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이은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ominant discourses about art teachers’ identity in terms of A. Moore’s teacher identity research and prospect the new identity turn through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According to Moore’s point of view, dominant discourse about art teachers’ identity summarizes in 3 images in which are charismatic art teacher who has artistic aura, competent craftsman who has highly art training skills,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who can apply personal reflective thinking. Most art teachers have been conducted in one dominant discourse as an art teacher. However,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provides a whole new perspective for art teachers on identifying the good art teacher. A characterization of ‘The reflexive turn’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self in the reflexive process”. ‘The self’ in this case means not ‘Cartesian self’ but ‘self as a Text’ which is interpreted again at any time. In addition identifying as an art teacher is not fixed one dominant point at all. It can also be reconstructed based on a teacher’s sociocultural, individual contexts. This article presents the conception of “The reflexive turn” in terms of A. Moore & A. Giddens theory. Furthermore, this article puts forward 3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in identifying the good Art teacher. The 3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ood reflexive turn as an art teacher are realization of a teacher’s individual life conditions and teacher’s teaching narrative, research in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backgrounds, and the return to phenomenon of teaching itself in class experience. All of these things are essential to an art teacher's reflexive identity turn. 미술 교사는 자신을 어떻게 규정하며 어떠한 종류의 교육적 행위를 하는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미술 교사 정체성에 관한 담론 분석이자 기든스(A. Giddens), 무어(A. Moore)등이 제시한 ‘성찰적 전환’ 개념에 비추어 새로운 방향으로의 정체성 전환을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더불어 이 시대의 미술 교사가 성찰적 전환을 통한 정체성 형성을 위해 주목해야 할 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사 정체성에 관한 지배적 담론들에 비추어 볼 때 미술 교사의 정체성은 예술가의 아우라(aura)를 지닌 감화자로서의 교사, 학생들이 미술 기능을 매우 체계적으로 익히도록 알려주는 조형 기술자로서의 교사, 미술을 왜 가르치는지 반성하고 예술의 가치에 관해 고민하며 적용하는 반성가로서의 교사로 정리된다. 대부분의 미술 교사들은 지배적 담론들의 한 입장에 자신의 정체성을 고정시켜 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토대 위에서 미술 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새로운 전환이 가능하다. 교사 정체성은 공동체적 신념에 의해 획일적으로 주어지는 정체성이 아니라 개인의 ‘전기적 서사’에 근거한 성찰을 통해 능동적이고 다원화되어 나타나는 복수의 정체성을 지향한다. 여기에는 삶의 다양한 맥락과 조건이 관계하며 한 번 형성된 교사 정체성은 고정불변의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성찰적 전환’을 통해 계속적으로 자리매김하는 역동성을 지닌다. 미술 교사 정체성의 바람직한 ‘성찰적 전환’을 위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수업의 장(場), 현상 자체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으로 드러나고 형성되는지 교사 자신의 내러티브를 텍스트로 삼아 진지하게 성찰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좋은 미술 교사’의 모습은 어느 한 지점에 좌초되지 않으며 교사 자신의 개인적 ‘자아’와 연관하여 끊임없이 정체성의 재구성을 실행하는 ’되어가는(becoming)‘ 과정 안에 있다.

      • KCI등재

        공간적 선회: 도시연구의 신 패러다임 -E. 소자의 포스트모던 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성백 ( Seong Paik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3

        A new Tendency about the Paradigm is emerging in western human and social sciences. It is the so-called Paradigm of spatial Turn. This Space-Paradigm which was asserted at first as new methodology in urban studies, is now expanding as universal methodology in human and social sciences. It is E. Soja, who stands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this new Paradigm of the spatial Turn. Soja`s Socio-spatial Dialectic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which constituted the human and social problems only in the perspective of time sequences. It can be evaluated as epochal project which opens new insight in the expanding the paradigm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However, the postmodern urban theory which Soja tries to constitute in relying upon the Space Paradigm, is yet far from the function of critical social theory. The reason lies in the inability to seize the critical implication of the postmodernism not only by Soja but also in western urban studies.

      • KCI등재

        공간적 선회: 도시연구의 신 패러다임 -E. 소자의 포스트모던 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성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3

        A new Tendency about the Paradigm is emerging in western human and social sciences. It is the so-called Paradigm of “spatial Turn”. This Space-Paradigm which was asserted at first as new methodology in urban studies, is now expanding as universal methodology in human and social sciences. It is E. Soja, who stands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this new Paradigm of the spatial Turn. Soja’s “Socio-spatial Dialectic”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which constituted the human and social problems only in the perspective of time sequences. It can be evaluated as epochal project which opens new insight in the expanding the paradigm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However, the postmodern urban theory which Soja tries to constitute in relying upon the Space Paradigm, is yet far from the function of critical social theory. The reason lies in the inability to seize the critical implication of the postmodernism not only by Soja but also in western urban studies. 서구 학계에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바람이 일고 있다. 이른바 “공간적 선회(spatial turn)”의 패러다임이다.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처음 주장된 공간 패러다임은 문학, 예술, 역사, 영상, 건축, 국제정치, 경제 등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제 영역들의 방법론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공간적 선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에 중심에 서 있는 학자는 에드워드 소자이다. 인간과 사회의 문제를 시간적 계열의 축으로만 구성한 현대 계몽주의의 일면성을 넘어서 공간의 축을 동시에 사유해야 할 필요성을주장하는 사회-공간 변증법은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놓은획기적인 기획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소자가 구성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던도시론은 아직 여러 측면에서 비판사회이론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살리지못하고 있다. 이는 소자에게서뿐만 아니라 도시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비판적 함의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 KCI등재

        이언 매큐언의 소설과 서사윤리 -『버텨내는 사랑』과 『속죄』를 중심으로

        윤영필 ( Young Phil Yoon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0 현대영미소설 Vol.17 No.1

        As a writer of deep ethical sensibility, Ian McEwan has grappled with the moral issues of his time throughout his novels. Also his quest for an ethical vision is accompanied by an acute sense of the problematic nature of narrative and its ethical implications. Keeping in view the `ethical turn` of literary criticism since the late 1980s and its increasing attentiveness to narrative ethic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thical dimensions of narrative explored in his recent two novels, Enduring Love and Atonement, each of which is conspicuously self-reflexive. Enduring Love brings to the fore both the vital role of storytelling in all human sense-making activities and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that disturbingly undermine the status of narrative as a transparent medium of truth. While sharing the postmodern incredulity towards the grand narratives, this novel doesn`t give way to the postmodern relativistic view of truth in that the narrative of the first person narrator, Joe, though not free from self-interest and guilt, turns out to be basically right and reliable, and that truth gradually takes shape in the polyphony of various competing narrative voices. Atonement probes and extends the ethical capacities of the novel narrative with the growing process of the author-heroine being enacted in the novel-within-the-novel. By the unexpected turn of its coda, however, it raises subtle questions about the dubious moral status of authorship, and about the novel form as an inherently moral medium. As a result, the novel is illumined as a peculiar space in which the ethical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paradoxically coexist.

      • KCI등재

        현대일본의 ‘특공’ 서사와 새로운 ‘공공’의 상상력 — 소설 『영원의 제로』를 중심으로 —

        서동주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7

        Naoki Hyakuta’s novel, “Eternal Zero”, which depicts “Special Attack” (“Kamikaze”) during the war, sparked a “special attack boom” in popular culture. This phenomenon brought up by this novel has been understood as a part of the “right turn”. Clearly, the fact that it deals with the ‘special forces’ alone is enough for it to be read as ‘right wing novel’, and there were many opinions in response to the actual novel. However, the novel also has some aspects that are not classified under the category of right-wing novel. In that sense, if we focus on whether the novel supports the right wing, it is difficult to expect a very informative discussion. On the contrary, when we escape from the issue of political identity, the novel’s imagination comes into view. The new imagination is related to the post-modern situation that contemporary Japan is present. For example, this new imagination refers to the imagination expressed by the novel, such as the attitude to seek historical truth based on testimony, and the irony that private motivation leads to community relief. And it seems to be a prescription for a post-modern situation that meant after the collapse of the ‘great discourse’. Furthermore, the extreme evaluation of the novel divided into “right wing novel” and “antiwar novel” is not irrelevant to the ironic landscape that individuals make with society. Ironic scenery refers to the following: It is nothing more tha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 lack of trust in society and an unstable futur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not through established political mediations such as parliament and the state. In that sense, the drifting perception of the masses around the novel “Eternal Zero” reminds us that “right turn” of comtemporary Japan should not be the conclusion of analysis, but should be analyzed in a broader context. 전쟁 시기 ‘특공(“가미카제 특공대”)’을 그리고 있는 햐쿠타 나오키의 소설 『영원의 제로』는 대중적 성공에 힘입어 대중문화계에 ‘특공 붐’을 촉발시켰다. 이 소설이 불러온 특공의 유행은 일본사회에서 목격되는 ‘우경화’의 일환으로 이해되어 왔다. 분명 ‘특공’을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소설은 ‘우익적’으로 독해될 여지가 충분하며, 실제 소설에 대한 반응에서도 그런 의견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 소설은 소위 ‘우익소설’이라는 범주로 깔끔하게 분류되지 않는 측면도 갖고 있다. 특공에 대한 주인공의 시선은 시종일관 비판적이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이 ‘우익적인가’ 여부에 집중한다면 그다지 유익한 논의를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그런 정치적 정체성의 문제에서 벗어날 때 이 소설이 발휘하고 있는 새로운 상상력이 비로소 시야에 들어온다. 이 새로운 상상력이란 현대일본이 노정하고 있는 ‘포스트모던적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예컨대 이 새로운 상상력이란 증언에 의존해 역사적 진실을 추구하는 태도, 사적 동기가 공동체의 구제로 이어지는 아이러니 등에 나타나 있으며, ‘거대 담론’이 무너진 이후를 의미하는 포스트모던적 상황에 대한 하나의 처방처럼 보인다. 나아가 ‘우익소설’과 ‘반전소설’로 갈리는 소설에 대한 극단적 평가도 현대일본에서 개인이 사회와 맺는 아이러니한 풍경과 무관하지 않다. 그 풍경이란, 한편에서 사회에 대한 신뢰저하와 불안한 미래에 고민하면서도, 다른 한편에서 의회와 국가와 같은 기존의 정치적 매개를 경유하지 않는 사회참여의 의지가 존재하는 착종된 상황에 다름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문제적 텍스트 『영원의 제로』를 둘러싼 대중들의 표류하는 인식은 ‘우경화’가 분석의 결론이 되어서는 안 되며, 더욱 확장된 맥락 속에서 분석되어야 하는 과제임을 상기시킨다.

      • KCI등재

        사회과학(社會科學)과 역사학(歷史學)의 통합(統合)의 가능성(可能性): 언어론적(言語論的) 전회(轉回), 아브덕션 및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오열근 ( Oh Youl-gun ) 한국행정사학회 2018 韓國行政史學誌 Vol.44 No.-

        본 논문은 우선 추론의 2大 방법인 귀납과 연역의 문제점을 연구목적의 시각에서 고찰하고 있다. 연구 목적은 사회과학(조직론)과 역사학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귀납이란 관찰로부터 획득된 단칭 언명에서 보편언명으로 일반화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귀납법의 주요 문제점의 하나인 ‘이론부하성’은 1980년대 이후 ‘언어론적 전회’로 역사학계나 사회과학계에 출현하게 되었다. 한편 연역이란 논증의 전제가 眞이라면 결론도 또한 진인 점을 도출하는 분석적인 추론의 방법이다. 역사연구자는 전자를 사회과학자는 후자의 방법을 사용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순수한 귀납, 순수한 연역이라는 것은 사회과학이나 역사학에 있어서 추론 방법으로는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C.S.Peirce가 고안한 추론 방법, 즉 ‘아브덕션’을 명시적으로 채택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어떤 사실이나 데이터가 관찰된 경우, 그것은 왜일까라고 질문하고, 어떠한 작업가설을 만들어 설명ㆍ검증하는 방법이다. 아브덕션이란 추론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質이 높은 역사분석과 사회분석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이론을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들은 ‘언어게임’과 ‘아브덕션’이라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입수하였다. 그리고 그 도구들을 본 연구자가 작성한 논문들에 적용 가능한가 하는 여부를 고찰하였다. 그 제 논문 중 대표적으로 검토한 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조직론의 성립과 노자의 「도덕경」』이다. 즉 결과는 긍정적이다. 포스트모던 조직론의 해체 사상과 「도덕경」18, 19장의 도덕주의와 실용주의의 허상 이슈는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21C 조직이론과 B.C.26C 동양고전의 사상의 접합이다. 요컨대 사회과학과 역사학은 통합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This Paper first looks at the problems of induction and deduction, the two main methods of reason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research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social science(organization theory) and history. Induction is a method of generalizing from a singular statement acquired observation to a universal statement. But ‘theory-ladenness’, one of the major problems of induction, has emerged as the ‘linguistic turn’ in history and social sciences since the 1980S. On the other hand, deduction is a method of analytical inference that results in a truth if the premisses of argument are true. Historical researchers tend to think of the former as a social scientist using the latter method. But pure induction or pure deduction is not practical in history or social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bduction’ should explicitly be adopted. It is inference method invented by C.S.Peirce. This asks why if any facts or data are observed. And then create and explain a working hypothesis. It is also a verification process. Abduction is used to make a quality historical analysis or social analysis possible And finally we can form a theory. In this study, we acquired the powerful mechanisms, the ‘language-game’ and the ‘abduction’. We then examined whether the tools were applicable to the papers prepared by the researcher. Among them, the paper reviewed representatively is 『Towards a Theory of the Formation of Postmodernism Organizations and Lao-tzu’s Work 「Tao Te Ching」: Focused on the Critiques of Functionalism and Symbolic-Interpretativism.』 Consequently, the result is positive. The deconstruction of organization theory and the fallacy of morality and pragmatism in Chapter 18, 19 can be connected. It is also a link between the organization theory of the 21st century and the Oriental Classics of the 6th century B.C. In short, social science and history can be integrated.

      • KCI등재

        현대사상의 흐름을 통한 현재와 미래 사회 갈등의 진단과 해결 모색 : 현대 포스트모더니즘 내 휴머니즘-안티휴머니즘 갈등으로부터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내 생명중심주의-반생명중심주의 갈등에로의 이행, 그리고 모든 혐오를 자기혐오로 돌려놓을 것

        이관표 ( Kan-pyo Lee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4

        This article addresses the underlying basis of conflicts within the trajectory of modern philosophy, extending from the present into the futur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evolution of humanism. To this end,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humanism-anti-humanism” conflict within modern postmodernism. Then, it explores how future post/transhumanism, which aims to transcend this dichotomy, also harbors potential conflicts, specifically between “biocentrism” and “anti-biocentrism.” It is revealed that it is the antithesis of “biocentrism.” Finally, it identifies the root causes of these ideological conflicts and proposes that the solution lies in transforming all forms of hatred into self-hatred.

      • KCI등재

        문화 : 문화학의 지형학적 전환: 지구화와 지역화의 이론적 콘셉

        김경희 ( Kyung Hee Kim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0 독일어문학 Vol.51 No.-

        포스트모더니즘은 하나의 양식 개념으로 이해됨과 동시에 모더니즘에 대한 문제를 표출하는 변화된 태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적 순차성 보다는 오히려 사고의 틀, 사고 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매체를 통한 시공간 구조의 변화는 비동시적인 것을 동시적으로 만드는 경향을 증대시켰다. 과거로부터의 시간적 변화양상보다 현재와 미래의 동시성을 추구하게 되면서 현재의 패러다임이 부상하게 되었고, 이는 바로 공간의 중요성과 연결되었다. 즉 시간의 패러다임이 공간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같은 현상을 철학적으로 살펴보면, 객관적 진실에 대한 회의가 생겨나면서 경계짓기와 구별하기, 결정하기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결정을 하는가 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방법론으로 관심의 축이 옮겨갔다. 동시에 세계의 지형을 바라보는 지구화와 지역화의 문제를 바라보는 방식 자체가 중요 연구대상으로 떠올랐다. 사실 공간의 의미에 관한 연구는 오랜 역사를 지닌다. 경제분야에서 떠오른 지구화가 문화적 개념으로 확장되면서 문화 자체는 뵈메에 따르면 이미 공간화하는 행위가 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보면 문화학이 자기와 타자를 비교, 구별, 혼합, 성찰하는 학문이 됨으로써 학문 그 자체도 문화현상이 되었다. 비교하는 과정은 한편으로 차이를 다루는 것이며 이차적 관찰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다름 아닌 인식의 과정이고 어떤 것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그와 다른 것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제 3의 사이공간이 탄생하게 된다. 이 사이공간은 네트워크의 구조와 유사하게 기능하는데, 이는 지구지역화, 혼종화, 혼합화를 그 특징으로 한다. 선형성, 인과성, 조직성, 통합, 동일성보다는 우연, 탈피, 창발, 부분, 자기생성이 그 주요 키워드이며 특히 자기와 타자의 관계설정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지구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문학에 형상화한 예로서 후버르트 피히테의 작품을 들 수 있다. 이 것은 마로코의 여행체험을 쓴 작품으로서 시장의 여러 광경을 다큐멘터리처럼 묘사하였다. 순간적 영상, 프로토콜, 리포타쥬 형식으로 구성되어 논리적 줄거리를 거부하고 다양한 사실들을 나열하고 차이들을 유희적으로 형상화하고 특히 아랍문화의 낯설음 자체에 대하여 제 3자가 관찰하는 거리두기의 방법을 취하면서도 작품 자체에는 서술이나, 해석, 느낌을 배제함으로써 삶의 경험성, 인종학적 묘사를 부각시켰다. 이 소설의 형성원칙은 위계질서를 파괴하는 것이며 낯선 것에 대한 차분한 경험을 표출하는 것이다. 주인공의 영웅적 위상을 지양하고 내용과 형식을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통속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로 인해 근대의 아포리로부터의 탈출을 추구하였다. 지구화에 대한 문화적 분석과 사유방식으로서의 고찰은 주도적인 경제적 흐름과 병행되어야 하며 이같은 추구가 바로 문화학에 있어서도 차이를 강조하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문화와 문화학에 대한 자가성찰은 에른스트 카시러에 따르면 존재의 질서에서 관계의 질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 KCI등재

        Recovering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 Realistic Local Firms: The Value of a Local Film in the Age of Postmodernism

        Sung Kyung Kim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7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36 No.1

        I start from a view in which the postmodern turn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everyday lives of individuals as well as the scope of social science. The postmodern turn would provide new possibilities for social science that has been overwhelmingly ‘scientifically’ based. By keeping critical distances from both too narrow ‘scientific approaches’ and extreme post-modernistic perspectives, I would suggest a well-balanced postmodern social theory between the two, which can become even a more powerful tool when it is reconciled to a certain aspect of the realistic approach.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realism in the postmodern turn can rightly broaden the scope of social science into the inclusion of art, emotionality, sensuality, phenomenology, hermeneutics and so on that have been neglected in social science, and avoid the confusions of identity brought about by a lack of understanding of history, culture and society. Combined with this theoretical stance, I would argue that locally embedded cultural artefacts, especially realistic local films, take an important role for audiences to anchor their confused identities and to restore the sense of history, place and culture. As an example, I will analyse a realistic film text on a shared past, Spring in My Hometown (1997, dir. Yi Kwangmo)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a realistic film text as a cultural resource for audiences.

      • KCI등재

        논문 : 테리 이글턴의 종교적 전회: 전회의 역사적 조건, 종교의 문학적,실천적 가치 재조명

        김명주 ( Myung Joo Kim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2 문학과종교 Vol.17 No.2

        Terry Eagleton, a poststructuralist and Marxist literary critic, has turned to religion in recent years. In spite of some popular misunderstanding and some scholarly distortion, his turn is here claimed to be religious not just ethical, since it is obvious that he borrows essential insights from Christianity which is easily traced in his upbringing. For him, Christianity functions as an antidote to the disease of contemporary society where liberty and equality have gone wrong and only their downside is predominant. Of course, his Christianity is far from fundamentalism which he severely criticizes throughout his recent books, but it is a religion whose emphasis falls on its symbolic features and practice. Above all, Eagleton views Christianity as a symbolic system which connects the transcendent or abstract with the immanent or concrete. In this sense, it may be possible to call his concept of religion a literary one. At the same time, he also emphasizes on doing, practice of love, instead of belief itself. Eagleton`s God is not a creator of the universe but love itself, rather an acting love. Likewise, he sees human beings as ontologically limited and thereby interdependent so that practicing love can be an ontological necessity. Even Jesus is not a god or an incarnated god, but a symbol of a tortured body who practiced love to death. Eagleton explains how the literary and acting type of religion can present therapeutic insights against the illness of contemporary world: narcissism, flourishing fundamentalism, capitalistic consumerism, and diminishing morality and ethics. In this way, Eagleton rediscovers the literary and practical values of the traditional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