, the oxherd’s enlightenment becomes the source of responsibility to help unenlightened people in their struggl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se paintings as the start of the Later World.

      • KCI등재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의 성과와 전망 - 한중인문학회 20주년 변화와 모색을 중심으로 -

        유성선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4 No.-

        2016년은 한중인문학회 창립 20주년이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20년간의 학회 활동을 정리․회고하고 앞으로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한다. 한편 기획주제 명칭은 ‘한중인문학회 20주년회고와 한중 인문학 연구의 전망’이다. 논자의 발제 부분은 [철학․사상] 분야의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의 성과와 전망」이다. 한중인문학회는 20여년간 매년 정기적으로 국내 및 국제학술대회의 연찬과 우수한 학술지 발간을 통하여 한중인문학의 교각을 구축하였다. 한중 양국의 학술교류는 1992년 8월 24일 수교 이래(24주년) 20여년간 다양한 교섭과 왕래, 국제학술대회 논문 발제와 토론 및 연구 성과를 통한 학술 네트웍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중국 학술계에서는 그동안 관심이 없던 한국철학 및 한국유학에 대한 ‘한국학’의관심과 그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20여년간 한중인문학회의 국내외 학술활동과더불어 한국 내에서의 중국철학/ 중국 내에서의 한국철학 연구현황 및 유학사상 연구현황을검토․분석하고, 이전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목차>는 1. 시작하는 말/ 2. 한중인문학회한중간 철학사상 연구 성과/ 3.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 의의와 전망이다. 한중인문학회의 20주년을 맞이하여 철학사상 분야의 이러한 과제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특히 대학의 변화와 개혁이 요청된다. 즉, 한국 안 한국학과 및동아시아학과 설립 필요성이 간절하게 요청되는 이유이다. 2016 i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summarizes and recalls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for 20 years. and presents a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future while the title of the project is ‘Retrospection on 20 years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and the Prospect of the Study of Humanities in Korea and China’. The presentation part of the writer is 「Accomplishment and Prospect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Thought between Korea and China」 of the [Philosophy․ Thought] field.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built a pier of Korean and Chinese Humanities through regular hosting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and publication of excellent academic journals every year for 2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on August 24, 1992 (24th anniversary), the acade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became an occasion to establish an academic network through various negotiations, coming and going and paper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research result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Also,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the research was activated with the interest in ‘Korean Studies’ for the Korean philosophy which had been strange.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Philosophy in Korea/Korean Philosophy study and Confucianism study in China along with academic activities both at home and abroad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for 20 years and reviewed existing previous studies. <Contents> include 1. introduction / 2. Accomplishment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Thought between Korea and China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3. Significance and Prospect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Thought between Korea and China. In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change of the age, especially change and reform of universities are required in order to finish and complete these challenges in the field of philosophical thought. That is why the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nd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Korea is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선우진,방정숙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학연구 Vol.30 No.4

        Although the ability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important among teachers’ professional noticing,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vestigating such ability among Korean teachers. This study surveyed 95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n aim to investigate their responding ability with five sub-components. A written assess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tudents’ solution strategies regarding four operations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whole nu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ny teachers were able to identify the core mathematical elements in the student's strategy, interpret the student's strategy by us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terms, and suggest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However, some prospective teachers tended to pose inappropriate problems or provide superficial teaching methods in response to th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t was unusual for them to anticipate the student's future strategie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aspects that are further needed for prospective teachers to promote their ability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교사의 전문적인 노티싱 중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반응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러한 능력에 대해 자세히 분석한 연구는 별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사칙연산별로 초등학생의 해결 전략을 제시하고 95명의 예비 교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5가지 하위 요소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예비 초등 교사들은 학생의 해결 전략에서 주요한 수학적 요소를 인식하였고 적절한 수학 개념이나 용어를 사용하여 학생의 해결 전략에 대해 추론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도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비 초등 교사들은 피상적인 수준에서 지도 방안을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생의 향후 전략까지 고려하며 반응하는 경우는 드물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 교육에서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반응하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치 :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동향과 전망

        배병삼(Bae Byung-sam)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이 글은 사회과학 분과인 정치학계에서 형성된 한국정치사상 연구분야의 성과를 연대기별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유학사상대계』의 ‘정치사상’ 분야 집필을 위한 제언을 하려는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그간 국학(문학ㆍ역사ㆍ철학) 분야와 거의 소통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 정치학계의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실태를 살핌으로써 국학계와 정치학계의 소통을 도모하는데 조그만 기여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 한국정치사상 연구사를 검토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동향의 특징과 그 문제점들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둘째, 대계의 정치사상 분야 집필에 따른 유의점을 나름대로 개진하고자 한다. 셋째 정치학계에서 제출된 저서와 논문들을 주제별로 개괄하여, 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차후 집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한다(〈참고문헌〉 처리). 다만 각 연구 성과에 대한 비평과 문제점 제시는 거의 생략된 단점을 갖고 있다. 차후 국학계의 연구 성과와 아울러서, 보다 깊은 ‘학제간’ 연구사 검토가 따르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by studying on chronicle basis, recent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which has been formulated by the political scientists, in a subdivision of the Social Science Group, to provide suggestions for writing the 'Political Thoughts' section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By outlin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which has been made without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Korea Study in such fields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his paper could help promote the understanding betwee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 Study and Political Science. Firstly,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study shall be examin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trend and issues of the study. Secondly, the issues to be considered in writing the Political Thoughts section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will be suggested. Thirdly, by classifying and summarizing the books and writings from the academic circle of politics, necessary research materials shall be provided for the authors (See Appendix).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criticism and discussion of issues of the specific writings were not made. It is expected that fruitful accomplishments in Korea Study and profound interdisciplinary study shall follow.

      • 창조교육의 미래 교육적 전망

        이용길 ( Lee Yong-gil ) 창조교육학회 2019 창조교육논총 Vol.21 No.-

        Creative education pursues future values through present life. Education should cultivate talents who can create new convergence capacity in the future based on basic learn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value of new knowledge and value of human life. Therefore, the core competencies of education a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cultivation of citizenship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preservation of human dignity and values, the adaptation to change, and the power to think. Therefore, the education of the future society is to develop human creativity through education for convergence as an education that focuses on humanity, emotion, and creative thinking. Education in the future requires a “diversity expert” to create value. In other words, it is a talented person with creative ability to create new knowledg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all fields. Creative education that fosters “thought power” is achieved through the teaching method of idea-discovery-digging-Manifestation-development, which is the 5th stage of creative education teaching-learning. Creative Education Teaching-Learning Step 5 is a practical and theoretical teaching method that creates creativity through fusion by fostering creative competencies as originality and discrimination by using freedom and willingness as the essence of educational ac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ultivate creative and differentiated creative competencies through creative education. Creative human beings of the future age are those who have a joint responsibility for the public interest of human beings by converging, creating a cooperative and flexible structure and discourse, and fostering tolerance, respect, consideration and compassion. Creative education has a prospect as an education that leads the future society by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that matches the industrial society through individualized education suitable for each creative competency.

      • KCI등재

        수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의 효과

        고상숙 한국수학교육학회 2003 수학교육 Vol.42 No.5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graphing calculator on prospective math-teachers' mathematical thinking while they engaged in the exploratory tasks. To understand students' thinking processes, two groups of three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performances were audio-taped and described in the observes' note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got the clues in recalling the prior memory, adapting the algebraic knowledge to given problems, and finding the patterns related to data, to solve the tasks based on inductive, deductive, and creative thinking. The graphing calculator amplified the speed and accuracy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resulted partly in students' progress to the creative thinking by their concept development.

      • KCI등재

        문학 교재 구성에서 문학사 교육의 재인식

        박윤우(Park Yoon-woo)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4 No.-

        Literary history education make literary learners not only view literary value of individual works deeply but cultivate discernment to settle them in the system of whole literature, in so far as to fulfill the role to unify literary value and their lives. In this regards, Literary history education must be accomplished positively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works, not with literary history already written. Although the 7th curriculum of 〈Literature〉 includes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n the content of 'literature culture', presenting important educational moment that recognize literary history as a unification of mental history and generic history, the textbooks show mixture of generic theory and historical theory, or chronological enumeration of canons. As the descriptive method of literary history can generally be classified to organic model or dialectic model, they all have a defect for the conformity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So, we must reconsider the descriptive method of literary history within the thought of literary education. In this regards, revised curriculum of 〈Literature〉 shows us progressive aspects especially in teaching-learning method plan, as for requiring the recognition of standards of literary history, critical prospects, transferable works, creativity and imagination adding the typicality, life experience of learners, various sub-realms of Korean and world literature and so on. After all, literary history education must be reconstructed to the direction of enlarging the meta-discourse of value and politics, or human and sociological unified thought. To fulfill this, subjective approach including various sub-genres and unified approach based on inter-textuality a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extbook.

      • KCI등재

        문학 : 허난설헌 작품의 미학적 특성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본고의 목적은 허난설헌의 작품 텍스트 형식 중 문체 및 시적 의장, 색채미학적 측면을 천착하는 것으로서 허난설헌의 욕망이나 원의는 어떤 문체나 수사를 통해 전달되고 있으며 그녀의 무의식적 세계는 어떤 빛깔을 선택하는가 등의 해석적 지평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난설헌은 일반적인 한시나 서정시와는 상당히 변별되는 언술방식을 보이고 있었다. 즉 시적 화자의 어투가 서정시 양식인 고백체에서 이탈해서 서사적 진술방식이나 어투를 많이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백체도 보였는데, 고백체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보이는 경우로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방식인데 주로 연정이나 애정과 관련된 내용의 작품에서 채택되고 있었다. 그러나 작품의 4분의 3 정도는 서사체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그 중 일부는 픽션적(허구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허구를 지향하는 서사체는 주지하다시피 근대의 양식이다. 환몽적이고도 허구적인 서사체를 그 당시 채택했다는 것은 허난설헌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 이건 선각자적인, 즉 현대적인 인식지평을 지녔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는 또한 당대의 지배적 이념에 저항하려했던 시도와도 부합되는 양식으로서 자신을 객관화시키고 동의를 얻기 위한 방식에 해당된다. 허난설헌 작품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작품 텍스트에 현란한 색채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괴테는 모든 색들은 빛과 어둠으로부터 나오며 두 개의 기본적인 원색은 파랑과 노랑이라고 했는데 허난설헌 작품의 대표색도 노란색과 파란색이었다. 화려한 듯 하지만 실은 비애에 가득 찼던 삶을 살았던 허난설헌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자신한테 가장 잘 부합되는 색채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원색 대비색을 사용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의미나 내용을 극대화하는 글쓰기를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spects of style, poetic device and color aesthetics of forms of Heo Nanseolheon’s text. Thus, this is studied with focusing on the analytic method that what style and rhetoric is used Nanseolheon’s desire or intention is conveyed by and what kind of color is selected her unconsciousness Nanseolheon represents considerably differential narrative that quite differs from Chinese poetry and lyric poetry. That is, a poetic speaker’s tone has epic narrative and tone a lot which are far from a confessional style presenting the form of a lyric. But there is a confessional style adopted mainly in lyrics. The confessional style is the way to express her own emotions by showing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Mainly, the affection- and passionrelated works account for this type. But about three-fourths of the works persue the epic narrative form, especially fictional aspect. What she chooses the fantastic epic narrativ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demonstrates that she has precursive, modern prospect of thinking. Also this epic narrative style is the method to objectify herself and obtain reader’s consent as corresponding with form of attempting to resist the current prevailing ideology. The other writing characteristic of Heo Nanseolheon’s is that she uses flamboyant colors. There are 59 times of blue colors, 90 times of gold, 40 times of silver and white colors, 38 times of red lights and 17 times of the brilliant colors at 216 pieces of work. Goethe thinks that every color comes out of light and dark and the two basic colors are blue and yellow. Also the representative color of Heo Nanseolheon’s work is yellow and blue. Heo Nanseolheon who seemed to be likely lived a colorful life but life full of pathos used the bestaccording usage of color to herself consciously or subconsciously, and wrote the poetry which maximizes the meanings or contents she wants by using contrast of primary colors. Heo Nanseolheon is one of the top writers in the field of color aesthetics of our country among Korean writers in the way that the rich coloring is attempted in poetic writing at the time of the dominant Confucianism or in the era of virtue of colourless or placidity.

      • KCI등재

        보조사상과 교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

        박보람(Park, Bo Ram)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0 No.-

        이 글은 보조사상연구원 설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연구원이 수행한 다양한 연구 활동 가운데 교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연구를 회고 하고 전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그 기준이 되는 개념들, ‘보조사상 연구’와 ‘보조사상연구원’ 그리고 ‘회고’와 ‘전망’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조사상과 교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둘 사이의 관계도 여러 분야에서 다룰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교학 가운데 보조 지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는 화엄교학에 초점을 맞추어 이통 현과 지눌의 화엄과 의상/법장-징관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주류 화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향을 회고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전망하였다. 지눌의 선교 관계에 대한 이통현의 영향을 논구하는 『보조사상」의 논문 들을 정리하면 세 가지 방향을 볼 수 있다. 첫째, 지눌이 법장, 징관을 중심 으로 하는 주류 화엄교학-여기에는 묵시적으로 의상도 포함된다.-의 이론 적, 현학적 경향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성기설을 위주로 받아들 였다는 설이다.([의상/법장→징관] ≠ [이통현→지눌]) 둘째, 지눌이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을 받아들였 다는 점은 첫째 주장과 동일하지만 의상의 화엄성기설을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과 분리시켜 이통현의 화엄설과 연계시킨 후 의상-이통현-지눌의 사상적 계보를 주장한다.([법장→징관] ≠ [의상→이통현→지눌]) 셋째, 지눌이 비판한 연기설 중심의 화엄설은 법장, 징관의 화엄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 경우 지눌은 주류 화엄에 대해서 비판한 것이 아니라 아류의 당시 화엄을 비판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의상과 법장, 징관의 화엄이 하나로 묶여 이통현-지눌의 화엄설과 다시 연계될 가능성이 생겨난다.([당시 아류 화엄] ≠ [이통현→지눌] ≈? [의상/법장→징관]) 이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필자는 앞으로의 과제로서 위에서 언급한[이통현→지눌]의 화엄과 [의상], [법장→징관]의 화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철저한 규명과 함께 [이통현]과 [지눌]의 부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recollects and prospects of the study on Bojo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among various research activities carried out by Bojo Thought Research Institution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fiel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uayan thought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ad the great influence on Bojo Jinul(普照知訥). Specifically, I evaluated the results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ayan thoughts of Litongxuan(李通玄) and Jinul and the so-called mainstream Huayan thoughts represented by Uisang,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raised the remaining tasks. There are three directions to summarize the articles of Bojo Thought which discuss the influence of Litongxuan on Jinul. The First is that Jinul criticized th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tendency of the mainstream Huayan thoughts of Fazang and Chengguan - implicitly including Uisang here - and adopted thepractical Huayan of Litongxuan.([Uisang/Fazang→Chengguan] ≠ [Litongxuan→Jinual]) The Second is the same as the first claim that Jinul criticized Fazang and Chengguan and accepted Litongxuan. However, the second argument separated Uisang’s Huayan thoughts from those of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linking Uisang’s Huayan with Litongxuan’s one, insists on the ideological lineage from Uisang to Litongxuan to Jinul.([Fazang→Chengguan] ≠ [Uisang→Litongxuan→Jinul]) The third argument is that Jinul s criticism is not about Fazang and Chengguan. In this case, Jinul was not criticizing the mainstream, but criticizing the epigone of Fazang and Chengguan at that tim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isnag/Fazang→Chengguan] Huayan will be tied together and reunited with [Litongxuan→Jinul] Huayan.([Epigone] ≠ [Litongxuan→Jinul] ≈? [Uisang/Fazang→Chengguan]) Based on these researches, I raised the necessity of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ayan thoughts of ① [Litongxuan→Jinul] and ② [UIsang] and ③ [Fazang→ Chengguan] as future task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배지현(Jee-Hyu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을 구성 및 적용함으로써 전공수업의 개선을 도모하고,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실천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언어교육을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4학년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행연구의 결과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중 ‘계획’ 단계에서는 현장의 문제점인 언어교육에서의 유아 흥미 부족과 언어영역의 고정화 문제를 인식하고 1차 실행을 함께 계획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말하기가 활발하게 표출될 수 있는 놀이와 쓰기가 즐거운 재미있는 편지지를 창안하고, 현장교사 연계로 피드백을 받았다. ‘반성 후 재실행’ 단계에서는 현장실습을 다녀온 예비유아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쓰기 개발, 디자인씽킹을 반영한 놀이 사후실행안을 작성하였다. 사후실행안으로 모의수업으로 발표하며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진행하였다. 둘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의 의미’는 ‘관행 보다 소중한 유아에게 귀 기울이기’와 ‘공감과 협력을 통한 자기성찰과 성장’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변화는 필요하며, 유아에게 공감하며 각기 다른 문제를 해결해 본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ajor subjects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center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cultivate their teaching ability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ubjects centered on design thinking, the plan stage recognizes the problem of interest i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xecution of language areas. In the action step, they created a interesting stationery for plays that can be actively expressed for young children who are hard to write. In the re-action after reflection steps, they have developed creative writing based on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who have been working on a kindergarten field practice, Secon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for the major class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is listening to young children than given practice, and self-reflection and growth through sympathy and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eded to change the various major classes and the experience of problem solving is that it is also helpful for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