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교육과 손잡이 분류를 위한 손 활동에 대한 연구

        정지윤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1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is not dependent on the specificity of the handles,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education according to handl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with reference to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alys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by hand activity of hand classification method was analyzed by analyzing hand activities based on the major part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illustration, photographs in the 12 textbooks of the 2009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and hand activities of handle classification methods, hand activities of Handle Classification activities were 7 in education activities of 'home management' education area, 12 in education activities of 'food life' education area, 5 in education activities of 'clothing life' education area, 5 in education activities of 'technical science' education area, 6 in education activities of 'life science' education area, 2 in educati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rea, 5 in education activities of 'career' education area. According to the study area, there were 12 'food life' education area, followed by 7 'home management' education area, 6 'life science' education area, 5 'clothing science’ education area, 5 'technical science’ education area, 5 'career’ education area and 2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rea. A total of twelve chapters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included 17 activities.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hand activities of the handle classification method.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are highly related to hand manipulation ability. And, practical arts have many educational activities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of life by using tools. 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preparation and research for tools and training method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handles. For this purpose, it suggests the preparationof tools as well as the use of tools for left-handedness, the ongoing research and effort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ols for left-handedness include left-handed pencils, left-handed pencil sharpeners, left-handed pencil grips, left-handed springy notes, left-handed scissors, left-handed measures starting from the left, left-handed knives, Left-handed toothbrushes, left-handed plates, left-handed computer mouses and computer keyboards. 손잡이의 특수성에 구애 받지 않는 실과교육으로 통해 실과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과교육에서 손잡이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 및 방안은 실과교육에 관련된 저서, 연구논문 등을 참고로 분석하였다.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을 중심으로 실과교육과정의 교육활동을 분석한 연구는 2009 교육과정 실과 6종 교과서 12권의 교육내용, 삽화, 사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실과의 학문 영역별로 각 학문 영역의 대단원들을 중심으로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실과교육과정의 교육활동과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들의 연관 정도를 실과의 학문 영역별로 분석해 본 결과, ‘가정관리’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7개, ‘식생활’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12개, ‘의생활’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5개, ‘기술과학’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5개, ‘생명과학’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6개, ‘정보통신’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2개, ‘진로’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5개의 손잡이 분류 활동과 관련한 손 활동이 있었다. 학문영역별로 볼 때, ‘식생활’ 교육영역이 12개로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정관리’ 교육영역이 7개, ‘생명과학’ 교육영역이 6개, ‘의생활’ 교육영역이 5개, ‘기술과학’ 교육영역이 5개, ‘진로’ 교육영역이 5개, ‘정보통신’ 교육영역이 2개의 순이었고, 실과교육과정의 교육영역 12개 대단원을 종합해 보면, 17개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실과교육과정의 교육활동과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은 아주 높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과 교육활동들은 신체에서도 손의 조작 능력과 연관이 크고, 도구를 이용하여 생활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활동이 많아서 손잡이를 고려한 도구나 교육방법에 대한 준비나 연구의 필요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왼손잡이용 연필, 왼쪽으로 돌리는 연필 깍기, 왼손잡이용 연필 그립, 왼쪽에 스프링이 달린 노트, 왼손잡이용 가위, 왼쪽에서 0점이 시작되는 왼손잡이용 자, 왼손잡이용 칼, 왼손잡이용 칫솔, 왼손잡이용 식판, 왼손잡이용 글러브, 왼손잡이용 컴퓨터용 마우스와 컴퓨터 키보드 등의 왼손잡이를 위한 도구의 준비뿐만 아니라 도구 사용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양성기관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한다.

      • KCI등재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 방안 연구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motional education applying five senses to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is, it examin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five senses and emotional education and need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nalyzed the elements of emotional education based on human character, goal and nature of pursued by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nd explored factors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five senses and emotional education. It suggested the cas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with units of 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Using five senses is naturally connected to emotion, concretely related parts to emotion such as curiosity and confidence can be developed during the class and if the class is performed with the theme of these emotions, emotion can be enhanced and effec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tself can be also increased. Boosting a desirable emotion using five senses enhances thinking,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s also helpful to achieve goals of study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onents of emotional education from the human characters and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it was related to most of areas of five components of emotional education, emotional education was possibl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t would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of goal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t followed the following principles to present the practic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t was organized to include home economics area evenly and enrich emotion by stimulating five senses with various instruments and materials. It was experience-centered rather than theory-oriented and recognition or emotion was formed to stimulate five senses. Contents and experiences of emo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goals of curriculum and emotional education were planned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conducted. Contents of emotional education consisted of five factors and are developed by stages. Theme, goals and contents of activity and central sens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otal 22 classes by two~four classes for each theme were presented. The unit, 'Making Healthy Snack' was presented as a case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be connected to emotional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five senses,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can enhance emotion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will be also helpful to reach learning goals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ub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effects of applying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required. 이 연구는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하여 오감 및 감성교육의 의의 및 필요성, 실과교과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고, 감성교육 요소를 실과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목표, 성격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실과교과, 오감, 감성교육과의 관련 요소를 탐색하였다.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영역의 단원을 중심으로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오감활용은 자연스럽게 감성으로 연결되며, 실과 수업 중에 호기심, 자신감 등과 같은 구체적인 감성과 연관된 부분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성을 주제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감성이 제고됨과 동시에 실과교과 자체의 효과도 높아지게 된다. 오감을 활용한 바람직한 감성의 고양으로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이 증진되며 실과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 및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을 준다. 2009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표 측면에서 감성교육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감성교육 다섯 가지 요소(자기 인식, 자기 조절, 자기 동기화, 타인 감정 인식, 대인 관계 능력) 중 대부분의 영역과 관련이 있었으며 실과교육에서 감성교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실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원칙은 가정영역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였고, 다양한 도구와 재료로 오감을 자극하여 감성이 풍부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론보다는 체험을 중심으로 하여 오감 자극을 사고로 유발시켜 인식이나 감정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교육과정 목표와 감성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그 목표에 기초한 감성교육 내용과 경험을 계획하여 실과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행하도록 하며, 감성교육의 내용은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하여 단계별로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의 주제명 및 활동 목표, 활동 내용, 중점 감각을 제시하였다.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는 감성교육 요소 단계별로 주제를 구성하는 방법(각 주제별 2~4차시로 총 22차시)과 한 주제 내에서 감성교육 단계별로 교육이 전개되는 방법(‘건강간식 만들기’단원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과교과는 감성교육, 오감활용과 연계가 가능하며 오감을 활용한 감성교육으로 감성 능력 함양 및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이 증진되며 실과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 및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적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성숙(Lee, Sung-su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시대적 변화와 상황, 국내외 교육관련 국제기구들이 제안하는 교육의 방향, 실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 수업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대변화에 따른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주요 이슈로는 팬데믹, 저출산·고령화, 기후 위기, 다문화, 식량안보, 인공지능 등이 있었다. 6가지 이슈의 교육적 해결 방안과 그에 따른 실과교육 관련성을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팬데믹은 자립적인 생활능력,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의 핵심개념에서 관계, 생활문화, 안전과 관계가 있었다. 기후위기는 지속가능한 환경유지, 핵심개념에서 관리, 지속가능과 관련이 있었다. 저출산·고령화, 다문화는 건강한 가족, 배려, 돌봄, 건강한 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식량안보는 지속가능한 생태 환경유지, 자원, 환경과의 건강한 상호작용, 핵심개념 중 생활문화, 창조, 지속가능과 관련이 있었다. 인공지능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 융합, 핵심개념 중 적응과 소통과 관련이 있었다. 국제기구들이 강조하고 있는 교육 내용과 실과교육 관련 내용은 지속가능교육의 양성평등, 문화 다양성과 상호간의 이해, 건강과 에이즈, 자연 자원, 기후 변화, 농촌 개혁과 관련이 있었다. OECD의 교육 2030은 UN의 SDGs과 맥을 같이하고 있고, 실과교과와도 많은 부분 일치되고 있으며 웰빙은 실과교과에서 구현할 수 있다. OECD의 교육 2030과 UN-SDGs 요소들은 시민참여를 제외하고 실과 모든 영역에 관련이 있었다. 실과교과는 미래사회의 새로운 교육적 요구들에 대해 자립적인 생활과 미래사회 대처 측면에서 필요하다. OECD의 교육 2030이 추구하는 웰빙은 실과교과에서 추구하는 목표인 행복감 향상, 행복한 삶, 조화로운 삶과도 일치하므로 실과교과는 웰빙을 추구하는 교과로서 필요하다. 실과교과는 지속가능을 강조하고 있고, UN-SDGs와 관련성이 높으므로 지속가능을 추구하는 교과로서 필요하다. 팬데믹 시대에 비대면이 늘어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포함한 키오스크 활용이 매우 증가하고 있으므로 자립, 지속가능, 웰빙 측면을 고려하여 모두를 위한 키오스크 디자인하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과교과는 미래교육에서 자립적인 생활교과, 지속가능 웰빙교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In order to fi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futur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times related to educati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sugges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educational solutions of the six issues and their relevance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nature, goal,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pandemic was related to the 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relationships, life culture, and safety among the core concepts. The climate crisis was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mong the core concepts. Low birth rate, aging population, and multiculturalism were associated with healthy families, caring, and healthy relationship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od security was related to maintaining a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healthy interactions with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and living culture, creation, and sustainability among the core concepts. Artificial intelligence was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convergence, and adapt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he core concep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emphasiz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sustainable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and mutual understanding, health and AIDS, natural resources, climate change, and rural reform. OECD s education well-being 2030 and UN s SDGs are in agreement with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well-being can be implement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ell-being 2030 and elements of UN-SDGs were relevant to all area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xcept for citizen particip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educational demands of the future society and to lead an independent life. The well-being pursued by the OECD s Education 2030 also coincides with the goal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mproving happiness, living a happy life, and living a harmonious life. Practical arts subjects are necessary as subjects that pursue well-being. Practical Arts education subjects emphasize sustainability and are highly related to UN-SDGs, so they are necessary as subjects pursuing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as independent life subjects and sustainable well-being subjects. A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increases in the pandemic era, the use of kiosk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Considering the aspects of self-reliance, sustainability, and well-being, a lesson plan for designing a kiosk for all was proposed.

      • KCI등재

        실과 교과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실과 수업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지역 소재 6개 초등학교의 5학년 302명을 편의표집 하였고,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PSA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는 학업 성적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이 중간 이상인 학생보다 실과교육의 학습내용에 대한 인식과 개인적 선호가 더 높았다. 둘째, 실과 수업에서의 실습 경험은 초등학생의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실습 경험을 많이 한 학생은 실습 경험을 적게 한 학생보다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하위요인인 학습방법, 학습내용, 가치, 개인적 선호, 진로, 유용성, 실생활 관련성 모두에서 실습 경험의 많고 적음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학업 성적, 실습 경험)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에서 가장 좋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은 실습 경험이었다. 따라서 실습 경험은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classes o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he objects of study were 302 5th grad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First, school record was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low grade showed higher mean on ‘learning content’ and ‘personal preference’ of Practical Arts. However, sex was not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the degree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classes was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students who did practice more than seven times showed higher mean all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learning strategy’, ‘learning content’, ‘value’, ‘personal preference’, ‘career’, ‘usability’ and ‘life relevance’).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gree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classes was significant variable which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실과에서의 디자인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lan to improve the design education which was able to execute it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nquired into the theory about elementary design education, analyzed the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shown in practical arts textbook,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bout desig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the contents were grouped into aestheticㆍsymbolic expression area, usefulㆍfunctional performance area,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and socialㆍemotional attitude area. For the questionnaire in elementary schools, subjects are 165 charge teachers of the 5th and 6th grade in Daegu. The method of this survey has been through the arbitrary-chosen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focus more on estheticㆍ symbolic expression area and usefulㆍfunctional performance area than other areas.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have smaller proportion in practical arts. Therefore, contents about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are necessary to put into practical arts textbook more and more. 2.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for the working process because teachers cannot enough to understand about the working process of products, when they teach the making and decorating in class. 3. It is necessary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positively, to develop the design materials for teaching the making and decorating. 4. Considering the creativity extension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following products of textbook alike. 5. For activating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t has to equip with the facilities and tools for practical arts instruction, has to expand the charge teacher for practical arts gradually, has to stud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actical arts teacher, and needs to develop the reference books for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 KCI등재

        대구광역시 초등실과 수업연구교사의 실태에 관한 연구

        정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selection system, the applying process, the roles and the awareness of the specialty teache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and an interview with 8 specialty teache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from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view as follows. (1) The specialty teachers system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started in 1984 and 26 specialty teache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selected from 1987, and 10 specialty teache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taking actives in elementary schools. (2) As a teacher, they have a lots of efforts and passions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y believe that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subjec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suggest how to solve the deep-seated problem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3) They are important human resources of education as a communicator between officer of education, president o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teaching step in university. (4) It should be supported that they be able to organize the committee of specialty teache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elevation of the specialty and of the roles of them.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초등학교 실과수업연구교사의 실태를 파악해 봄으로써 실과수업연구교사에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대구광역시 실과수업연구교사제도의 현황, 특성, 활동, 실과수업연구교사제도 및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목적 및 연구내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전화설문과 집중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구광역시의 ‘수업연구교사제’는 교수ㆍ학습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제도로서 1987년부터 실과수업연구교사를 매년 1~2명씩 선발해왔다. 둘째, 이들의 실과교육경력은 평균10.6년으로, 5학년에 편중되었으며, 학력은 주로 실과전공 대학원 졸업이나 재학 중이었다. 지원 동기는 주변의 권유, 가르쳐보니까 재미있어서, 승진을 위한 연구점수였으며, 수업발표대회에서의 수업단원들은 바느질영역과 조리, 전기전자로 편중되어있었다. 셋째, 실과수업연구교사들은 ‘교수ㆍ학습지원단’, ‘수업기술나누기 멘토’, ‘제7차 교육과정 장학협의단’, ‘자율장학’, ‘교사연수강사’로 활동하며 자부심, 수업능력향상, 명예, 보람을 얻게 되나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겪기도 하였다. 넷째, 이들은 실과연구교사제도는 매우필요하며, 1차 시험을 필기시험보다는 현장수업능력으로 평가하고, 지원 자격을 교육경력 10년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다섯째, 실과연구교사들은 통합적(실제적)사고능력, 진로, 생활능력, 흥미성, 성취감, 인성교육 측면에서 실과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며, 실과교육의 문제점을 실습실의 부재, 실습재료 및 준비의 불편함으로 인식하며, 실습실마련을 위한 학교장의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 보조교사의 확보, 실습재료의 세트화, 교사용 단원별 수업가이드자료, 학생용 실습의 길잡이, 선도실습연수의 개설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정생활’교육의 교사교육을 위한 실과교육 교재의 내용 구성 체계화 및 상세화에 관한 연구

        전세경,이경애,정미경,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theoretical model for systematical and detailed organization of textbook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revising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was needed to change for textbook 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study was analysed to the contents factor of the revising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and fixed on system of textbook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was set up some guidelines and systematization for textbook 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uthors of this study suggested revised version of preservice-teacher education textbook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published in 2007 and the four domains such as (a) family life and work, (b) nutrition, (c) clothing, and (d) family finance, consumer and housing education in child development. Based on the suggested four domains, goals and contents arrangements were revised in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실과 교사교육의 목적에 충실한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교재의 내용을 상세화, 체계화하여 교재 개발 및 집필을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와 함께 이를 담당하는 교사 양성교육 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하며, 예비 교사 교육의 효율성과 교과 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공통교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요소에서 교재에 필요한 내용요소를 추출, 분석하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재구성 체계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영역은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구성을 고려하여 아동발달과 가족 및 일과 진로교육, 아동발달과 식생활 교육, 아동발달과 의생활 교육, 아동발달과 자원 소비 및 주거 환경교육으로 구성한 뒤, 구체적인 상세 내용요소와 목표를 진술하였다.

      • KCI등재

        n@search의 검색 기능을 적용한 초등 실과사전의 구현 및 활용

        이은혜,이정수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Web-based dictionary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apply to searching function of n@search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implementing the Web-based instruction materials the 7th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The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useful Web-ba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dictionary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searching function of using ‘n@search’ was applied to the embodied Web-based dictionary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the contents of the Web-based dictionary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updated new informations. Fourth, after applying them on the spot and verifying the effect, the developed WBI material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The Web-ba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dictionary was composed of the important three menus; ‘Practical arts photos’, ‘Practical arts terms’, ‘Introduction of Textbooks’, etc. The Web-ba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dictionary could be used easily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widel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실과교육을 위하여 n@search의 검색 기능을 적용한 웹기반 초등 실과사전을 구현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웹자료 구축을 위하여 제7차 실과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용에 편리한 웹기반 초등 실과사전 개발을 위한 교수자료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였다. 둘째, 구현한 초등 실과사전에 ‘n@search’를 적용하여 검색 기능을 갖게 하였다. 셋째, 자료들을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초등 실과사전으로 보완하였다. 넷째, 개발한 웹기반 교수 자료들을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구현한 초등 실과사전은 3개의 주요 메뉴 즉, ‘실과사전’, ‘실과용어’, ‘교과서 소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웹기반 초등 실과사전이 교사와 학생들의 교수-학습에 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과교육에 널리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 개발 및 분석

        김민경,이시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the analysis criteria that can analyze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and provide the helpful preliminary data for choosing Practical Arts textbook by analyz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an authorized book at school scen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s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fter the extracted items were verified with face validity by five specialists, the analysis criteria of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guide books of two publishers in 5th and 6th grade were analyzed by 3 professional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ly, Holistic Education contents were extracted into 8 items respectively ‘Humanity development', 'Respecting one's individuality', 'Learning by experience', 'The liberty of choice', 'Democracy', 'Planethood', 'Earth's biosphere', and 'Spirituality' as the analysis criteria of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s were analysed into 5 items, respectively 'Physical approach', 'Imagery approach', 'Thoughtful approach', 'Cooperation', and 'Comprehensive approach'. Second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2 publishing companies were not significant in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 on the basis of developed analysis criteria. But big differences of the two publishers could be found both in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 In conclusion, as Practical Arts textbook was being changed into an authorized textbook, each textbook of publishers showed the limitation in that it didn't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s to analyzing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one view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regarded that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will be helpful as a way in choosing Practical Arts textbook which me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본 연구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라 실과교과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준거를 개발하고 검인정 도서로 전환된 실과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실과교과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을 추출하여 전문가 5인에 의해 추출된 항목에 대한 안면 타당도로 검증한 후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실과교육 전문가 3인에 의해 2개 출판사의 5학년과 6학년 실과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로서 홀리스틱 교육 내용으로는 ‘인간성 개발’, ‘개성 존중’, ‘경험 학습’, ‘선택 자유’, ‘민주주의’, ‘지구시민’, ‘지구생명권’, ‘정신성’의 8항목을 추출하였고,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으로는 ‘신체적 접근’, ‘이미지적 접근’, ‘사고적 접근’, ‘공동작업’, ‘종합적 접근’의 5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개발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2개 출판사의 실과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에서 출판사 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에서는 두 출판사 모두 대단원별로 차이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과교과서가 처음 검인정 교과서로 전환되면서 각 출판사의 실과교과서가 각각의 뚜렷한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아직까지 실과 교과서를 하나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과교과서를 개발하고 각 학교의 특성에 맞는 실과교과서를 선정할 때 홀리스틱 교육 관점이 하나의 방법으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윤주혁 한국기술교육학회 202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실과 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메이커 역량을 분석하여 실과 발명교육을 통한 메이커 역량의 함양 가능성을 알아보고, 발명교육 단원에서 메이커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실과 교육과정의 발명과 문제해결 관련 성취기준별로 6학년 실과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6개메이커 역량군과 23개의 하위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기반한 실과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에는 문제 발견, 통합적 사고,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각각 100%, 75.0%, 69.0%의 반영 비율로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이 29.2%의 비율로 많이 반영되었다. 협업, 인간 중심 역량군은 각각 8.3%, 4.2%로가장 적게 반영된 역량군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발명의 의미와 중요성 및 발명기법을 이해하는 이론학습의 [6실05-03] 성취기준 단원보다 기술적 문제해결 절차에 따른 실기 학습의 [6실05-04] 성취기준단원에서 통합적 사고 역량군이 더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실05-04] 성취기준 단원에서전기 및 프로그래밍의 이해 역량을 제외한 모든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대부분 반영되어 있었다. 특히문제발견 역량군은 모든 성취기준의 단원에서 모두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실과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의 학습을 통해 통합적 사고, 메이킹 마인드, 문제 발견,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양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영 비율이 매우 저조했거나 반영이 전혀 되지 않았던 메이커 역량군과 하위 핵심역량들도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함양 방안을추가 및 보완한다면 실과 발명교육을 통해서 더 많은 메이커 역량이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발명교육 단원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메이커 역량의 효과적인 반영을 촉진하여 학생들의 메이커 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ker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units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maker competencies through inventio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to identify maker competencies in the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units. To achieve this purpose, 6 maker competency groups and 23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invention education units of the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blem finding, integrated thinking, and making practice competency groups were most reflected with reflection rates of 100%, 75.0%, and 69.0% in the practical textbook invention education units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respectively. And the making mind competency group was reflected the most at a rate of 29.2%. Collaboration and human-centered competency groups were identified as the least reflected competency groups at 8.3% and 4.2%, respectively. Second, compared to the [5,6 grade group - practical arts - 5th area - 3th achievement standard] unit, which is a theoretical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invention and invention techniques, [5,6 grade group - practical arts - 5th area - 4th achievement standard] is a practical learning unit based o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procedures.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group was reflected more. In addition, the [5,6 grade group - practical arts - 5th area - 4th achievement standard] unit mostly reflected all making practice competency groups except for understanding competency in electricity and programming. In particular, the problem finding competency group was found to be reflected in all uni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Third,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thinking, making mind, problem discovery, and making practice competency groups could be developed relatively more through learning in the invention education unit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f the maker competency group and core competencies that had a very low reflection rate or were not reflected at all are add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ultivation plan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more maker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through inven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students' maker competencies by promoting effective reflection of maker competencie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s of invention education units based o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