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정치와 노동정치의 위기 그리고 ‘감정의 정치’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허상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3 동향과 전망 Vol.- No.87

        This article analyzed the result of 18th Presidential Election focused with the cause of the liberal and progressive block’s defeat in the South Korea politics. They failed the civic politics and labor politics in the campaign because of no ideas of mind’s regime of voter, no contents, nor coordinations in despite of the semi success of coalition politics with other independent civil candidate onto the pan-national zeal of power shift by the democratic election. Lawyer Moon Jae-in, Democratic Unified Party’s candidate did not play an irascibility or charismatic leadership in the party politics during the campaign. Ruling Party, New Frontier Party’s candidate Park Geun-hye’s victory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a big boost not only for women in South Korea but also women in many other male-dominated countries in East Asia, where Confucian values are still widely respected. Ruling party’s politics of feelings has been mobilized the older voter’s mind that is the momentum turned to victory by the candidate’s concentration and extendability. I traced this authenticity politic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ere the ‘mainstream’ or the established politics has often relied on a voter of beholder of mind’s regime and authenticity that is why she won or he failed. 이 글은 18대 대통령선거에서 진보개혁진영의 선거실패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이번 선거의 특징은 첫째, 정치신인들이 정권교체와 새정치라는 국민열망을 집약, 대변하게 되었으나 진보진영은 절반의 연합정치 성사에도 불구하고 유권자의 심성 또는 ‘마음의 체제’에 대한 이해 부족과 감정 정치의 조정 미숙으로 선거 판도를 유리하게 이끌지 못하였다. 둘째, 진보진영의 시민정치와 노동정치는 국민감정, 호소력과 콘텐츠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밀렸다. 시민정치는 좋은 정치신인의 천거, 국민연대의 형성 계기를 제공하였으나, 현실정치 경험부족으로 인해 중도층의 안정감 획득과 지지표심 형성에 실패하였다. 정치신인과의 연합정치는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노동정치는 진보정당의 분열, 다자 후보, 계급적 이해관계의 대변 부족으로 진보개혁진영후보로 지지표를 결집하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셋째, 새누리당의 감정 정치는 후보의 집중성과 확장성을 통해 선거막판 지역 및 세대투표에서 지지세 결집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이 대통령 선거 결과는 경합하는 양대 정당과 후보진영이 유권자 ‘마음의 체제’에 대한 이해와 ‘진정성의 정치’라는 접근법에서 차이를 보인 데서 비롯된다.

      • KCI등재

        종교 갈등과 감정 정치

        하홍규(Ha, Hongkyu)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이 글은 종교 갈등의 편재성에 주목하면서, 우리 사회의 종교 갈등을 감정과 관련하여 이해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글은 먼저 종교내 갈등보다는 종교간 갈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나아가 특별히 ‘감정 정치’라는 개념으로 사회 갈등의 원천으로서 종교 갈등을 의미있게 포착하고자 한다. 종교 갈등에 대한 인지적 설명이나 물질적 설명은 종교 갈등이 가지는 독특한 성격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종교 갈등은 동일한 구원재를 놓고 경쟁하는 가운데 벌어지는 갈등이 아니기 때문이다. 종교는 사변적 탐구가 아니라 삶에 대한 열정적 참여이므로, 종교는 정체성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굳건하게 종교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경우, ‘우리’와 ‘타자’가 구별되며, 더구나 ‘거룩한 자들’과 ‘속된 자들’로 양극화되면 같은 종교를 가진 자들 사이에는 끈끈한 연대가 창출되며, 타자를 향한 전쟁에 흔쾌히 나설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감정 정치 개념은 사고와 행위와 마찬가지로 감정도 또한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개인 행위와 집합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핵심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감정은 단순히 신체적이고 생리적이고 물리적인 반응이 아니라 도덕적 판단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 개신교의 감정 정치의 배후감정은 두려움과 공포이며, 전면에서는 혐오의 정치 전략으로 표출된다. 개신교 내에 근본주의적 태도가 지배적인 것이 된 배경에는 두려움과 공포의 배경 정서가 깔려 있다.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던 개신교회는 1990년대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교세가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안과 밖의 위협에 대한 인식은 공유되고, 그것은 곧 두려움과 공포가 되며, 집단 내 연대를 더욱 공고히 해야하는 필요성이 증가한다. 그래서 지도자들은 결코 자기성찰하지 않으며, 약자들을 타자화하여 그들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선동하고, 내집단의 정서적 재결집을 추구한다. 위기의 시기에 신으로부터 서로 사랑하라는 명령을 받은 이들은 실제로 아무런 양심의 거리낌 없이 혐오 정치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 혐오 정치는 반대급부로서의 혐오 정치를 생산한다. 혐오하고 역겨워 하는 존재들도 타자들에 의해 똑같이 혐오스럽고 역겨운 존재가 된다. 혐오에 혐오로 맞서는 혐오의 순환고리가 종교 평화로 나아가는 길의 가장 큰 장벽이다. Noting the ubiquity of religious conflict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igious conflict in our society in relation to emotions. It puts its foremost attention on interreligious conflicts rather than on intrafaith conflicts, and furthers to capture religious conflicts meaningfully as a source of social conflict relying on the concept of ‘the politics of feeling.’ Cognitive or material explanation does not properly explain the idiosyncratic nature of religious conflicts because religious conflicts do not arise in milieu of competing for the same salvation goods. Religion is not a speculative inquiry but a passionate participation in life, so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identity formation. If a solid religious identity is formed, ‘we’ and ‘they’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further if polarized into ‘the holy’ and ‘the profane’ a strong solidarity is created among those belonging to the same religion, who are readily going to the war against the others. Finally, in the concept of the politics of feeling is contained the core idea that emotions, like thoughts and actions, are likewise socially constructed and affect individual and collective actions. Especially, Korean Protestants’ ‘disgust politics’ is understood as a source of religious conflict in our society today. Emotions related to religious sentiment and politics include anger, disgust, fear, and anxiety.

      • KCI등재

        손창섭 소설에 미친 루소의 영향

        김진기 ( Jin Yi Kim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0 No.-

        본 논문은 손창섭 소설의 정치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그와 루소와의 관계에 주목해 보았다. 사실 손창섭은 작품 외에 자신에 대한 자전적 기록을 거의 남겨 놓지 않은 작가로 정평이 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문단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가까이 지낸 사람들이 거의 없을 정도로 철저하게 폐쇄적인 생활을 해왔다. 따라서 그의 문학에서 해명되지 않는 많은 비밀들은 비밀로 남겨진 채 무수한 억측과 오해 속에서 좀처럼 연구의 진전을 기대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많은 오해와 편견 속에서 손창섭 소설에 대한 이해는 점차 확대되기 시작했고 작품의 핵심적 성격에 육박해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동안 인물 중심의 연구, 그리고 그 인물의 불안과 공포, 좌절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서, 아이러니 등 형식에 대한 관심, 나아가 손창섭 소설의 사회성에까지 주목하게 되었는데 근자에는 손창섭 소설의 근저에 깔린 정치성에 관심을 집중함으로써 초기의 연구경향에서 상당히 탈피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정치성이야말로 손창섭 소설 세계의 핵심적 성격이라 하겠다. 그렇지만 이 정치성에 대한 지적은 그야말로 막연한 수준이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손창섭 소설의 정치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서 그와 루소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사실 많지 않은 그의 자전적 기록 속에서 그가 자신이 얼마나 많이 루소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충분히 표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떠한 연구자도 이러한 그의 발언에 그다지 주목 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 동안 연구자들이 손창섭 소설에 대해 얼마나 왜곡된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하겠다. 연구결과 손창섭은 자신과 루소와의 실제 삶의 유사관계를 통해 그와 자연스런 동일시를 이루게 되었고 그 동일시를 통한 루소 사상의 전면적 수용이 그의 작품 세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동인이었음이 드러났다. 손창섭은 루소처럼 현실을 불평등하게 바라보았고 이러한 불평등을 해결하는 방식으로서 동정심과 양심의 문제에 집중하였다. 그렇지만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루소적 대응이 가능할 수는 없었다. 5·16 이후 그의 작품세계는 직접적인 정치영역에 대한 비판보다는 그것을 간접화하는 간접화된 비판 방식, 사회적 문제를 형상화하면서 알레고리의 형식으로 정치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보다 심화되어 손창섭의 정치성을 해명하는데 크게 일조했으면 좋겠다. This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Chang Sub and Rousseau to explain Son Chang Sub novel`s politic. actually, Son Chang Sub is known as a writer who rarely leave autobiographical record about himself except his novel. Besides, he lives totally unsociable life not only in literary circles but also outside of literary circles to such an extent as to enjoy not any close companionship of him.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 lot of secrets which remain secrets are on situation that not expect advance of research in lots of conjecture and misunderstanding. In so much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understanding about Son Chang Sub novel is about to be expanded and enter core character coming to close quarters. Meanwhile, in research on character-centric and research focusing on character`s anxiety, fear and frustration and-so-on we get to pay attention to interst in form like irony, further more sociality of novel, these days research show aspect which break from early research tendency by focusing on politics buried under Son Chang Sub novel. This politics is core personality of Son Chang Sub novel world indeed. However, comment on this politics is literally ambiguous, so specific approach is required urgently. This research focuses on relationship between Son and Rousseau for more specific approach to Son Chang Sub novel`s politics. Actually, although in his a few biographical record he express that he is so influenced by Rousseau, there are not any researcher who don`t pay attention to Son Chang Sub`s remark and this is show directly how researchers are caught by wrong stereotype to Son Chang Sub novel. The result of research, Son Chang Sub identify him with Rousseau from real life`s similarity relationship between Son and Rousseau and overall acceptance of Rousseau`s idea from that identification comed out to be important cause. Son Chang Sub looks reality inequal and focuses on sympathetic feeling and conscience as a solution of this inequality. However, in korean society this Rousseau-like action can not be possible. After 5.16 coup d`etat Son Chang Sub`s literary world start to excatate to contradiction of middle class life rather than to critic on direct political area and his politics is slowly weaken hiding in itself or is gradualy to be indirect in the allegorical form. Anyway, to explain Son Chang Sub novel world,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Rousseau`s effect of Son Chang Sub.

      • KCI등재

        감성의 포스트 여성주의 정치학 : 사라 케인의 Blasted와 4.48 Psychosis를 중심으로

        심정순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2 현대영미드라마 Vol.25 No.2

        Sarah Kane has been so far evaluated as one of the In-Yer-face playwrights who helped re-vibrate the British theatre in the 1990’s. She and her works have been rarely viewed in relation to women-specific orientation. Kane herself denied any responsibility as a woman playwright. However, recent studies began to approach her works from a re-newed women-centered point of view. This article aims to re-visit and re-interpret Sarah Kane’s two plays Blasted and 4.48 Psychosis from a post-modern/ third-wave feminist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new structure of feelings’ which according to Elaine Aston, most of male critics failed to capture in their endeavors to read her only as an shockfest extreme-ist. It also attempts to trace the influences of the second feminist legacy on Kane and furthermore differentiate Kane’s original creativity concretized in her postdramatic dramaturgy.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indicate that the ultimat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her politics of negation ironically projects hope and love for all humanity in this contemporary world.

      • KCI등재

        감성의 포스트 여성주의 정치학 - 사라 케인의 Blasted와 4.48 Psychosis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2 현대영미드라마 Vol.25 No.2

        <P>&nbsp;&nbsp;Sarah Kane has been so far evaluated as one of the In-Yer-face playwrights who helped re-vibrate the British theatre in the 1990’s. She and her works have been rarely viewed in relation to women-specific orientation. Kane herself denied any responsibility as a woman playwright. However, recent studies began to approach her works from a re-newed women-centered point of view. This article aims to re-visit and re-interpret Sarah Kane’s two plays Blasted and 4.48 Psychosis from a post-modern/ third-wave feminist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new structure of feelings’ which according to Elaine Aston, most of male critics failed to capture in their endeavors to read her only as an shockfest extreme-ist. It also attempts to trace the influences of the second feminist legacy on Kane and furthermore differentiate Kane’s original creativity concretized in her postdramatic dramaturgy.</P><P>&nbsp;&nbsp;The findings of this article indicate that the ultimat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her politics of negation ironically projects hope and love for all humanity in this contemporary world.</P>

      • KCI등재

        해방 직후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의 감정구조-지하련의 「도정」을 중심으로-

        이양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4

        This paper analyzed the structure of feelings of the progressive intel- ligentsia appeared in the novels in directly after Liberation, focusing on Ji, Ha-ryeon’s “The Distance(道程)”. The structure of feelings created by Ray- mond Williams could be defined as ‘a special sense of life' that can not yet be conceptualized officially but broadly shared by contemporaries. He assumed that ‘live experience' could be known by the structure of feelings. Structure of feelings shows a ‘practical awareness' by expressing feelings which could not yet come to elucidate, and by reflecting the dominant social character of the era. Ji, Ha-ryeon’s “Distance” has been carefully shaped the feelings that the former socialist felt in Liberation period in association with the com- plex political situation rapidly changed. “Distance” showed a process that the Chosun Communist Party formed directly after Liberation turned into Namroda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 apostate. Concerns of those socialists who are shaping in the “Distance”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organizing Namrodang. Unlike in the real, ‘Seok- jae’ of the “Distance” desperately realized/ that the Communist Party must change as a popular political party gathering all capacities. This is a scene showing the literary imagination different from the real, based on the con- temporary structure of feeling. 본고는 지하련의 「道程」을 중심으로 해방직후 소설에 나타난 진보적 지식인의 感情構造를 분석하였다. 레이몬드 윌리엄스의 ‘감정구조’란 아직 공식적으로 槪念化되지는 않았으나 당대인의 감정에 폭넓게 公有되었던 ‘삶에 대한 특수한 感覺’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윌리엄스는 감정구조를 통해 세계관이나 이데올로기로 抽象化되기 이전의 ‘살아있는 경험’을 알 수 있다고 보았다. 지하련의 「도정」은 해방직후 舊-社會主義者가 느꼈던 복잡한 감정을 급변했던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치밀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도정」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이들 사회주의자들의 고민에는 해방 직후 결성된 조선공산당의 位相을 둘러싼 갈등이 정치와 도덕의 문제로 드러나 있다. 실제에서와 달리 「도정」의 석재는 모든 역량이 집결된 대중정당으로 공산당이 변화해야 함을 절실하게 깨닫는다. 이는 현실(역사)과 다른 문학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장면이라 할 수 있을 터인데 그 토대가 되는 것은 當代人의 감정구조라 할 것이다.

      • KCI등재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에 나타난 성현(成俔)의 정치적(政治的) 지향(志向)과 우언(寓言)의 화법

        장진숙 ( Jang Jin-so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4

        이 글은 成俔의 『浮休子談論』을 朝鮮前期 士大夫의 ‘정치적 글쓰기’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보았다. 寓言文學은 정치 공간, 갈등 시간 속에서 작가가 안전하게 자신의 治世觀과 政治觀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浮休子談論』 「寓言」편에도 당대의 政治的 갈등들이 숨겨져 있다. 『浮休子談論』의 寓言을 주제군으로 분류해서 고찰하였을 때, 經世治國寓言과 人材登用寓言에는 올바른 정치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적인 고민과 갈등이, 慾望警戒寓言에는 어떻게 사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지식인의 고민이 담겨 있어 成俔이 가지고 있던 政治的 志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成俔은 정치적 갈등과 정치적 지향을 담기 위해 寓言이란 양식을 政治的 話法으로 사용하였다. 첫째, 서사를 통해 상대의 마음을 열어 說得力을 提高하기, 둘째, 問答을 통하여 상대의 合意를 끌어내기, 셋째, 典故를 차용함으로써 信賴感 확보하기 등을 통하여 논설의 說得力과 信賴度를 높였다. This study approaches the Seong Hyeon's fables in the viewpoint of ‘the political writing’. His many fables are collected in his works Buhyujadamron(Buhyuja's discussion). U-un, the oriental fable, was used to express safely the writer's consciousness about policy, government and people. Seong Hyeon's fables also contained his consciousness about his times. They concealed the political conflict of confucian scholars and statesmen of merit. And they secreted in metaphor the troubles connecting to the expelled queen Yun. We could also certify Seong Hyeon's political intention in the theme of his fables. He used the political narration to express his political conflict and intention. First, the narration to open the conversation using a story made higher the persuasive power. Secondary, the narration using question and answer could pull out the mutual agreement. Lately, the narration borrowing the authentic precedent helped to enhance the confident feeling.

      • KCI등재

        문화와 정치

        이영주(Lee, Youngjoo)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1

        정치인이 대중스타가 될 수는 있다. 대중스타로서의 정치인이 대중과 맺는 정서적인 유대감이나 친화감은 그 정치인에게 유용한 자산이 된다. 미디어화·스펙터클화된 현대사회의 정치에서 정치(인)는 대중적 정서구조와 예민하게 교통하면서 정서적 정치 공동체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여와 야, 보수와 진보, 우파와 좌파 등 갈등과 적대적 관계 속에서 구성되는 정치는 포퓰리즘적 정서 정치의 후면으로 사라지거나 약화된다. 최근 한국의 개혁·진보정치 또한 소수의 스타 정치인을 중심으로 대중의 정서적 분노나 억울함, 정치적 좌절감 등을 보살피고 위로하는 부성 혹은 모성의 정치에 익숙해지는 상황이다. 정치인들은 자신의 정책과 정치적 이념, 대의성에 대한 담론보다는 대중들의 마음과 감정을 관리하는 일에서 정치를 이끌고자 한다. ‘안철수 현상’은 이를 상징하는 기호이다. 안철수 현상 속에서 여와 야, 보수와 진보, 우파와 좌파의 정치적 대립의 공간은 사라지고, 중도 포퓰리즘의 이데올로기적 공간이 확대된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의 ‘힐링’ 문화가 정치의 영역과 어떻게 접합되고 있으며, 안철수 현상의 보수적 퇴행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함으로써 힐링화된 개혁·진보정치의 문제를 비판하고자 한다. A politician could be a popular star. An emotional sense of solidarity and friendship which a politician as a star have in relations with people become useful assets. The politics(or politicians) in a mediatized spectacle society forms a political emotional community in communicating keenly with a structure of feeling of people. In this, the politics constructed in relation of conflicts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the right and the left put behind the emotional populism politics or languished. Recently, the progressive politics in Korea has been charged with a kind of paternity/maternal politics by a few of star politicians which care for and console people’s emotional anger, depression and political frustration. Politicians lead politics by taking care of people’s emotion and feeling rather than seeking his/her policies, political ideas and representative actions. “AnCheolsu Syndrome” is a symbolic sign for this political tendency. Critical oppositions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the right and the left have faded away in one side, an ideological space for the centrist populism have been growing in the other side. This paper criticizes this political tendency of healing politics in the radical-progressive group and a conservative regression of the “AnCheolsu Syndrome”

      • KCI등재

        한국 사회 정치적 관용에 관한 경험적 분석: 혐오집단에 대한 정치사회적 권리의 보장과 제약을 중심으로

        유성진,윤종빈,가상준,조진만 세종연구소 2011 국가전략 Vol.17 No.2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시민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정치적 관용’은 안정적인 민주주의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로 이해되어 왔기에 서구민주주의 국가들에서는 오래전부터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정치적 관용을 경험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하다. 이 연구는 정치적 관용에 대한 여론조사 자료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관용의 정도를 혐오집단의 정치/사회적 활동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 한국 사회 관용의 정도는 서구의 그것과 비교해볼 때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선택된 혐오집단별로 집단에 따른 관용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치이념적으로 비슷하게 이해되는 민주노총과 전교조에 대한 응답자들의 관용 정도가 집단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혐오집단별 관용 수준의 차이는 일차적으로 해당 집단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에 영향을 받았고 집단의 영향력과 위협에 대한 인식과 결부되어 있었다. 한국 사회 관용의 정도를 혐오집단의 정치/사회적 활동에 대한 권리의 보장과 제약을 중심으로 살펴본 이 연구의 결과는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구축에도 불구하고 구성원들의 의식수준에서는 여전히 비민주적인 요소들이 민주주의의 원활한 작동을 해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Defined as "willingness to allow others as citizens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ies," political tolerance has been understood crucial to the process of democracy. However, to date, there is no empirical research on political tolerance in Korea. This article, with a survey data specially designed to examine political tolerance, analyzes political tolerance in Korea in term of public attitude toward the least-liked group.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 society shows low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compared to western democratic societies, and the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is dependent upon the type of least-liked groups. Second, in spite of similarity of the groups in ideology, public tolerance toward 'Korean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toward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Finally, both feeling toward a given group and threat perception of it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ciding the level of tolerance to the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Korean society is now well equipped with democratic institutions, there is a good deal of room to improve in the procedural norms of Korean democracy.

      • 정의 생성본체와 유가정치철학

        유열적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9 儒敎文化硏究 Vol.- No.14

        The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is empirically grounded upon a private sphere of “emotion” in a more general sense, so the becoming ontology of Qing (emotion/feeling) becomes its footstone. As a characteristic of Confucian conception and its culture, this substantially “emotional” experience deals with how to attain communal as well as individual harmony. In Western political theory, the individual end is dearly cherished but held off from the communal one, because the organic process is displaced that potentially connects the private experience of harmony to the establishment of social harmony. Although both David Hume and Adam Smith single out “sympathy” as a forceful moral motivation, Confucianism goes so further as to conceive the sympathy-oriented “Jen” as the origin of emotion and life and to attribute to “Jen” the “integrity with heaven and earth”. In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the initial claim is made onto the self cultivation or moral cultivation on the part of each individual. And, on such a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its further demand goes to the sphere of family, with an aim to secure an enduring reign, order and peace of the whole country, and ultimately the Perpetual Peace or oneness of the universe. It is an internal sequence that underlies the logical construction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More specifically, the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is to be realiz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personal sphere of Confucianism covers primarily the self cultivation of each individual, where he is to attain inner harmony. Then, through the sympathy “to feel others in oneself”, the private experience of self cultivation is indeed put in a perspective of “intersubjectivity” for mutual empathy. Second, art, or the aesthetic education of emotion, is also responsible for the practice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What Confucius demonstrates through the “distraction in the arts” and “perfection by music” is intended to bring to light the unity of aesthetic refinement with moral exaltation in its equal emphasis of the two. Either in the case of poetry, which strengthens the fraternity of any social population, or in music, which enables personal equanimity and promotes social peace, “emotion” is invariably registered to have played a role in the process of one’s character building. Third, in virtue of the Kantian “common sense”, the “miniature institution” of Confucian ethics is expected to guarantee the harmony in the domain of family, where the familial value hangs high above all, for without a harmonious family system, the harmony of any macro-institution is believed to find nowhere to ground upon. All of this is distinct from the Western atomism. Last, the transcendence the empirical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hopes to attain points to a “quasireligious” morality, that is, rather a “private sphere” morality for inward transcendence than a “social morality” that governs the public sphere. And, the tri-dimensional process of inner surpassing, as illustrated in the legend of “Zeng Tzu’s metaphor” or “Confucius and Yan Hui’s delight”, points to the unity of the religious, the moral, and the aesthetic. However, the “kinship community” that sustains the Confucian ethics has seen its vital ties being disintegrated in modern society, with parts of its basic principles surviving only in some East Asian countries and areas. The remnant of Confucian ideology is of certain reformative value to, firstly, “the powerful overriding the helpless”, the contemporary liberalism never anticipates in its attempt to protect the individual right and seemingly fair competition, and secondly, “the majority overriding the minority”, the western conception of democracy fails to undo in its promotion of public will and people’s democracy. With regard to the common foundation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 유교정치철학의 경험론의 기초는 넓은 의미에서의 ‘정(情)’의 본체가 사적으로 지니는 경험을 말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치철학은 바로 ‘정(情)’의 생성성(生成性) 본체를 만드는 주춧돌이며, 이것이 서양 정치철학이론과 다른 가장 기본적인 차이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유교관념(儒敎觀念)이 현대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의 그 러한 원자주의(原子主義)에 대하여, 또는 현대 ‘사군주의(社群主義)’의 그러한 ‘무 정주의(無情主義)’에 대하여, 모두 모종의 편향을 바로잡을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 중일(韓中日) 3국 공통의 사상의 기초를 다지고, 또한 ‘정(情)’을 근본으로 하는 ‘생활유학(生活儒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한 것이지 ‘다스림(治)’의 근본인 ‘제도유 학(制度儒學)’에 있지 않다. 전문은 모두 8개 부분으로 되어 있다. (1) ‘동심원(同 心圓)’ 은유: ‘순서와 격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신체내부’로부터 ‘신체외 부’로 ‘정(情)’을 밀어 낼 수는 없을까? (3)정(情)과 무(巫): ‘무사전통(巫史傳統)’ 에서 ‘화무입정(化巫入情)’에 이르기까지. (4)정(情)과 예(禮): ‘사악상제(社樂相 濟)’에서 ‘예작우정(禮作于情)’에 이르기까지. (5)정(情)과 성(性): ‘정생우성(情生 于性)’에서 ‘심통성정(心統性情)’에 이르기까지. (6)정(情)과 실(實): ‘범애중(泛愛 衆)’적 유정(有情)과 ‘겸상애(兼相愛)’적 무정(無情)의 상대성. (7)개체와 공동체 사이의 ‘정(情)’의 활동을 소개하고,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와 ‘사군주의(社群主 義)’ 간의 쟁점을 다시금 생각한다. (8)한중일의 공동사상의 기초: ‘정(情)’을 근본 으로 하는 ‘생활유학(生活儒學)’이지, ‘다스림(治)’을 근본으로 하는 ‘제도유학(制 度儒學)’이 아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