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 최초의 그림책 아해그림책 소아화편(小兒畵篇) (1918-1920) 연구

        김광식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79 No.-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hurriedly published a Japanese language textbook, Kokugo dokuhon (8 volumes, 1912–1915), to popularize the Japanese language.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the school bureau hired Umekichi Tanaka and others to publish “Common Readings” for preschool children.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newly found materials: three volumes of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 (1918–1920) and Compilation of Common Reading Materials (1918). With the aim of promoting Japanese national identity and the Japanese language among Korean children, the Bureau of Educational Affairs published picture books that allowed children to learn Japanese in a fun way. Thus, Chosun Fairy Tales and other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published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with the goal of assimilating Korean children into Japanese culture. Therefore, this picture book must be read critically. However, this picture book utilizes fairy tales and legends passed down in Korea without an ideological bias one way or the other. The Chosun Governor-General’s Bureau of Academic Affairs collected Korean fairy tales, legends, and folk songs in 1912, 1913, and 1916. Using these materials, they included Korean tales in Japanese textbooks, Korean textbooks, picture books, and other publications. The picture books published by the Bureau of Educational Affairs for preschool children utilized Korean oral literature to increase the children’s interest. In other words, Korean fairy tales and legends, including Korean nursery rhymes and riddles, were used. The Soahwapyeon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a series of “popular reading material” based on data from a three-part survey of proverbs, folk songs, popular reading materials, legends, and fairy tales conducted by the Governor-General’s Bureau of Academic Affairs in the 1910s. This paper focused on the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 but future research must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related reports, textbooks, and collections of materials.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는 먼저 일본어 보급을 위해 일본어 교과서 국어독본(國語讀本) (전8권, 조선총독부, 1912-1915)을 간행하였다. 일본어 교과서 간행 후에 학무국 편집과는 1916년 이후, ‘임시교과용 도서편집 사무촉탁’ 다나카 우메키치 등을 고용해 미취학 아동을 위한 ‘통속독물’을 펴냈다. 본문에서는 필자가 발굴한 그림책 소아화편 전3권(1918-1920)과 통속독물 편찬취의서 (1918)를 분석하여, 총독부가 조선아동에게 일본 국민성 함양과 일본어 보급을 도모할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하였음을 명확히 하였다. 이처럼 조선동화집 을 비롯해 소아화편 은 총독부가 조선인 아동의 국민성 교화를 목표로 간행한 것이기에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이데올로기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에 전하는 동화‧전설을 채집‧활용하여 개작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총독부 학무국 편집과는 1912년, 1913년, 1916년에 조선의 동화‧전설‧민요 등을 수집했는데, 이를 활용하여, 일본어 교과서, 조선어 교과서, 그림책 등에 조선 설화를 수록하기 시작하였다. 미취학 아동용으로 고안한 총독부 최초의 그림책 소아화편 은 아동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서 조선 전래의 구비문학을 다수 활용하였다. 조선의 동요, 수수께끼를 포함해, 조선동화‧전설이 활용되었다. 소아화편 을 시발점으로 계획된 ‘통속독물’의 발간은 일본어 보급이 저조한 상황 하에서 고안된 정책의 산물이었다. 1910년대 총독부 학무국은 연이어서 이언(俚諺)‧이요(俚謠)‧통속적 독물(讀物)‧전설 동화 등을 조사하였다. ‘통속독물’ 및 ‘조선민속자료’는 이러한 조사 자료를 활용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소아화편 을 중심으로 검토했지만, 앞으로 관련 보고서, 교과서, 자료집과의 관련성 및 영향관계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 KCI등재후보

        지리 교과에서 동영상 자료의 활용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국민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지리 교과에 적합한 동영상 학습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기획하고 실시하여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영상 학습 자료는 영상과 더불어 음향에 의한 자극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인쇄 매체나 다른 매체를 수업에 활용할 때보다 학습자의 주의 집중력, 설명 능력, 기억 유지 능력 등을 함양시킬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동영상 학습 자료가 수업 상황에서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 학생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학습 목표나 내용은 무엇인지, 사용할 교수 방법은 어떠한 것인지 등이 사전에 잘 고려될 때 동영상 자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지리 교과 내용에 적합한 동영상 자료를 선정한 후,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지리 수업을 기획하였다. 학습자들은 지리 수업에서 동영상 자료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원하고 있고, 지리 교육에서 동영상 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학업 성취도를 높여주고, 가치판단력을 향상시키며, 교과에 대한 흥미도를 증가 시켜 여러 상승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지리교과에 적합한 다양한 동영상 학습 자료의 개발 및 수업 설계가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ork out a teaching program using various motion picture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proper for geography subject and to reveal the effects of this teaching method. Motion picture learning materials are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ones in that they can improve the students’ concentration, understanding and retentive faculty very effectively. To make the best of motion picture materials in geography class, the needs of the student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class, and the teaching methods should be well considered.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elect the news materials proper for geography class and design the class using these materials. Using motion picture materials in geography class is a very excellent way to improve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level and value judgement ability while increasing the interest in geography subject. In addition, students want the motion picture materials to be constantly used in the class. Therefore, constant and earnest efforts to find out various motion picture materials for geography subject and to work out a teaching program using these materials should be made.

      • KCI등재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 그림책의 가능성 탐색-초·중·고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배재성,권이은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is paper investigated Korean teachers’ perceptions on Picture book. Teachers' perceptions on reading material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text.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students' reading experience. Consequently this quantitative study examined 1) teachers’ perceptions on the concept and types of Picture book, 2) teachers’ perceptions on Picture book as reading educational materials.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survey.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have narrow perceptions of the concept and types of Picture book, regardless of their subjects and school leve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he highest interest in Picture book. Teachers have high value of Picture book in terms of various responses and motivation. However, few teachers perceived value about early reading experience and multimodality of Picture book. Teachers had a little experience of using Picture book as reading instruction materials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using picture book. Implications and ideas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on Picture book in teaching reading at school. 이 논문은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 그림책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독서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질 그림책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그림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설문 연구이다. 설문을 통해, 그림책의 개념과 종류,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의 그림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약 200명의 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결측값을 제외한 178명의 설문 결과를 최종 자료로 삼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교급이나 교과목을 막론하고 그림책의 개념과 종류의 범주를 좁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림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은 초등학교에서 가장 높았으며, 중․고등학교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교사들은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 그림책이 지닌 가치에 대해 ‘다양한 반응과 동기 유발’ 차원에서 높게 평가하였으며, 그림책이 지닌 ‘초기 독서 경험 및 복합양식 텍스트’로서 가치는 낮게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을 독서교육용 텍스트로 활용해본 경험에 대한 응답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감소하였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그림책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PWIM 활용 한국어 초급 어휘교육

        정연숙,이병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어 교육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PWIM (Picture Words Inductive Model) which is one of learner-centered vocabulary teaching-learning models, and suggest ways to implement th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ictures that ar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help visualize the specific shape, color, and texture of the vocabulary that is the learning target; thus, helping beginner learners to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sound. Visual material stimulates the intrinsic schema of the learner and not only becomes a ‘bridge’ connecting the mother tongue and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reduces difficulty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because of the ambiguity between meaning and sound in Korean and all languages. PWIM shows commonality with existing learning methods in that it uses visual materials. However, in the past, the teacher-centered learning method has only imitated the teacher because the teacher showed a piece-wise, out-of-life photograph and taught the word. PWIM is a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 that stimulates learners to find vocabulary on their own by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reflecting the context. In this paper, PWIM is more suitable for beginner learners who are learning specific concrete vocabulary such as personal identity (mainly objects), residence and environment, daily life, shopping, health, climate, and traff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thod of using PWIM suitabl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ing procedures. The researchers rearranged the previous research into three steps: brainstorming and word organization, generalization of semantic and morphological rules of extracted words, and application of words. In the case of PWIM, you can go through all three steps at once. Otherwis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three steps of PWIM and teach at different times.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and learners using the PWIM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uses realistic visual materials, will enable making an effective class together. (Pusa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디지털 성범죄로서 카메라등 이용촬영죄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개정법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

        이흔재(Lee, Heun Jae)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3 No.3

        이 글에서는 디지털성범죄의 개념과 보호법익을 중심으로 개정된 성폭력처벌법 중 카메라등 이용촬영죄와 유포죄, 불법촬영물 소지죄 등에 대하여 비교법적 관점에서 그 문제점을 비판적 시각으로 검토하였다. 미국, 독일, 일본은 카메라등 이용촬영죄를 개인의 성적 프라이버시의 침해로 파악하여 사생활 침해 범죄로 취급함에 반하여 우리나라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 즉 성범죄 또는 성폭력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엄벌주의와 추상적이고 규범적 구성요건으로 인해 광범위한 처벌주의로 귀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외국은 카메라등 이용촬영죄와 비동의 촬영물 유포죄를 별개의 범죄로 규율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동일선상에서 파악하여 시간적 연속성을 가지는 일체의 범죄로 보고 있다. 이로 인하여 불법촬영물 유포에 있어서 촬영물을 통해 피촬영자의 인적사항을 알 수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모두 처벌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서 더 나아가 불법촬영물의 소지 등의 행위도 형사처벌의 대상으로 하고 있어 우리나라는 비교법적으로 드문 강력한 엄벌주의와 광범위한 형벌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신종범죄에 대한 이와 같은 광범위한 엄벌주의적 대응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또한, 강력한 처벌을 위해서는 구성요건의 추상성 내지 불명확성을 해소하고, 합리적인 한도내에서 일반인이 예상가능하고 수긍 할만한 입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 개선방향은 앞에서 살펴본 해외 주요국의 입법동향이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article, among the revised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focusing on the concept of digital sexual crimes and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I reviewed critically the problem of taking photographs or videos by using cameras, distribution and possession of illegal filmed material from a comparative viewpoint.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regard the crime of illegal picture-taking such as an infringement of personal sexual privacy and treat it as invasion of privacy, whereas Korea defines it as an infringemen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that is, a sexual crime or a sexual violence crime. Due to these fundamental differences, strict punishmentism and abstract and normative elements of crimes in Korea have led to widespread punishmentism. In addition, foreign countries regulate illegal picture-taking and the dissemination of non-consent filmed material as separate crimes, but in Korea, it is regarded as all crimes with temporal continuity by grasping them on the same line. For this reason, it takes the form of punishment for the distribution of illegal filmed material regardless of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lmee can be known through the filmed material. Furthermore, since the possession of illegal filmed material is also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Korea is advocating a strong strict punishmentism and a wide range of punishmentism, which are rare in comparative law. However, such a wide range of severe punishment policy to these new crimes occurr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ternet does not appear to be desirable. In addition, for strong punishment,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abstraction or uncertainty of the elements of crimes, and legislation that is predictable and acceptable to the general people is needed within reasonable limits. As fo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 think that the legislation trends of major foreign countries, as discussed above, give important implications.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표상 -식민지의 학습과 교육을 위한 “텍스트”로서의 비문자자료-

        朴美貞 ( Mi Jeoung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4 No.-

        By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over seventy percent of the earth was under colonial rule. Promot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notion of “rich country, strong army,” European and American empires established mail and communication systems. As the great powers developed world`s fairs, they mass-produced picture postcards featuring photographs of goods, customs, and peoples from foreign lands (i.e., colonies), and postal systems delivered those colonial images around the world. Japan, as Asia`s earliest adopter of Western culture and institutions, mass-produced a variety of audiovisual materials (primarily photographs, picture postcards, drawings, maps, and movies) during the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and those materials circulated 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Cameras recorded conditions in Japan`s newly acquired Asian colonies, and those images were published in war reportage, picture postcards, lifestyle magazines, and national textbooks. In addition to contributing to war coverage and intelligence gathering, images served as educational materials that taught the Japanese people about their colonies. This paper address the historical context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behind the production of picture postcards of colonial Korea, providing an overview of their production and circulation. It continues by analyzing the new image of Korea produced when the postcards were transferred to other visual media.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orrelation between postcards depicting Korean customs and prize-winning “images of Korea” in government exhibitions, the paper examines how images produced in picture postcards (i.e., “texts” on colonial Korea) served as effective advertising for colonial rule as part of Japan`s imperial expansion. The paper demonstrates that, while contributing to effort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colonies, audiovisual materials also served well as texts that taught the Japanese about their colonies as they learned how to be imperial subjects. Traditionally, audiovisual materials (audiovisual historical materials) have not necessarily been treated as sources for academic investigation, but this project drew strong support from the work of scholars in a variety of research fields. It is of vital importance to develop a grasp of the current state of the research on audiovisual materials, while deepening a shared awareness of the historical value of such sources and pointing the way to new methods of utilizing them in the future. With the support of a JSPS grant-in-aid for Challenging Exploratory Research (“Imperial Exhibitions and the Construction and Modification of City Space in Colonial Keijyo”; research representative: PARK Mijeoung), the author arranged a space where collectors and researchers could hold discussions, and she ran a study group on picture postcards that focused on audiovisual materials produced in modern Asia. The members of the study group developed a new apprecia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picture postcards, compiled databases, and considered new methods of sharing that data and utilizing it for historical research. Through its work, the group became aware of mutual disagreements about history that exist not only among researchers and collectors, but among Japan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e author believes that providing a place for researchers from all East Asian countries to meet and discuss will help spread shared awareness of the research being done on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ir value as historical sources. At the same time, those discussions are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matter to arrange in order to provide a point of entry to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Asian nations face, beginning with their historical disagreements.

      • KCI등재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 개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0

        본 연구는 실제 갈등상황을 그림으로 구성하여 교사들이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어린이들은 이 그림자료를 가지고 토의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어린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정보도 얻을 수 있어 간접교육으로서 인성교육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학자들의 관점, 교육과학기술부, 그리고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 인성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며,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 개발의 기준을 유출하였다. 이 기준에 의거하여 일상생활의 갈등상황을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10가지 주제를 정하고 천연색 그림자료 20가지를 프로그램 개발의 순서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는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연계되도록 구성한 천연색의 자료이므로 교사가 재구성하지 않고도 있는 그대로 인성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는 만 4~5세 어린이들이 가상적 갈등상황의 짧은 스토리를 듣고 개방적 질문을 함으로써 이야기나누기나 토의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를 가지고 토의하는 동안에 어린이는 스토리를 듣고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경청하기 및 자기 입장, 기분, 느낌을 말로 표현함으로서 융합적 접근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토의하는 과정에서 갈등상황의 전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This study is developed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which are configured to resemble picture materials for actual conflict situations that teachers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Children are able to express and discuss their feelings using this pictorial data. The information that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interactions can help achieve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as an indirect training. In this study,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ewed from researchers, other scholars view poi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ged 3-5 years Nuri Curriculum. And then the basis of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 conflict situations were drawn by the researcher. Twenty multi-colored materials of indirect experiences based on the conflict situation of everyday life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the order of program development with 10 life topics of aged 3-5 years Nuri Curriculum. The developed material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because the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were configu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outflow from Nuri life topics, the cours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discussions without having to reconfigure the teacher. Second, the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s open-ended questions that can lead feature discussions could well happen by only children aged 4-5 years. That means children hear a short story of the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can had discussions. Third, children can listen to stories with data from others to listen and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erson"s position and self-admission can be used for integrated approaches, and also verbalize their feelings while discussing with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And there are features that allow children to form strategies in conflict situations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 KCI등재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의 얽힘

        탁정화(Jeong-Hwa Tak),박수연(Su-Yeon Park)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고는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을 바탕으로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특성과 인간 너머 세계와의 얽힘을 살펴보았다. 「이상한 엄마」, 「이상한 손님」, 「알사탕」, 「나는 개다」라는 4권의 그림책에 대한 회절 분석(diffractive analysis)방법을 적용하였다.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신물질론 얽힘은 첫째, 글-그림 텍스트가 다양식적으로 얽혀 있으며, 물질들의 아상블라주를 이룬 배경은 물질의 행위성으로 관계하며 끊임없이 현상을 생성하고 있었다. 둘째, 생동하며 관계하는 물질(세)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항 대립을 넘어 경계를 허무는 횡단적-존재인 이상한 혼종체와 삶을 수행고 있었다. 셋째, 일상적 삶에서의 다채로운 감정을 품고 있으며, 비인간 존재들과의 응답-능력으로 돌봄의 관계와 윤리가 들어있다.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이라는 담론에서 그림책의 세계와 함께(with) 얽혀 물질(화) 되어갔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얽힘은 그림책을 바라보는 또 다른 연구로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posthuman new materialism,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aek Hee-na or picture books and the entanglement between humans and more-than-human’ world. After selecting four picture books: “Strange Mom,” “A Strange Guest ,” “Magic Candies” and “I'm a Dog,”, diffrac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ek Hee-na picture boo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lystyled entanglement of text-picture texts, the lively and related material (world) system, and various emotions in daily life. Next, Baek Hee-na's picture books were intertwined with post-human new materialism, first with 'acting background: assemblage relationship among all', second with 'cross-existence breaking boundaries: strange hybrid', and third with 'response to non-human beings: ability: relationship and ethics of care'. The discourse on posthuman new materialism became materialized with the world of picture books. This paper’s proposition may broaden the academy to discuss the theoretical picture books foundations and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 KCI등재

        한국어교육자료로서의 다문화 걸음마기(toddler) 유아용그림책 텍스트의 개발방향에 대한 제안적 연구 : 일반 유아용그림책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5 No.-

        다문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결혼이민자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중요성도 크게 부각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은 유아교육 분야와 한국어교육 분야 모두에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유아교육 분야의 경우, 공식적인 교육기관에 소속된 만4~6세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고, 한국어교육 분야의 경우에는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교육이 주로 논의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2~3세의 걸음마기는 이른바 언어의 폭발기로서 이후의 언어습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 이후에 나타나는 일반유아와 다문화유아 간의 언어능력의 큰 차이는 바로 이 걸음마기의 언어교육에서부터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임에 분명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방안의 하나로서 그림책 텍스트를 다문화유아의 부족한 문해환경을 보완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자료로 제안하고, 그 구체적인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용그림책이 아직 발간되지 못한 현 상황에서 앞으로의 텍스트 개발은 현실적으로 일반 유아용그림책을 참조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적 특징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점검항목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텍스트 점검항목에 입각하여 일반 유아용그림책을 점검한 후, 앞으로 출간될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용그림책 텍스트의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용그림책 텍스트가 갖추어야 할 요소로 ①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참고나 부속 텍스트의 제시, ②일상생활, 색깔, 사물의 기능, 자기표현 등의 주제영역에 대한 독자적인 텍스트 구성, ③유의(有意) 및 기능(機能)의 의미관계에 기초한 텍스트 구성, ④문법적 정확성과 화용적 수용성을 갖춘 문장 구성, ⑤괄진법(括進法)과 의인법의 사용, ⑥단순나열 및 추가누적의 텍스트 구성, ⑦대표성 있는 어휘 선택과 어휘 간의 대등성 및 내재적 질서의 일관성을 준수한 텍스트 구성을 제안하였다. Ages between 2 and 3 are called the period of language explosion in language acquisition theory. Language inputs in this period play a highly great role in intensifying toddlers’ language acquirement. However, a multi-cultural infant who has a foreign mother cannot be offered enough Korean language inputs as to explode his own Korean. This study regards picture books as effective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for multi-cultural toddlers which can compensate foreign mother’s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ability. However, in the previous studies in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and in multi-cultural infants education, desirable textu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have not been suggested, yet. Also, a picture book for multi-cultural toddlers has not been published, either.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ppropriate words, grammar, rhetoric expressions and plots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to dedicate the development of its text. For this study in order to do it, analysis on picture books for general toddlers are made since the development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would be based on picture books for general toddlers. Analysis is given especially in perspective of multi-infants contexts considering their cognitive-language traits and their unique literacy environment. In conclusion, sub-text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foreign mothers, toddlers’ daily life-related vocabulary, color-related vocabulary, self-expression related vocabulary, text construction based on relation between stuffs and its functions, sentences satisfying both syntactic grammaticality and pragmatical acceptability, enumeration of representative words with its own reasonable order, and inclusion rhetoric are suggested as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guideline in the production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in such a situation as a picture book for multi-cultural toddlers has not been publish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