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 병제개혁 논의와 사병혁파(私兵革罷)를 통한 ‘공가지병(公家之兵)’의 구현

        정일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2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intents of Confucian scriptures and Chinese ancient system by examining the arguments of the people who had a intention of reforming the military system(兵制) through dismissing Private Army(私兵) in the late period of Goryo and in the early one of Joseon. And this also analyzes how the reformers cogniz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system at that time, especially how they solved the problems of military power(兵權)‘s whereabouts and methods of function according to the intents. After the Withdrawal from Wihwado, Jo Jun(趙浚)·Jeong Dojeon(鄭道傳) and others reinterpreted that the early Goryo's military system modeled on the Chinese ancient system with reflecting the sprit of the times. And they also made sure of the ideal Army(兵) who protects 'Kingship'(人君之位). Jo Jun(趙浚)·Jeong Dojeon(鄭道傳) and others executed the reformation of military system to realize the ideal Army. But the logics, behind the arguments about Wonsu(元帥)·Jeoljesa(節制使) and their soldiers away from 'Kingship' were changing uder the political circumstances. Finally, the reformers declared to dismiss Private Army and realize National Army(公家之兵)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as anyone and also King(人君) like and would be beneficial to all of the people of the dynasty. However, the declaration didn't mean the completion of the realization of National Army. It stood for the change of the reformers' cognition of Private Army and National Army. 본고에서는 麗末鮮初 개혁론자들이 古制의 취지를 구현하려는 새로운 시대정신에 따라 당시 元帥·節制使의 兵權 分掌에 따른 문제를 비판하면서 결국 모든 군사가 국왕 개인이 아니라 宗廟·社稷과 臣民이 의탁하는 ‘人君의 位’, 즉 公家를 지키기 위해 존재한다고 인식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당대의 맥락과 연계된 논의가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고려 말은 대외적 위협이 대두한 시기로 당시 조정은 그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각 도별 元帥를 임명하고 兵權을 나누어 장악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元帥, 이후 節制使의 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서 오히려 외적의 침입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위화도 회군 이후 조준은 唐 府兵制의 취지에 따라 節制使의 수를 감축하고 軍簿司를 중심으로 兵制를 개혁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조선 건국 이후 節制使는 국왕 이성계와의 친분관계를 매개로 宗親‧功臣이 임명되었고, 그들은 오히려 자신들이 兵權을 가져야 개국 초의 불안한 정국 속에 人君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정도전은 유교 經典과 중국 古制를 검토하면서 오히려 宗親‧功臣이 節制使로서 兵權을 分掌하면 內亂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는 唐의 府兵制 등을 본받아 兵權의 層位를 發命權, 發兵權, 掌兵權으로 구분함으로써 오로지 ‘人君의 位’에 복종하는 군사를 만들고자 하였다. ‘人君의 位’는 단순히 국왕 개인이 아니라 宗廟·社稷을 비롯해 모든 臣民이 의탁하는 국왕의 지위를 말하며, 이것이 대대로 이어질 때 왕조국가, 즉 公家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이방원을 비롯한 宗親·功臣은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1·2차 왕자의 난을 거치며 권근‧김약채 등은 私兵革罷를 주장하였다. 이들은 유교 經典과 중국 史書의 典範에 비추어 私兵 자체를 문제시하였고, 私兵으로 인해 마음이 달라져 內亂이 발생하는 것은 至親에게도 해당되는 사람 본성의 문제라고 단정 지었다. 뿐만 아니라 私兵은 人君과 宗親‧功臣뿐만 아니라 軍民에게도 피해를 주어 생계를 보장하는 등의 仁政에도 어긋나는 것이었다. 따라서 권근·김약채 등은 私兵 자체를 문제로 삼고 ‘人君의 位’를 지키는 公家之兵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私兵革罷는 제도의 완비가 아닌 인식의 변화를 의미하며 公家之兵을 구현하기 위한 兵制改革은 이후에도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兵權의 所在 이외에도 保法과 軍役 등 이후 다양한 兵制의 변화도 古制를 회복하려는 시대정신의 맥락에서 재검토한다면 兵制史를 더욱 풍부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고려 최씨 정권기 私兵의 운영과 家奴

        이정민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6

        This study explores the management of private army(私兵) during the Choe military regime in Goryeo period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regime’s running of private army. There are precedent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Choe regime’s management of private army, but they have not dealt with its members’ propensity.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fundamental change in the attitudeofsoldiershasnotbeenproperly considered. The Choe military regime’s private army was largely composed of Dobang(都房) and House army(家兵). All members of Dobang were connected to the central bureaucracy, but the House army was not. Dobang had a bond with the Choe military regime in exchange for public offices, and could turn its back on the Choe military regime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In preparation for such a situation, Choe military regime bestowed an office on domestic slaves(家奴), the conductor of the House army. However, these domestic slaves, newly involved with the bureaucracy, broke away from the Choe military regime and caused the fall of the regime.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army management was that Choe’s military regime used the centralized royal bureaucracy for its own benefit, but could not possess it. 본 연구는 고려 최씨 정권기 사병의 운영과 그 구성원의 성격 변화를 추적하여 최씨 정권의 사병 운영 한계점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도 사병의 운영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구성원의 성격과 함께 분석되는 작업이 별로 행해지지 않아 그들의 행동 변화가 근본적으로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씨 정권의 사병은 크게 도방과 가병이 있었다. 도방의 구성원은 모두 중앙의 관료제와 관련되었으나, 가병은 그렇지 못했다. 도방은 관직을 반대급부로 하여 최씨 정권과 결합관계를 맺었는데, 정치적 상황에 따라 최씨 정권을 이탈할 수 있었다. 이를 대비하여 최씨 정권은 가병의 지휘자인 가노에게 관직을 주었는데, 새롭게 관료제와 연결된 가노가 최씨 정권을 이탈하면서 최씨 정권은 무너지게 되었다. 사병 운영 한계는 최씨 정권이 국왕 중심적 성격의 관료제를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활용했지만 소유할 수 없는 점에 있었다.

      • KCI등재후보

        근대 이전의 한국 민간경비제도 고찰

        김우준(Kim, Woo Ju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의 조사ㆍ분석을 통하여 고대 연맹국가시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1863년 이전)라는 시대적 구분을 기준으로 각 시기별로 주요한 민간경비제도들을 소개하고그 특징점을 분석ㆍ정리하였다. 고조선의 위만이 거느린 유이민 세력과 부족민, 하호, 노비의 활동에서 고대 연맹국가시대의 민간경비 활동상을 추론할 수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신라, 백제에서 공통적으로 귀족이 보유한 사병적 경비조직이 신변경호, 시설경비 등의 기능을 수행했음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기에는 장보고가 이끈 청해진세력은 보안산업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었고, 신라 하대에는 각 지방의 호족들이 사병을 보유하여 경비를 담당하였고, 지역의 호부층과 농민이 중심이 된 향촌의 자위조직이 형성되어 자율방범활동을 펼친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무신집권기의 사설 경비 기구라 할 수 있는 도방, 가병, 마별초 등이 민간경비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고려말 조선초의 시기에 귀족ㆍ권력가 집단이 보유한 사병 집단은 왕조 교체의 주된 배경이 될 정도였다고 분석된다. 조선시대 초기에도 왕족 및 귀족이 사병을 보유하여 자경활동을 하였으며, 계유정란 등 정치사적 주요 사건에도 권세가의 사병ㆍ경비집단이 관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타 영조대의 꼭지단이나 흥선대원군이 부렸던 무력 집단에 관한 사료에서 조선시대에도 여러 형태의 민간경비 내지 사적 경비집단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설명이나 주장은 대부분 추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정밀하고 철저한 고증을 거쳐서 확인해 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으나, 많은 역사적 스펙트럼 속에서 민간경비사적으로 의미있는 사료들을 발췌ㆍ고증하여 후속 연구의 편의를 도모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considering about korean private security systems in pre-modern era; Go Joseon(old Joseon) period, Three kingdoms period, Koryo period, early Joseon period. In the Go Joseon(old Joseon) period, drifting people group led by Wiman could considered as a kind of private security group. And lower class people or slaves took a role as private security resources. It could be ascertained that private army group possessed by aristocrats performed as private security resources in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Chang pogo established Cheonghaejin(quasi-private naval base) on Wando Island and swept the pirates from the seas and led the overseas trade of East Asia Sea. In the late of unified Silla period, local aristocrats, the riches and peasants had a neighborhood crime prevention guard organizations as vigilante corps. In the Koryo dynasty military official administration, special organizations(for instance, Dobang, Mabyoulcho, Choi’s House troops) performed as a role of private security group. From late Koryo to early Joseon, private army group possessed by aristocrats contributed to open new dynasty(Joseon) era. In the Joseon period, some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possessed their own private army groups and held vigilance activities. Records of some critical political events like the Kaeyou-Jungran(a coup d’etat in 1453) testified that some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possessed their own private army groups. Focusing on historical scientific deduction, documentary researching method and domestic review of advanced research could be mentioned as limitations or flaws, but it has academic contributions and meaningfulness considering to construct the base of future studies, despite lack of related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하대 왕위계승전과 사병의 확대

        이상훈(Yi, Sang-hu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8

        신라 하대는 정치,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유례없는 변혁의 시대로 평가된다. 이 시기에는 진골귀족들의 왕위계승 분쟁이 치열하였고, 그 과정에서 私兵의 존재가 드러났다. 혜공왕대 대공의 난, 헌덕왕대 김헌창의 난, 흥덕왕대 김양의 난 등에서 사병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이에 따라 신라 하대는 국가의 공병이 작동하지 못하고 사병이 주축이 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신라 하대는 사병이 확대되고 공병이 소멸되는 과정이었지만, 국왕에 따라 공병 체계가 작동하는 수준이 달랐다. 신라 하대에도 국왕들은 즉위 후 끊임없이 왕권 강화와 군사력 통제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국왕권의 변화가 있었고, 또한 사병과 공병의 역학 관계도 시기별 변동이 있었다. 신라 하대에 사병의 활동이 부각된다고 해서 공병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다. 이에 신라 하대 전체를 단순히 ‘사병의 시대’로 인식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The late period in Silla was an era of change i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so on. The battle for the throne was fierce, and the presence of private army appeared. The late period in Silla was a process in which the nation"s military were weakened and private army expanded. However, the level of movement of the nation"s militar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g. The kings constantly tried to strengthen their authority after their ascension. Thus, there were changes of royal authority from time to time, and the presence of private army was also changed. As a result, the late period in Silla should not be regarded simply as an era of private army.

      • KCI등재

        임진왜란 전후 중앙군제의 변화

        김종수(Kim, Jong-soo)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 군사 Vol.- No.84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transformed the central army system in three respects. First, it transformed the way to control the soldiers. It abolished the personal control system which was made in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of Goryeo Dynasty and introduced a public control system in 1400. But there was a serious short coming in this system. While the generals could command soldiers allotted to them in theory, they did not have any soldiers in fact. Because the soldiers were consisted of peasants who worked in their fields in peacetime. To overcome this shortcoming Hunryondogam(訓鍊都監) introduced the private control system in 1593. Second,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abolished the rotation system of soldiers. King Taejong(太宗) introduced the rotation system of Gabsa(甲士) to prevent any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enerals and Gabsa. But military abilities of Gabsa fell severely and the rotations were not kept correctly. King Seonjo(宣祖) said in a sharp regret that Gabsa were not soldiers but peasants. Therefore Hunryondogam which was founded in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was consisted of standing armies. Third,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transformed the main forces of armies from cavalry soldiers to infantry soldiers. Because cavalry soldiers who should take their turns from distant regions tried to evade their duties in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orses which was made worse i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fter 16 century and the sharp rise of price of the horse made their carrying out their duties more difficult. Moreover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learned the superiority of matchlock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 armies of Joseon Dynasty whose main forces were cavalry soldiers were defeated by the Japanese armies which used matchlock.So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tried to train soldiers to use guns. The introduction of matchlock influenced greatly the military industry of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