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치이념으로서의 미래준비에 대한 고찰

        송영조(Young-Jo Song) 미래학회 2020 미래연구 Vol.5 No.1

        정치이념으로서 미래준비가 작동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정치이념의 변동은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국가 단위의 미래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여야의 정치적 투쟁은 국가의 미래 정책 수립과 지속적 집행에 한계와 제약을 초래한다. 본 논문은 정당의 정치이념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국가의 미래를 위한 중립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 정치체제를 가질 수는 없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정치이념의 특성을 살펴보고, 정치이념으로서의 미래준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미래지향적 정치체제로서 정부의 미래준비 역량과 시민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정치이념으로서의 미래준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미래준비는 미래지향적 시민으로부터 지지를 받아야 한다. 미래지향적 시민은 미래세대적 관점을 견지하며 좌우 이념에 매몰되지 않은 다수의 시민을 의미한다. 둘째, 미래준비는 정치적 중립적이어야 한다. 여야로부터 독립되어 지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미래준비는 미래지향적 정치체제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미래지향적 정치체제는 담당자와, 정치이념 그리고 예견적 거버넌스(Anticipatory governance)와 같은 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정치이념으로서 미래준비가 작동할 수 있는지를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아직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재하다. 향후 정치체제를 구성하는 미래준비 정치이념이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남아있는 과제하고 할 것이다. As a political ideology, we examine whether preparation for the future can work. Changes in political ideology can have an impact on policy decisions and a great influence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untry. However, the political struggles between the opposition and the opposition parties lead to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on the establishment and continued execution of future policies of the state.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have a neutral and future-oriented political system for the future of the state without relying on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political party.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s representative political ideology were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preparation as a political ideology was explored. And it looked at the government s ability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the role of citizens as a future-oriented political system. As a result, future preparation as a political ideolog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uture preparation must be supported by future-oriented citizens. Future-oriented citizens refer to the majority of citizens who maintain the perspective of future generations and are not buried in the left and right ideologies. Second, future preparation must be politically neutral. It must be independent from the opposition parties and be supported. Third, preparation for the future affects the formation of a future-oriented political system. The future-oriented political system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tructures such as the person in charge, political ideology, and anticipatory governance. This thesis examined whether future preparation can work as a political ideolog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re is still no empirical research on this. The research on how the political ideology of preparing for the future, which constitutes the political system in the future, affects the policy will remain a task.

      • KCI등재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 비판적 고찰

        정연수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In this thesis, the study on Yulgok’s social and political ideas in North Korea was critically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earchers develop together the study on the social and poliltical ideas of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including Yulgok was explored.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not by school connections based on a region or regionalism but centered around the contents connection of ideas, and of focusing on social and political ideas,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n researchers. They discuss Yulgok’s social and political ideas in the category of political thoughts and social reform thoughts, and describe first with what critical mind of the times Yulgok established his political ideas. This academic attitude of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can be evaluated positively, yet, there is the problem that they interpret Yulgok’s political ideas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Sage Learning(聖學) from a biased materialistic point of view regarding a liberal political ideology as for social cla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Yulgok’s social reform in North Korea is important not only in the field of philosophy but also in the areas of economics and pedagogy. The researchers in the areas of economics and pedagogy analyze rigorously what the researchers in the area of philosophy in North Kore haven’t dealt closely with regarding Yulgok’s economic and educational thoughts, and examine Yulgok’s ideological status in relation to Silhak school.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have the problem of making a politically biased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terialism rather than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it’s still meaningful that the researchers from different academic fields study Yulgok’s social reform idea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ology. The study on Yulgok’s political and social reform ideology in North Korea has the positive aspect on the whole, but it has the limit of interpretation with focus too much on the problem of social class from the position of materialism. Accordidngly, in this thesis, the study in North Korea, which defines Yulgok’s political and social reform ideas as advanced but also evaluates that they were not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feudalism, was critically examined. For the researchers in South and North Korea to develop together the study on the social and political ideas of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including Yulgok,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need to change their position of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s Confucianism from too much focus on the frame of materialism to the viewpoint of pursuing only the progresisve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earchers can investigate Yulgok’s pedagogy together was explored particularly focusing on that the researchers in the education field in North Korea don’t focus on the political problem of this social class, but discuss the essential meanings of Yulgok’s educational thoughts from the viewpoint of study theory of Sage Learning criticizing Yulgok’s pedagogy properly. 논문에서는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남북한 연구자들이 율곡을 비롯한 조선유학자들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를 공동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북한 연구자들은 국내 연구자들과 달리, 조선유학사를 지역에 기반한 학연이나 지연에 의한 학파로 구성하지 않고 사상적 내용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구성하면서 사회정치사상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북한 연구자들은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을 정치사상과 사회개혁사상으로 나누어 논의하면서 율곡이 어떠한 시대적 문제의식으로 정치사상을 구축했는지에 대해 먼저 서술한다. 이러한 북한 연구자들의 학문적 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성학(聖學)의 맥락에서 확립된 율곡의 정치사상을 유물론의 관점에서 계급투쟁에 관한 진보적 정치 이념으로 편향된 해석을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율곡의 사회개혁사상에 관해서는 북한의 철학계 연구자들과 더불어 경제학계와 교육학계의 연구자들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북한의 철학계 연구자들이 율곡의 경제개혁사상과 교육개혁사상에 관해 자세히 다루지 못한 내용을 북한의 경제학계와 교육학계 연구자들이 정밀하게 분석하면서 율곡의 사상사적 위상을 실학파 학자들과 연관하여 조명하기도 한다. 비록 북한 연구자들의 학문적 관점이 정치적으로 편향된 문제가 있다고 할지라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율곡의 사회개혁사상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북한 연구자들의 근황은 국내 연구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전반적으로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면도 있지만, 유물론의 관점에서 계급투쟁의 정치적 문제에 천착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을 선진적이라고 규정하면서도 봉건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가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남북한 연구자들이 율곡을 비롯한 조선유학자들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를 공동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북한 연구자들의 관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히 북한의 교육학계 연구자들이 사회계급의 정치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율곡의 교육론을 적확하게 비판하면서 율곡의 교육사상에 담긴 본질적 의미를 성학 공부론의 관점에서 논하는 대목에 주목하여 남북한의 공동연구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Идеологическая база политического дискурса

        Лесняк М. В(Lesnyak, М.V.)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8 러시아학 Vol.- No.16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cept of “political discourse”, “political language” and “political communication” in modern linguistics. As far as these terms are used as synonyms, the question arose about the differential features of these concepts, as well as about the role of the ideological system that underlies political discourse. The separation of the mentioned naming units in “language of politics” and “political language” seems to be quite qualifying, because the language of politics, considered as a working language in the framework of political activity, as well as the political language regarded as a specifically used commo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manipulation and / or persuasion by the electorate, intercross and reflect the relations between politicians and the society and can change borders depending on from the communicative situ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is a broader concept and comprises all processes of information influence and interactions in politics related to the power struggle.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formation impact, ways of perception and assimilation of informational content, as well a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itself,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it is pointed out that an important component of political communication is a certain symbolic reality. As a synonym for political communication, political discourse is used,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a broad sense. In this context it is supposed that political discourse includes a semiotic space containing a certain set of speech actions and genres specific to the political sphere. Essential to political discourse is ideology as a symbolic system, whose goal is not to reform the belief system, but to influence the actions of a person in favor of supporting a particular politician or par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ological basis of political discourse are singled out.

      • KCI등재

        유튜브 정치‧시사 콘텐츠 맞춤화 기능 이용 정도가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요한,손병준,이상훈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과 세계 Vol.46 No.1

        Recently, in the information use environment, users select and subscribe to a desired media, genre, topic, etc., or use personalized information through an algorithm recommendation service is activ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how the use of customized functions provided by YouTube, one of the platforms that reveal the most distinct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new media, affect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deology extrem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Furthermore, the use of customized option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ideology extremity and political knowled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In addition, we analyzed how the relative degree of viewing of personal channel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customization and the political effec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67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r a total of 14 days from September 9 to September 22,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ore the customization options was used, the higher the political knowledge, the higher the political ideology,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olitics. Second, the relative degree of personal channel viewing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use of customized functions, political knowledge, and extreme politic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olitics. 이 연구의 목적은 우선 유튜브 정치·시사 채널 이용자들의 맞춤화 기능 이용 정도가 정치 지식, 정치 이념 극단성, 정치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더불어 유튜브 기반 채널의 상대적 시청 정도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이용자들의 정치·시사 채널 이용시 맞춤화 기능 이용 정도는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맞춤화 기능 이용이 많을수록 정치 지식 수준과 온·오프라인 정치 참여의사도 높았으며, 정치 이념의 극단성도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순수 유튜브 기반 채널의 상대적 시청 정도의 조절 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맞춤화 기능 이용 정도가 정치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순수 유튜브 기반 채널 시청이 많은 집단에서는 맞춤화 기능 이용이 증가할수록 온·오프라인 정치 참여의사도 증가했다. 반면 순수 유튜브 기반 채널 시청이 적은 집단에서는 맞춤화 기능 이용 정도가 정치 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정치이념의 구성 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 유권자는 왜 자신을 보수 혹은 진보라고 생각하는가?

        류재성(Ryu, Jaes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미지’의 영역이었던, 정치이념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주관적 SES, 집단 선호, 가치 정향을 독립변수로 한 정치이념의 구성을 설명했다. 즉 우리 사회에서 보수-진보 성향의 차이는 주관적 SES, 집단 선호, 가치 정향의 차이로부터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다. 첫째, 본 연구는 정치이념의 사회경제적 토대를 확인했다. 자신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정치적 차원의 자유주의 가치의 수용, 평등 및 복지에 대한 신념, 북한에 대한 보다 유연한 태도로서의 진보 이념을 가질 가능성이 크고, 자신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경제적 개인주의, 정부가 주도하는 평등 및 복지 정책 확장에 대한 부정적 신념, 북한에 대한 완강한 태도로서의 보수 이념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둘째, 본 연구는 집단 선호로서의 감정을 정치이념의 독립변수로 가설화했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집단 선호는 정치이념을 구성하는 일종의 감정적 척도(affective yardstick)로서, 진보적 집단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보수집단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진보 이념을, 그 역의 경우는 보수 이념을 생성하게 한다. 셋째, 본 연구는 가치 정향을 정치이념의 구성요소로서 가설화하고, 가치정향 → 정치이념 → 정책 선호로의 일련의 인과구조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경제적 개인주의, 남녀 간 기회균등의 확대, 한국사회에서의 신뢰확대, 북한핵 실험 위협에 대한 느슨한 인지의 가치 정향이 진보 이념을 구성하는 가치 정향임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lements of political ideology, which has been unknown area in studying political ideology of Koreans, and hypothesizes and tests that subjective SES, group preferences, and value orientation consist of political ideology of Korean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socioeconomic base of political ideology. Those who think themselves in high SES are likely to be liberals in terms of acceptance of politically liberal values, beliefs in equity and welfare, flexibl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In turn, those who think themselves in low SES are likely to be conservatives in terms of acceptance of economic individualism, negative attitudes toward government-led equity and welfare, and hard feelings against North Korea. Seco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group-oriented affects determine political ideology. Group preferences as an affective yardstick help constructing political ideology, in which positive preference toward liberal social groups induces liberal political ideolog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value orientation is a component of political ideology and determines policy preferences via political ideology. This study confirms that those who are more in line with economic individualism, more equal opportunity for women, trust in Korean society, and relatively easy attitudes toward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are likely to be liberals.

      • KCI등재

        정치 참여를 통한 여성의 정치 세력화에 대한 고찰

        김형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litical strengthening of women on the basis of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assumes that political attitudes of individuals influenc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a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has direct effects on the political strengthening of women. It also assumes that the political strengthening of women influences gender consciousness and women policies, and ultimately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female voter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was based on data collected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the 2006 local election,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olitical attitudes between males and females. First, female voters have been inclined to be more moderate than male voters in terms of political ideology. For female voters, the portion of moderates was only 22.2% in the 1997 presidential election. However, it expanded to 47.1% in the 2006 local election. Second, male voters has more 'strata' with an active interest in the election than the female voters. For male voters, the portion of activists who were much concerned with the election was 50.1%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only 37.2% for the female voters. Third, the male voters have stronger political efficacy than the female voters. For example, 40.4% of the male voters had a strong political efficacy that means political confidence in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whereas the percentage for the female voters was 33.8%. Especi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2006 basic local election, female voters did not vote for the female candidate because she was the same gend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solutions for strengthening the political forces of women; reinforcing ideological inclination, raising political interest, and enhancing political efficacy. In addition, it suggests not only the need for reinforcing the speciality of women politicians but also introducing the 30% nomination quota system for women candidates in regional district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 참여를 통한 여성의 정치 세력화를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치 태도가 정치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정치 참여는 여성의 정치 세력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이러한 정치 세력화는 여성의 정치의식과 여성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여성의 정치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치 이념, 정치 효능감, 정치 관심 등 정치 태도에서 남녀 간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인 자료를 통해 고찰한다. 대선, 총선, 지방선거 등 전국 선거 직후 실시된 각종 국민의식조사에서 수집된 실증적 자료들을 활용해 남여의 정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남성보다 여성의 ‘이념적 중도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 간에 선거 관심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성들이 여성보다 ‘적극적 선거 관심층’이 많았다. 셋째, 남성이 여성보다 남성이 정치 효능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토대로 여성의 정치 세력화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사회화 과정을 통한 여성 유권자들의 정치 이념 성향을 강화시키고, 여성들의 선거 및 정치 관심을 높이며, 정치 효능감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외에 여성 정치인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지역구 여성 후보 30% 할당제’를 법제화 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사회 정치관용에 대한 연구

        가상준(Sangjoon Ka) 한국정당학회 2015 한국정당학회보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상황을 관용수준에 비춰 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갈등의 해결에 있어 관용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한국사회의 관용수준이 어느정도인지 통시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이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로 한국 정치관용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사회의 관용수준과 갈등 정도라는 거시적 변수의 연계성을 본 연구가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지만 지속적으로 낮게 나오는 관용수준은 현재 팽배한 갈등의 원인이 무엇인지 말해주고 있다. 물론 관용수준을 높이는 것만이 갈등해결을 위한 유일한 방안은 아니겠지만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시민성이며 갈등해소의 전제조건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2012년 조사와 2014년 설문조사를 통해 낮은 정치관용이라는 한국사회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민들의 정치적 관용은 연령, 이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 관용이 높으며, 이념이 진보적일수록 관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결과이지만 두 변수 외에 교육과 민주주의 운영의 이해 영향력을 찾을 수 없었다는 점은 커다란 실망이라 하겠다. 무엇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관용이 커질 것이라는 예상 및 다른 국가에서의 결과와 달리 교육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은 교육이 단순히 학교를 어느 정도 다녔는지를 의미할 뿐 시민성 향상과 무관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연령과 이념과 같이 인위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는 변수 외에 교육과 같이 노력과 시간 투자에 의해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는 변수들이 관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는 갈등의 해결과 안정적이며 건강한 민주주의 유지에 난관이 많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대립과 반목에 의한 사회적 불안감은 커질 것이라는 점을 말해준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in Korea. Tolera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solving conflicts; however, no one has measured the level of Korean political tolerance in terms of diachronic change. This study attempts to find how political tolerance has been changed and what ar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toleranc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not able to show the direct relation between two macro variables: political tolerance and conflict in Korea. But, the study shows continuing severe conflict is related with the lack of political tolerance. Higher political tolerance is not the only solution for a stable society, but since it is basic civic virtue and a prerequisite for conflict solution, political tolerance has a significant meaning. The two surveys in 2012 and in 2014 display that Korean society suffers from low political tolerance. Likewise, political tolerance is influenced by age and ideology. Namely political tolerance is lower as the people get older and become conservative. It is not different from general expectation. But, the fac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education variable and the democratic principle variable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level just shows how many years in school and is not associated with civic qualities. The results that manageabl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and political knowledge do not have an effect on political tolerance mean that there will be many difficulties in keeping healthy democracy and huge increase of social anxiety due to conflict and confrontation.

      • KCI등재

        박근혜 대통령 탄핵전후 정치참여인식 영향 요인 분석

        이성우 ( Lee Sung-wo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2

        본 논문은 탄핵 전후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정치관련 인식이 정치참여활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발생하였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6년 여론조사와 2017년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투표와 정치단체 활동, 정당 활동에 대한 인식에 이념성향보다 정치현안에 대한 지식의 정도와 지지정당의 존재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보수층의 일정한 분화를 확인하였다. 극단 진보와 중도 진보 간의 인식의 정치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셋째, 보수층은 자신의 정치적 의견을 표출하는 것에 소극적이고, 진보층은 매우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였다. 넷째, 지지정당이 있는 사람들이 더 적극적인 정치참여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기대어, 본 논문은 향후 정치인식과 정치참여인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정치인식은 이념성향과 함께 지지정당의 존재와 지식의 정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ddresses how political perceptions affects on perceptio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people based on analyses of 2016 and 2017 survey data. Based on analysis, First, Political knowledge and supporting political party affected on perceptions of voting, activities of political organizations and political parties more than political ideology. Second, this paper found the diversion of conservatives about political activities because of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Third, this paper found that conservatives got negative position and progressives got positive attitudes about the political opinion. Fourth, peoples who favorites political party take more an active in political activities more than the others. Based on this findings, this paper suggest more additional researches about relations of political perceptions and political activities and argue not only the political ideology but also the importance of existence of political party and political knowledge including interaction effects.

      • KCI등재후보

        한국의 선거와 이념

        임성학(Sung-hack L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9 OUGHTOPIA Vol.24 No.2

        이념의 공급자로서의 정치사회의 이념생산능력과 수요자로서의 유권자의 수용성과 일관성을 기준으로 선거와 이념을 정치적 모델을 제시한다. 유권자와 정치사회의 이념적 강약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권자, 정치사회 모두 약한 이념적 성향을 보이는 탈이념적 선거 정당해체(dealignment) 모델이 있고, 유권자는 강한, 정당은 약한 이념성인 상향식 이념선거 카르텔(Cartelized) 모델이 있다. 또한 유권자는 약한, 정당은 강한 이념적 성향의 하향식이념선거 경쟁엘리트적(competitive elite) 모델이 있으며 유권자, 정당 모두 강한 이념적 성향인 정당재편성 (realignment)모델이 있다. 설문조사분석결과 한국의 유권자는 약한 이념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정치사회는 강한 이념성을 보여 한국정치와 선거는 경쟁엘리트적 모델에 가깝다. 따라서 한국정치가 우리가 지향하는 이념선 거 혹은 정당재편 모델로 가려면 유권자의 이념적 수용성과 일관성을 제고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이념은 유권자와 정치사회의 상호작용 속에서 심화 확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이념적 이슈를 만들어 내고,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만드는 정치지도자의 노력이 있다면 이념선거와 정당재편성모델로 변화할 것이다. Political society such as political parties or politicians and constituency’s consistency and receptivity in political ideology are used to divide political system into four models. De-ideological de-alignment system is characterized by weak ideological orientation between political society and constituency. Strong ideological orientation between them is realignment system. Weak ideology of constituency but strong of political society is cartelized system. Strong ideology of constituency but weak of political society becomes competitive elite system. Through analysis of surveys the constituency of Korea shows weak and inconsistent ideological orientation, but political parties and national assemblymen seem to be very ideological. Many scholars and political practitioners want to drive the Korean political system to realignment system. In order to do that political society creates new issues and debates which lead to awaken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constituency.

      • 高校网络舆情视阈下网络思想政治教育创新路径探究

        解璐榕(Lurong Xie) YIXIN 출판사 2024 Education Reform and Teaching Research Vol.1 No.2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information technology, the online has increasingly become the “distribution center” of College Students’ ideology and culture, and college online public opinion has also become the “barometer” of College Students’ ideology.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or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change their teaching ideas, pay attention to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innovate the path of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Starting from the conno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nline public opinion, this paper expound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university online public opinion, then analyzes the curren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with university online public opinion and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s the core, and advocates focusing on young students and innovating the pattern of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Build a platform position and build a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discourse system; Innovating contents and methods to optimize the supply of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mprove the management level, enhance the influence of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extend the management dimension, so as to improve the timeliness of onlin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随着互联网信息技术的发展,网络日益成为大学生思想文化的“集散地”,高校网络舆情也成为大学生思想的“晴雨表”。高校思想政治教育工作者应当积极转变教学观念,重视网络思想政治教育,创新网络思政教育路径。本文从高校网络舆情的内涵、特点出发对高校网络舆情构成要素进行阐述,进而以高校网络舆情和网络思政教育为核心分析当下的机遇和挑战,主张聚焦青年学生,创新网络思政育人格局;打造平台阵地,构建网络思政话语体系;创新内容方法,优化网络思政教育供给;提高管理水平,增强网络思政影响力以及延伸管理向度,以提高网络思政教育时效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