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약류남용에 관한 연구

        박현준 경주대학교 창의력개발연구소 2001 創意力開發硏究 Vol.- No.5

        Today, problems of drug abuse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not limited to a certain social group. Among th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drug abuse rapidly increasing drug addicted juvenile is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since it threatens to the national security. That is, drug abuse is not only a personal problem which causes a self destruction but also a social problem which induces a crisis for the society. However, despite of the seriousness of drug abuse people seems to consider the troublesome of drug abuse not so sincerely as it really is. Though there might be a some real connection between the collapsing moral standard in our society and increasing number of drug problems it seems to be a clear that biased public perception over the drug abuse might have caused the rapid dispersion of drug addict and have loosed the government effort to restrict the dispersion of drug problems. Because of the powerful poison of drug to a human body the best way to solve and to limit drug problem is the blocking of public approach to drug.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shows that controlling social demand for the drug is more effective than blocking drug distribution in the society. In this regard this study presents some possible alternatives to control the social demand for the drug in term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law enforcement. First, in order to diminish social demand for a drug we should strengthen public education and public advertisement regarding the serious problems of drug abuse. Second, we should give prior to addiction therapy than the law enforcement to control social demand for a drug for a long perspective. Third, government should develop new ways of investigation and keeping in order of drug related criminal cases such as introducing new reagent to investigate possible drug addict groups. Fourth, government should give a certain effort to manage new information about drug abuse and existing data for drug addict and construct systemiz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inally, government should raise current indemnity given to drug related information provider to a certain degree to hav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of social demand for the drug and etc.

      •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예방 기법

        임창호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7 社會科學論文集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ommunity policing, crime prevention theories,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and to introduce the main methods of crime prevention techniques for specific crimes to South Korea. Specific crime prevention techniques outlin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blem-oriented Guide for Police" published by The Office of Community-Oriented Policing Service of United States.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community policing was defined, and as the key elements of community policing activity, community partnerships and problem solving were presented. Concerning crime prevention theories, the Chicago Area Project (CAP), Neighborhood Watch Programs, Physical Design, Routine Activity Theory and Rational Choice Theory, Broken Window Theory were briefly described. In particular, 25 strategies for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presented by Clarke were introduced, which divided crime prevention goals into five main goals, and will help the police develop the effective 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concepts of Environmental Design Crime Prevention(CPTED) and 2nd generation CPTED were presented. As a specific crime prevention technique, prevention techniques for theft, robbery, assault and prostitution were introduced. Finally, so as to apply problem solving techniques to KNP,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atic study of crime prevention techniques,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local police officers, and the sharing of problem solving techniques among police agencies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경찰활동, 범죄예방이론, 환경 설계 범죄예방(CPTED)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특정 범죄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 기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범죄예방 기법들을 한국 경찰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소개된 범죄예방 기법들은 미국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서비스 국」(The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에서 발행된 「경찰을 위한 문제 지향 가이드」 (Problem-Oriented Guide for Police)라는 보고서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개념이 정의되고,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주요 요소로서 지역사회 파트너십과 문제해결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범죄예방이론들로서 Chicago Area Project(CAP), 이웃 돌봐주기 프로그램, 물리적 설계, 일상활동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 깨어진 유리창 이론, 상황적 범죄예방 이론의 개념이 간략하게 제시되었다. 특히, Clarke에 의해서 제시된 25가지 상황적 범죄예방 전략들이 소개되었는데, Clarke는 범죄예방의 목표를 5가지 주요 목표로 구분하였다. 이 전략들은 지역사회의 특정 문제들을 위한 해결방안들을 개발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될 수 있다. 또한, 환경설계 범죄예방(CPTED) 및 2세대 CPTED의 개념이 제시되고, 특정한 범죄예방 기법으로서, 절도 예방, 강도 예방, 폭행·협박 예방, 성매매 예방에 대한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범죄예방 기법의 한국 경찰에의 적용방안으로서 범죄예방기법의 체계적인 연구, 지역 경찰관의 인식 변화, 경찰관서 간 문제해결 기법의 공유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인범죄에 대한 치안대책

        김균태(Kim, Kyun-Tae),최응렬(Choi, Eung-Ryul)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4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사회는 고령인구의 증가로 많은 사회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다양한 사회문제 중 하나로 노인범죄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는 기존에 사회적 약자로서 노인을 범죄의 대상으로 만 파악하던 관점에서 탈피하여 범죄주체로서의 노인 즉, 노인범죄에 대해 실태와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범죄에 대한 대책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노인범죄의 원인에 관하여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 였으며, 노인범죄의 실태는 2014년 대검찰청 범죄분석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범죄의 주요원인으로는 경제적 요인, 신체적 요인, 가정적 요인, 심리적 요인, 성적 요인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노인범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범죄의 양상도 기존의 재산범죄, 경 미한 폭력범죄의 형태에서 살인, 강간 등으로 흉포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범죄에 대한 대책으로는 노인범죄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관심전환, 노인 범죄에 대한 전문수사관의 양성을 통한 수사역량의 강화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치안체계 확립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노인범죄의 원인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하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이지만,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범죄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s South Korean society advances to aging society, various social problems are emerging due to higher aging population. One of these exacerbating problems is crime on the elderly. This study avoids the current perspective that sees the elderly only as vulnerable victims, and rather focuses on crimes perpetrated by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e problem, and seeks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problem. Previous literature on the causes of elderly crime was conducted, and current status of elderly crime was examine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of data from the Prosecutor’s Office from 2014. Results show main causes of elderly crime are economic, physical, domestic, psychological and sexual factors, and analysis show elderly crime is persistently increasing. Also, type of crime perpetrated is becoming more severe, shifting from property crime and minor assaults to homicide and rape. This study proposes that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shift their attention to elderly crime, strengthen investigative abilities by training professional investigators on elderly crime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relevant institutions. This study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there was no empirical analysis, bu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a by proposing new policy alternatives in facing a new social trend, an aging society.

      • 문제음주로 인한 범죄행위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안상원,이재홍,박성수 한국중독범죄학회 2014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4 No.1

        현재 우리나라는 음주에 대해 매우 관대한 나라가 되어, 그만큼 문제음주로 인한 범 죄행위의 증가로 사회문제를 가져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잦은 술자리로 인해 음주 중독으로 까지 번져가고 있는 원인은 너무나도 다양하게 나타나 고 있다. 또한, 음주에 대해 관대한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가 다른 해외 사례들과 달리 음주로 인해 문제음주로 많은 사회적 문제를 가져오고 있다. 때문에, 문제음주는 범죄행위에 대하여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문제음주로 인한 범죄 실태를 다양한 관점에서 알아보고, 또한 문제음주로 인한 범죄가 인체에 해롭게 미치는 약물과 같이 가져오는 해악들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즉, 문제가 되는 음주의 개념, 중독의 개념과 함께 문제음주로 인한 범죄행위의 실태 를 살펴본다. 이와 함께, 현재 우리나라의 민간기관의 문제음주 예방 대책방안 및 형 사사법단계의 문제음주 발전방안으로 치료 및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Drinking in Korea is currently the country has been very generous, so drinking problem, a social problem due to the increase in criminal activity bringing in Korea. However, due to various reasons, frequent drinking of alcohol poisoning going to spread a variety of causes are appearing too. In addition, if the drinking culture in Korea for the generous Unlike other overseas cases due to alcohol drinking problem bringing many social problems. Problem, because drinking is part of a crime against the many in Korea. So drinking proble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o investigate a crime situation, problem drinking is also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caused by drugs and crime as harm with getting discussed.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problem drinking, alcohol poisoning caused by a problem with the concept of a crime to look at the actual situation. In addition, private institutions of our country's current problem drinking prevention and criminal justice measures levels of problem drinking measures development plan of treatment and discuss the countermeasures.

      • KCI등재

        음주요인이 강력범죄에 미치는 영향

        윤명숙,정슬기,이수비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3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4 No.2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blem drinking and alcohol related factors on malicious crime. Method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85 offender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Higher problem drinking rates were seen in subjects with a second offense, drinking at crime, and less than 19 years old at first drink. No spouse, low education, antisocial personality, second offense, less than 19 years old at first drink, drinking at crime, and problem drin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licious crime. Less than 19 years old at first drink increased the risk of malicious crime. Drinking during the crime and problem drinking increased the risk of malicious crim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lcohol related factors increased risk of malicious crim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causality of alcohol related factor. Suggestions of comprehensive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도박사범 기소유예자의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재경,박애란,황선영 한국보호관찰학회 2018 보호관찰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gambling problems of the suspended people of prosecution for the gambling criminals. The study was analyzed 1,584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gambling crime in 2017, and were analysed gambling experiences, mental health problems, readiness to change gambling, gambling related cognitions, and problem gambling. As a result,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was 30.8% and the level of middle risk gambling was 26.8%. Also, 56.2% of the respondents were played for online gambling, and 48.8% of them showed problem gambling level. In addition, 34.7% of respondents had mental health problem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blem gambling were the experience of online gambling, depression, anxiety and tension, suicide ideation and attempted suicide, readiness to change gambling, and gambling related cogn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to prevent gambling addiction and to prevent second conviction for gambling crimes. 본 연구는 도박사범 기소유예자의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박사범 재범방지 교육 이수를 조건으로 기소유예 처분되어 2017년 도박사범 재범방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1,584명에 대해 도박경험, 정신건강문제, 도박변화준비도, 도박인지오류, 문제도박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문제도박수준은 문제성도박 30.8%, 중위험도박 26.8%로 응답자 10명 중 3명이 문제도박자이며, 2명 중 1명은 위험도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박관련 특성으로 응답자의 56.2%가 온라인 도박을 하였으며, 이중 48.8%는 문제도박 수준을 보였다. 또한 정신건강문제가 있다는 응답은 34.7%로 불안 및 긴장에 대한 문제가 있다는 응답자의 60.4%는 문제도박수준이었다. 셋째,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라인도박의 경험, 우울, 불안긴장, 자살자해생각시도, 도박변화준비의 중요도와 자신감, 도박인지오류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도박사범 기소유예자를 대상으로 도박중독예방 및 도박사범 재범방지를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 고령화 사회의 노인 교통범죄 추이에 관한 연구

        김순석(Kim, Soon-Seok) 한국범죄심리학회 200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4 No.1

        이 연구에서는 인구 노령화를 염려하는 사회 각계의 우려와 때를 같이 하여 일각에서 제시하는 인구 노령화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특히 신체적․정신적․경제적으로 특별한 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노인의 범죄화, 그중에서도 특히 노인 교통범죄의 발생과 관련하여 기존의 인구통계학적 자료들과 범죄관련지표들을 수집․분석․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인구의 급격한 노령화 현상이 노인 범죄의 증가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특히 교통범죄의 증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노인교통범죄의 증가 원인으로 신체적 나이는 과거보다 젊어졌음에도 사회적 나이로 인하여 퇴직을 경험하는 노령층이 재취업이나 사회보험 등의 혜택으로 경제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노령층에 의한 교통범죄가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인구 노령화가 지금보다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에 더욱 큰 사회문제로 자리 잡을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노인문제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교통문제와 관련하여 노령층이 가지게 될 비중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향후 교통관련 법령의 정비 및 교통 시스템의 재정비에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후적 단계에서 교통범죄로 인한 노인 범죄자의 보호와 구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Our aging population has been sharply increased in numerical aspect due to the extended life expectancy by the continuous decrease in death rate, and this situation is expected to be continued. Accordingly, problems of population aging are rising as significant issue from socioeconom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made an approach by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blem of population aging and specially, collecting, analyzing and reorganizing existing data in relation to crimes of the elderly who form a special class in physical, mental, and economic terms - in particular, traffic-related crimes of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harp population aging is related with increase in elderly crimes as well as increase in traffic-related crimes of the elderly, and such increase in traffic-related crimes of the elderly causes more possession of cars as the elderly who retire from office due to sociological age have better economic status by the benefit of reemployment or social insurance, which results in traffic-related crimes. To solve out the said trouble, social interest in the problems of aging and the relation between aging and traffic-related crimes should be examined again,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upon arrangement of traffic-related laws and rearrangement of traffic system.

      • KCI등재후보

        경찰활동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송봉규(Song, Bong Gyu),김재운(Kim, Jae-Woo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경찰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야 하는 이유, 경찰활동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가 중요한 이유, 경찰활동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쟁점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전통적 경찰활동, 전문적 경찰활동, 지역사회 경찰활동, 깨어진 창이론,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등 경찰활동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우선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는 경찰의 중요한 임무이며 목표이다. 지난 30~40년 동안 경찰활동에서 ① 목적이 불분명한 정선 차량순찰이 범죄예방이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효과가 없으며, ② 신속대응은 범죄해결률과 주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③ 범죄수사는 성공적이지 못하며, ④ 범죄예방에 관한 전통적 교육은 주민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지역사회 경찰활동, 깨어진 창이론,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방법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를 위해서는 첫째,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를 위해 목표화된 접근을 실행해야 한다. 둘째, 효과적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를 위해 맞춤형 경찰활동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를 경찰 임무와 목표에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주민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주민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민의 목소리에 경청하는 경찰의 자세가 필요하다. This study reviews the reason why police should spend efforts to decrease fear of crime, and the importance of decrease in fear of crime in police activity, and reviews controversies related to police activity and fear of crime.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raditional policing, professional policing, community policing, broken windows theory, problem-oriented policing on fear of crime. According to analysis, decreasing fear of crime is an important mission and goal of the police. In the last 30~40 years of policing, ① police patrol without a specific objectiv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fear of crime, ② quick response and crime conviction rate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itizen satisfaction, ③ criminal investigation is not successful, ④ traditional education on crime preven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fear of crime. In comparison, significant effect on fear of crime were found on community policing, broken windows theory and problem-oriented policing.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fear of crime, first, goal-specific approach should be taken. Second,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policing for effectively decreasing fear of crime should be expanded. Third, decreasing fear of crime should be included in police mission and goals. Fourth, citizens should be regularly surveyed on their fear of crime levels. Last, in order to measure fear of crime of citizens, the police need to respectfully listen to what they have to say.

      • KCI등재

        노인범죄의 실태와 원인

        김상원 ( Kim Sang-weo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6 공공정책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새롭게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노인범죄의 실태와 원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인구동태학적 통계자료, 경제활동인구 통계자료와 범죄통계 자료를 통해 노인인구비율, 부부가구와 노인 1인 단독가구의 증가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 경제생활에서 노인의 구직이나 재취업의 어려움이 실재함을 알 수 있었다. 샘슨과 라웁의 발달이론의 생애 안정과 인생 전환이라는 요소를 통해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사회유대의 약화가 노인범죄의 지속과 중지를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부부가정과 1인 단독가구의 증가 및 구직의 어려움이나 재취업이 어려운 70대 노인층에서 직장과 같은 제도적 수단의 결여가 노인들의 재산범죄 증가를 낳게 했다는 점에서 머튼의 아노미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노인범죄의 실태와 원인규명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노인범죄의 예방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lderly crimes in Korea. Korea has experienced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change of family structure caused by increase of single elderly household and problems with economic conditions among the elderly, resulted from aging society.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have been replaced by nuclear and single family in Korea. Extension of life can be economic burden in aging society, thus the elderly seek employment for living. According to Sampson and Laup`s developmental life-course theory and Merton`s anomie theory, proliferating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 and single elderly household and seeking employment in aging society explai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among the elderly. Property crime among the elderly can be explained by applying Merton`s anomie theory. The aggravated economic burden among the elderly in Korea has influenced on the increase of property crimes, especially over 70 year-old popul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n prevention of the elderly crimes.

      • KCI등재

        일본 소년범죄 현황과 대책에 관한 검토

        배상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3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s on countermeasures against juvenile crime clearly reveals the seriousness of the social problem that Korea is facing. In particular, the paternalism disposition given without accurate cause analysis and reflection on juvenile offenders by focusing only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juvenile justice, not punishment, is also a problem.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confirmation bias that strict punishmentism is the only solution must also be guarded against. In relation to this, if we look at the situation in Japan, juvenile crime has continued to decrease since 2003. In this regard, in addition to the long-term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as well as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since the 1990s, the generation who has been in a stable and fixed living environment materially and mentally has a strong ‘other-oriented’ tendency is cited as the cause. Due to this, although it is a social problem, in an era when juvenile offenders had to emphasize the ‘healthy growth’, juvenile crime has become a society where it is no longer an issue except for some heinous cases. Of course, these social changes are not the only cause of the decrease in juvenile crime. In each region, we are actively operating the management of juvenile delinquents and offenders at the police level, and the resocialization process in which the juvenile detention center and the local community are connected.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prevent juvenile crime. I think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juvenile crimes following these social changes in Japan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contain the implications that our society needs. 소년범죄 대책에 대한 상반된 입장의 차이는 현재 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특히 형벌이 아닌 소년사법의 교육적 기능만을 중시해 소년범죄자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과 평가 없이 내려지는 온정주의적 처분도 문제이지만, 소년범죄자에 대한 대중의 분노와 냉소, 일부 흉악범죄에 편중된 언론보도로 인한 엄벌주의만이 해결책이라는 확증편향의 문제도 경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일본의 상황을 살펴보면, 2003년을 기점으로 소년범죄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장기간 저출산⋅고령화가 진행된 것과 더불어 1990년대 이후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인해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안정적이고 고착된 생활환경에 있었던 세대로서 ‘타인지향 형’ 성향이 강한 점도 그 원인으로서 거론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회적 문제이나 소년범죄자에 대하여 소년의 ‘건전육성’을 강조해야 했던 시대에서, 소년범죄가 일부 흉악사건을 제외하고는 더는 이슈화되지 않는 사회가 되었다. 물론 이러한 사회적 변화만이 소년범죄 감소의 원인은 아니다. 각 지역별로 경찰단계에서의 촉법소년 및 우범소년에 대한 세밀한 관리는 물론 소년감별소와 소년원도 지역사회와 연계된 재사회화 과정을 활발히 운용하고 있으며, 아동복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촉법소년에 대한 교육과 보호를 내실화하는 등 소년범죄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사회변화에 따른 소년범죄 현황과 그 대책에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시사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