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희숙 ( Heesook Han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2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 사례를 통해 당시 대군부인의 지위를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 초기에 이혼을 한 대군은 세종의 아들인 임영대군과 영응대군, 그리고 예종의 아들이자 성종의 사촌 동생인 제안대군이다. 그런데 영응대군과 제안대군은 이혼한 전처와 재결합하기 위해 재혼한 후처와 다시 이혼함으로써 각기 두 번의 이혼을 하였다. 여기에 태조의 세자 방석의 경우와 세종의 세자 문종의 2번에 걸친 이혼을 포함하면 조선초기 왕의 적자들의 이혼 비율은 꽤 높은 편이었다. 당시 왕실에서의 이혼은 혼인 당사자들보다는 가장인 왕과 왕실 어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혼을 결정할 권리를 갖고 있는 왕은 신하들에게 그 여부를 묻고 있지만 신하들이 반대해도 결국은 일방적으로 며느리인 대군의 처를 내쫓았다. 이혼 사유는 주로 `병`과 `불순부모(不順父母)`였다. 임영대군의 첫 번째 부인 남씨, 영응대군의 전처 송씨, 후처 정씨, 제안대군의 전처 김씨는 모두병을 이유로 쫓겨났다. 그러나 사실 영응대군의 후처 정씨의 이혼사유는 불명확했으며, 제안대군의 후처 박씨의 이혼 사유는 불순이었다. 마음이 바뀐 대군들은 전처와 재결합하기 위해 이혼 사유를 만들어 냈다. 사실 병의경중은 출처에 큰 문제가 되지 않았고, 불순부모도 명분에 지나지 않았다. 이혼 당시 처에게는 모두 자식이 없었는데, 무자(無子)가 출처의 직접적인 사유는 아니었으나 그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한편 왕실 이혼은 여성에게 매우 불평등한 것이었지만, 여러 대신들의 논의를 거친 뒤에야 가능했다. 대군들이 첫 번째 부인들과 이혼하는 데에는 대신들의 반대가 별로 없었다. 왕의 뜻을 따랐다. 그러나 재혼한 후처와의 이혼에 대해서는 대신들과 대간들이 적극 반대하였다. 그 이유는 이혼 사유가 불분명하고, 특히 전처와 재혼하기 위해 후처를 출처(黜妻)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처와의 이혼을 막지 못했다.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례에서 당시 대군부인들은 모두 일방적으로 출처를 당했다. 출처사유는 칠거지악이며, 이것은 대군의 처들에게도 자주 남용이 되었다. 대군부인은 모두 결혼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10대의 나이에 출처되었다. 둘째, 대군들의 이혼은 국가의 수장이자 왕실의 가장인 왕의 결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왕이 대신들과 의논을 하였다. 셋째, 대군들은 왕의 아들, 왕의 삼촌, 왕의 사촌이라는 종친으로서의 특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일방적인 출처가 더욱 용이하였다. 이혼 문제에 있어서 대군부인들의 지위는 매우 낮았다. 넷째, 출처될 시점에서 대군과 부인 사이에는 모두 자식이 없었다. 다섯째, 대부분 대군부인들은 당대 권력가의 딸들이었기 때문에 출처된 후에도 경제적으로 넉넉하게 살았다. 대부분 재혼하지 않고 평생 친정 조카와 함께 살았으며, 자신의 재산을 조카에게 상속하였다. 대군부인들은 혼인을 통해 정1품의 부부인(府夫人)이라는 높은 외명부품계를 받았지만, 이혼과 동시에 그 지위를 잃었다. 즉 왕실의 강력한 권력 앞에서는 나약한 존재였다. 시부모의 뜻이나 변심한 남편들에 의해 출처 당하기 쉬웠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atus of princes`s wives through the divorce case of princes in early Joseon. Divorced princes in early Joseon were Imyoung and Youngeung princes, as sons of King Sejong, and Jaean prince, son of King Yeajong as well as cousin of King Sungjong at the same time. However, Imyoung and Youngeung princes were divorced with their second wife for remarried again with their ex-wife, so they divorced twice each other. Therefore, three princes were divorced 5 times. Those divorce rating was very high in other to include Bangsuk who was a crown prince of King Taejo as well as Mungong who was a crown prince of King Seajong . Royal divorces at that time were led by the party of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than man and wife themselves. King had right to decide even if he was asking about divorce to his servants or if the servants were opposed to divorce, and eventually, the king drove out the wives of the princes, which were the one-sided. Commonalities that appear in the divorce cases of the princes in early Joseon as follows. First, the wives of princes were driven unilaterally. the wives were kicked out because of disease or impure parents as a one of `Chilgegiak(七去之惡)`. The wives of princes were driven out in ten young age, which had not been married a few years. Second, the princes, as a king`s son, a king`s uncle, and a king`s cousin had the privilege of Jongchin. Therefore, it was rationalized unilaterally pushing a clearance, and status of the wives of princes in the divorce was very low. There was no marital child when wives were evicted. Finally, the wives who were daughters of powerd person, most of wives had lived with nephews without remarrying and their property were inherited to nephews. Even though, the wives received `Bubuin Oimyungbu(外命婦) pumgae(品階)` of Jeung1pum(正1品) through marriage, they were weak in front of the King`s family and powerful of husband family. The wives were kicked out by father-in-law or mother-in-low as well as easy to cast out by husband who changed their mind.

      • KCI등재

        태조~성종대 왕실여성의 封號와 가문 현황 분석 - 大君夫人·君夫人을 중심으로

        이미선(Lee Mi-Seon)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본고는 조선 초기 왕실여성 가문의 성격과 외척의 정치적 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태조∼성종대까지 간택후궁과 대군부인·군부인들의 가문 현황을 정리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無品인 王女를 제외한 간택후궁 25명과 왕자 부인 102명, 모두 127명이다. 이 여성들이 命婦의 爵號로 불렸던 만큼 그 정비 과정과 함께 公的칭호를 살펴보았다. 왕실여성의 칭호는 명부제도의 정비와 관련된다. 그들에 대한 칭호는 명부의 名號이자 封號였다. 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여성을 총칭하는 용어로, 명부의 수장인 왕비 아래에 內命婦와 外命婦로 나뉜다. 후궁은 내명부의 봉호를 받았고 왕자 부인은 외명부의 봉호를 받았다. 외명부제도는 1396년(태조 5) 吏曹에서 문무관 부인에게 내린 봉작을 정비하면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1417년(태종 17)과 1432년(세종 14)에 한두 차례 개정되었고 성종대 완성된 경국대전에 최종 수록되면서 대군부인·군부인의 호칭은 각각 정1품 府夫人과 郡夫人이 되었다. 왕자와의 혼인을 통해 정1품에 오른 부인들은 간혹 정치적 문제나 자신의 윤리적 이유 등으로 그 지위를 잃게 되면서 그에 따른 호칭도 변경되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24명은 왕위를 계승한 남편을 둔 대군부인이나 궁궐에서 쫓겨난 폐빈·폐비 또는 이혼당한 대군부인, 그리고 왕비로 승격된 간택후궁 등이다. 태조에서 성종대까지 왕실여성들의 가문 127명의 성관을 분석한 결과, 국왕 10명의 간택후궁 25명은 15개의 성씨와 19개의 관향으로 파악되었고 왕자 78명의 부인 102명은 32개의 성씨와 58개의 관향으로 파악되었다. 이때 대군부인의 집안은 28개 가문에서 40명이 배출되었던 비해 왕자군의 부인 집안은 47개 가문에서 62명이 배출되었다. 그런 만큼 이 시기에는 왕실의 통혼 범위가 매우 넓었다. 게다가 대군과 왕자군의 신분적 차별이 사대부 집안과의 혼인 관계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contains a preliminary study that would hopefully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f the nature of certain houses to which the female members of the Joseon Royal family belonged in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as well as studies of the role of the Royal family’s in-law hous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catalogue all the houses of the Daegun-Bu’in(大君夫人) and Gun-Bu’in(君夫人) figur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he history of Selected Royal concubines(Gantaek Hugung, 揀擇後宮) from the days of the Dynasty founder(Taejo, 太祖) through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Examined here are total of 127 females, including 25 Gantaek Hugung figures (with the exception of Royal princesses who bore royal blood and thus had no Pum[品] ranks), as well as 102 females who were wives of the Royal princes. These females were addressed with their bestowed Myeongbu(命婦) titles[爵號], so their official titles are also examined here. Tit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females were develop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Myeongbu system, which was compiled of official titles[名號] that were to be bestowed(or assigned, 封號) by the government to females married to the Royal family males or other governmental officials. The term Myeongbu itself was a generic term that referred to females who were officially designated by the state, while the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Queen, featured two tracks of females: the Inner Myeongbu figures(Nae-Myeongbu, 內命婦) and the Outer Myeongbu figures(We-Myeongbu, 外命婦). Royal concubines received titles associated with the former track, while wives of princes received titles associated with the latter. The latter track was initiated for the very first time in 1396(5th year of Founder Taejo’s reign) when the Ijo(吏曹, Office of Personnel Assignment) office decided to modify titles that had been bestowed to wives of governmental(civil and military) officials. Later the system was revised in 1417(17th year of the reign of Taejong/太宗) and 1432(14th year of the reign of Sejong/世宗), and was also documented in the Joseon Law Code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compiled during the Seongjong era. The titles for Daegun-Bu’in and Gun-Bu’in became Bu-Bu’in(府夫人) and Gun-Bu’in(郡夫人) respectively, with both figures harboring the Jeong-1-pum[正一品] rank. Females who obtained this rank through marriages with the Royal princes sometimes lost their status due to political controversies or breach of moral conduct, and in those cases their titles were also adjusted or modified. Among the 127 figures examined here, 24 cases can be spotted, ranging from Daegun-Bu’in figures married to males who later became Kings, to Queens and Royal concubines who were stripped of their ranks and summarily dismissed from the palace, to Daegun-Bu’in figures who were forcibly divorced, and to Gantaek Hugung figures who were promoted to the status of Queen. Analysis of the household names of all 127 Joseon Royal family females from the era of Taejo to Seongjong reveals: 25 Gantaek Hugung figures—married to total of 10 kings—who collectively feature 15 last names[姓氏] and 19 hometowns[貫鄕], as well as 102 females married to 78 Royal princes featuring 32 last names and 58 hometowns. There were 40 Daegun-Bu’in figures from 28 houses, while 62 prince-wives from 47 houses. The Royal family of this time displayed quite a range in its marital network, and the unequa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un figures and other princes does not seem to have affected their marriages with Sa-Daebu(士大夫, Scholar/Official) households.

      • KCI등재

        동화의 변용을 통한 다시 읽기: 「개구리왕자」 패러디 텍스트를 중심으로

        조희정 문학과영상학회 2020 문학과영상 Vol.21 No.2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parody texts of a fairy tale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original text and thereby raise issues relevant to contemporary society. Among the tales collected and revised by Grimm brothers, “The Frog Prince” is somewhat extraordinary in that it shows the King-Father figure often erased in other fairy tales and reveals the circulation of a female between men. Anne Sexton’s parody of “The Frog Prince” in her Tansformations focuses on this aspect, effectively addressing the matter of patriarchal control over women. Katharyn Howd Machan’s “Hazel Tells LaVerne,” which delineates a lower-class working woman’s encounter with a frog in a hotel bathroom, modernizes the fairy tale even further. By overtly denying the possibility of a “happily-ever-after” ending achieved through a kiss with a prince, Machan’s parody work appears to respond to the Disney version of fairy tales rather than the original version. Disney’s 2009 animation film, The Princess and the Frog, shares central motives operating in Machan’s re-write of “The Frog Prince.” Tiana, Disney’s first black heroine, is a lower-class woman, who struggles to realize her dream to open her own restaurant in New Orleans in the Jim Crow era. Although her transformation into a frog for the main portion of the running time is problematic in that it seems to elide the issue of racial identity, Tiana’s diligence and independent spirit are quite noteworthy as the entirely new aspects of a Disney princess. Also, her marriage to Prince Naveen, a racially hybrid character, suggests the transient Utopian vision of post-racial society, which stems from the optimistic social atmosphere after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Obama.

      • KCI등재

        전통 시대 한문 학습법에 관한 일고찰 -영조의 장헌세자 교육을 중심으로-

        신영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is study was prepared to review one aspect of teaching methods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traditional period, which were forged on the basis of accumulated learning experienc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past literature, there are many official records concerning the learning processes of kings and crown princes. Among others, the study proceeded to this discussion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King Yeongjo’s education of Prince Jangheon. Through the process, the study looked into the opinions of King Yeongjo during the education of Prince Jangheon and reviewed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e class, which became the key issue in the actual class. Hopefully, this discussion will be a foothold for drawing a higher educational effect with a combination of the current teaching methods and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eaching methods. 본고는 오랜 동안 축적된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전통시대 한문 학습법의 한 측면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과거의 문헌에는 국왕과 왕세자의 학습 과정을 적어둔 공식 기록이 매우 많은데, 그 중에서 국왕 영조가 장헌세자를 교육하던 모습을 중심으로 본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장헌세자 교육을 위한 영조의 의견들을 알아보았으며 실제 수업의 현장에서 쟁점이 되었던 수업의 절차와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논의가, 현재의 학습 방법에 전통적 한문 학습 방법을 결합하여 더 높은 학습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14세기 말-15세기 초 프랑스 왕국의 ‘재정 혁명’과 재정 문제

        성백용 전북사학회 2010 전북사학 Vol.0 No.36

        During the reign of Charles V and Charles VI, the French royal revenue witnessed considerable changes, characterized by its remarkable and consistent increase, which might be called 'the financial revolution'. These changes were materialized by the permanent tax system and the royal monopoly of taxation. The royal regime also managed to appease the resistance of ruling classes to this practice by exempting them from paying the taxes and allowing great seigneurs and municipalities to take a portion of tax revenue from their jurisdictions. In the reign of Charles VI, however, when the royal control withered away and the influence of royal princes, so-called 'sires des fleurs de lys' grew, the increased royal revenue became a stake that instigated the ambition and struggle among the princes. The issues of this struggle consisted in: who would take the greater part of the government purse, and conversely, in order to be victors it was necessary for them to take more than their rivals. Consequently, the large reservoir filled with tax income was being transformed into private sources by which several factions of princes were able to maintain and increase their protégés who were eager to seek protection from the powerful. When the royal taxation was about to be a main channel to absorb resources of the subjects, in the root of the crises the French kingdom faced was the privatization of state finance and the consequent réféodalisation.

      • KCI등재

        전통 시대 한문 학습법에 관한 일고찰 : 영조의 장헌세자 교육을 중심으로

        신영주 ( Young Ju Sh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본고는 오랜 동안 축적된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전통시대 한문 학습법의 한 측면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과거의 문헌에는 국왕과 왕세자의 학습 과정을 적어둔 공식 기록이 매우 많은데, 그 중에서 국왕 영조가 장헌세자를 교육하던 모습을 중심으로 본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장헌세자 교육을 위한 영조의 의견들을 알아보았으며 실제 수업의 현장에서 쟁점이 되었던 수업의 절차와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논의가, 현재의 학습 방법에 전통적 한문 학습 방법을 결합하여 더 높은 학습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repared to review one aspect of teaching methods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traditional period, which were forged on the basis of accumulated learning experienc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past literature, there are many official records concerning the learning processes of kings and crown princes. Among others, the study proceeded to this discussion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King Yeongjo`s education of Prince Jangheon. Through the process, the study looked into the opinions of King Yeongjo during the education of Prince Jangheon and reviewed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e class, which became the key issue in the actual class. Hopefully, this discussion will be a foothold for drawing a higher educational effect with a combination of the current teaching methods and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eaching methods.

      • 1636년 〈金國外藩各蒙古貝勒奉朝鮮國王書〉의 서식과 인장: 실물 문서로 드러나는 병자호란 전야 후금·조선 관계의 이면

        구범진(Koo, Bumjin)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20 東亞文化 Vol.58 No.-

        1636년 봄 후금은 조선으로 사신을 파견하여 그들의 한(汗) 홍타이지를 ‘황제’로 추대하는 일에 조선도 동참할 것을 요구하였다. 조선이 그들의 요구를 단호하게 거부하였고, 결국에는 1637년 초 그들의 무력 침공, 즉 병자호란을 겪게 되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당시 후금의 사신 일행은 홍타이지에게 복속한 몽골의 ‘16국 49버일러’들이 조선 국왕에게 보내는 한문 서신을 지참하였는데, 이 글에서는 ‘16국 49버일러’들이 보낸 서신 원본의 서식과 인장을 통해 병자호란 전야 후금·조선 관계의 이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먼저 서신의 서식을 보면, 훗날에 편찬된 『청태종실록』은 몽골의 버일러들이 이 서신에서 후금의 한 홍타이지를 조선의 국왕 인조보다 상위의 존재로 취급한 것으로 기록하였지만, 서신 원본에서는 홍타이지와 인조가 서로 대등한 존재이다. 이러한 차이는 물론 실록이 서신 원본을 왜곡한 데에서 비롯한 것이다. 다음으로 서신의 인장에는 만주 문자로 “dorolon i jurgan i doron”이라는 자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예부의 인장[禮部之印]”이라는 뜻이다. 몽골 버일러들의 인장이 아니라 후금 예부의 인장이 찍혀 있었다는 것이다. 사실 당시 몽골 버일러들이 한문 서신을 작성할 능력도 없었으라는 점을 아울러 고려하건대, 이 인장은 서신의 실제 작성자가 몽골의 버일러들이 아니라 후금의 예부였다는 사실을 드러낸다고 하겠다. 문서의 작성자와 인장의 주인이 일치해야만 문서의 효력을 인정할 수 있다는 상식에 입각해서 보자면, 이 문서는 ‘가짜 문서’였다고 말할 수 있다. In the spring of 1636, Later Jin sent envoys to Chosŏn, and demanded that Chosŏn join in the ongoing political project that would soon proclaim Hong Taiji, Khan of the Later Jin state, as the ‘Emperor’ of Qing. It is a well-known fact that Chosŏn resolutely rejected this demand, which consequently led to the 1637 Manchu invasion. On their visit to Chosŏn, the Later Jin envoys delivered to Injo, King of Chosŏn, diplomatic letters written in Chinese, one of which has been historically believed to be written by the forty-nine Mongol princes who had been subjugated to Hong Taiji.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document format and the seal of the original letter to shed light on the realit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ŏn and Later Jin on the eve of the 1637 Manchu invasion. In regard to the document format of this letter,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letter clearly puts King Injo and Hong Taiji on equal terms, on par with each other. This is in great contrast to the same letter fully quoted in the Qing Veritable Records, compiled by the Qing court historians later, which treats King Injo as an inferior to the Manchu Khan. This difference, of course, is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original letter by the Qing court historians in the compilation of the Qing Veritable Records. As for the seal of the original letter, it bears the inscription that reads “dorlon i jurgan i doron” in Manchu scripts, meaning “the seal of the Board of Rites.” This is not the seal of the Mongol princes. This seal, along with the reasonable assumption that the forty-nine Mongol princes were not capable of writing such a diplomatic letter as this, clearly reveals that the actual author of the letter was not the Mongol princes, but the officials of the Manchu court. Based on the common knowledge and rational reasoning that a document is only valid when the author and the owner of the seal coincide as one and the sam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tter in question was a ‘fake document.’

      • KCI등재

        초서, 가우어, 그리고 왕들의 귀감 장르: 「멜리비 이야기」와 『연인의 고백』을 중심으로

        최예정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9 중세근세영문학 Vol.29 No.2

        Chaucer’s Tale of Mellibee and Gower’s Confessio Amantis pursue the two-fold objectives of specula principum, or mirrors for princes, by revealing the king’s errors on the one hand and concealing the author’s intent to educate the king on the other. In each work, the conversational form and multilayered frame are used to protect the author from the king’s potential persecution. Thus Prudence’s wifely role (mis)presents the Melibee as an exemplum of ideal wifehood, while the penitential form of Confessio Amantis conceals the author’s true intent of advising the king. Both works, in fact, register anxiety about the effectiveness of royal education. It is arguable that these conflicting motivations make specula principum an elusively impractical genre.

      • KCI등재
      • KCI등재

        공후들에 대한 슬로보Слово о князьях(12세기 말 - 13세기 초) 수사본의 서지학적 상관관계 연구

        최정현 한국러시아문학회 2006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23 No.-

        П2와 О의 필사의 공통 사본, Х의 존재는 인정되지만 그러나 이 텍스트 이후의 사본들인 П2와 О의 특성들을 보다 주의깊게 감안하다면, Х가 П1과 다른 두 사본들을 직접적으로 이어주는 고리 역할을 한다고 단정할 순 없다. 결론적으로 린데베르그는 П2와 О는 П1과는 다른 필사의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론짓는다.攀 Линдеберг 12-13攀攀 이와 같이 선대의 골루봅스끼의 주장을 정리하며 자신의 견해를 반영해 린데베르그가 제시하는 СК 사본의 필사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