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 시의 구조화 원리 고찰 : 묘사의 기법과 시적 시선을 중심으로

        오형엽(Oh Hyung-yup)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1

        이 글은 김춘수 시의 '묘사의 기법'에 작용하는 복합적인 '시적 시선'을 분석하여 이른바 '무의미시'의 구조화 원리를 고찰하려 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무의미시'의 두 방향 중에서 '풍경의 묘사를 통한 무의미시'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고 그 기법적 특성을 '몽환적 풍경의 묘사' 와 '시적 시선'이라는 관점으로 파악한 후, '묘사의 기법'에 개입되는 '시적 시선'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김춘수 '무의미시'의 구조화 원리를 고찰했다.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에서 나타나듯 김춘수의 시는 '몽환적 풍경의 묘사'가 중요한 시적 원리를 이룬다. 「강 화백의 파이프」에서 보듯 김춘수 시의 묘사적 기법은 타자의 창을 통해 사물을 바라보는 이중적 시선과 그 시선적 분열을 스스로 의식하는 왕복운동을 거쳐 김춘수 시의 구조화 원리로 작용한다. 김춘수 시의 '묘사의 기법'에 개입되는 '시적 시선'은 기본적으로 '화자의 시선'을 비롯하여 이것과 상호 조응하거나 대결하면서 교차되는 '바다-시원의 시선', '익명의 눈-대타자의 시선', '천사-초월자의 시선', '새-단독자의 시선'이라는 네 가지 시선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김춘수 시에서 '시원의 시선'은 주로 '바다'의 이미지와 결부되어 형상화된다. 「봄 바다」와 『처용단장』에서 '바다의 시선'은 "잠"이라는 무의식의 심연에서 '화자의 시선'과 내밀히 조응하면서 유년의 순수와 순결을 간직한 시원의 시선을 드러낸다. 김춘수 시에서 '대타자의 시선'은 주로 '익명의 눈'의 이미지와 결부되어 형상화된다. 「유년시時·2」와 『처용단장』은 대타자가 개인에게 가하는 폭력의 억압적 횡포를 '익명의 눈'으로 형상화한다. 김춘수 시에서 '초월자의 시선'은 주로'천사'의 이미지와 결부되어 형상화된다. 「유년시時·1」와 「토레도 대성당」에서 '천사의 눈'은 역사적·사회적 현실의 차원을 뛰어넘는 초월적 시선이라고 볼 수 있다. 김춘수 시에서 '단독자의 시선'은 종종 '화자의 시선'과 중첩되면서 주로 '새'의 이미지와 결부되어 형상화된다. '새의 시선'은 「인동忍冬잎」과 「새」에서 죽음과 생의 갈림길 위에서 슬픔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단독자의 시선인데 「눈물」에서는 현실을 초월하는 존재의 시선과 중첩되기도 한다. 결국 김춘수는 '화자의 시선'과 중첩되거나 교차되는 '바다-시원의 시선', '익명의 눈-대타자의 시선', '천사-초월자의 시선', '새-단독자의 시선' 등을 상호 대결시키거나 조응시키면서 원초적 순수와 순결 고독한 존재의 운명과 자유 역사의 폭력과 억압 초월적 구원의 비전 등의 시적 주제를 형상화한다. 여기서 '-하고 있다'라는 현재형 어법이나 '-하고 있었다'라는 과거 진행형 어법은 시적 시선의 복합적인 얽힘 및 교차를 함축하면서 원초적 순수 존재의 고독 역사적 폭력 구원의 비전 등의 시적 주제를 풍경 속에 침전시키고 내면화시키는 묘사의 기법으로 작용한다. This writing tried to analyze complex 'poetic gaze' acting to 'technique of description' in Kim Chun-soo's poetry and investigate structural principle of so-called 'meaningless poetry'. It resembles closely with analysis of a kind of dream to analyze scenery. Kim Chun-soo's poem achieves poetic principle that 'description of scenery' is important. Technique of Kim Chun-soo's poetry is acted to structural principle through gaze that see things through the other's window. 'Poetic gaze' can typify 'sea-gaze of primitive' 'eyes of anonymity-gaze of the Other' 'angel-gaze of transcendental being' 'bird-gaze of singleness' in Kim Chun-soo's poetry. 'Gaze of primitive' is linked and materialize with image of 'sea'. It shows purity and innocence of infancy as correspond inwardly with 'speaker's gaze' at unconscious deep swamp called sleep. 'Gaze of the Other' is linked and materialize with image of 'eyes of anonymity' mainly in Kim Chun-soo's poetry. 'Gaze of transcendental being' is linked and materialize with image of 'angel' mainly in Kim Chun-soo's poetry. 'Gaze of singleness' is linked with image of 'bird' mainly being overlaped each other with 'speaker's gaze' in Kim Chun-soo's poetry. Structural principle in Kim Chun-soo's poetry with 'sea-gaze of primitive' 'eyes of anonymity-gaze of the Other' 'angel-gaze of transcendental being' 'bird-gaze of singleness' shows poetic subject of instinctive purity and purity fate of lonely existence and freedom violence of history and oppression vision of transcendental salvation.

      • Dynamics of Relationship: For Goal-Oriented Control of Group Behavior

        Yoshiaki Senda,Ivan Tanev,Katsunori Shimohara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8

        When a critical amount of pedestrians herd together, pedestrians are showed several series of group behaviors. Existing dynamical model can duplicate pedestrian’s group behavior. But we create dynamical model in each case. Why do we need to create dynamical model in each case? We believe that we don’t understand what are the assumed forces and interactions. Our challenge is to explain forces and interactions between pedestrians in a more detailed, primitive level. We are using Direct-Vision-Based Reinforcement Learning to construct the primitive model. This learning system needs not a priori assumption ? only a reward.

      • KCI등재

        오영수 소설에 나타난 식물적 상상력과 순응의 미학

        구수경(Soo Kyung Koo)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5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 Young-Soo` short stories.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characters in O, Young-Soo` works. The protagonists in his short stories adapt theirselves to circumstances without any resistance. O, Young-Soo as a short story writer seems to hates the way of modern life which is filled with the struggle of existence and power games. So, natural and anti-civilized places are mainly the spacial settings of his works. To put it concretely, the protagonists of his works tend to avoid intentionally a situation of conflict. So they powerlessly give up their love. Also they live in hiding to nature-friendly places. In there, they persue the plant-oriented life style which are primitive vitality and community spirit. In short stories such as <Nami & Yeot Seller>, <Wild Grapes>, <Silgeori-Flower>, O, Young-Soo describes lyrically tragic events which man and woman loving each other must break up because of external factors like a situation of war or a opposition of parent. The main cause of their farewell is that male protagonists do not show a active attitudes or a frank confession. Also they adapt theirselves to circumstances without any resistance. <The Seaside Village> and <A Story of Eunaetgol> are short stories which describe the life of characters with the community spirit and the primitive vitality. In these stories, most characters lean toward fatalism and show the instinct of preservation of the species. Also, there is the health of primitive life which seeks the harmony between others and me, or human and nature. In conclusion, the works of O, Young-Soo create the aesthetics of lyric and adaptation through the plant-oriented imagination.

      • KCI등재

        이가원(李家源) _조선문학사(朝鮮文學史)_의 서술 양식에 대하여

        이암 ( Lee Am ) 연민학회 2016 연민학지 Vol.25 No.-

        연민 이가원은 박학다식한 학자이다. 이 점은 그의 _조선문학사_에 충분히 나타나고 있다. 그는 지리적 환경과 역사문화적 실제로부터 출발하여 이 다권본의 문학사를 _조선문학사_라 이름함이 더 없이 적절하다고 피력하고 있다. 이 문학사에서 漢文學과 正音문학이 대등한 지위에서 다 같이 중시를 받고 있다. 작자에 의하면 그것들은 모두 다 韓民族文學의 중요한 조성부분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가원선생은 과거 문학사 편찬상의 고정적인 모식을 타파하고 가야, 발해, 기자조선 등 고대국가 혹은 조대에 한해 단독으로 장과 절을 설치한 후 심입하여 논술하였는데 이 속에는 그의 애국, 애족의 사상감정이 깊이 체현되고 있음을 보아낼 수 있다. 전반 _조선문학사_에서 이가원선생은 실사구시의 학술적 원칙을 견지함으로써 대량의 원시자료들을 인입하였고 민간문학에 충분한 지위와 편폭을 주고 있어 독자들로 하여금 마치 오색령롱한 문화의 보물고에 들어선 듯한 느낌을 받게 한다. 이가원선생은 또 _조선문학사_에서 다양한 사작수법들을 운용함과 아울러 실제적이고도 진귀한 문본자료들을 통해 관점을 말함으로써 문학사의 可讀性을 대폭 증강해 주고 있다. 이 문학사는 다양한 문헌자료들을 제공해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圖版과 그 目錄들을 제공해주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 그 외에도 인명, 칭호, 서명, 文題, 잡물, 要語, 국호, 지명 등 방면의 방대한 양의 색인을 제공해 줌으로 해서 독자들에게 더 없는 편리를 가져다주고 있다. Lee Ga-won was an erudite scholar, and his work, A Literary History of Choson (Choson munhaksa) well demonstrates the breadth of his scholarship. This literary history rightfully earns its name as describes Korea`s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history of cultural tradition. This work places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the Korean vernacular on equal footing and allots an equal amount of discussion to both, as these two categories were the main elements that composed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 Lee discarded the fixed framework of literary history at the time, and discussed in depth the literature of the ancient states such as Kaya, Parhae, and Kija Choson chapter by chapter, as well as dedicating chapters to each dynasty. These methods of description in Literary History reflected his love of the fatherland and people. In the process of its writing, Lee emphasized the principle of empirical scholarship, and the book contains many primary sources. In addition, he allotted a sufficient amount of space on folk literature and gave it an important place in literary history, giving his readers the impression that this was a valuable cultural treasure. Lee introduced a variety of writing methods in Literary History, used primary sources to make his arguments, and wrote in a highly readable style. This literary history presented many literary sources to readers, a large index and bibliography, and has left a great impression upon its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