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론화결정의 정책네트워크특성 비교연구: 신고리 5・6호기사례와 제주 녹지국제병원사례

        배봉준,김주환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networks appearing from policy decisions on public issues under debate in two different policy areas based on the policy network model.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networks making policy were different in the two policy cases. A modified policy community appeared in the case of Shin-Gori No. 5&6, while a modified issue network appeared in the case of JeJu International Green Hospital. In the former case, a number of actors officially proposed consensus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a wide range of interests through frequent and high-level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a number of actors had conflicting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narrow interests through formal but intermittent and low-level interactio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policy network occurring in the two policy cases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network structure-actors, integration, power, and so forth.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public debate decision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policy network model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ly prove Rhodes & Marsh's policy network model, but there is a policy-making phenomenon transformed from the basic form. Real policy decisions are not strictly divided into policy communities or issue networks, but are made in a modified policy network in which the two types are mixed. The meaning of this modified type of policy decision implies the need for multi-layered network policy decisions in the era of the governance paradigm in Korea unlike government-led policy decisions in the era of the government paradigm. However, it can be seen that policy decisions a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contex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system in each country, as well as the influence and activities of interest groups and civic groups acting in society. 이 연구의 목적은 정책네트워크모형을 토대로 두 가지 상이한 정책영역에서 발생한 공론화의제의 정책결정에서 나타나는 정책네트워크특성을 비교 설명하는 것이다. 경험적인 분석결과는 두 가지 정책사례의 정책결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특성이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사례에서는 ‘변형된 정책공동체’가, 제주 녹지국제병원사례에서도 ‘변형된 이슈네트워크’가 나타난 것이다. 전자 사례에서는 다수의 행위자가 넓은 이익을 토대로 공식적으로 빈번하고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합의적인 정책권고안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후자 사례에서는 다수의 행위자가 좁은 이익을 토대로 공식적이지만 간헐적이고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갈등적인 정책권고안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 정책사례에서 정책네트워크유형의 차이가 발생한 것은 네트워크- 행위자, 통합, 권력-의 차이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되는 함의는 처음으로 공론화결정을 정책네트워크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는 이론적으로 Rhodes & Marsh의 정책네트워크모형을 입증하고 있지만 기본형으로부터 변형되는 정책결정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현실의 정책결정은 엄격하게 정책공동체나 이슈네트워크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유형이 혼합되는 변형된 정책네트워크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형된 유형의 정책결정이 가지는 의미는 우리나라의 정책결정도 정부패러다임시대의 정부주도적인 정책결정으로부터 새로운 거버넌스패러다임시대의 다층수준 네트워크적 정책결정의 필요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정책결정은 각국이 직면하는 환경맥락과 정치체제의 특성 및 사회에서 분출하는 이익집단이나 시민단체의 영향력과 활동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교육행정정보화 정책네트워크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의 적용

        김옥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8 行政論叢 Vol.46 No.2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procedures (stage of pursuit of policy, stage of conflicts in policy, and stage of policy medi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NEIS) project in which severe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social groups were apparent. This is done by focusing on changes in structural features amongst the perspectives of policy networks. In particular network analysis was utilized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policy network.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ructural changes for each stage of the policy network from the outcome of the analysis. Key performers and arbitrators at each stage of the policy network were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density and centralization. During the stages of pursuit of policy and arbitration of polic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was the actor in charge of key roles and was the organization with the highest centralization. During the stage of policy conflict,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the core party to the conflict, displayed the highest level of centralization. In addition, the centrality of relationships, which illustrates the level of arbitration and control of the network, displayed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he stage of policy arbitration (25.91%) in comparison to the stage of policy pursuit (10.34%) and stage of policy conflict (13.40%), regardless of changes in density. This means that the role of policy actors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and Committee on Educational Information Digitalization), who carried out the role of arbitrator, was executed more vigorously during the stage of policy arbitration in comparison to the stages of policy pursuit and policy conflict. That 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possibility of arbitration of conflict goes up with the increase in the centrality relationships in the network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density of the policy network.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ly measuring changes in the dynamic structure of policy networks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본 연구는 정부와 사회집단간의 심각한 갈등양상을 나타낸 교육행정정보화(NEIS) 사업의 정책과정(정책추진기, 정책갈등기, 정책조정기)을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s)관점 중 구조적 특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특히 정책네트워크 구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연결망 분석(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네트워크의 시기별 구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밀도와 중심성 분석을 통해 정책네트워크의 시기별 주요 행위자와 조정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추진기와 정책조정기에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정책네트워크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 행위자였으며 가장 중심성이 높은 조직이었다. 정책갈등기에는 갈등의 핵심당사자인 전교조의 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의 조정 및 통제 정도를 나타내는 매개중심성은 밀도 변화와는 무관하게 정책추진기(10.34%)와 정책갈등기(13.40%)에 비해 정책조정기(25.91%)에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중심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정책추진기와 정책갈등기에 비해 정책조정기에 조정자 역할을 수행한 정책행위자(교육인적자원부, 전교조, 교육정보화위원회)의 역할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즉 정책네트워크의 밀도변화와는 상관없이 네트워크의 매개중심성이 높아질수록 갈등의 조정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책네트워크의 역동적 구조 변화상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본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박채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국가안보와 전략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dynamics of the process in the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migration policies developed in Europe by analyzing the formation process of policy network in EU’s migration policy. A policy network similar to issue networks relevant to its migration policy is functioning within the EU. In light of this concept, policy network, this study attempts to observ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tors, that exist on a variety of levels, wh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se policies, and the process of how they reach an agre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first attempt to discuss the appropriateness of this explanation based on policy network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policy network theory to the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mechanism of Europe’s migration policy. Then we will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olicy network of migration policies within the EU. In this process, we will analyze the process of how the resources and preferences of the official and unofficial actors on different levels are merged together, and shed light on how certain actors influence the policy decisions in the course of the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policies for larger communities. After this, we will conduct a case study on the policy network of EU’s migration policy.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investigate how policy actors mobilize the resources needed to form the policies, how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re formed during this process, and the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nvironment, network structure, network resources and strategy that exist. 본 연구는 EU의 이주정책의 정책네트워크 형성과정을 분석해봄으로써 유럽차원에서이루어지는 이주정책의 형성 및 결정과정의 역동성을 규명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EU내 이주정책과 관련 이슈네트워크와 유사한 정책네트워크가 작동되고 있다고 보고,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층위에 존재하는 행위자들의 상호관계및 합의과정을 정책네트워크라는 개념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유럽 이주정책결정 메커니즘 분석에 정책네트워크 이론 틀을 적용시켜봄으로써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설명의 유용성 및 적실성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고자 한다. 둘째, 유럽연합 차원의 이주정책 정책네트워크 형성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수준의 공식적·비공식적 행위자 간 자원과 선호의 수렴과정을 분석하여 공동체차원에서 정책 형성 및 결정과정에서 어떠한 행위자들이 정책결정에 어떻게 영향을미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셋째,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행위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정책 형성에서 요구되는 자원을 동원하며, 이 안에서 어떻게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지, 정치적 환경, 네트워크의 구조, 네트워크의 자원 및 전략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태권도 세계화 과정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남도희,심성섭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1

        The globalization process of Taekwondo was regarded as a policy-network for this study, in which various policy participant had interacted with each other for their own purposes. And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ipants` roles and functions of the policy-network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at, 16 specialists of Taekwondo globalization process were purposively sampled. To investigat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network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urvey on the participants and their interaction frequency were performed with the specialis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UCINET 6 program. And two times surveys on the participants` roles and functions for AHP were performed and analyzed with Expert Choice 2000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stages` Taekwondo globalization policy-network like systemization of administration, settlement of globalization and completion of globalization stage, we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at systemization of administration stage were ① the role division and coordin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② the unified supporting system centered with public and the Blue House, ③ the unified decision making and promoting system of private area participants centered with Taekwondo association, and ④ the existence of proper support and check groups. The characteristics at settlement of globalization stage were ① the maintenance of role division and coordin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② the maintenance of unified private promoting system and public supporting system, ③ the advent of unified specialized agencies, and ④ the advent of private specialized agencies for globalization promotion. The characteristics at completion of globalization stage were ① the maintenance of role division and coordin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② the continuous self-effort of private groups, ③ the establishment of decentralized promoting system by authority transplant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④ the advent of new agencies and development of new roles and promoting lines. Through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educted. First, the policy-network of Taekwondo globalization was the balanced policy-network with parity participation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groups. Second, the policy-network of Taekwondo globalization was the efficient policy-network with proper divisions of the roles and functions among participants. And third, the policy-network of Taekwondo globalization was the changing policy-network toward decentralized network.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의 세계화 과정을 다수의 정책참여자가 상호작용하는 정책네트워크로 간주하였고 구조적 특성과 정책참여자의 역할 및 기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태권도 세계화 전반에 관한 전문가 16명을 유목적 표집하였고 정책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해 정책 참여자 및 상호작용 정도를 설문조사하였으며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AHP 분석을 통한 정책 참여자의 역할 및 기능 분석을 위해 2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Expert Choice 20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행정적 체계화 단계, 세계화 정착 단계, 세계화 완료 단계의 세 단계로 구분된 태권도 세계화 과정의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행정적 체계화 단계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은 첫째, 민과 관의 역할분담과 조화. 둘째, 관의 청와대를 중심으로 한 통일된 지원 체계. 셋째, 태권도 단체를 중심으로 한 통일된 민간 이해 관계자들의 의사 결정 및 추진 체계. 넷째, 적절한 지원과 견제 세력의 존재였다. 세계화 정착 과정의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은 첫째, 민·관의 조화와 역할 분담의 유지. 둘째, 통일된 민간의 추진체제와 관의 지원체계 유지. 셋째, 통일된 태권도 전문 기구의 등장. 넷째, 세계화 사업 전담 민간단체의 등장이었다. 세계화 완료단계의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은 첫째, 민과 관의 조화와 역할 분담의 지속적인 유지. 둘째, 민간의 지속적인 자구 노력. 셋째, 정부기관 권한의 이양을 통한 분권적 추진 체계 확립. 넷째, 신생 기구의 등장과 새로운 역할 및 사업 분야의 개척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태권도 세계화 과정의 정책네트워크는 첫째, 정부기관과 민간단체의 동등한 참여로 구성된 균형적인 정책네트워크이자, 둘째, 각 참여자의 역할과 기능이 고르게 분포된 효율적인 정책네트워크이며, 셋째, 보다 분권적인 정책네트워크의 형태로 변화하는 정책네트워크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의약분업정책네트워크와 정책반응의 변화 : 정책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on the Focus of Policy Paradigm Shift

        김주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行政論叢 Vol.42 No.1

        본 연구는 의약분업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대한 정책 네트워크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련의 정책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의약혼재정책이 40여년 동안 지속될 수 있던 원인과 의약분업으로 정책변화가 이루어진 원인을 정책네트워크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정책네트워크라는 제도적 특성이 정책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의약혼재에서 의약분업으로 정책이 변경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혼재정책이 유지될 수 있던 원인은 정부와 이익집단으로 구성된 정책공동체적 성격에 의한 경로의존성에 기인한다. 둘째, 의약분업정책으로 전환은 이들 정책공동체에 시민단체가 참여함으로써 그 성격이 이슈네트워크화 하였다는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반응과의 관계에서 확인 할 수 있던 것은, 첫째 소수의 강한 응집성을 가진 정책네트워크는 정책 변화의 요구를 무의사결정화 한다. 둘째, 소수의 정책행위자들 간의 응집성 약화는 정책수정, 즉 정책의 제한된 변화를 수반한다. 셋째, 새로운 정책행위자들의 등장과 이들의 정책네트워크의 진입시도는 정책네트워크의 문제해결능력을 제약함으로써 새로운 정책기제의 모색을 낳게 하는 원천이다. 넷째, 정책네트워크의 성격변화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낳게 한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focused on the Policy Separating the Prescribing from the Dispensing of Drugs (PSPDD), policy continuations and changes by networks. To figure out how the Policy of Mixed Prescribing and Drugs (PMPD) could be kept for more than 40 years in spite of a series of arguments, this research uses policy network approaches. Moreover, the relations between policy networks and policy responses can be estimated by these approache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like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first reason that policy community, consisted of governments and interest groups, was sustained with supporting PMPD. NGO's participation gave influence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networks and this made possible to achieve PSPDD. The degree of policy networks intensity is the second reason. The more intensive policy networks, the easier for non-decisionmaking. On the contrary, weak stability among policy actors results in limited policies. Besides, appearances of new policy entrepreneurs and their trials to enter policy networks restrict the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policy networks. Furthermore, the changes of policy networks bring policy shifts and changes. As a result, policy networks impact on policy responses.

      • KCI등재

        제도화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선택 :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박재복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4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의 형성(formation) 및 동태성(Dynamics)을 규명해보기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를 분석해보고자 하며, 유럽연합의 환경정책네트워크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부주도만으로는 성공을 거둘 수 없는 환경문제의 특수성이 상당히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다자간 관계형성을 통해 작동하는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정책 결정과정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연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정책네트워크이론이 유용성 및 이론적 적합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결정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양한 환경정책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식적ㆍ비공식적 네트워크의 상호작용과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또한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분석해보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정책과 그 일환인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련된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To establish the formation and dynamics of environment policy deci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cy network that exists in the various actors, and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i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e process of deciding EU’s environmental policy, there is some distinctiveness of environmental issue that cannot be done only with government’s lead. Through analyzing the policy network that works with connection forming of various actors, this study seeks how th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makes actu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 to realize that policy network theory has usefulness and theoretical suitability for analyzing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of actors who participat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and analyze the example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Also, this study will examines how policy network has changed its category and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and will analyze formal and informal network intera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olicy actors and its connection structures. To analyze the EU’s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policy network, policy of climate change counter measure and policy actor who relates EU`s emission trading scheme, this study focuses its network analysis.

      • KCI등재

        제도화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선택: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박채복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4

        To establish the formation and dynamics of environment policy deci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cy network that exists in the various actors, and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i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e process of deciding EU’s environmental policy, there is some distinctiveness of environmental issue that cannot be done only with government’s lead. Through analyzing the policy network that works with connection forming of various actors, this study seeks how th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makes actu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 to realize that policy network theory has usefulness and theoretical suitability for analyzing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of actors who participat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and analyze the example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Also, this study will examines how policy network has changed its category and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and will analyze formal and informal network intera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olicy actors and its connection structures. To analyze the EU’s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policy network, policy of climate change counter measure and policy actor who relates EU`s emission trading scheme, this study focuses its network analysis.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의 형성(formation) 및 동태성(Dynamics)을 규명해보기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를 분석해보고자 하며, 유럽연합의 환경정책네트워크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부주도만으로는 성공을 거둘 수 없는 환경문제의 특수성이 상당히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다자간 관계형성을 통해 작동하는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정책 결정과정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연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정책네트워크이론이 유용성 및 이론적 적합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결정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양한 환경정책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식적ㆍ비공식적 네트워크의상호작용과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또한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분석해보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정책과 그 일환인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련된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정책유형별 정책네트워크 분석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제" 비교를 중심으로-

        이연경 ( Yeon Kyeo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본 연구는 정책네트워크 모형의 주요 한계점인 ‘정책네트워크 구성요소 간 설명력이 부족’한 점과 ‘단일사례 연구만 주를 이루고 비교연구가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자 ‘정책유형별 정책네트워크 비교 분석’을 하였다.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동일한 정책 목표를 갖으나 정책 유형을 달리하는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배분정책)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규제정책)를 정책네트워크 분석함으로써 두 정책유형 간 정책네트워크 양상에 차이를 발견하고, 어떤 차이점이 왜 발생하는지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정책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네트워크 결정요인을 논리적으로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두 정책유형 간에는 정책네트워크의 양상이 달랐으며, 이는 근본적으로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이해(관계)’와 ‘자원’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정책네트워크의 결정요인으로 행위자의 ‘이해(관계)’와 ‘자원’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정책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행위자(행위자 수), 상호작용(행위자 간 협력의 정도), 권력구조(행위자 간 자원배분 상태)가 어떻게 상호 간 논리적으로 관계 맺는지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y network by the type of policy to complement the main limitations of the policy network model. This paper focused on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the policy network model: the lack of explanation for relationship among the policy network components and few comparative studies compared with many single case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different policy types with the same policy objectives(vitalizing policy to traditional market). Two policy cases are ‘Traditional Market Modernization Project(distribution policy)’ and ‘Semimonthly Sunday Off System of Megamarket(regulation policy)’. Are there differences in appearance of policy network between the two policy type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hings? Why these differences occur between the types of policy? Through the search for these questions, the policy network determinants, deciding the policy network components, were logically extracted.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olicy network between the types of policy looked different. And this was due to fundamentally ‘interests’ and ‘resources’ of the actors involved in the policy process. So this paper put the ‘interests’ and ‘resources’ of actors as ‘the determinants of policy network’ and suggested a theoretical framework explaining how the components of policy networ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se determinants of policy network. Namely this study explained that how these components of policy network (① actors : number of actors, ② interaction : the degree of cooperation among the actors, ③ power structures : states of the resource allocation among a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s.

      • KCI등재

        정책유형에 따른 정책 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최용선 ( Yong-Seon Choi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정책 네트워크와 정책 간의 관계를 보다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정책 네트워크 연구의 일반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유형과 정책 네트워크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매칭하는 작업이 요구된다는 인식 하에 정책유형에 따라 정책 네트워크의 구조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명제를 도출하였다. 정책의 유형은 강제의 수단과 제공된 편익의 불가분성 두 가지 기준을 통해 분배정책, 재분배정책, 경제적 규제정책, 사회적 규제정책으로 분류하고자 하였고, 각각을 대표하는 사례로서 두뇌한국 21, 종합부동산세, IMT-2000서비스 규제, GMO 안전성 규제를 선정하였다. 한편 정책 네트워크의 구조는 범위, 권력구조, 관계패턴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정책유형과 정책 네트워크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SNA)을 사용하였다. 네 가지 사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의 결과, 정책유형별로 네트워크의 범위, 권력구조, 관계패턴에 일정한 패턴으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이 드러났다. This study deduce the premise that policy network structure will appear different depending on policy types to explain relation between policy network and policy types persuasively and advance the generalization of policy network research. Policies can be classified by two dimensions 'types of coercion' and 'types of goods' , and eventually into (1) 'distribution policy', (2) 'redistribution policy', (3) 'economic regulation policy' and (4) 'social regulation policy'. For individual review of these policy types, Brain Korea 21 case was selected on distribution policy,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case on redistribution policy, MIT-2000 mobile telecommunication business selection case on economic regulation policy, and GMO safety regulation case on social regulation policy. In the meantime, the issue of defining policy network was reviewed through four elements, range, power structure, and relations pattern that existing policy network researchers commonly proposed. In particular, for more objective comparison of network structur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In summary, the above analysis can reach such conclusion that the range, power structure, and relation pattern of policy network may vary systematically depending on distribution policy, redistribution policy, economic regulation policy and social regulation policy.

      • KCI등재

        옹호연합정책네트워크(ACPN)를 통한 환경정책 형성과정 연구: 인천 사월마을 환경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최은미,김종호,최일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1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formulation process using the Advocacy Coalition Policy Network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case of Sawol town in Incheon, which required the revis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in March 2021 and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counting for landfill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is stud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formed a policy network between stakeholders before the request for revis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and the conflict escalated with two belief system that the alliance for migration plan due to the environmental damage and the alliance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 This process is divided into latent conflicts, felt conflict, and manifest conflict, and then it anticipates that the interaction of the advocacy alliances based on the network formation will effect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 and/or the Special Accounting for landf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network in environmental disputes where diverse policy actors are intertwined, to look into how the policy network affect the subsystem of the composition of policy subsystems, and to anticipate how their influences and strategies would affect final policy output.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policy formulation by applying policy network analysis and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d specified the theoretical effectiveness of the policy formulation process by predicting further policy. 이 연구는 2021년 3월 환경보건법 개정안과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 조례개정을 요구하게 된 인천 사월마을 사례를 바탕으로 옹호연합정책네트워크(Advocacy Coalition Policy Network) 분석틀을 활용하여 정책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추후 산출될 정책을 예단해 보았다. 연구분석에 따르면 환경보건법 개정요구가 나오기까지는 환경오염과 환경피해라는 환경적 요인이 이해관계자 간의 정책네트워크 구성을 형성시켰고, 환경피해에 따른 이주대책마련 요구 연합과 환경개선대책 촉구 연합 간의 두 가지 신념체계로 갈등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정책갈등 잠재기, 정책갈등 표출기, 정책갈등 심화기로 구분지어 이해관계에 따른 정책네트워크 형성이 이들 옹호연합들의 상호작용과 그 결과로 산출 될 것이라 예측되는 주거환경개선 또는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 조례개정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이 혼재한 환경분쟁 상황에서 정책네트워크 구성과정을 살펴보고, 환경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 정책네트워크가 정책하위체계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들의 영향력과 전략이 최종 정책산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또한 한 가지 분석보다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수 있는 정책네트워크 모형과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한 연구 분석틀을 적용하여 정책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동태적 속성을 규명하였다는 점, 그리고 추후 산출될 정책을 예단해 봄으로써 정책형성과정에서 설명하는 이론적 유효성을 명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