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북(東北)과 화북(華北)조선 항일지사의 특징 비교

        고양 ( Gao Yang ) 단국사학회 2011 史學志 Vol.43 No.-

        이 글은 동북과 화북지역에서 활동한 조선항일지사의 항일투쟁에 나타나는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일본의 정치적 박해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다수의 조선이주민이 동북지역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고, ‘7·7’사변 이후 조선인 지주와 빈민이 화북으로 몰려들면서 조선혁명지사들의 항일투쟁에 강대한 군중기초를 제공하였다. 동북과 화북 조선항일지사들의 인적구성은 기본적으로 일치했다. 이들은 모두 중국공산당의 영도를 받았고, 공산당원이 그 핵심을 이루었다. 그러나 시간상으로 동북 조선항일지사들의 활동이 먼저 시작되어 항일운동이 성숙되지 못한 면이 있었지만, 화북 조선항일지사의 투쟁은 초기단계부터 성숙된 통일전선정책을 수행했다. 따라서 화북에서 활동한 조선항일지사들은 최단 기간에 강력하고 광범위한 역량을 결집시킬 수 있었다. 동북 조선혁명지사들은 항일연군이라는 단순한 군사조직체를 중심으로 반일투쟁을 전개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장백현과 조선 북부 일부지역에 한정되었다. 또한 그들이 존재한 시간도 비교적 짧아 실제적 역량과 작용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이에 비해 화북 조선항일지사들은 군 · 정 · 학 삼위일체의 투쟁체제를 건립하여 전투력을 증강시켰고, 중공 중앙의 열정적 지원이 더해져 훨씬 안정적인 기반 위에서 투쟁을 전개했다. 동북 지구 조선항일지사들의 투쟁환경은 매우 열악하였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부단히 무장투쟁을 전개해야 했다. 따라서 조선 항일지사와 일본제국주의 사이에는 투쟁이 가장격렬하고 잔혹하게 진행되었다. 반면 화북지구 조선항일지사들의 투쟁방식은 독특한 형식의 선전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조선의용군의 적극적 선전활동은 중국침략전쟁을 ‘聖戰’으로 여기던 일본군대와 僞만주국 군대의 사기와 투지에 커다란 타격을 가했고, 수시로 적들과 목숨을 건 전투를 진행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ti-Japanese struggle in the North and the Northeast China. Numerous Korean migrants headed to Northeast China due to Japan`s political persecution and economic hardship; moreover, after ``Marco Polo Bridge Incident(七七事變)’ Korean landowners and the poor moved to the North China. They provided the Anti-Japanese patriots with the powerful mass base. Basically the both patriots had the common organisation composition which was all led by Chinese Communist and comprised of the communists on the core. The activities of the patriot in the Northeast China began earlier then was immature; however, the struggle in the North China executed the advanced united front policy from its early stages. Therefore, the latter concentrated its all comprehensive abilities in the shortest time. The Korean patriots in the Northeast China developed the Anti-Japanese struggle with the simple military organisation, ‘Anti-Japanese Allied Army(抗日聯軍)’. Under the space constraints in Changbai Mountain Area in addition to their relatively short existence, they could not be practically activated. In comparison, the Korean patriots in the North China constructed their military, government and schools to reinforce its power; furthermore, they developed their struggle on the stable base with Chinese Communist`s support. With the poor struggle conditions of the Northeast patriots, they had to constantly engage in armed struggle to be survived. Thus the struggles between Japanese imperialism and them were taken on the most violent and brutal aspect. On the other hands, the struggle method of the North patriots was mainly distinctive propagations. Korea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struck Japanese and Manchukuo troops` morale, since the troops regarded Second Sino-Japanese War(中國抗日戰爭) as ‘Holy war(聖 戰)’. Besides they were also frequently involved in armed struggles.

      • KCI등재

        금강대도 ‘신사사변(辛巳事變)’에 대한 문화콘텐츠 연구

        이미경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contents of ‘Shinsa year Patriotic Struggle’ by Kumkangdaedo, who were oppressed owing to refusing to integrate with Japanese Buddhism, resisting the policy of annihil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during the Imperial Japan’s Force Occupation Period. Korea has solved the problems of the times with different ideologies in our long history, and the ideas studied in such a process developed into religions and coexisted with each other. In such many religious situations, for understanding and harmony with other religions rather than an exclusive way of thinking between religions, popularization among religion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particular, religious culture forms the spiritual foundation i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and since it has developed while solving the social problems of the times, it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s. However, as Korea’s new religions were created in the collapse of the late Joseon society by Imperial Japan and the hope of national spirit inculcation and nation’s independence in Imperial Japan’s Force Occupation Period, everything was dismantled and disappeared due to Imperial Japan’s coercive religion policy and oppression of education. At the center were religious leaders, with whom there were the spirit of our ancestors who thought about a free world for their descendants. Kumkangdaedo’s ‘Shinsa year Patriotic Struggle’ has historical value in that it embodies the national spirit and religiously inherits national consciousness by practicing nonviolent resistance as a religious leader. Also, because Kumkangdaedo’s Shinsa year Patriotic Struggle cultivated ascending spirits and the spirit of resistance to resist Imperial Japan by opposing to read the Imperial Subjects Narrative, resisting Imperial Japan’s New Subjects Policy, and writing the ‘Spirit and Morality Song’ and ‘Spring Song’ in our own words, this study is worthwhil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Kumkangdaedo practiced a nonviolent resistance movement culturally and morally as a religious leader. Based on these data, we will research and develop religious and cultural content to blossom into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public and expect the world to be enlightened with morality in the life of Anbinnakdo (安貧樂道;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Taoist way).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일본불교와의 통합을 거부하고 민족문화말살정책에 저항하다 탄압받은 금강대도 ‘신사사변’에 대한 문화콘텐츠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은 오랜 역사 속에서 서로 다른 이념으로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그러한 과정에서 연구된 사상들이 종교로 발전하여 서로 공존해 있다. 이렇게 많은 종교상황에서 종교 사이에 배타적 사고방식보다 타종교에 대한 이해와 화합을 위해서는 종교 간의 대중화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특히 종교문화는 인류 문명사에 있어 정신적인 근간을 이루고 있고 시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 발전을 해왔기 때문에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한국의 신종교들은 일제에 의한 조선후기사회의 몰락과 일제강점기의 민족정신고취와 독립을 희망하며 생겨났기 때문에 일본의 강압적인 종교정책과 교육의 탄압으로 모든 것이 해체되고 사라져갔다. 그 중심에는 종교지도자가 있었고 우리 후손들의 자유로운 세상을 생각하는 조상님들의 얼이 담겨있었다. 금강대도의 ‘신사사변’은 역사적으로 민족정기를 구현하고 종교지도자로서 비폭력 저항운동을 실천하여 종교적으로 민족의식을 계승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가치가 있다. 또한 황국신민화정책에 저항하여 황국신민서사 낭독을 반대하고 우리의 말과 글로 된 ‘흥기도덕가’ 와 ‘봄노래’를 저술하여 호연지기를 기르고 일제에 저항할 수 있는 기운을 길러줬기에 종교지도자로서 문화적⋅도덕적으로 비폭력 저항운동을 실천했다는 입장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종교문화콘텐츠를 연구하고 개발하여 대중의 정신문화에 꽃을 피우고 안빈락도(安貧樂道)의 삶에서 세상이 도덕으로 개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도산 안창호의 구국투쟁의 성격과 의미에 관한 연구

        오일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3

        민족의 정신적 선각자 안창호는 진실정신에 입각한 행동하는 양심가요, 행동하는 지성인이요, 행동하는 신앙인이었다. 그러했기에 그는 애국계몽운동가로서, 교육자로서, 정치가로서, 자주독립을 위한 구국투쟁사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혁명가의 한 사람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안창호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제국주의 시대에 나라를 잃게 된 것은 힘이 없었기 때문으로 간파하였다. 따라서 자주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힘을 길러야만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 힘이란 다름 아닌 단결과 통합을 의미하는 ‘통일’이었고, 이 ‘통일’을 강화하기 위해 한평생을 자주독립을 위한 구국투쟁에 불살랐다. 그는 자주독립의 방법을 결코 먼데서 찾지 않았다. 자신의 힘으로 쟁취한 독립이라야 영구히 지닐 수 있는 독립이라고 인식하였기에 자력을 발휘하는 길을 제시했다. 그 길의 시작은 개개인의 내적혁명, 즉 인격혁명에서부터라고 역설했다. 한마디로 안창호의 자주독립을 위한 구국투쟁 방안은 국민 개개인의 내면의 변화에서 시작하여 사회적․민족적 통합을 이루어 나가는 점진적인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안창호의 전 생애를 조망하며 그가 보인 구국투쟁 양상을 살펴본 다음, 그가 보여준 구국투쟁의 성격과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Ahn Changho, as a national hero, focused on honesty, conscience, and faith throughout his life. He played a crucial role in mass patriotic enlightenment, education, and political struggle toward independence of Korea.In Ahn's view point, Korean people lost their country because of the lack of 'power.' Therefore, they have to build up 'power' in order to be free from Japan's barbarious rule. He thought that the spark of Korean independence should start from inner revolution, namely mentality revolution, because Korean people get a unity by their own effort. In a word, Korea needs gradual change from personal growth to social and national unity. In this paper, first, we'll summarize the personal history of Ahn's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imperialist Japan. And then, we will analyz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is struggle.

      • KCI등재후보

        단재 신채호의 구국론

        황묘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2

        단재 신채호는 자주자강 애국계몽운동의 실천에 구국론의 근거를 두고 국권을 회복하여 근대국가를 수립하려면 민족주의와 자주정신을 바탕으로 한 애국자강, 민족교육․문명교육․상무교육을 통한 교육자강, 강국의 바탕이 되는 민족자본의 축적을 위한 실업자강을 실천하는 자주자강독립론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1910년 망명을 떠난 그는 보다 적극적이고 독립운동 방략으로 자신의 구국론을 선회하였고, 이후 만주, 중국 등지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며 활동하였다. 특히 1910년 일제에 의해 국권을 무력으로 강탈당하자 자강개혁을 통한 애국계몽 차원의 독립운동이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강력하고 실천적인 무장투쟁 구국론을 바탕으로 한 독립운동방안을 모색하여 갔다. 그리고 3‧1운동이 한국민의 자발적 항일의지로 폭발하여 거족적 민중항일투쟁으로써 국내외에 확산되어 가자 항일독립운동의 주체가 민중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후 3‧1운동에서 표출된 거대한 민중의 항일의지를 근간으로 한 민중주체 항일투쟁론을 정립시켜 나갔고, 의열단의 <조선혁명선언>의 집필을 계기로 무정부주의 사상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여 더욱 강력한 무장항일투쟁방략을 모색하였다. 그의 민중주체투쟁론은 파괴적이고 폭력적인 개별적 민중직접혁명론으로 진화되어 이는 1920년대 이후 그의 구국론의 핵심을 이루게 되었다. 이는 1920년대 이후 새로운 민족독립운동 방략의 한 축을 이루며 나라 잃은 민족의 분노를 민중 스스로 직접 분출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되어 주었으며, 민족의 현실적 생존을 구하기 위한 정당한 항일투쟁의 수단임을 분명하게 표출시켜 주었다. Shin Chae Ho claimed to regain the national sovereignty in order to establish a modern state based on nationalism and to practice patriotic spirit of the enlightenment. His thought of patriotic enlightenment such as the theory self-strengthening education, the theory refomation of confucianism, the theory of cultivation of national spirit, the view of modern nation, the theory of new citizen and so on which were stated in order to restore sovereignty in the country showed the clearest tone among several thought at the time, denying to compromise with Japanese government. But he thought need way of strong and independence movement, because Japanese invaded Korea by armed forces. Also, when 3.1 independence movement droke out, the mass of the people leaded an anti-Japanese struggle. Since then he groped new an independence movement practice by the mass of the Korean people. And he accepted anarchismm, he wanted to be unfold more powerful independence movement. This fact, since 1920 a new wa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mass of the people expressed their anger against Japan that was a direct way to a save the nation movement.

      • KCI등재후보

        현대중국 역사교과서의 청일전쟁 인식

        김지훈(Kim, Ji-Hoon) 효원사학회 2014 역사와 세계 Vol.- No.46

        The First Sino-Japanese War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cident for China`s early modern history. The Middle School`s Chinese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the People`s Education Press in 1956, mentions that the USA and Japan invaded Korea, and that under the support of USA, Japan staged war against China. It also says that, although the Qing troops fought bravely, Qing was defeated in the war because LiHongzhang (李鴻章) of the Qing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of selling the country and heavily depended on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published afte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the history textbook deleted the prior textbooks` statement that Joseon was a Chinese territory. The textbook, published in 1979, mentions that, from the viewpoint of struggle of classes, with regard to the Japanese aggression, the Qing government`s internal conflict and efforts to cope with the war were seen as negative, and that some troops` passive anti-war attitudes, some troops` patriotic anti-war movements, and other internal conflicts within China were explained in detail. The 1992 history textbook of Middle School gives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ctivities of Zuobaogui(左寶貴) and Dengshichang(鄧世昌) and other patriotic troops, but does not nearly describe figures who played negative roles in the war.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of Middle School simplified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Treaty of Shimonoseki into a structure of Japanese aggression vs. the anti-aggression struggle of patriotic troops and populace, and emphasized patriotism.

      • 제6장 105인 사건과 서대문형무소 연구

        양성숙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1

        서대문형무소는 일제의 식민지배 통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탄압기구로서 일제는 이곳을 통하여 한민족의 항일 독립운동을 억압하고 말살하려고 하였다. 즉 1908년 경성감옥으로 신축되어 문을 연 뒤 1945년 광복을 되찾기 까지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어 고문을 받으며 처형당했던 수난과 아픔의 현장이었다. 하지만 다른 의미에서 보면 서대문형무소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어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이룩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한 현장이기도 했다. 최초의 근대감옥인 서대문형무소의 개소와 함께 일제의 직접적인 개입이 시작되었고 감옥제도에 있어서 자주권이 상실되었다. 즉 조선의 전통적 제도가 종지부를 찍고 서구의 영향을 받은 일본 행형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식민지 행형이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애국지사가 전국적으로 궐기하고 항일의 열기가 넘치면서 무차별적인 체포와 투옥으로 감옥의 수용인원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일제 말 전국에는 형무소 17개소, 형무소지소 11개소를 운영하는 등 감옥을 계속 증설하였으나 항일 애국지사를 수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였다. 감옥의 수용 실태는 위생과 급식상태가 마치 짐승우리와 같았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수감 중 사망자가 속출하였다. 대부분의 감방은 햇빛과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어둡고 습기가 차 있는데다 용변시설을 짓지 않아 방안에서 변통을 사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감옥내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항일 애국지사들은 일제침략에 항거하여 감옥 내에서까지 처절한 투쟁을 전개했다. 특히 105인 사건은 일제가 허위 날조한 최대 규모의 한민족 탄압사건으로 여기에 연루되었던 700여명의 애국지사들이 훗날 항일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의 지도력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05인 사건과 관련하여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인물의 출신지별 분석 결과 총 105명 중 3명을 제외한 98%가 서북지방으로 지칭되는 평북·평남·황해도 출신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건의 발생지가 평북 선천이었다는 점에도 원인이 있다. 하지만 서구의 근대적 문명을 일찍 접할 수 있었고 기독교 등 새로운 사상과 신문화가 신속히 수용되어 근대사회로 급속히 진행될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지닌 서북지방의 항일세력을 제거시킬 목적에서 꾸며졌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105인 사건의 재판당시 연령별 현황을 보면 40세 이하가 총 105명 중 89명으로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젊은 층이 대거 관련된 것은 일제가 尹致昊·安泰國·梁起鐸·李昇薰 등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던 민족지도자들과 함께 미래의 항일 독립운동세력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닌 청년·학생층을 대거 관련시켜 탄압하려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어 형량별 현황을 보면 105인 사건 피의자들은 경성지방법원(1심)에서 105명 전원이 5년 이상의 중형을 받았다. 그러나 105인 전원 상고 결과 경성복심법원(2심)에서 6년 형 5명, 5년 형 1명, 무죄 99명으로, 1심 때 유죄판결을 받은 105인 중 94%가 무죄로 풀려났다. 이는 재판이 진행되면서 허위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가혹한 고문이 자행된 사실과 그로 이 사건 자체가 허위 날조된 것임이 명백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105인 사건으로 신민회의 애국계몽 운동가들은 아무런 잘못 ... Seodaemun Prison is a representative oppressive body built to more efficiently carry out Japanese colonial rule policies, through which the Japanese attempted to oppress and wipe out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time it was rebuilt as Gyeongseong Gamok in 1908 until the national independence in 1945, it has been a site of ordeals, and grief where a number of patriotic fighters were imprisoned and executed or tortured to death. In the meantim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Seodaemun Prison also served as a venue of spiritual revitalization as patriotic ancestors who fought for national independence overcame all the adversities after being imprisoned, and newly explored ways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in this place. With the opening of Seodaemun Prison which was the first modern prison of its kind, the Japanese invaders made a direct intervention, and as a result, the autonomy in prison system was deprived. Eventually, the traditional prison system of Chosun was put to an end, giving its way to the Japanese colonial execution system which had an influence of the West. In the meantime, the Event of 105 Patriots is the largest scale oppression incident ever that had been falsely fabricated by the Japanese aggressors. It also hold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patriotic fighters who were implicated in this incident grew to be leaders in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imprisoned figures related to the Event of 105 Patriots by each location shows that 98% of them(3 out of 105) were from northwestern provinces such as Pyungbuk Province, Pyungnam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his is partly because the Event was originated from Sunchon of Pyungbuk Province and also partly because the Japanese invaders fabricated the event in order to root out anti‐Japanese power in the northwestern provinces which had an outstanding geographical location to rapidly evolve into a modern society by being exposed early to modern civilization of the west speedily and by accepting new ideas such as Christianity and cultures. The age of the convicted at the time of the trial of the event was mostly below 40, taking up 85% (89 out of 105) of the total. The massive involvement of younger people in this event was the result of intended oppression by the Japanese against the youth and students who had huge potentials for becoming futur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powers together with relatively widely known national leaders such as Yoon, Chi‐ho, An, Tae‐guk, Yang, Gi‐tak, and Lee, Seong‐hoon. The record of prison term shows that all of the accused involved in the Event of 105 Patriots were given a heavy punishment with more than 5 years at the first instance by Gyeongseong District Court. However, all of them made an appeal to a Higher Court and 5 of them were given 6 year’s term, one of them, 5 year, and 99 of them proved to be not guilty. This means 94% of those who were convicted at the first instance of the trial were released with acquittal. This is because of the disclosure of Japanese fabrication in the course of the trial, as the accused made statements that they had been forced to make false confession due to ruthless tortures imposed on them during interrogation. However, the Event of 105 Patriots attributed to the unjust suffering of activists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of Sinminhoe with more than 6 years’ imprisonment by being falsely charged, and even ordinary members were ruthlessly tortured for 2 years, but later forcibly acquitted under the pressure of public opinion by in international communities. This event brought about a temporary suspension of activities by an underground organization, Sinminhoe and even affected overall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s within the country to the level of withdrawal or shrinkage. However, most of the patriotic fighters resumed their activities for sovereignty restor...

      • 대일항쟁기 한국인의 항일 독립전쟁사상 연구

        김승기 ( Kim Seung-gi ) 한국군사학회 2021 군사논단 Vol.10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formation process, contents,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of the anti-Japanese’ war of independence ideology of Koreans who had to restore the countrys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strength in the period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1894-1945). The period of study is from 1894, when the Japanese troops inflicted an upset, to 1920, when the Battle of Bongo-dong and the Battle of Cheongsan-ri occurred. The anti-Japanese Rightous Army struggle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ere the two pilla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power and salvation. The New People’s Society, Korean name ‘Shinminhoe’,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period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created the Anti-Japanese War of Independence Idea and the War of Independence Strategy’ by dialectically integrating conflicting two ideas, the anti-Japanese Rightous Army struggle idea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dea.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Shinminhoe made a remarkable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s anti-Japanese war of independence. The core content of the War of Independence Strategy of the New People’s Society is to locate an independent army base in the Manchuria area of Qing Dynasty, which is not covered by Japanese rule, and buy a certain area of land there to build a new Korean village. and establish some military schools to nurture independent army, establish independence army and train them, and seize the best opportunity and start a war of independence to achieve independence on their own. The New People’s Society led the movement to build an overseas independence base after Korea-Japan Consolidation Treaty,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of waging the war of independence of the Independence Army in Manchuria. In addition, a number of the New People’s Society executives participated in key position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dopted the Armed War of Independence Route as a government policy,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iberation of the motherland by guiding and controlling the Independence Army in Manchuria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 KCI등재

        이회영의 중국 망명생활과 독립운동

        김명섭(Kim, My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9

        이회영은 1919년 5월 상해에서 북경으로 돌아온 이래 6년 6개월동안 6번 이상 이사를 다니며 가난한 망명생활을 하였다. 북경에 머무는 동안 그는 극도의 가난을 겪었다. 이 기간 중 이회영은 류자명과 신채호 등과 교류하며 아나키즘 사상을 수용하였고, 다물단과 재중국무정부주의자연맹의 결성을 주도하여 아나키스트 독립운동의 방략을 세우는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아들과 딸이 친일밀정 김달하 처단사건에 연루되면서 가정의 큰 우환을 겪어야 했다. 이회영 일가는 1925년 11월 천진의 프랑스 조계지로 이주하여 1930년 12월까지 생활하였다. 이 와중에도 이회영은 최소 4번이상의 이사를 다니며 가난과 일제 감시 등 각종 곤란을 겪어야 했다. 그런 와중에도 그는 의열투쟁과 국제연대활동, 그리고 만주 독립기지 건설운동 등에 깊이 관여하였다. 이회영은 1926년 초 류자명으로부터 들여온 폭탄과 권총 등을 숨겨주어 나석주 의거가 가능하도록 도왔으며, 이 일로 인해 일본영사관의 추적을 피해 3개월 간 무전여행을 하며 극도로 곤란한 생활에 처하였다. 하지만 그는 국제연대 단체인 동방아나키스트연맹의 활동을 적극 후원하는 한편, 북만주의 신민부를 한족총연합회로 개편하여 독립기지를 건설하는 일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이회영과 아들 규창은 1930년 12월 천진에서 상해로 이주하였다. 이후 이회영은 비밀결사인 남화한인청년연맹과 항일구국연맹을 통해 의열투쟁과 만주 유격대 건설의 방략을 모색하였다. 항일구국연맹의 의장을 맡았던 이회영은 일제 기관의 파괴와 요인 암살, 항일선전문 배포 등의 활동을 펼쳤다. 1932년 4월 일제의 상해 점령과 윤봉길 의거로 더 이상 활동하기 힘든 상황에 처하자, 그는 동북항일의용군과의 연계를 통해 만주로 진출해 의열투쟁과 유격대 활동을 펼치려 하였다. 하지만 밀정의 신고로 인해 1932년 11월 17일경 대련의 여순감옥에서 고문으로 인해 절명하고 말았다. Since returning to Beijing from Shanghai in May 1919, Lee, Hui-young moved to the poor for more than six years in six years and six months. During his stay in Beijing, he suffered extreme poverty. During this period, Lee, Hui-young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Rye, Ja-Myung and Shin, Chae-ho, accepting the idea of anarchism, leading the formation of the Alliance and contributing to the strategy of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his son and daughter were involved in the prosecution case of the Japanese spy murder, and had to suffer a big family hurricane. In 1925, Lee, Hui-young moved to Tianjin, France concession, where he lived until December 1930. In the meantime, Lee, Hui-young moved at least four times and had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poverty and Japanese surveillance. In the meantime, he was deeply involved in the patriotic struggle,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anchurian Independent Base. In 1926, Lee helped the Na suk-ju, which led to extreme hardship in pursuit of the Japanese consulate. However, he actively sponsored the activities of the Orient Anarchist Federation, an international solidarity organization, and deeply involved in building an independent base in North Manchuria. Lee, Hui-young and his son migrated from Tianjin to Shanghai in December 1930. Lee then sought the struggle for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construction of the guerrilla army in Manchuria. Lee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destruction of Japanese public institutions, assassination of factors, and distribution of anti-Japanese propaganda. In April 1932, when he was in crisis due to the Occupation of Shanghai in Japanese army, he tried to advance into Manchuria and carry out the struggle for insurrection and guerrilla activities. However, due to whistle-blower, he was arrested on November 17, 1932, and was die for torture.

      • KCI등재

        한말 민족운동 연구성과와 과제

        이성우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study reviewed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researcher analyzed 55 papers and the topics were on Wijeongcheoksa Movement, Righteous Army Movement,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Patriotic Struggle, Jajeongsunkuk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Only 6.84 % of 55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re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and 26 of 55 papers were o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8 papers studi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one or two papers were published for 10 years. It is due to researchers who got their doctorate during 1980~90. They have dominated the academic circle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National Movement. This is why the publication rate of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went down after 2010. The Association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ed to consistently effort to nurture new scholars and seek for solutions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한국근현대사학회 학술지 ≪한국근현대사연구≫(1~99집)에 수록된 한말 민족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를 검토한 연구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55편이며 한말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 의병전쟁, 계몽운동, 의열투쟁, 자정순국, 국외독립운동과 관련된 연구이다. 의병연구는 가장 많은 26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의열순국투쟁(14편)·계몽운동(8편)·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5편)·국외독립운동(2편) 순이다. 한말 민족운동 논문은 전체 수록논문의 6.84% 정도로 현저하게 낮았으며, 연구주제는 의병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1980~90년대 박사학위를 받은연구자들이 학계를 주도하면서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축적되면서 신진연구자들이 한말 민족운동으로 연구주제를 선정하지않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이후 한말 민족운동 관련 논문의 게재율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도 이러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국근현대사학회는 신진연구자양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하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투고논문 : 의열투쟁(義烈鬪爭)의 문학적(文學的) 형상화(形象化) 『기려수필(騎驢隨筆)』

        김병건 ( Byung Geon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3

        『騎驢隨筆』은 獨立運動史의 ``列傳``이다. 이는 宋相燾가 韓末에 전국을 몸소 걸어 다니며 수집한 義烈活動의 事蹟이다. 그 특징은 첫째, ``列傳``의 형태와 성격을 가지고 있다. 둘째, 目睹耳聞에서 파생되는 생동감이 있다. 셋째, 대화체를 사용함으로써 상황이나 사실의 이해가 용이하고 독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즉 문학적으로 形象化 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재의 成敗 보다는 머지않아 국권을 회복하고 독립할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송상도가 그리고 있는 女性形象은 강건하고 비범하며 인상적이다. 이를 통하여 가장이 의열운동에 참가하여 가정이 파괴되는 사회문제에 대하여 희망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서술에 있어 生死, 幽顯, 身分, 男女, 成敗, 年齡, 地域, 思想, 宗敎, 國籍을 超越하여 항일 의열 항쟁을 목적으로 수행된 사적은 모두 立傳하였다. 특히 미천한 신분의 인물도 빠짐없이 수록하고자 하였다. 작은 명분을 떠나 민족적 자존심과 독립이라는 대의를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宋相燾는 사실의 기록에 있어 인물중심의 서술을 하였다. 그들의 대화를 생생히 기록하여 생사의 기로에 선 義烈士의 행적과 내면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미천한 자들을 위한 眞實의 記錄과 正當한 評價는 같은 처지의 자신이 수행해야 할 일이라는 使命感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이 때론 객관적 판단의 장애 요인이 된 점도 있다고 하겠다. The Mule-trip Essay has considered as just a historical document which is written during a travel around the trails independence activists had left riding a mule. This paper is rather focused on the literary part of it as biographies of historical figures in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manner, the Mule-trip Essay could be figured as three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first feature is that it has mainly been a biography. Even if it is called Essay, a writer itself considered and wrote it as biographies for a historical figures. Second, it has very lifelike atmosphere. Since a writer collect direct informations by riding mule instead of gathering hearsay, it has a truth-based and quite conductive impact to readers. The third feature is that it overcome typical boredom of historical documents by using various conversation skills. The contents of the Mule-trip Essay are quite distinguished, too. It pays attention to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Especially in Song Sangdo(宋相燾)`s, the female characters are very distinctive. There will be two viewpoints about these femal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as a good wife and a wise mother in Confucianism society and an independence activist against Japanese occupation toward Korea. Dealing with the spectrum of characters has also a quite extensive aspect, too. Yangban, the aristocrat of Korean society, and Chunmin, the bottom class of the society are handled almost equally in the Mule-trip Essay notably In Song Sando`s, despite most document`s tendency at that time toward only a ruling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