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최윤경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and rumination on depression. One hundred and seventy-ni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for autobiographical memory(Autobiographical Memory Test) and also a completed self-report measure of depression(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rumination(Ruminative Response Scale). As the subtype of overgeneral memory might have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on, overgeneral memories were distinguished as categoric and extended memories, as positive cues and negative cues memori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by applying a personality vulnerability hypothesis(Beck, 1993), overgeneral memories were distinguished as interpersonal and achievement-failure memories. After reviewing the relevance between variables using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overgeneral memory and rumin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Particularly, categoric memory, extended memory, negative cues memory, and achievement-failure memory were significant. In the interaction with rumination along with categoric memory and achievement-failure memory were significant. That is, high rumination and categoric memory, achievement-failure memor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gnitive intervention on depression. Finally, the limit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escribed.

      • KCI등재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중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해정,김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pression in middle-age individuals. This study addressed how the process of autobiographical memory is related to middle-age depress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memory. Based on previous findings indicating that rumination has differential effects on depression, two aspects of rumination, brooding and pondering, were explored for their effects on depression. Data were obtained from 259 middle-age individuals and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generalized autobiographical memory, negative emotional memory, and brooding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while positive emotional memory and pondering did not. This suggests that overgeneralized memory and rumination that focuses passively on negative information and emotions can worsen middle-age depress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evention and cognitive intervention for middle-age depression, and study limitations and addition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적 기억과 중년기 우울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자전적 기억의 처리 방식과 우울의 관계, 나아가 자전적 기억 중 긍정정서 기억 그리고 부정정서 기억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반추의 두 측면인 반추와 숙고가 우울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반추와 숙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탐색하였다. 259명의 중년기 성인의 응답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자료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부정정서 기억, 반추의 하위요인인 반추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 가능성을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긍정정서 기억과 숙고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는 중년기 성인에게 있어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 그리고 부정적인 정보와 정서에 수동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반추적 사고 경향이 중년기 우울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중년기 우울 예방과 대처에 대한 인지적 개입의 측면에서 논의되었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외상 경험 및 우울과 자서전적 기억의 일반화

        도상금,최진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2

        Recent studies found that depressed individuals had overgeneral memories to positive and negative cues. This study investigated overgeneral memory in depressed individuals and examined the Williams'(1996) hypothesis that this could mediated by childhood trauma. We assessed the autobiographical memory, clinical traits, such as, depression, history of childhood physical or sexual abus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Results support the general hypothesis that individuals with high depression scores reported more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negative episodes. Subjects who reported childhood physical or sexual abuse also produced more overgeneral memories in negative autobiographical memories. When levels of depression was controlled, abuse history showed few association with negative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addition, subjects with abuse history ha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y. They also employed wish-fulfilling fantasy strategies to stress.

      • KCI등재후보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집단에서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박현,신현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focused attention on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AM) in depressive person through experiment. Overgeneral AM was classified as extended descriptions and categorical descriptions. The subjects(n=79) were divided into the depressive group and non-depressive group based on self-report measure of depression(BDI) scores and the participants of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distracted group. Each group was manipulated in self-focused attention or distraction. Overgeneral AM were measured pre-and post-manip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general AM was increased more in depressive group than non-depressive group and the increased overgenerality in depressive group was attributable to the excess of categoric descriptions. And extended memory was not significant in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distracted group. This study has proved experimentally the relation of self-focused attention,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Finally,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도된 자기초점주의가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고, 일반화 기억을 범주기억과 연장기억으로 나누어 자서전적 기억 변화의 구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BDI를 실시하여 우울집단 40명과 비우울집단 39명을 선정하였고, 각 집단 내에서 자기초점조건과 주의분산조건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처치 전후에 각각 제시된 단어를 단서로 하여 자서전적 기억을 작성하였고. 처치조작은 지시에 따라 주의를 집중하도록 요구되었으며, 처치조작 설문으로 조작점검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초점조건에서 처치 후 우울집단의 일반기억이 증가하여 자기초점주의로 인한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가 확인되었고, 비우울집단에 비해 그 증가량이 높았다. 또한 기억의 세부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이러한 변화는 연장기억이 아닌 범주기억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장기억의 변화량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범주기억은 처치후 우울집단과 비우울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량을 보였으며, 비우울집단에 비해 우울집단에서 더욱 큰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 생성적 추론 양식과 과일반 기억 및 우울 증상의 관계: 자기 기능의 조절된 매개 효과

        한시온,이종환,임종민,장문선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4

        본 연구는 우울 생성적 추론 양식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에서 과일반 기억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또 과일반 기억과 우울 증상 사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으로 자기 기능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후,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사 참여에 동의한 98명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검사(AMT)와 주제통각검사(TAT)를 활용한 SCORS-G 평정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기억의 과일반 정도와 자기 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생성적 추론 양식이 높을수록 과일반 기억 수준이 높아지고 이는 우울 증상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울 생성적 추론 양식이 과일반 기억을 거쳐 우울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 기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자기 기능이 높은 조건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일반 기억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자기 기능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overgeneral memory in the connection between depressogenic inferential styles and depressive symptoms.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self functioning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general memory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o test the effect of moderated mediation. A total of 188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Cognitive Style Questionnaire(CSQ)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From the 98 participants who agreed to take part, the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est(AMT) and the SCORS-G assessment, which utilized the Thematic Apperception Test(TAT),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memory overgenerality and self functionings. The findings reveal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higher levels of depressogenic inferential styles and overgeneral memory, which in turn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Moreover, it was found that self functionings moderated mediating effec, whereby the pathway linking depressogenic inferential styles to depressive symptoms through overgeneral was significant, except in the high self functionings condition. These results are noteworthy as they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self functioning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general memory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아동기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 자전적 기억 과일반화의 매개효과

        정한별,심은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and type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on the relation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 online-based autobiographical memory test and survey were conducted April to June 2021 and data from 130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 showed that group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howed a higher level of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than those experiencing low level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types were categorized into abuse (n=22), general trauma (n=8), multi-type trauma (n=44), and non-experience (n=23), and one-way ANOVA and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type trauma group had a difficulty recalling specific memories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 adverse experience. Finally, PROCESS Macro analysis indicated tha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were related to high levels of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which in turn, was related to high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may mitiga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individuals with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 경험 수준 및 유형에 따른 자전적 기억 과일반화의 차이를 확인하고, 자전적 기억 과일반화가 아동기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2021년 4월부터 6월까지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자전적 기억 검사 및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1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자전적 기억 과일반화 수준은 아동기 외상 경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았다. 또한 아동기 외상 경험 유형을 학대(n=22), 일반외상(n=8), 중복외상(n=44), 비 경험(n=23)으로 구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복외상 집단이 비 경험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특정 기억 회상의 어려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를 통한 매개 효과 검증 결과, 아동기 외상 경험은 높은 자전적 기억 과일반화 수준과 관계가 있었고, 이는 높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전적 기억 과일반화를 감소시키는 개입이 아동기 외상 경험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완화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우울한 사람들의 과일반화 기억 : 우울 전 외상경험 유무, 우울의 부정적 기분과 기능적 결함에 따른 차이

        이민재(Minjae Lee),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과일반화 기억은 우울과 외상 경험자들에게서 발견되는 기억 특징으로, 우울장애를 포함한 심리장애의 취약성 요인이 되며 일상생활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나 사회기술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 집단과 우울 전 외상경험 집단이 과일반화 기억에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우울 증상의 부정적 기분과 기능적 결함 수준에 따라 과일반화 기억에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월 3일부터 2018년 4월 6일까지 만 18세 이상의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실험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대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우울 역학 척도(K-CESD-R)과 외상 체크리스트를 시행하였다. 설문지 응답 후 실험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 우울 집단, 우울 전 외상 집단을 구성하였다. 총 120명이 실험 참여를 위해 방문하였으며, 실험 시기에는 K-WAIS-IV의 숫자 소검사(DS)와 자서전적 기억 검사(AMT)를 수행하였다. 총 96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 집단에 비해 우울 집단과 우울 전 외상경험 집단이 긍정 단어, 중립 단어, 부정 단어 자극에서 과일반화된 자서전적 기억을 보고했다. 그러나 우울 집단과 우울 전 외상경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높은 부정적 기분 집단이 낮은 부정적 기분 집단에 비해 긍정 단어와 부정 단어 자극에서 과일반화된 자서전적 기억을 보고하였고, 높은 기능적 결함 집단은 낮은 기능적 결함 집단에 비해 모든 단어 자극에서 과일반화된 자서전적 기억을 나타냈다. Overgeneral memory(OGM) is known as a trait marker in depression, also well-seracehd in trauma. OGM is a vulnerability factor for psychological disorder, including depression, and related to poor problem-solving and social ski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OGM in a sample of depressed populations with or without history of trauma, and negative mood(NM) and functional impairment(FI). To confirm it, 571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reponsed the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here K-CESD-R(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and the Check List of Trauma event. Overall, 120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phase, and completed DS(digit span) in K-WAIS-IV and AMT(Autobiographical Memory Task). Three groups were constructed by the symptoms: Control group, Depressed group, Trauma before depression group. 96 participants’ reponses were analyzed. Following results were reported. Depressed group and Trauma before depression group represented significant OGM in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cue words compared to Control group. High NM group represented significant OGM in positive and negative cue words compared to low NM group. High FI group represented significant OGM in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cue words, compared to low FI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