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에피쿠로스의 욕망과 쾌락

        이진남(Lee, Jin-na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1

        철학사에 있어 많은 오해들처럼 에피쿠로스의 쾌락과 욕망이라는 개념도 대비와 강조를 통한 지나친 단순화에 의해 왜곡되었다. 에피쿠로스의 쾌락과 욕망은 탐닉과 난봉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그렇다고 금욕주의에 가까운 것도 아니었다. 이 글은 에피쿠로스의 쾌락과 욕망이라는 두 개념의 의미를 그의 원전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현대인들의 쾌락·욕망관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 2절에서는 에피쿠로스의 쾌락과 고통 개념을 분석한다.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쾌락 개념은 자연학적, 인식론적인 이론에 근거하고 마음의 동요와 불안이 없는 자족의 상태를 말하며 행위 주체의 뛰어남 특히 실천적 지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인다. 쾌락은 동적ㆍ정적 쾌락, 육체적ㆍ정신적 쾌락의 구분이 있는데 이 중에서 정적이고 정신적인 쾌락이 우선한다는 점도 보인다. 제 3절에서는 그의 욕망 개념의 구조를 살펴본다. 욕망은 자연적 욕망과 공허한 욕망이 있는데 자연적 욕망은 다시 필연적 욕망과 필연적이지 않은 욕망으로 나눠지고 필연적 욕망에는 다시 행복을 위한, 몸의 휴식을 위한, 삶 자체를 위한 욕망의 세 가지가 있다는 점을 보인다. 제 4절에서는 라파엘 울프가 제시한 사례를 중심으로 에피쿠로스의 욕망과 쾌락 개념이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금욕주의도 탐닉주의도 아니며 일정한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는 체계를 전제로 하지 않고 오히려 쾌락은 그 쾌락을 느끼는 주체에 따라 질과 양이 달라진다는 점을 보인다. 그에 있어 진정한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각 개인이 실천적 지혜를 얼마나 갈고 닦았는가 하는 점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에피쿠로스 윤리학은 행위 중심의 윤리가 아니라 인간 중심의 윤리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Epicurean concepts of pleasure and desire, like many other concepts, have been misunderstood through oversimplification. The concepts are far from overindulgence or dissipation as well as asceticism. In this essay, I analyze the meanings of pleasure and desire in Epicurus according to his writing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modern times. For these, I analyze the concept of pleasure in Epicurus in chapter two. Pleasure as freedom from agony is based on Epicurus' physical and epistemological theories, and it means a state of self-satisfaction without disturbance or anxiety. It is closely related to virtue(aretē), especially, practical wisdom. Pleasure could be divided into kinetic pleasure(hēdonē kinētikē) and static pleasure(hēdonē katastēmatikē) on the one hand, and physical pleasure(aponia) and mental pleasure(ataraxia) on the other hand. Among the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Epicurus prefers static mental pleasure. In chapter three, I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desire. It has two kinds, empty desire and natural desire. The latter has two kinds again: necessary and non-necessary. Necessary desire is divided into three: desire for happiness, for bodily rest, and for life itself. In chapter four, I show that Epicurean concepts of desire and of pleasure do not involve dissipation as well as asceticism and that its quality and quantity, without any objective standard, depend on its subject who feels them. Seeking a true pleasure is related to how an individual person builds up his or her character with practical wisdom. Epicurean ethics, therefore, should be understood on the horizon of man-based ethics not of act-based ethics.

      • KCI등재

        동양적 즐거움(樂)과 그 추구방식

        조창희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We humans are all animals seeking pleasure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Hence we can never understand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ocial life as well as traits of personal life without considering the fact that people do many things for pleasure. Not only the content of pleasure that they pursue but the way through which they gain pleasure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xts in which they are socially and historically situated. Even so, it is possible to classify pleasure into two categories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ways of seeking: one is mere sensation oriented pleasure(MSOP), and the other is self-fulfillment oriented pleasure(SFOP). In the industrial society people's daily living world was structured by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Because of that, their leisure activities are also dominated by the logic of capital which develops everything into commoditie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pleasure, as a higher value-added product, is diversified in its sort and expanded in its scope with the rise of the culture industry. As leisure activities are determined b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consumers' own views and tastes are neglected, and thus they are alienated from themselves even in their free time. This paper argues that this ki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seeking pleasure would be overcome by adopting oriental thought, especially confucianism. Real pleasures in the modern society are mostly replaced by money value. The opportunity of enjoying such commercialized forms of pleasure is determined by the economic abilities and class situations of individuals. Furthermore, the consuming of cultural commodities produced by the larger scaled entertainment industry is just a typical gaining of MOSP that does not reflect individual preference. In constrast to MOSP, SFOP is pursued as an ideal of the good life in the east, especially i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emphasizing self perfection,consciousness raising, awe toward nature, and self effacement.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SFOP is not merely an alternative to POSP, but also another way to understand alienated activities of buying pleasure commoditi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인간은 삶의 본질로서 즐거움(樂)을 추구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삶의 특질과 사회생활의 본질의 이해에 있어 ‘즐거움의 추구’라는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즐거움의 구체적인 내용과 추구하는 방식은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 다양한 즐거움은 ‘쾌감지향형 즐거움’과 ‘자기 충족형 즐거움’으로 속성을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일상생활세계가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의해서 구조화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가의 소비, 즉, 즐거움의 추구도 상품화된 형태로 구성되어있다고 할 수 있었다. 포드주의 생산체제로의 재편이 이루어진 후기산업사회에 이르게 되면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즐거움의 종류와 범위가 크게 신장伸張되었다. 후기산업사회에 들어서서도 즐거움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산업체계는 산업사회 방식과 유사하거나 더욱 정교한 조직적 형태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즐거움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즐거움의 추구는 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생산과 소비간의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될 뿐, 즐거움의 소비자인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의사는 제한되는 소외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즐거움의 추구과정에서 파생되는 소외의 문제는 동양사상의 측면, 특히 유가사상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의 즐거움은 대체로 금전적 가치로 치환된 즐거움으로 개개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향유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즐거움은 연예 산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대량생산품으로 쾌감지향형 즐거움의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산과정에 개개인의 선호도는 반영되기 어렵다. 반면에 동양사상은 자기실현, 자기완성, 자연에 대한 경외와 몰아沒我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차원에서 즐거움의 내용이나 추구방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양적 즐거움은 ‘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 극복의 대안으로서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닌 동양적 즐거움의 추구반면에 동양사상은 자기실현, 자기완성, 자연에 대한 경외와 몰아沒我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차원에서 즐거움의 내용이나 추구방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양적 즐거움은 ‘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 극복의 대안으로서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닌 동양적 즐거움의 추구를 수용하는 것은 사회학적으로도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오운(吳澐)의 시세계(詩世界)에 나타난 흥(興)과 낭만주의적(浪漫主義的) 성격(性格)

        정우락 ( Woo L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본고는 대표적인 사찬 사서인 ??東史纂要??의 편자로 널리 알려진 竹? 吳澐(1540- 1617)의 시세계를 탐구한 것이다. 특히 그의 시문학에 광포되어 있는 ‘興’의 문제를 논의의 초점에 두고, 이것이 그의 문학지향을 규정하는 낭만주의적 성격과 어떻게 결합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독서경향과 문학정신을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그의 독서경향은 유가경전을 중심으로 성리서와 역사서를 두루 탐독하고, ??동문선?? 등의 시문선집이나 ???聞?錄?? 등의 패설도 폭넓게 읽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폭넓은 독서는 그의 문학정신을 개방적이게 할 수 있었다. 더욱이 그는 성리학적 세계관에 사유의 근간을 두면서도 도가나 불가적 경향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그의 문학정신을 더욱 다채롭게 하였다. 오운은 의식적으로 ‘사물을 통해 사물을 본다’는 ‘以物觀物’이라는 사물 인식방법을 지니고 있었다. 자아와 사물 사이에 간극을 없앰으로써 天理를 확보하고자 하는 성리학적 사유가 작동한 것이다. 여기서 ‘興’의 문제가 자연스럽게 부각되었다. 시세계의 경우, ‘淸興’과 ‘狂興’이 대극적인 자리에 놓이면서 그 사이에 다양한 흥감의 세계가 포진하고 있었다. ‘청흥’은 자연에, ‘광흥’은 인간에 더욱 밀착되어 있으며, 그의 낭만주의는 ‘청흥’과 ‘광흥’을 오르내리면서 성취되었다. 이 같은 구조를 지닌 흥은 술을 통해 더욱 증폭되었으며 시와 신선의 세계를 넘나들며 낭만적 자유주의를 성취해나갔다. 오운의 이 같은 낭만주의는 陶潛과 李白, 그리고 蘇軾의 문학적 연원에 맞닿아 있으며, 특히 소식의 문학성취를 가장 강하게 받아들이면서, 낭만주의가 철학적 깊이를 획득할 수 있게 했다. 여기서 우리는 성리학자의 낭만주의가 어떻게 성취되는가 하는 것을 비로소 이해하게 된다. This study inquired into Jukyu(竹?) Oh-Un(吳澐, 1540-1617)'s poetry world, and he is known as the compiler of Dongsachanyo. Dongsachanyo is a representative compilation, which compiled in person.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the issue of 'pleasure', since it is exposed largely to his poetry world. Also, this study considered how 'pleasure' and romantic character, which provided for his intention of literature, had been combined. Firstly, we needed to research his inclination to reading and the spirit of literature. He focused on reading Confucian books, then devoured the books of Sung Confucianism, and history books. Also he broadly read some selection of prose and poetry, like Dongmunsoen, or some Paeseols, like Somunswaerok. Like this, his inclination to reading was very broad, and it made his spirit of literature open. Moreover, although his view of the world was based on Sung Confucianism, he accepted Taoism and trends of Buddhism. Therefore his spirit of literature got more colors. Oh, Un intentionally had a recognizing method, 'Imulgwanmul(以物觀物)', which means 'to watch things through things'. As a gap between 'me' and things were removed, 'I' intended to obtain the law of nature. This kind of thought was from Sung Confucianism. At this point, the issue of 'pleasure' naturally is raised. In his poetry, 'an innocent pleasure(淸興)' and 'the pleasure of craziness(狂興)' were positioned in opposite poles, and many kinds of feelings from 'pleasure' were put between them. 'An innocent pleasure' was quite attached to the nature. In contrast, 'the pleasure of craziness' was inclined to human beings. His romanticism was achieved between 'an innocent pleasure' and 'the pleasure of craziness'. According as alcohol amplified 'pleasure' more and more, finally he accomplished romantic liberalism going and coming the world of poetry and hermits. His romanticism touched with the literary origin of Dojam(陶潛), Ibaek(李白) and Sosik(蘇軾). Specially, as he positively accepted Sosik's achievement, his romanticism was possible to obtain philosophic depth. In here, we can understand how a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could achieve romanticism.

      • KCI등재

        덕성함양에서 쾌락의 활용: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김상섭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1

        The pursuit of pleasure is to regard as an environment and a problem of the schooling. Under such circumstances it may be useful to classify pleasures in positive and negative ones, if we want to find out a proper way of making use of them in the character education. Such an assumption leads us to the attempt to examine the pleasure’s role in the character education implied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rejects the replenishment theory of pleasure, because it can cover only restorative pleasures. Moreover the process theory of pleasure is also unacceptable because pleasure, if it is a genesis, can not be an end. On the contrary Aristotle is here to interpret as an advocate of the activity theory of pleasure. Pleasure is declared as an unimpaired activity or the completion of an activity. Such an understanding of pleasure leads us to a new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Ethics. Pleasure in intellectual activity as well as perception goes clearly along with virtue. However pleasure means a subjective self-evidence of the agent oneself, while the virtue is objectively the formal cause to an activity. For example, perception is objectively complete when the perceiving subject meets with its finest objects in his best condition. It can be also subjectively complete when the activity of perception is conceived as pleasant. Such a pleasure completes the activity not as its formal cause, but only as a supervening end. However its role in the character education is not to underestimate because it witnesses as an epiphenomenon the fulfilled meaning of activities inwardly. 쾌락추구는 현대의 문화코드일 뿐만 아니라, 교육의 환경이자 문제라고 할 만하다. 그렇다면 부정적인 쾌락과 긍정적인 쾌락의 구분을 넘어 덕성교육에서의 쾌락의 활용가능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탐구대상으로 삼아 지성과 성품의 온전한 발휘가 활동의 완전성의 조건일 뿐만 아니라, 활동에 수반되는 쾌락의 조건임을 밝히고자 한다. 활동의 쾌락은 능동적인 쾌감으로서 덕에 부합하는 완전한 활동에 대한 감각적 자각이자 확증이다. 이처럼 활동의 쾌감이 완전하고 총체적인 활동에 대한 내면적 각성이라면, 행복은 이성적인 성찰과 선택만이 아니라, 또한 감정적 자기 확신에 의해 뒷받침되고 동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럴 때 덕에 부합하는 활동은 객관적인 필연성과 함께 또한 주관적인 필연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즐거운 생활의 성격으로서 ‘pleasure’ 논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정광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1

        This study discuss ‘pleasure’ as the nature of 『Pleasure Life』. To do this, I reviewed Aristoteles’ discussion about ‘Pleasure’ in『Ethica Nicomachea』, using this I justified ‘pleasure’ as activities in school. This study contains three results. First, how Aristoteles deals ‘pleasure’ in『Ethica Nicomachea』? Following his opinion, everyone aims eudaimonia(happiness) in their life and Aretē( virture or excellence) is essential in this. Aretē should be trained(education+habit) during life. Second, is ‘pleasure’ worth of teaching? Yes. Because ‘pleasure’ is one of the subjects of Aretē. Last, in which school subject is appropriate to deal ‘pleasure’? 『Pleasure Life』can. ‘pleasure’ has to become the nature of 『Pleasure Life』. Thus, it is ‘pleasure’ that stands in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s of 『Pleasure Life』. 이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pleasure'에 대한 그의 논의를 검토하여, ‘pleasure’을 학교의 교육활동으로 정당화하고, 나아가서『즐거운 생활』 교과의 성격으로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한 일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아리스토텔레스는 pleasure을 어떻게 보는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 행복, 선, 좋음)를 지향하며, 에우다이모니아에 이르는 길을 아레테(aretē: 탁월해지기)로 설명하면서, 인간은 실제 삶 속에서 아레테를 연마한다고 보았다. 둘째, pleasure은 학교에서 교육활동으로 다룰만한 것인가? pleasure이 삶 중에 아레테를 연마하는 소재 중 하나라는 점에서 학교의 교육활동으로서 정당하였다. 셋째, 그렇다면 pleasure을 어느 교과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한가? pleasure이 범교과적(초 혹은 탈교과적)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분과교과보다는 통합교과에서 관심을 가지며, 이 점에서 ‘pleasure’을 『즐거운 생활』교과의 성격으로 규정하며, 이 ‘pleasure’을 준거『즐거운 생활』교과의 내용을 선정․조직 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사상(8): 스포츠와 쾌락

        황정현(JungHyunHwa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쾌락에 관한 이론적 배경의 제시와 더불어 현대스포츠에서 나타나는 비윤리적 행위들에 관하여 철학적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쾌락을 정신적, 신체적인 쾌락으로 구분하고 모든 사람의 삶을 완전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우리의 삶 속에는 쾌락이 수반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유덕한 사람이 유덕한 쾌락을 경험하는 것과 같이 인간의 유덕한 행위에 있어서 쾌락을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유덕한 행위와 부도덕한 행위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쾌락은 분명 다르다는 것을 주장한다. 우리는 스포츠를 통해 신체적 쾌락뿐만 아니라 정신적 쾌락까지도 경험한다. 운동선수가 고된 훈련을 인내하면서까지 훈련에 충실한 이유는 바로 승리 때문이고, 이러한 승리는 스포츠의 내재적 목적이 된다. 그리고 그 내재적 목적이 성취되었을 때 느끼게 되는 그 기쁨이 바로 쾌락인 것이다. 한편, 스포츠에서의 승리는 또 다른 쾌락을 제공한다. 운동선수들이 내재적 목적 보다는 승리를 통해 얻게 되는 부나 명예와 같은 부가적인 요소에 더 큰 가치를 두고, 그것에 대한 욕망으로 도핑, 승부조작 등과 같은 비윤리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승리하게 될 때, 분명 그곳에도 쾌락은 존재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로 본다면, 이러한 쾌락은 바로 올바르지 못한, 바로 비겁함을 통한 쾌락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analysis about unethical behavior of sports, along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pleasure on Aristotle's theory. Aristotle divides pleasure into two kinds. The pleasure of the soul and of the body. It is apparent from the way each pleasure is proper to the activity that it completes. He emphasizes pleasure as requirement to a happy life. He claims that pleasu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human's virtue. A virtuous person exhibits virtuous actors and experiences virtuous pleasures. Also, pleasure that is experienced through virtuous action and immoral action are clearly different. We experience both of kinds of pleasure through doing sports. The reason why athletes endure hard training is for victory and it becomes an internal purpose of the sport. Also, we can feel delight when the purpose is accomplished. It is the demonstration of virtuous pleasure. On the other hand, victory in sports offers another pleasure. Athletes may place more value in incidental pursuits such as wealth, honor etc, more than in victory. They use unethical methods such as doping, cheating, and violence to achieve them. Here, there is also pleasure. However, according to Aristotle's theory, this is not virtuous pleasure. Because, it is achieved through unfair play or unethical means.

      • KCI등재

        동양적 즐거움(樂)과 그 추구방식

        조창희(Cho, Chang-He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인간은 삶의 본질로서 즐거움(樂)을 추구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삶의 특질과 사회생활의 본질의 이해에 있어 ‘즐거움의 추구’라는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즐거움의 구체적인 내용과 추구하는 방식은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 다양한 즐거움은 ‘쾌감지향형 즐거움’과 ‘자기 충족형 즐거움’으로 속성을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일상생활세계가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의해서 구조화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가의 소비, 즉, 즐거움의 추구도 상품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었다. 포드주의 생산체제로의 재편이 이루어진 후기산업사회에 이르게 되면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즐거움의 종류와 범위가 크게 신장伸張되었다. 후기산업사회에 들어서서도 즐거움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산업체계는 산업사회 방식과 유사하거나 더욱 정교한 조직적 형태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즐거움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즐거움의 추구는 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 생산과 소비간의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될 뿐, 즐거움의 소비자인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의사는 제한되는 소외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즐거움의 추구과정에서 파생되는 소외의 문제는 동양사상의 측면, 특히 유가사상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의 즐거움은 대체로 금전적 가치로 치환된 즐거움으로 개개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향유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즐거움은 연예 산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대량생산품으로 쾌감지향형 즐거움의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산과정에 개개인의 선호도는 반영되기 어렵다. 반면에 동양사상은 자기실현, 자기완성, 자연에 대한 경외와 몰아沒我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차원에서 즐거움의 내용이나 추구방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양적 즐거움은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 극복의 대안으로서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닌 동양적 즐거움의 추구를 수용하는 것은 사회학적으로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We humans are all animals seeking pleasure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Hence we can never understand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ocial life as well as traits of personal life without considering the fact that people do many things for pleasure. Not only the content of pleasure that they pursue but the way through which they gain pleasure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xts in which they are socially and historically situated. Even so, it is possible to classify pleasure into two categories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ways of seeking: one is mere sensation oriented pleasure(MSOP), and the other is self-fulfillment oriented pleasure(SFOP). In the industrial society people’s daily living world was structured by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Because of that, their leisure activities are also dominated by the logic of capital which develops everything into commoditie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pleasure, as a higher value-added product, is diversified in its sort and expanded in its scope with the rise of the culture industry. As leisure activities are determined b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consumers’ own views and tastes are neglected, and thus they are alienated from themselves even in their free time. This paper argues that this ki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seeking pleasure would be overcome by adopting oriental thought, especially confucianism. Real pleasures in the modern society are mostly replaced by money value. The opportunity of enjoying such commercialized forms of pleasure is determined by the economic abilities and class situations of individuals. Furthermore, the consuming of cultural commodities produced by the larger scaled entertainment industry is just a typical gaining of MOSP that does not reflect individual preference. In constrast to MOSP, SFOP is pursued as an ideal of the good life in the east, especially i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emphasizing self perfection, consciousness raising, awe toward nature, and self effacement.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SFOP is not merely an alternative to POSP, but also another way to understand alienated activities of buying pleasure commoditi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쾌락 개념

        박성호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1 No.-

        본고에서 필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존의 윤리설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쾌락에 관한 논증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요약하고 거기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은 기존의 쾌락설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구성된다. 특히 행복과 쾌락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수용되는 여러 견해들이 지니고 있는 난점들의 비판에 의해 윤리적 원리들이 밝혀진다. 이런 논의 방법에 의해서 도덕적 덕은 쾌락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쾌락을 과정이 아니라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즉 활동과 삶에는 쾌락이 수반된다. 그리고 쾌락은 완전한 활동의 징표이다. 쾌락 자체는 선의 원리와 무관하지만 유덕한 활동의 부수적 현상이다. 유덕한 활동에서 기쁨을 느끼는 것은 도덕적 헥시스의 표시이다. 도덕적인 사람은 육체적 쾌락을 멀리하고 이렇게 절제하는 행위에서 기쁨을 느끼고, 부도덕한 사람은 그럴 경우에 괴로워한다. 이런 주장에 대해 엄슨은 육체적 쾌락은 애매하게 사용되었다고 지적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적 활동의 기쁨과 육체적으로 생긴 기쁜 느낌의 차이점을 어렴풋하게 의식했고 또 느낌의 기쁨을 활동의 기쁨과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한다. 그렇지만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0권에서 쾌락은 삶의 활동에 수반하는 것이고, 모든 활동을 완전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며, 이런 의미로 활동 그 자체는 쾌락과 결합된 것이라고 요약된다. 그에 따르면 쾌락은 인간적 능력을 실행할 때 생기는 것이다. 각각의 헥시스에 속하는 방해받지 않는 활동들이 있고, 모든 활동은 다른 쾌락에 의해 방해되지 않을 때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윤리적 행위에 수반되는 쾌락은 그 행위에 의해 '지각될 수 있는' 과정이라는 규정 대신에 그 쾌락과는 다른 어떤 쾌락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본성적 상태의 활동이라고 정의된다. 그리고 쾌락은 육체적 쾌락, 도덕과 관련이 있는 쾌락, 그리고 순수한 사유와 결합된 쾌락으로 구별된다. 쾌락이 활동을 완전하게 만들어 준다는 의미에서 도덕적 행위는 도덕적 헥시스의 징표이고 이때 그 쾌락은 덕행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켜 준다. In this paper I summarize Aristotle's various criticism of hedonism and his concept of pleasure and then propose to discuss some of the problems arising out of it. Aristotle explains his own virtue-ethics by criticism of hedonism The object of criticism is opinions that are generally accepted about a pleasure or happiness. Moral virtue is related with a pleasure. Aristotle thinks that pleasure is not a process but an activity, Activity and life itself are bound up with pleasure. The enjoyment is a manifestation of the perfect activity. An index of our dispositions is afforded by the pleasure or pain that accompanies our actions. A man is virtuous if he abstains from bodily pleasures and finds this abstinence itself enjoyable, not virtuous(profligate) if he feels it irksome. But Urmson pointed out mistakes which Aristotle makes the uncommon error of assimilating the enjoyment of feelings to the enjoyment of activity. And in thus use the meaning of the term bodily pleasure is ambiguous. Nevertheless in EN Bk. 10 actions is accompanied by pleasure, which makes all actions perfectness, and activity and life itself are bound up with pleasure(enjoy). Therefore a pleasure is not a conscious process, but an unimpeded activity of our natural state. Every faculty has its unimpeded activity, the activity of all the faculties, when unimpeded, must probably be the most desirable. A moral actions that is accompanied by a pleasure is a manifestation of hexis. Thus the pleasure gives a zest to the activity.

      • KCI등재

        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1) __『량평석(量評釋)』의 정리,승론학파 견해 검증을 중심으로__

        박기열 ( Ki Yeal Park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다르마키르티는 『프라마나바르티카』, 「직접지각」장 중에서 ‘樂등’의자기인식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니야야·바이셰시카 학파의 樂에 대한 견해를 검증하고 있다. 니야야·바이셰시카의 樂은 아트만의 속성인 동시에 아트만의 존재를 추리할 수 있는 證相의 하나로서 樂을 거론한다. 또한 이 樂에 대한 인식은 지식에 의해서 인식되므로, 이 경우 인식대상인 樂과 그것을 파악하는 지식은 비록 둘 다 아트만의 속성이지만서로 다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다르마키르티는 樂, 苦, 욕망, 분노 등의 감수작용은 직접지각으로서의 ‘푸른색 그 자체’에 대한 인식작용과 동일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즉 지식이 대상, 감각기관, 作意의 접촉에 의해서 일어나 듯이, ‘낙 등’의 심리현상 또한 대상, 감각기관, 作意의 접촉이라는 동일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므로 지식과 다를 바가 없다고 한다. 나아가 다르마키르티는 니야야·바이셰시카의 ‘낙 등’과 지식이 다를 경우 생기는 모순을 차례차례 검증한다. 우선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의심리현상을 감관지와 인식대상, 그리고 낙과 그것을 인식하는 지식이라는 네 가지 요소들로 분석한다. 그는 이 4요소들을 기준으로, ‘인식 시점의 문제’, ‘인식대상과 인식주체와의 대응관계의 문제’, ‘‘낙 등’을 일으키는 원인의 종류의 문제‘라는 관점에서 ‘낙 등’이 지식과 다를 경우를 면밀하게 검증한다. 끝으로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과 지식이 별개일 경우, 다른 사람이 느끼는 고통과 동일한 고통을 요가행자도 感受해야하는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여,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을 경험적 예증으로 마무리한다. When Dharmakirti mentions that pleasure etc.(sukhadi) are self-awareness(svasamvitti) in the pratyaksa chapter, Pramanavarttika(PV), he examines pleasure of Nyaya-Vaisesika doctrine(PV Ⅱ. 250-267). According to Nyaya-Vaisesika, pleasure is one of the qualities(gunas) that belongs to atman. Also, pleasure is one of marks(lingas) to infer the being of atman. Pleasure is cognized by awareness, a quality of atman. Pleasure is the object of cognition, awareness is the means of cognition and atman is the subject of cognition. Therefore, pleasure and awareness are different qualities, although both belong to atman. On the other hand, Dharmakirti claims the position that all psychological phenomena, like pleasure, pain, desire, anger, etc. are exactly same as perception(pratyaksa), the cognition for blue itself without connected to language because both of pleasure and perception are the result of the same cause, the contact among an object, a sensory organ and attention of the mind(manaskara). Therefore, Dharmakirti insists that pleasure, etc. are just knowledge like the cognition about blue itself. Thus, pleasure and knowledge must not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because they are the results that come from the same cause. Furthermore, Dharmakirti points out one after another that there may be possibility to cause some contradictions in the case of relying on Nyaya-Vaisesika’s viewpoint that pleasure, etc. are different from knowledge, and that pleasure should be cognized by knowledge. His criterions in the examination against Nyaya-Vaisesika’s opinions can be summarized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when an object is cognized by knowledge. Second, how many objects and knowledge interact each other. Third, what kinds of causes produce pleasure. Fourth, Dharmakirti proposes an example(sapaksa) to prove pleasure is not different from knowledge: when Yogi cognizes the fact that the person has suffering, because Yogi’s perception to the other person’s pain is the means of cognition as same as the cognitive means in the person’s mind, the Yogi must feel the same pain belonging to the other person. Thus, Yogi’s perception and the other person’s cognitive means are the precisely same as knowledge, the means of cognition to pleasure that is the object of cognition( PV Ⅱ. 455-456). Dharmakirti’s criticism to Nyaya-Vaisesika’s pleasure, etc.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doctrine of self-awareness and of the two aspects of knowledge(dvi-rupa)(PV Ⅱ. 266-267) which are the premier theories in Buddhist epistemolog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이상일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G. E. M. Anscombe says that Aristotle offers incompatible accounts of pleasure in two separate discussion, namely A discussion(Nicomachean Ethics Ⅶ. 11-14) and B discussion(Nicomachean Ethics Ⅹ. 1-15) within his Nicomachean Ethics. According to her, pleasure was the topic that finally and astonishingly reduced Aristotle to babble or a harsh judgment, since for good reasons he both wanted pleasure to be identical with and to be different from the activity. Many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reconciling these two apparently incompatible accounts, while several others have concluded that they are simply irreconcilable. Here, I asserts that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give different definitions, but to insist that the definitions are not incompatible, because they aim to define different phenomena. On this view, which emphas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finitions in the hope of rendering them complementary. I insist as follows in the latter position in this article. First, I insist that the formula “unimpeded activity of a natural condi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of pleasure. Because according to Aristotle, “activity of a natural condition” is what it is for something to be pleasant by nature and “unimpeded” signals that, furthermore(the objective pleasure), the activity is pleasant to the agent(the subjective pleasure). Second, I insist that B discussion as the functional analysis of pleasu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of pleasure. Because Aristotle says that “the distinctive human pleasures are precisely the pleasures that accompan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virtue(the objective pleasure), and we should deliberately aim at such pleasures, since in doing so we are stimulated to act virtuously with even greater intensity and concentration(the subjective pleasures).” Third, I insist that “Aristotle accepts both as complementary by interpreting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about pleasure as metaphysical” Because Aristotle expresses “Pleasure may be a goal of human action, and thus a final cause. Pleasure, when present, makes these activities what they are, and is thus an efficient cause of them – and is for this same reason a formal cause.” In conclusion, I tried to understand that what these claims mean and why Aristotle should be inclined to make them by evaluating Aristotle’s view. As a result, I conclude that Aristotle offers the compatible and mutual supplemental accounts of pleasure in two separate discussion within his Nicomachean Ethics, unlike some researches including G. E. M. Anscombe. 앤스콤(G. E. M. Anscombe)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안에 있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논의, 즉 A논의(제7권 11장-14장)와 B논의(제10권 1장-5장) 안에서 즐거움에 대한 양립할 수 없는 설명들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녀에 의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에 대한 양자의 논의는 결론적으로 분명치 않은 표현 또는 거슬리는 판단 쪽으로 환원되는 논제들 중의 하나였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이유 때문에 즐거움이 활동과 ‘동일시되는 것’과 그와는 반대로 ‘다르게 되는 것’ 둘 다를 원했기 때문이다. 몇몇의 학자들은 그것들이 단순히 양립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린 반면에, 일부의 학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의 명백하게 양립할 수 없는 설명들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왔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A논의와 B논의가 상이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정의들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상이한 현상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점에 의하면, 양자는 상호 보충적이라는 희망 안에서 정의들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자는 본 글에서 이러한 입장을 취하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할 것이다. 첫째, 연구자는 “A논의 안에서의 본성적 상태의 방해받지 않는 활동이라는 공식이 즐거움의 주관적이고 객관적 요소들 둘 다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본성적 상태의 활동’은 어떤 것이 본성적으로 즐거운 것이기 때문이며(객관적 즐거움), ‘방해받지 않는’이라는 것은 활동이 행위자에게 즐겁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주관적 즐거움). 둘째, 연구자는 “‘즐거움’에 관한 기능론적 해석으로서 B논의도 또한 즐거움의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요소 둘 다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뚜렷한 인간적인 즐거움들은 정확하게 탁월성에 따르는 즐거움들을 동반하는 즐거움들이며(객관적 즐거움들), 우리가 심사숙고하여 그러한 즐거움들을 목적으로 삼음으로써 우리는 더 큰 강도와 집중력을 가지고서 탁월성 있게 행위 하도록 자극받을 수 있다(주관적 즐거움)”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즐거움에 관한 A논의와 B논의를 형이상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양자를 상호보충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즐거움은 행위의 목적이며 그리하여 목적인일수도 있다. 그리고 즐거움이 존재할 때, 그리고 즐거움이 이러한 활동들을 존재하는 것으로 만들 때, 즐거움은 그것들의 작용인이다. 그리고 즐거움은 이러한 동일한 이유 때문에 형상인이다”라고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즐거움’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들을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주장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가 왜 그렇게 말하려고 했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왔다. 그 결과, 연구자는 본 글에서 앤스콤을 비롯한 몇몇 연구자들과는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안에 있는 두 가지로 분리되는 논의 안에서 ‘즐거움’에 관한 양립 가능하고도 상호보충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