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삼단논법은 숙고인가?

        박정은(Park, Jeong-Eu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2

        자발적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삼단논법은 오늘날 윤리학은 물론 행위철학에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그러한 영감들 중 하나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를 형식화하려는 전통 속에,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로 보려는 관점이 있다. 이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몇 가지 언급들에 기반을 두어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와 동일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그들이 내세우는 주요 문헌적 근거들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그것들이 그들의 주장만큼 충분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숙고와 비교대상이 되는 실천적 삼단논법이 어떤 것을 가리키는지에 대해 분명히 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3장에서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로 보는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문헌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자세하게 논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숙고는 실천적 삼단논법의 소전제인 개별적 전제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실천적 삼단논법 자체를 숙고와 동일시 할 수는 없고 오직 부분으로만 숙고가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4장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실천적 삼단논법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한다. 실천적 삼단논법은 동물과 인간을 아우르는 자발적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자발적 행위는 욕망능력과 인지능력이 함께 적절히 발휘되어야만 발생하는 것이다. 반면에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로 보려는 관점은 자발적 행위가 갖는 의미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다. 그렇지만 본 논문을 통해 주장하고 싶은 바는 최소한의 것으로서, 실천적인 것들에 대한 삼단논법적 이해나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에 활용하려는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실천적 삼단논법을 통해 보여주는 자발적 행위와 그 원리들을 조금이나마 분명히 함으로써 그러한 가능성들에 대한 밑바탕을 제공하고 싶은 바이다. Aristotle presents the ‘practical syllogism’ in order to explain voluntary actions, and it has inspired various issues in ethics and theory of action. One of these inspirations is the view that the practical syllogism is the deliberation, which is advocated by those who want to formalize Aristotle’s phronēsis and deliberation. They base their claim largely on two references, and I will examine them closely and show that these are not sufficient for their claim.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I’ll clarify what we refer to as the practical syllogism. In chapter 3, I will examine two texts about practical syllogism, which seem to describe deliberations.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ill be revealed that deliberation does not apply to the particular premise of practical syllogism. Thus, we should not identify the practical syllogism with the deliberation. For the next chapter, I will give a clear view about the practical syllogism; It explains voluntary actions through two premises, which represent respectively the desiderative faculty and the cognitive faculty. The view that the practical syllogism is the deliberation cannot capture the whole implication of voluntary action. Nevertheless, I don’t utterly deny the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practical matters syllogistically or applying the syllogism to the deliberation. I only want to give a ground for these possibilities by clarifying the practical syllogism’s role and meaning.

      • KCI우수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사상(16): 고의적 도핑행위에 대한 실천추론

        황정현(HwangJung-hyu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제시된 실천추론을 통해 도핑행위의 주체자이자 동시에 도핑검사의 대상자인 운동선수의 고의적 도핑행위에 관해 분석하였다. 선수가 금지된 약물임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핑을 행할 때, 선수는 도핑에 대한 앎은 소유했지만 이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소전제의 오류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즉 구체적인 개별상황을 제시하는 소전제가 대전제와 결합되지 못할 경우, 잘못된 결론이 도출되고, 이는 곧 도핑과 같은 잘못된 행위의 발생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소전제의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앎과 행위 실천사이에 발생되는 갈등에 있어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욕구를 추구 또는 회피할 수 있는 실천지의 습득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지가 내면화되기 위해서는 인간적인 선에 대해 참된 이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위해 어떤 행위를 실천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숙고의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핑을 행하는 선수가 지닌 앎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동시에 실천주의적 입장에서 앎과 실천의 불일치 대한 이론적 근거 제시를 통하여 도핑 재발방지를 위한 실제적인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ntional doping behavior of athletes who are the subject of doping behavior itself as well as the subject of doping test through the practical syllogism in Aristotle's 『Nichomachean Ethics』. Despite the fact that the athlete knows that it is banned drugs, and one aware of the doping policy but does take the drugs. In this case, the athlete have knowledge but are not using it correctly. In other words, if the particular situations are not combined with universal premise, wrong conclusions are drawn and this leads to the occurrence of false acts such as doping. Therefore, in order not to make errors in particular premise, it is necessary to judge right and wrong in the conflict that arise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to acquire practical wisdom to pursue of avoid own needs. In order for this practice to be internalize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rue reason for the human good and the process of reflection to judge what action should be taken for i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practical alternative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of doping through epidemiological analysis of the knowing of the doping and the theoretical basis of discrepancy between knowing and practicing.

      • KCI등재

        생명윤리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판단력

        최경석 한국법철학회 2008 법철학연구 Vol.11 No.1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was first presented by John Rawls and developed by Norman Daniels. It was thought of primarily as a method for evaluating theories of justice (Rawls) or ethical theories (Daniel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then considered WRE as an explicit methodology for biomedical ethics, that is, moral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Thus, I characterize the method of WRE as practical moral reason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using the methods of WRE is characterized as a back-and-forth process of revision aimed at coherent comprehensive personal or group belief systems without incorrect beliefs. The question arises, however, as to whether the methods of WRE can give us determinate answers about what to do. But there must be different ways of revising beliefs depending on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faculty of thinking. There is no algorithmic decision procedure. Some may expect a mechanical decision procedure by which to reach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ut this is misconceived. Our decision in unprecedented or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cannot help calling for judgment. Judgment is not unique to the methods of WRE. Other methods, such as principlism and casuistry, also rely on judgment. When principlists attempt to apply moral principles to a particular case, they must decide which of their moral principles covers the case, just as a judge would have to decide which law or regulation is relevant to a given case. Because principles are abstract and general, they must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details of the particular case. Thus, we arrive at conclusi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al knowledge(major premise) and particular knowledge(minor premise) in a practical syllogism. Casuists also call for the use of judgment. They usually suggest the use of analogical thinking employing paradigm cases. Similarities must be sought between a given case and paradigm case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imilarity is not a mechanical procedure it requires judgmen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two cases being compared are relevant. The need for judgment implies that there are no determinate answers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two arguers following same method of reasoning. But the exercise of judgment is not a matter of mere taste or arbitrary preference. It requires its justification. There may be some principles and values to guide and regulate the exercise of judgment required in the methods of WRE. First, coherence, comprehensivenes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beliefs are not only criteria for comparing competing belief systems, but will also be values for a revision process. Second, we will pursue the maximization of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 while minimizing revision, by revising peripheral beliefs rather than core beliefs in our belief system. Third, the efficiency of a revision process may be one of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ied to the choice of provisionally fixed beliefs.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was first presented by John Rawls and developed by Norman Daniels. It was thought of primarily as a method for evaluating theories of justice (Rawls) or ethical theories (Daniel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then considered WRE as an explicit methodology for biomedical ethics, that is, moral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Thus, I characterize the method of WRE as practical moral reason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using the methods of WRE is characterized as a back-and-forth process of revision aimed at coherent comprehensive personal or group belief systems without incorrect beliefs. The question arises, however, as to whether the methods of WRE can give us determinate answers about what to do. But there must be different ways of revising beliefs depending on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faculty of thinking. There is no algorithmic decision procedure. Some may expect a mechanical decision procedure by which to reach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ut this is misconceived. Our decision in unprecedented or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cannot help calling for judgment. Judgment is not unique to the methods of WRE. Other methods, such as principlism and casuistry, also rely on judgment. When principlists attempt to apply moral principles to a particular case, they must decide which of their moral principles covers the case, just as a judge would have to decide which law or regulation is relevant to a given case. Because principles are abstract and general, they must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details of the particular case. Thus, we arrive at conclusi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al knowledge(major premise) and particular knowledge(minor premise) in a practical syllogism. Casuists also call for the use of judgment. They usually suggest the use of analogical thinking employing paradigm cases. Similarities must be sought between a given case and paradigm case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imilarity is not a mechanical procedure it requires judgmen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two cases being compared are relevant. The need for judgment implies that there are no determinate answers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two arguers following same method of reasoning. But the exercise of judgment is not a matter of mere taste or arbitrary preference. It requires its justification. There may be some principles and values to guide and regulate the exercise of judgment required in the methods of WRE. First, coherence, comprehensivenes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beliefs are not only criteria for comparing competing belief systems, but will also be values for a revision process. Second, we will pursue the maximization of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 while minimizing revision, by revising peripheral beliefs rather than core beliefs in our belief system. Third, the efficiency of a revision process may be one of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ied to the choice of provisionally fixed beliefs.

      • KCI등재

        아크라시아와 무지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자신에게 최선의 행동이 무엇인지 알면서 이에 반한 행동을 하는 것(아크라시아)은 불가능하며 그것은 단지 무지로부터 비롯한 행동이라는 소크라테스의 주장 이래로 아크라시아 문제는 오늘날까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천철학의 중요한 난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주장과 상식의 충돌을 해소시키려는 최초의 철학적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7권 3장을 분석한다. 많은 학자들이 7권 3장의 결론이 지나치게 소크라테스적으로 보이는 데에 불만을 가지고 아리스토텔레스와 소크라테스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그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필자는 실천적 앎과 행동의 관계에 관련된 아크라시아 문제는 완전한 실천적 앎인 프로네시스(실천적 지혜)와의 연관 속에서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며, 프로네시스를 기준으로 보면 7권 3장의 결론은 소크라테스적일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프로네시스를 지닌 자에게 아크라시아는 불가능하며 이는 소크라테스의 결론과 다를 바 없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가 소크라테스의 주장을 그대로 되풀이하는 것은 아니며, 아크라시아를 인정하는 상식이 수용될 수 있는 여지를 또한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아크라시아 난제를 푸는 핵심 열쇠는 앎의 내면화에 따른 앎의 정도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며, 이에 주목하면 7권 3장을 보다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추론(practical syllogism)과 관련한 문제들의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roblem of akrasia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onundrums in practical philosophy since the Socratic assertion that it is impossible and caused by ignorance to do the opposite in spite of knowing which the best action is. In this article, I analyze Book 7, Chapter 3 of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which was the first philosophical endeavor to harmonize Socratic assertion with common sense morals. Many scholars are dissatisfied with the conclusion of that chapter which seems to be too much Socratic, and they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Socrate’s opinion and Aristotle’s by claiming that it is Aristotle’s own intention. On the contrary, I hold that we can understand the problem of akrasia involved in practical knowledge and action on the horizon of relation with phronesis (practical wisdom), and that the conclusion of that chapter should be Socratic from the respect of phronesis. Those with phronesis cannot do akrasia, which is not different from Socratic opinion. Aristotle, nevertheless, does not repeat Socratic assertion, and his agreement shows the room in which common sense accepts the concept of akrasia. As a key to the conundrum, I propose that we should admit the degree of knowledge according to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I also assert that we can naturally understand that chapter with this key, and that we can solve the other problems related to Aristotle’s practical syllogism.

      • KCI등재

        자연법과 생명윤리: 토마스주의 자연법윤리의 체계와 원리를 중심으로

        이진남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7 No.2

        In this essay, I show that catholic has a long life-respecting tradition and I argue that Thomistic natural law ethics should be based on Thomistic philosophy instead of other sources such as Kantian ethics. I criticize Kang’s principles of natural law bioethics and the principles of Grisez-Finnis’ new natural law ethics and of reductionist natural law ethics. The basic elements in Thomistic natural law ethics are primary precept and secondary precepts of natural law which are derived from Thomas's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scheme. I hold that the foundation of Thomistic natural law be the concept of Creation and teleological concept of nature. Nature, reason and will correspond to the three steps of practical syllogism in Thomas's natural law ethics. God, Creation, justice and life are basic elements of natural law ethics, and they are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론은 아퀴나스의 철학의 기본 정신 위에 있어야 하고 따라서 신의 창조와 목적론적 본성 개념에 근거해야 한다. 그런데 신자연법주의와 환원주의 자연법주의와 같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토마스주의 자연법윤리는 각각 본성과 신을 부인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라고 불릴 수 없다. 자연(본성), 이성, 의지라는 아퀴나스 자연법이론의 3대축은 각각 도덕적 추론을 하는 실천적 삼단논법의 대전제, 소전제, 결론과 대응된다. 또한 선은 추구해야 하고 악은 피해야 한다는 자연법의 제 1계명과 생명보존, 생식과 양육, 신에 대한 지식과 사회적 삶이라는 제 2계명도 아퀴나스 자연법이론의 근간이 된다. 이러한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론의 틀과 원리는 신, 창조, 정의, 생명이라는 개념들이 그 안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이렇게 생명은 토마스 윤리에 있어 중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자연법이론을 현대의 응용윤리 중의 하나인 생명윤리의 분야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자칫 토마스주의 윤리의 근본정신을 망각하게 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토마스 철학에 있어서 자연법과 생명은 각각 이론과 적용분야의 관계가 아니라 원리와 원리의 관계라고 보아야 한다. 이점에서 현대 생명윤리 분야에서 자연법이론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자연법이론의 원리들”은 근본적으로 토마스주의적이라고 보기 힘들 것이다. 이 글에서 논자는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생명존중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지 보이고 그 자연법 생명윤리의 원리가 잘못 주어진 예를 보이며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론은 진정한 토마스 철학의 기반 위에 서야 함을 보인다.

      • KCI등재후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구원의 확신

        이진락(Lee, Jin-Rack) 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4 No.-

        The assurance of salvation has a complex character. The assurance of salvation not only belongs to the essence of faith, but also it is the fruit of faith. And the subjective foundation for the assurance of salvation is both the life of sanctification by the practical syllogism and the witness of the Holy Spirit. Calvin has emphasized that the assurance of salvation belongs to the essence of faith, while acknowledged that the assurance and the doubt coexist with each other. The composers of Westminster Confession(Puritans) have accepted Calvin's fundamental position that the assurance is the constituent parts of faith, but they have insisted that the full assurance is not the essence of faith but the fruit of faith. Jonathan Edwards and John Murray show the similar opinion on this point. The assurance concept implies a subjective and conscious action in the heart of saints. In this sense the assurance is a subjective thing. Therefore when we talk about the objective foundation and the subjective foundation of assurance, we think they point to the subjective assurance arisen from the objective foundation and the subjective assurance from the subjective foundation. The objective foundation of assurance is the divine truth of the promise of salvation revealed in the Scripture, and the subjective foundation of salvation is the internal witness of grace appeared in the soul of saints and the witness of the Holy Spirit. Seizing and appropriating the promise of salvation written in the Scripture is the saving faith. From this saving faith the assurance is sprung up. And then the believers who have a saving faith lives a life of sanctification and experiences the witness of the Holy Spirit in the sanctified life. Being assured of saints' own salvation on the basis of the status of this grace is that the assurance arisen from the subjective foundation. So the assurance arisen from the objective foundation can be said to be the fruit or effect of faith. Therefore explicitly the objective foundation of assurance is the more important. Yet The subjective foundation is not of little value. If one looks at only oneself, his/her faith is easily shaken. On th contrary if one doesn't look at oneself, his/her faith is likely to be lifeless or superficial. Nevertheless as the objective foundation is the more important, we look at ourselves one time while Christ ten time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프로네시스 개념의 교육적 재해석

        방진하(Bhang, Jin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본 논문은 프로네시스 개념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와 조셉 던(Joseph Dunne)의 논의를 참조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프로네시스를 통하여 구현하려고 했던 인간적인 특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러한 특성에 비추어 그간 실천추론과 동일시되어 왔던 프로네시스 개념을 재해석해볼 것이다. 프로네시스가 요구되는 전형적인 사례에 비추어 보면 실천추론은, 비록 분석의 틀 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는 의의를 가지지만, 통찰의 일차적 대상인 특수자들의 범위나 한계를 명확히 설정해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프로네시스를 상황 지각으로 해석하는 관점은 특수자들에 대한 풍부하고 섬세하게 구분된 앎의 중요성을 강조해준다. 프로네시스를 성품의 덕과의 관련에 비추어 해석하는 관점은 프로네시스를 (어떤 특정 시점의 판단이 아니라) 행위자가 그의 삶 전반을 통해서 학습해 온 특수자와 보편자의 상호조회로 재해석하게 한다. 이러한 재해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프로네시스를 주로 교육 장면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능력으로 간주했던 기존 연구를 받아들이면서도, 그러한 프로네시스의 형성에 있어서 교육과 학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분석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실천적 성격이 회복된 교육이 길러내려는 인간은 프로네시스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학습자와 다르지 않음을 밝혀볼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Aristotelian phronesis as a unique form of experience that focuses on the particulars in view of the tentative universal-the ‘good’ or Aristotelian eudaimonia.-and makes an agent revise his own viewpoints. Aristotelian phronesis would be usually identified with the practical syllogism, which has both strengths and limitations on understand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hronesis. With the concept of aisthesis and the relation between phronesis and ethos, this paper tries to find a good possibility that education or learning as a praxis can promote the formation of phronesis with oblique ways-such as to enlarge a sphere of selection by producing alternative particulars or to promote the reciprocal references between the particulars and the universals. Finally,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similarity between the phronimos and the well-educated person.

      • KCI등재

        윤리학과 도덕교육 관계

        최문기 한국국민윤리학회 2003 倫理硏究 Vol.54 No.1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크고 작은 선택들을 반복한다. 그 중에서도 낙태, 포르노그래피, 사형제도, 불복종 운동, 환경 보호 후보자 지지 등과 같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선택을 ‘도덕적 선택’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도덕적 선택들은 도덕적 기준에 의해 진지하게 고려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의 선택 대부분이 불가피하게 도덕적 차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도덕적 중요성을 인식하거나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실천적인 도덕적 이슈에 관한 윤리학 논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 선택의 도덕적 중요성을 알게 하고, 우리의 도덕적 비전을 넓혀주는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윤리 이론으로 공리주의, 칸트주의, 정의이론, 공공선 이론, 덕 이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은 각각 유용성 원리, 인간 존중 혹은 권리 원리, 정의 원리, 공공선 원리, 덕 원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도덕 원리들은 환경, 성, 생명, 테크놀로지, 정보 등의 도덕적 이슈들에 대해 도덕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준다. 도덕 판단은 2개의 전제와 하나의 결론으로 구성된 실천적 삼단논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전제는 일반적인 도덕 원리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가치 전제이다. 소전제 는 개별적인 판단 대상이 사실적으로 서술되는 사실 전제이다. 결론은 하나의 개별적인 가치 전제이다. 건전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도덕 판단의 형식이 타당하여야 하고, 소전제가 참이어야 하고, 대전제는 보편적으로 일관되게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대전제가 새로운 사례 검사, 역할 교환 검사, 보편적 결과 검사, 포섭 검사에 의해 수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수정되거나 보완되어야 한다. 도덕 판단의 형식과 과정은 행위, 정책, 제도,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공리주의 칸트주의, 정의 이론, 공공선 이론은 행위, 정책, 제도를 판단하는데 적절하고, 덕 이론은 사람의 성품을 평가하는데 적절하다.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도덕적 추론 능력은 도덕 교육의 일차적 목표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도덕적 이슈들에 대한 도덕적 추론 과정은 도덕 교육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윤리학과 도덕교육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본 논문은 윤리학이 도덕 교 육의 목표, 방법과 어떻게 관련되며, 도덕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We are faced with various problems in everyday life, whether trivial or serious. It is called a moral choice which affects to the others seriously, such as abortion, getting rid of life-prolonging devices, sex,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 pornography, capital punishment, human relation with different races, etc. These choices need to be considered and evaluated by moral principles. But we almost have not opportunities to judge them morally, and so we are not good at moral judgement process. Ethics helps us to judge and solve moral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I introduce five normative ethical theories : utilitarianism, kantism, justice theory, common good theory, and virtue theory. These theories provide us a peculiar moral principle respectively as followings : principle of utility, principle of respect for human dignity or principle right, principle of justice, principle of common good, and principle of virtue. These principles are useful for us to make moral judgments about contemporary moral issues related with environment, sex, life, technology, information etc. Moral judgment pass through a practical syllogism being consist of two premises and one conclusion. The major premise is a general value premise which can be used as a general moral principle provided from a certain ethical theory. The minor premise is a factual premise, in which an object to be judged is described factually. The conclusion is a special value judgment. In order to get a sound conclusion, following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with : moral judgment form should be valid. ; minor premise should be a truth. ; major premise should be acceptable universally and consistently. If major premise become turned out to be unacceptable by four tests - new case test, role exchange test, universal result test, higher-principle test - it should be reformed or complemented. we can apply these moral judgment form and process to the action, policy, institution, and person. Utilitarianism, kantism, justice theory, common good theory are relevant to judge morally action, policy, institution. Virtue theory is relevant to evaluate character of person. These discussions on ethics contribute to enlarge moral visions, promote ethical insight, and guide into solution in various moral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bility of moral reasoning to lead a rational conclusion can be regard as prior objectives of moral education. And the moral judgment process at moral issues can be used as methods of moral education. So ethics and moral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행복, 욕구 만족, 그리고 합리성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8 No.-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이론은 행복(에우다이모니아)을 쾌락이나 욕구만족 등의 주관적 상태로 여기지 않고 객관적으로 성취해야 할 활동으로 본다는 점에서 객관주의적 행복이론에 속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의 주관적 측면인 쾌락이나 욕구만족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행복한 활동은 당연히 즐겁고, 행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활동이다. 그러나 모든 욕구만족이 행복이 아니라 객관적 기준을 만족시키는 욕구만이 행복을 지향하는 욕구이며, 그 객관적 기준이란 곧 합리성이다. 본 논문에서는 행복의 정의, 숙고와 실천추론의 차이, 실천적 지각의 중요성 등을 검토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합리성이 연역추론의 모델로 환원될 수 없으며, 행동 결정의 절차적 타당성이나, 특정 목적 실현을 위한 기술적 효율성이 아님을 분명히 드러내고, 실천적 합리성은 행위자의 욕구구조에 내면화된 행복개념에 의존함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근대 이후 지배적인 합리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계기를 마련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Aristotle’s theory of happiness can be categorized as objectivist theories of happiness in that it concerns happiness as the activity which is required to be achieved rather than the fulfilled state of the subjective pleasure or desire. One must not misapprehend it, however, such that Aristotle does not take pleasure and desire into an account of happiness. Any activity which is considered happy is pleasant and desire satisfying for sure. However, it doesn’t work in reverse as not every desire-satisfying activity qualifies to be a happy activity. Only desire which meets the criteria for happiness - that is - rationality is considered as a desire in pursuit of happiness. I argue that Aristotle’s practical rationality cannot be reduced to the deductive reasoning, and that it is not rational for decision making processes nor technical efficacy in the pursuit a certain goal. Aristotle’s practical rationality indeed depends on the concept of happiness of which an agent is internalized. My argument will be demonstrated while I examine the definition of happiness, the difference between deliberation and practical reasoning. I also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practical perception. This work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scrutinize the concept of rationality which has been dominated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 확신론: 칼빈의 신학으로부터 멀어졌는가?

        전희준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4 No.-

        Compared to the study of Jonathan Edwards’ theology on Justification, the study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is not enough. This paper studies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Calvin and Edwards, examining Dan Saunders’ criticism of Edwards’ doctrine on assuranc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ole of practice in the theology of assurance. Saunders argues that if a practice is accepted as evidence of assurance, like Edwards, it will break a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which is salvation only by faith, and embrace synergistic justification. Saunders argues that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unlike the Reformers, is not centered on Trinity or Christ. However, this study proves that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also affirms Trinity and Christ. It also reveals that Calvin also recognizes practice as meaningful evidence for assurance. Both Calvin and Edwards agree that practice serves as evidence as a fruit, not a basis for assurance, and that fruit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and encouraging faith. Next, this paper examines Saunders’ argument that using practice as evidence of assurance in Edwards’ theology promotes uncertainty. However, Calvin and Edwards both admit that it is impossible to have unwavering convictions of salvation. Nevertheless, both argue that assurance of salvation is possible even in doubt. In addition, when people question their assurance of salvation, both theologians commonly advise them to focus on God and not on themselves. !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wards and Calvin’s theology of assurance is not inherently different.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 교리에 대한 연구에 비해 구원의 확신 교리에대한 연구는 빈약하다.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를 비판한 댄 손더스(Dan Saunders)의 주장을 점검하면서 칼빈과 에드워즈의 비교를 통해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먼저 구원의 확신 교리에 있어 실천의 역할을 점검한다. 손더스는 에드워즈처럼 실천을 구원 확신의 증거로 채택할 경우, 오직 믿음에 의한 구원이라는 종교개혁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인협력을 인정하게된다고 주장한다. 손더스는 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는 개혁자들과 달리 삼위일체나 그리스도 중심적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확신 교리도 삼위일체와 그리스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칼빈도 실천을 구원의 확신을 위한 유의미한 증표로 인정한다는사실을 밝힌다. 칼빈과 에드워즈 모두 행위가 확신의 기초가 아니라 열매로서 증거 역할을 하며, 열매가 믿음을 강건케 하고 격려해 주는 역할을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실천을 구원 확신의 증거로 삼으면 불확실성을 조장하게 된다는 손더스의 주장을 점검한다. 칼빈은 확신을 강조했지만, 그것이 의심과 불안이 전혀 없는 상태는 아니었다. 실천을 확신의 근거로강조하든지, 믿음 자체를 확신의 근거로 강조하든지, 흔들림없는 구원의확신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과 에드워즈는 모두 의심과 흔들림 속에서도 구원의 확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구원의 확신이 의심될 때 두 신학자 모두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지 말고 하나님께 집중하라고 공통적으로 조언한다. 이러한 견해들을 검토해 볼 때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는 칼빈의 교리와 강조점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