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적 관리와 조직경계 네트워크 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하현,나태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1 行政論叢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v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hybrid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study used data from Workplace Panel Surveys in 2005 and 2007.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ory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perceived performance. However, network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ly on perceived performance. The research also finds that participatory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private organizations, but only on perceived performance in hybrid organizations. Network management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management only in private organizations. Hybrid organizations show no significant results in network management.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extent of the effects of managerial methods differ between hybrid and private organizations. 본 연구는 혼합조직과 민간조직을 대상으로 참여적 관리와 조직경계 네트워크 관리가 조직의 재정적·인식적 성과를 실제로 향상시키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업체 패널 데이터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참여적 관리를 적극적으로 실시할수록 조직의 재정적·인식적 성과가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조직경계 네트워크 관리는 조직의 인식적인 성과에서만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민간조직에서는 참여적 관리가 재정적·인식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갖지만 혼합조직에서는 인식적 성과에서만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네트워크 관리는 민간조직의 인식적 성과에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며 혼합조직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재정적·인식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영향이 민간조직과 혼합조직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 Near Miss 사고 예방 활동과 환자안전관리 문화형성이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장호석,이귀원,Chang, Ho-Suk,Lee, Gui-Wo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2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도 변함없이 의료기관들은 환자 안전관리 부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환자안전관리는 사후관리와 처벌이 강조된 프로세스들로 조직원들의 참여성이 결여된 문제를 보이고 있다. 본원 핵의학과 에서는 참여형 니어미스 사고예방 활동을 시행하여 환자안전사고에 사전관리를 시작하고 사고보고에 따른 불이익이 없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니어미스 감소 와 환자안전사고 제로화를 목적으로 본 연구을 시작하였다. 또한 핵의학과만의 차별화된 환자안전관리System구축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팀원들의 과거 니어미스 및 현재 발생되고 있는 니어미스와 사고 사례수집(1차 자료수집). 2. 설문을 통해 중요도, 긴급도를 파악하고 니어미스 및 사고사례를 정량화(2차 자료수집). 3. 자료 분석을 통한 중요 접점 파악과 사고 사례 정량화. 4. 중요 접점 부분에 대한 매뉴얼 제작과 표준화, 오류방지를 위한 참여형 개선활동 시행. 5. 니어미스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웹 기반 커뮤니티 활동. 6. 설문과 FGI를 통해 활동 전후 평가 시행. 1) 비계량적이었던 핵의학과 내 안전사고 및 니어미스를 계량화(월 50여 회의 니어미스와 년 1건의 안전사고발생) 2) 계량화된 데이터를 통해 개선방안을 수립(0여건의 참여형 개선활동, 프로세스 개선, 표준화를 위한 약속 매뉴얼 제작) 3) 안전문화 시스템을 형성하고 팀원들의 높은 관여도를 형성.(보고체계구축, 체크리스트 제작, 안전문화 슬로건 제작, 평가 인덱스 구축) 4) 니어미스 및 사고 사례를 공유하고 반면교사로 삼기 위한 커뮤니티 개설. 5) 활동 전후 니어미스 발생률은 50% 감소 하였고 안전사고 제로. 핵의학과의 최고의 서비스는 환자안전이 보장된 양질의 검사와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참여형 개선활동으로 니어미스사고를 예방하고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니어미스 발생 사례는 50% 줄었으며 안전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환자안전사고의 사전관리란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또한 불이익이 없는 사고보고체계도 마련하여 솔직하게 보고하고 인정하는 문화도 만든 계기가 되었다. 기본에 충실한 뛰어난 시스템은 환자에게 제공되는 최고의 서비스이며 형성된 안전문화 시스템은 결국 고객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원 핵의학과 에서는 마련된 시스템을 정착하고 안정시켜 차별화된 환자안전문화를 형성해 나가고자 한다. Purpose: Despite the rapidly changing healthcare environment, healthcare organization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But patient safety management has the problem of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members due to the process of focusing on the follow-up service and punishment.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in Uijeongbu St. Mary's Hospital started this research to reduce the near miss and prevent patient safety accidents by both initiating the participatory near-miss-proof activities as an advance management and constructing a system without disadvantages of report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pat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Materials and Methods: 1. Colleting cases of team members' past and present near miss and accidents(First data collection). 2. Quantifying the cases of near miss and accidents after identify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urgency through surveys(Second data collection). 3. Quantifying cases and indentifying important points of contact through data analysis. 4. Making and standardizing a manual for important points of contact, and initiating participatory activities to prevent errors. 5. Activating web-based community for establishing the report system of near miss. 6. Estimating the result of before and after activities through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1) Quantified safety accidents and near miss in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bout 50 near misses a month and one safety accident a year. 2) Establishing improvement measurements based on quantified data. About 11 participatory activities, the improvement of process, a manual for standardization. 3) Creating a system of safety culture and high participation rate of team members. Constructing a report system, making a check list and a slogan for safety culture, and establishing assessment index. 4) Activating communities for sharing the information of cases of near misses and accidents. 5) As the result of activities, the rate of near miss occurrence declined by 50% and the safety accident did not happen. Conclusion: The best service in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is to provide patients with safety-guaranteed high-quality examination and cure.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question, 'what is the most faithful-to-the-basics way to provide the best service for patients?' and team members' common answer for this question was building a system with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Building a system through the participatory improvement activities for preventing near miss and creating safety culture resulted in the 50% decline of near miss occurrence and no accident. This is a meaningful result from the perspective of advance management for patient safety. Moreover, this research paved the way for creating a culture to report and admit near miss or accidents by establishing a report system with no disadvantage of reporting. The system which sticks to the basics is the best service for patients and will form a patient safety culture system, which will lead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all members of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will develop a differentiated patient safety culture with stabilizing the established system.

      • KCI등재

        주민참여 관리방식과 적극행정이 제도의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김윤승,전성만 한국국정관리학회 2023 현대사회와 행정 Vol.33 No.3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에 참여하는 A 광역시 공무원과 주민참여예산위원을 대상으로 적극행정을 포함한 주민참여 관리방식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정책효과의 관계에 대해 양적 및 질적연구의 혼합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지방정부의 주민참여 관리 및 정책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또한, 제도화된 적극행정의 경우 학술적 논의가 최근에야 활발해지기 시작하여 제도 및 개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빈번하게 수행되었으나 적극행정이 정책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적극행정은 공익실현을 목적으로 공무원의 전문성과 창의성을 통해 적극적 업무수행을 특징으로 하므로 공무원의 주민참여에 대한 적극적 협조 및 지원을 통해 주민참여예산 제도에서 지향하는 정부-주민 간 협력 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주민참여 관리방식이 성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는 공무원과 주민참여예산위원 사이에서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주민참여예산위원과 공무원 집단에서 모두 적극행정과 재량권이 주민참여예산제도 성과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공무원의 재량권의 경우 주민참여예산위원 집단에서만 제도의 성과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 주민참여 관리방식의 경우 주민참여예산위원 집단에서 주민참여 가능성, 정보교환, 주민역량보완, 교육, 주민 지지 구축이 성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공무원의 경우 주민역량보완과 교육 지원방식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참여예산 정책효과 제고를 위한 정부의 주민참여 관리방식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methods, including proactive public administration, and expected performance by participatory budgeting in a metropolitan city by mixed methods research. Few study has been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and policy effect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ncludes proactive public administration as a method for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Proactive administration is more likely to induce the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between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s as a goal of participatory budgeting because proactive public administration features implementing policies with the expertise and creativity of public officials for the public intere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method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participatory budgeting.

      • KCI등재

        지속가능한 해안관광에서 웹기반 참여형 GIS 정보의 역할에 관한 연구 -미국 위스콘신 주 해안관리프로그램(WCMP)을 사례로-

        윤병국 ( Byeong Kug Yoon ),김진원 ( Jin Won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2

        Great attention has been shown to participatory coastal management as a means for sustainable coastal tourism. In addition, access to information is a key prerequisite in order for successful participatory coastal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role of information in participatory coastal management. Arnsteins model, ladder of participation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re employed to support the argu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till challenges such as (1) the difficulty of coastal research, (2) poor awarenes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3) the lack of information delivery system during the periods of information access. Geography has focused on integrated approaches regarding coastal areas with advanced information systems. In particular, web-based public particip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PGIS) can play central role in delivering coast-related information for successful participatory coastal management. This study demonstrates one such application of web-based PPGIS with a case example of Wisconsin Coastal Management Program (WCMP).

      • KCI등재

        국민참여형 국유림경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조사

        이관희,이남정,유리화,김동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6

        본 연구는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분석을 위하여 산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또 한 선행 연구에서 자료가 미비한 일반국민의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참여 산림경영의 문제점으로 개인, 기업, 그리고 시민단체는 대부분 정부의 다양한 정보제 공과 권유의 부족, 제도의 불안정을 지적하였으며, 정부는 일반국민들의 무관심과 복잡한 법률체계 등 을 지적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일반국민 총 1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주간 2차례 실시하였고, 설문 문항은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 참여 의향, 참여 형태, 참여단계, 일반국민·기업·시민단체 의 국유림 경영사업 참여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 총 16문항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러 이해당 사자의 국유림 경영 참여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무관심(29.5%)’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기업의 경우는‘자사 이기주의(31.5%)’, 시민단체의 경우는‘전문성 결여(32.9%)’가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으며, 여러 이해당사자의 효율적인 국유림 경영 참여 방안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대 국민 국유림 경영 관련 정보 제공(30.0%)’이, 기업의 경우‘협력시스템 구축(26.0%)’이, 시민단체의 경 우‘시민단체의 전문자문/세미나 활성화(32.9%)’가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In this study, awareness analysis on national forest participatory managem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conduct of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forest particip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an awareness survey. Awareness on national forest participatory managem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conduct of two surveys of a total of 150 respondents consisting of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in April 2015.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16 questions, included questions on: respondent’s awareness about national forest participatory management; willingness to participate; participation forms; participation stages; and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involvement of the general public, businesses and civic organizations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problems in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are: ‘apathy’ (29.5%) for the general public, ‘selfishness’ (31.5%) for businesses, and ‘lack of expertise’ (32.9%) for the civic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measures for the effective involvement of stakeholders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both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 groups identified the following: ‘provis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related information nationwide’ (30.0%) for the general public;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26.0%) for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specialist advisory/seminar activation’ (32.9%) for civic organizations. The result trends for the problems and measures are similar for both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강원도 5개 시・군을 중심으로

        장노순,정성호,유호선 한국지방재정학회 2012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7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NOVA of the recognition on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By studying fiv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do through a survey by three groups which are members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public servants, and local council members, we have obtained the three findings. Above all, the three group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level of local autonomy. Second, they a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budget allocations and openness of budget information except basic information. Finally,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recognition of administrative and fiscal management.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it shows that public servants concern weakness of both the local administrative power and the council’s right to deliberate more strongly than council memb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NOVA of the recognition on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By studying fiv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do through a survey by three groups which are members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public servants, and local council members, we have obtained the three findings. Above all, the three group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level of local autonomy. Second, they a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budget allocations and openness of budget information except basic information. Finally,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recognition of administrative and fiscal management.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it shows that public servants concern weakness of both the local administrative power and the council’s right to deliberate more strongly than council members.

      • KCI등재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ase study of Daejisan in Korea

        Kim, Jae Hyun,Park, Mi Sun,Tae, Yoo Lee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200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5 No.2

        Citizen's involvement in forest decision-making is recently acknowledged as a potential solution to forest management conflicts. Through participation, affected citizens become a part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use of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CPM) for urban forest management. The model, which is exemplified by the Daejisan case in Yongin-si, Gyeonggi-do, Korea, utilizes the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the gradual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forest management. As a result, the committee in the model contributed to building partnerships among different interest groups and then to constructing environmentally compatible urban park. Furthermore, an improvement in the levels of resident participation was manifested in the process. These characteristics of CPM can encourag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realizing sustainable urban forest management.

      • KCI등재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ase study of Daejisan in Korea

        김재현,박미선,태유리 한국산림과학회 200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5 No.2

        Citizen’s involvement in forest decision-making is recently acknowledged as a potential solutionto forest management conflicts. Through participation, affected citizens become a part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use of co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CPM) for urbanKorea, utilizes the colaborative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the gradual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inurban forest management. As a result, the comittee in the model contributed to building partnerships amongdiferent interest groups and then to constructing environmentaly compatible urban park. Furthermore, animprovement in the levels of resident participation was manifested in the process. These characteristics ofCPM can encourag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realizingsustainable urban forest management.

      • KCI등재

        참여적 작업관행, 현장관리자의 역할, 조직성과

        김동배(Dong-Bae Kim),류성민(Seong-Min Ryu)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經營硏究 Vol.24 No.4

        참여적 작업관행이 현장관리자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적 작업관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별개 분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 부류의 연구를 결합하여 참여적 작업관행이 현장관리자의 개발업무비중 증가를 낳고 이는 다시 조직성과를 높인다는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83개의 사업체 및 849명의 현장관리자 표본으로 구성된 한국노동연구원(2008)의 “노무관리부문의 역할 및 역량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참여적 작업관행, 현장관리자의 역할,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노동조합과 연구개발 집약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적 작업관행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현장관리자의 개발업무 비중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조건에서 이러한 관계가 강하게 또는 약하게 나타날 것인가와 관련해서 조절변인을 분석한 결과 노동조합은 현장관리자의 개발업무 비중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반면, 지식집약도의 지표인 연구개발 집약도는 참여적 작업관행과 현장관리자의 개발업무 비중을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earchers have studied separately about the impact of participatory work practices on the shop floor manager's role and about the impact of participatory work practic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ntegrating two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ed effect that participatory work practices improve shop floor manager's development role and then shop floor manager's development role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ed effects by union and R&D intensity using a sample of 283 companies and 849 shop floor manager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participatory work practices are indirec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shop floor manager's role. Results of study also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 floor manager's development rol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moderated positively by union,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ory work practices and shop floor manager's development role is moderated negatively by R&D intensit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