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TO TRIPS 협정상 비위반제소의 적용에 대한 검토

        정명현 ( Myung Hyun Chung ) 안암법학회 2013 안암 법학 Vol.0 No.42

        Agreement on Trade 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RIPS) has been adopted as an Annex to the WTO Agreement in 1994, to establish the minimum standard on the level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to introduce provisions related to domestic procedures and remedy for the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o include applicable regulations of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where a Member violates TRIPS obligations. Article 64.3 of the TRIPS Agreement required the Council to examine the scope and modalities for complai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under Article XXIII:1(b) and (c) of GATT 1994 made pursuant to the TRIPS Agreement (so-called "non-violation and situation complaints") and make recommendations to the General Council. In 2001, Doha Ministerial Conference addressed the issue in its Decision on Implementation-Related Issues and Concerns that the TRIPS Council is directed to continue its examination of the scope and modalities for complai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under subparagraphs 1(b) and 1(c) of Article XXIII of GATT 1994 and make recommendations to the Fifth Session of the Ministerial Conference, and Members will not initiate such complaints under the TRIPS Agreement. Members subsequently extended the moratorium at the 2005 Hong Kong Ministerial Conference, at the 2009 Geneva Ministerial Conference, and most recently at the 2011 Geneva Ministerial Conference. The view has been expressed that non-violation nullification and impairment (the "nonviolation remedy") has an exceptional character. The Panel in Japan - Film considered that the non-violation remedy should be approached with caution and should remain an exceptional remedy. The view has been expressed that non-violation complaints could only succeed under the TRIPS Agreement in a very limited number of cases. It has been argued that neither the existence of safeguards nor the limited number of cases is relevant to the question whether non-violation complaints should be admissible in the TRIPS context and, if so, on what conditions and within what limi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xceptional character of the remedy could have a bearing on the scope of non-violation complaints entertained under the TRIPS Agreement. The issue of the purpose of the non-violation remedy and whether it is necessary or desirable in the TRIPS context has been discussed. Much of the substantive discussion of this item concerned the essential elements of a nonviolation claim. Certain issues of procedure and remedy have also been raised. Paragraph 1(b) of Article XXIII of GATT 1994 refers to the nullification or impairment of a benefit accruing to a Member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an agreement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by another Member of any measure, whether or not it conflicts with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Article 26.1 of the DSU requires the complaining party in such cases to present a detailed justification in support of its complaint and that, to remedy a case of non-violation, there is no obligation to withdraw the measure. Article XXIII:1(b) of the GATT 1994 provides that a complaint under that provision must concern the application by another Member of any measure, whether or not it conflicts with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The question of what type of measures could give rise to a non-violation complaint in the TRIPS area has been also discussed. Article 26.1(a) of the DSU stipulates that in non-violation cases the burden of proof falls on the complaining party and that the complaining party has to submit a detailed justification substantiating the case. DSU also provides that where there is a finding of non-violation nullification and impairment there is no obligation to withdraw the measure. All that can be recommended to remedy non-violation nullification and impairment is an adjustment in the balance of interest. In this regard DSU stated that compensation may be part of a mutually satisfactory adjustment. With regard to action to be taken by the Council in this matter the following proposals have been made: there should be no weakening of the rights or obligations of Members by nonviolation complaints under the TRIPS Agreement, the development perspective need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incipal aim of the inclusion or introduction of this sort of provision was not to sanction WTO Members but to give predictability in order to prevent Members from nullifying or impairing the interests of other Members, the scope of the non-violation remedy should be carefully and narrowly defined, and the application of nonviolation complaints should not undermine sovereign rights to legislate or regulate for various valid legal, economic and development reasons; should not change the balance of the TRIPS Agreement, nor should it result in new responsibilities that had not been negotiated, and should not result in impediments towards the use of legitimate measures under the TRIPS Agreement.

      • KCI등재

        국제법상의 ‘非拘束的 合意’

        박배근(Park Pae Keun) 국제법평론회 2005 국제법평론 Vol.0 No.22

        국가간의 비구속적 합의는 이른바 ‘소프트 로’의 한 형태로서 국제사회에서 규범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1969년 비엔나 조약법협약상의 조약의 정의는, 국가간의 문서로 된 모든 명시적 합의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에 해당되며 비구속적 합의는 존재할 수 없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국가간의 비구속적 합의를 금지하는 국제법규칙은 존재하지 않으며, 경험적 사실에 의하더라도 국가는 여러 이유에서 비구속적 합의를 체결하므로 국가간의 명시적인 비구속적 합의는 존재할 수 없다는 주장은 타당하지 못하다. 비구속적 합의가 법적 구속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은 합의 주체의 의사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어떤 합의를 비구속적으로 만드는 국가의 의사는 비구속적 합의의 본문에 명시된 경우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합의에 부여된 명칭, 본문에 사용된 표현 등은 일반적으로 어떤 합의를 조약으로 할 것인지 비구속적 합의로 할 것인지에 관한 당사국의 의사를 추정하는 상당한 근거가 될 수 있지만, 절대적인 근거는 될 수 없다. 그 밖에도 서명이나 비준, 등록 또는 국내적 공포와 같은 지표들도 합의의 구속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비구속적 합의는 국가적 규율을 요구하는 문제에 대하여 조약에 비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조약으로 규율하기 힘든 문제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고 또 비밀성이 보장된다는 점 때문에 국가들에 의하여 선택되고 이용되는 합의 형식이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비구속적 합의는 그 준수가 경시되고 국내적인 이행을 위한 조치가 미비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 만약 비구속적 합의가 국민의 재정부담이나 권리ㆍ의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에는 행정부의 대외 약속에 대한 민주적 통제라는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위험도 있다. 비구속적 합의의 위반은 국가책임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법심사 적합성도 일반적으로 결여하지만, 신의성실의 원칙으로부터 도출되는 금반언의 효과, 국내문제의 항변을 저지하는 등의 법적 효과가 인정된다. It is pointed out by many authors that the so-called non-binding agreements concluded between States exist and fulfil certain functions of norm in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the expression used to define treaty in the 1969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seems to cause some misunderstanding concerning the existence of non-binding agreements as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every explicit agreement between States is a treaty. Arguments based upon this impression are unsustainable as there is no such a rule of international law which prohibits States from concluding non-binding agreements. Experiences in the current diplomacy also evidence that many non-binding agreements are concluded and made use of for various reasons. What makes non-binding agreements devoid of legally binding force are intentions of the contracting parties of the agreements. Such intentions of the parties to make a certain agreement as non-binding are most explicitly expressed when they are provided in the texts of agreements. In addition, title of an agreement and typical expressions in the text also may be used as a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an agreement is binding one or not. Similarly, signature, ratification, registration, domestic publication of an agreement may be used in judging binding force of it. Non-binding agreement is being chosen as a form of agreement between States for the following reasons: promptness and convenience in responding certain problems; flexibility in treating subjects which are hard to be handled by treaties; confidentiality. These reasons for the utilization of non-binding agreement engenders some dangers. The most serious one is the danger that democratic domestic control may not reach to it. Noncompliance of a non-binding agreement does not impose legal responsibility upon the noncomplying State, as it is legally non-binding. At the same time, generally the problems caused by a noncompliance of a non-binding agreement are not pertinent to the settlement by judicial trial. However, when States conclude non-binding agreements, they are estopped from taking action contradictory to their commitment under the agreements. They also cannot raise the protest of domestic jurisdiction against complaint of non-compliance by other parties to the agreements.

      • KCI등재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한 채권양도의 효력

        김윤종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3

        Article 449 of the Civil Act proclaims under Parag. (1) that a claim may be assigned; the main text of Parag. (2) of the said Article states that a claim “shall not be assigned” against the parties’ declaration of a contrary intention and stipulates in the proviso that such declaration of intention “cannot be set up against a third person acting in good faith.” As regards the validity of assignment of claims made in violation of a non-assignment agreement,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a majority of academic researchers have held that the assignment of claims made in violation of a non-assignment agreement is, by and large, null and void because a claim loses assignability when there is a non-assignment agreement (“in rem effect theory”). On the other hand, a contrary view, which gains traction, suggests that a non-assignment agreement is an agreement under which a creditor is prohibited from assigning a claim, and that violation of a non-assignment agreement does not nullify the validity of assignment of claims towards the rest of the parties concerned, except in the relationship with an obligor (“in personam effect theory”).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the validity of assignment of claims in a case where the contractor of a construction agreement assigned a claim for construction payment to the subcontractor company in violation of a non-assignment clause. In today’s society where a socioeconomic shift has weakened personal ties between debtor and creditor in a relationship involving monetary claims, there is an increased need for stressing the nature of a claim as property and assignability of a claim.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as the in personam effect theory is gaining ground in legislative practic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n personam effect theory is tenable under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49(2) of the Korean Civil Ac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bject case maintained the legal doctrine upheld by previous rulings that the assignment of claims made in violation of a non-assignment clause does not have legal effect of a valid assignment if the assignee was acting in bad faith or negligent. Such legal doctrine is based on the following rationale: (a) the main text of Article 449(2) of the Civil Act states that a claim “shall not be assigned” where there is a non-assignment clause, indicating that a claim loses assignability by a non-assignment clause; (b) premised on the idea that the assignment of a claim made in violation of a non-assignment clause is null and void, a reasonable way to understand the proviso of Parag. (2) is that the nullity of such assignment cannot be set up against a third person acting in good faith for the sake of safety of transactions; and (c) this understanding is in congruence with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 nominative claim. The gist of the rationale of the subject case is as follows. In rem relationship is subject to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freedom of contract as opposed to the numerus clausus principle, and a non-assignment clause forms the substance and nature of the claim in question; the legal effect that extinguishes assignability of a claim should thus be respected. In particular, the Civil Act sets forth a separate provision regulating a non-assignment clause with the intention to ensure that the validity of a non-assignment clause extends to not only parties to the contract but also the third parties. The allowance of a seizure or assignment order against claims with a non-assignment agreement is a reflexive result of the enumerative stipulation of properties to be exempted from seizure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without reference to the legal nature of a non-assignment agreement.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case that acquisition of a claim is valid in a case where an assignee is acting in bad faith whereas a subsequent purchaser is act... 민법 제449조는 제1항에서 채권의 양도성을 선언하고 제2항 본문에서 당사자가 반대의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이를 ‘양도하지 못한다.’고 하면서 단서에서 그와 같은 의사표시로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고 규정한다. 이러한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하여 이루어진 채권양도의 효력에 관하여, 기존 대법원 판례와 학계의 다수 견해는 양도금지특약이 있으면 해당 채권은 양도성을 상실하게 되므로 특약을 위반한 채권양도는 원칙적으로 무효라는 입장이다(물권적 효력설). 반면 양도금지특약은 당사자 사이에서 채권자가 채권을 양도하지 않을 의무를 부담하는 약정으로 이를 위반하여도 채무자와의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이해관계인들 사이에서는 채권양도가 유효하다는 견해가 유력하다(채권적 효력설). 대상판결은 건설공사계약의 수급인이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하여 공사대금채권을 하수급업체에게 양도한 경우 그 채권양도의 효력이 문제된 경우이다.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하여 금전채권의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인적결합이 희박해진 현대사회에서 채권의 재산적 성격과 양도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비교법적으로도 채권적 효력설을 입법화하는 경향이 우세해짐에 따라 우리 민법 제449조 제2항의 해석론으로도 채권적 효력설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되었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한 채권양도는 양수인이 악의 또는 중과실인 경우 채권 이전의 효과가 생기지 아니한다는 기존 판례의 법리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민법 제449조 제2항 본문에서 양도금지특약을 한 경우 채권을 ‘양도하지 못한다.’고 정한 것은 특약으로 채권이 양도성을 상실한다는 것이고, 제2항 단서는 그 채권양도가 무효임을 전제로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선의의 제3자에게 무효를 주장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러한 해석이 지명채권의 본질과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요지는 아래와 같다. 물권법정주의와 달리 채권관계에는 사적자치와 계약자유의 원칙이 적용되고 양도금지특약은 해당 채권의 내용과 속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양도성 상실의 효과가 존중되어야 한다. 특히 민법에서 별도의 규정으로 양도금지특약에 관하여 규율하는 것은 특약의 효력이 당사자뿐만 아니라 제3자에게도 미치도록 하는 데에 그 취지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양도금지특약이 있는 채권에 대한 압류·전부가 허용되는 것은 민사집행법에서 압류금지재산을 열거적으로 규정한 데에 따른 반사적 결과이고, 악의의 양수인으로부터 선의의 전득자가 채권을 유효하게 취득한다고 보는 기존 판례는 채권의 양도성을 제한하려는 당사자 의사보다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려는 제449조 제2항 단서의 취지를 중시하여 제3자의 범위를 넓힌 것이다. 채권적 효력설을 채택하는 것이 국제적 흐름이라 하더라도 이는 제한적 범위 내에서 해석이 아닌 입법을 통해 달성되고 있으므로, 문언상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한 채권양도의 효력이 부인되는 의미가 도출되는 민법 제449조 제2항의 명문 규정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해석을 도입하는 데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수의견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채권적 효력설에 입각한 반대의견이 있다. 양도금지특약의 당사자는 채권자와 채무자이므로 그 약정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당사자만 구속하고 명백 ...

      • KCI등재

        계약이 합의해제된 경우 위약금 약정에 따른 손해배상 - 대법원 2021. 5. 7. 선고 2017다220416 판결 -

        김중길 연세법학회 2022 연세법학 Vol.39 No.-

        This paper reviews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7Da220416 Decided May 7, 2021. The main issue in this decision is whether damages can be claimed according to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in case termination by agreement. The Supreme Court of Republic of Korea has already ruled in its previous decision(Supreme Court Decision 2013Da8755 Decided November 28, 2013) that “no claim for damages due to non-performance cannot be claimed unless there are other circumstances.” The Decision 2017Da220416 reaffirmed previous decisions to this effect. The Decision 2017Da220416 held that “it cannot be broadly interpreted as a special agreement for damages that is applied in the case of termination by agreement as a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for general non-performance situations.” This series of positions of the Supreme Court of Republic of Korea is basically valid. The specific criteria for determining that the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in the original contract will be applied even in the case of implicit termination by agreement are as follows. First, at the time of termination by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a special agreement regarding on damages or a reservation of claims for damages shall be expressed. In addition, the parties must express their intention to apply the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on that basis. Second, it is not necessary to expressly express the intention to reserve the special agreement on damages or the reservation of claims for damages. It is also possible to indicate implicitly, but it must meet the interpretive requirements to recognize its establishment. Third, the burden of proof is borne by the person making the claim. The party who asserts that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a special agreement on damages or the reservation of claims for damages, bears the burden of proof. Fourth, if the cancellation of the agreement presupposes retroactive effect, the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cannot be applied any more because it has been retroactively invalid. If the cancellation of the agreement has a future effect, the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still exists, so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 party can claim damages according to the agre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본고는 대법원 2021. 5. 7. 선고 2017다220416 판결을 검토 대상으로 하여 계약이 합의해제된 경우 원래 계약상의 위약금 약정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를 주된 논점으로 다루고 있다. 대법원은 이미 대법원 2013. 11. 28. 선고 2013다8755 판결에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상 판결은 이전 판결의 취지를 재확인하면서 대상 사안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채무불이행 상황에 대한 위약금 약정으로서 합의해제의 경우에 적용되는 손해배상 특약으로 확대해석할 수는 없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의 이러한 일련의 입장은 기본적으로 타당하다. 대상 판결에 따라 원래 계약에서의 내용인 위약금 약정이 묵시적 합의해제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삼기 위한 구체적 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당사자 사이에 합의해제 시점에 손해배상에 관한 특약이나 손해배상청구에 대한 유보의 의사표시를 하고, 그 기준으로 위약금 약정을 적용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여야 한다. 원래 계약 이후의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합의해제를 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원래 계약을 체결할 당시의 의사를 기준으로 위약금 약정이 전제되어 있다는 이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다. 이전 판례에 따르더라도 합의해제에서는 민법 제543조 이하의 해제 규정은 원칙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계약자유의 원칙에 따라 당사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합의해제의 법적 효과가 결정된다는 법리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둘째, 손해배상에 관한 특약이나 손해배상청구에 대한 유보의 의사는 명시적으로 표시될 필요는 없고 묵시적으로도 가능하나, 그 성립을 인정할 수 있는 해석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즉 계약불실현의사의 일치가 있어야 하고, 그것은 계약실현의사의 결여 또는 포기에 이르러야 하며, 부대조건으로서 원상회복 및 손해배상에 관한 의사의 일치가 있어야 한다. 가령 합의해제가 인정되는 시점에 원래 법률관계에서 발생한 비용이나 손해 등의 전보와 관련하여 당사자 사이에 청구나 협의 등이 있는 경우와 같이 원래 계약의 청산에 수반되는 내용의 합의가 존재한다면 인정할 수 있다. 셋째, 손해배상에 관한 특약이나 손해배상청구에 대한 유보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측의 당사자가 증명책임을 부담한다. 넷째, 합의해제의 소급효를 원칙으로 전제하는 경우 합의해제 시점 이전에 발생한 손해배상채무는 존속한다고 보더라도 이에 관한 위약금 약정은 소급하여 무효가 되었으므로 더 이상 적용하지 못하며, 합의해제가 장래효를 가지는 경우에는 위약금 약정도 존속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약금 약정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 The trade effects of tariffs and non-tariff changes of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Cheong, Juyoung,Kwak, Do Won,Tang, Kam Ki Elsevier 2018 economic modelling Vol.70 No.-

        <P><B>Abstract</B></P> <P>The recent literature on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PTAs) emphasiz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xtensive and intensive margins. What has been missing is the distinction between tariff and non-tariff changes under PTAs. Tariff reduction is a quintessential feature of PTAs. But member countries of a PTA often pursue deeper integration through agreements on non-tariff matters as well. Some member countries, however, may want to use non-tariff barriers to compensate for tariff cuts. The current study isolates the effects of tariff and non-tariff changes under PTAs. It involves the construction of a new dataset of bilateral tariff rates for 90 importing and 149 exporting countries over 1996-2010, covering the Harmonized System 2-digit level of product varieties. Given the complexity of non-tariff arrangements, we allow for heterogeneity across three different types of PTAs, namely custom unions (CUs), free trade agreements (FTAs), and partial scope agreements (PSAs). We further consider heterogeneity within each of these three PTAs regarding responding time, partner type, and product type. The key findings are: (i) non-tariff changes under PTAs on average increase both the intensive and extensive margins of trade; (ii) PSAs do not have discernible trade impacts unlike FTAs and CUs; (iii) CUs have a stronger trade impact than FTAs; (iv) the impact of CUs comes mostly from non-tariff changes, while that of FTAs comes from both tariff and non-tariff changes; (v) non-tariff changes associated with CUs have a stronger trade effect than those associated with FTAs, which in turn are stronger than those associated with PSAs; (vi) non-tariff changes take a longer time than tariff changes to impact on the intensive margin; (vii) non-tariff changes under FTAs and CUs between industrial and developing countries increase the exports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more than the other way around; and (viii) there is substantial heterogeneity across sectors in their response to trade liberalization.</P> <P><B>Highlights</B></P> <P> <UL> <LI> We distinguish between tariff and non-tariff effects of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LI> <LI> The positive impact of CUs on both trade margins comes mostly from non-tariff changes. </LI> <LI> Positive FTA effects on two margins come from both tariff and non-tariff changes. </LI> <LI> CUs’ non-tariff changes have a stronger trade effect than FTAs’. </LI> <LI> Tariff changes impact on the intensive margin faster than non-tariff changes. </LI> </UL> </P>

      • KCI등재

        TAX RULES IN NON-TAX AGREEMENTS

        변혜정 한국세법학회 2011 조세법연구 Vol.17 No.3

        2011년 7월 현재 대한민국은 77개의 조세조약을 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세조약들이 조세 조항들을 포함하는 유일한 국제적인 협약들은 아니다. 한국이 체결한 많은 비조세조약들(non-tax agreements) 역시 조세에 관련된 조항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비조세조약들의 대부분의 조항들은 여러 종류의 면세와 관련된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 비조세조약이 포함하고 있는 조세 관련 조항들은 한국을 비롯한 다른 조약체결국에서도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비조세조약 내에 규정되어 있는 조세관련 규정들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고, 또한 현재 체결된 비조세조약들 중 상당수가 변화된 상황에 맞게 개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 오히려 이들 조문의 적용이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이들 조세조항들이 OECD 모델 조약이나 UN 모델 조약에 근거한 것이 아니므로, 비조세협약체결 상대국과 조세조약도 함께 체결한 경우 양자 간에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이 체결하고 있는 국제협약 중 외교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영사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Vienna Convention of the Consular Relations), 유엔의 특권과 면제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Privileges and Immunities of the United Nations)과 이 협약을 참조한 기타 협약들, 국제기구와의 본부 협정(the headquarter agreement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군사 주둔에 관한 협정(the status of force agreements), 문화교류협정(cultural exchange agreements), 개발원조협정과 기타 기술과 경제지원을 위한 협정(development aid agreements and other agreements on technical and financial cooperation)에서 규정하고 있는 조세조항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As of July 2011, the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Korea”) is a party of seventy seven tax treaties, which comprehensively apply to international tax matters. However, the tax treaties are not the only international agreements having tax provisions. A number of non-tax agreements which Korea has entered into also contain provisions relating to taxation and the most provisions in these non-tax agreements provide exemptions from various types of taxation. The tax provisions in non-tax agreements have little or less attracted attention in Korea, maybe in the most treaty parties as well. It leads, as one of the obvious defects that the non-tax agreements have, that many of nontax agreements are outdated and of no use to both parties. In addition, the tax provisions are not always consistent with the ones in either the OECD Model Convention or the UN Model Convention and a tax treaty between both parties.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ax provisions in international agreements where Korea is party, mainly covering non-tax issues, including the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the Vienna Convention of the Consular Relations, the Convention on the Privileges and Immunities of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agreements copied from this Convention, the headquarter agreement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status of force agreements, cultural agreements, development aid agreements, and other agreements on technical and financial cooperation.

      • KCI등재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의 국제법적 지위

        박배근(Park, Pae Keu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연구 Vol.59 No.2

        2015년 12월 28일 한일 양국 정부간의 이른바 ‘위안부’합의의 법적 성격은 실제적인 이유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 합의가 조약인지 아닌지에 따라 합의 체결 절차의 합법성, 합의의 효력, 합의 폐기에 따른 법적 문제, 합의에 대한 이의 제기 절차 등이 모두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위안부’합의의 법적 성격에 관한 국내 학자와 실무가들의 견해는 대체로 이 합의가 조약이 아니라 이른바 비조약합의라는 것으로 수렴된다. 다만 논자들에 따라 논거는 다르다. 이 합의가 구두로 체결되었기 때문에 조약이 아니라고 하는 논거를 제시하는 견해가 많은데, 그러한 논거는 국제법적 관점에서 납득하기 어렵다. 국가는 조약 체결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자유가 있기 때문이다. 국가 간의 합의가 조약인지의 여부는 합의 당사자인 국가의 의사가 결정적인 판단기준이 된다. 그리고 합의의 법적 지위에 관한 국가 의사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경우도 있고 또 국가 의사를 추정할 수 있는 여러 지표들도 있다. ‘위안부’합의의 경우는 국가 의사를 추정할 수 있는 여러 지표와 합의 체결의 관련 정황에 비추어 조약이 아닌 비조약합의로 보아야 한다. 다만 그것이 비조약합의인 이유는 구두로 체결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합의 주체인 한일 양국이 이 합의를 비조약합의로 의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위안부’합의가 조약이라고 보는 국내 학자 견해도 있다. 이러한 견해는 구두 합의도 조약이 될 수 있다고 본 점에서는 정확하지만, 구두 합의가 조약이 되기 위해서는 당사자가 그것을 조약으로 의도하여야 한다는 점을 간과한 점에서 문제가 있다. ‘위안부’합의는 비조약합의이므로 ‘위안부’ 문제 처리에 관하여 합의 내용에 따른 한일 양국간의 권리와 의무를 창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합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아도 국제법상의 국가책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비조약합의가 가지는 정치적 도덕적 구속력에 비추어 볼 때 합의 불이행은 쉽지 않다. ‘위안부’합의는 비조약합의이지만 국제법상의 금반언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한국도 일본도 ‘위안부’합의에 따라 합의 내용에 반하는 권리 주장을 할 수 없으며, 합의에 반하는 행위의 법적 효과도 인정되지 않을 것이다. When the two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pronounced the so-called “Comfort Women” Agreement on December 28, 2015,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legal status the Agreement for practical reasons. It is because the legality of the procedures of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the Agreement’s effect, the legal problems ensuing from denunciation of the Agreement, and the procedures for objection to the Agreement etc. depend whether the Agreement is a treaty or not. The opinions of domestic scholars and practitioners on the legal status of the Agreement are mostly the same. They conclude that the Agreement is a non-treaty agreement rather than a treaty. However the reasons for such conclusion differ among them. Many say the Agreement is not a treaty because it was concluded in oral form. This argument is hard to be supported from an international legal point of view because states have the freedom of choosing the form of treaty conclusion. Whether states conclude a treaty in oral form or in written form is left to their decision. Whether any agreement between states is a treaty is decided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states concluding it. This intent may be manifested directly in the agreement for indirectly through other evidences. Moreover, In addition, there are many indicators through which the states’ intent may be inferred. The 2015 “Comfort Women” Agreement should be regarded as a non-treaty agreement in light of the various indicators of the intent of both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and the relevant circumstances of the Agreement. The reason for this conclusion is not because it was concluded in oral form but because the subjects of the Agreement,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intended the Agreement to be a non-treaty agreement. A scholar suggested the opinion that the Agreement is a treaty. This view is correct in that a treaty may be concluded in oral form. The conclusion of this view is incorrect in that it did not consider that an oral agreement can be a treaty only when the parties to the agreement intended it to be a treaty. Since the “Comfort Women” Agreement is a non-treaty agreement, it does not creat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between the two states. Therefore, even if the Agreement is not implemented, the issue of state responsibility does not arise. Nonetheless, in the light of the political and moral binding force of the Agreement, it is not easy for Korea and Japan not to fulfill it. As a non-treaty agreement, the “Comfort Women” Agreement seem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estoppel under international law. Therefore it seems that both Korea and Japan cannot make claims inconsistent with the Agreement. Moreover, the acts contrary to the Agreement may not have any legal effects.

      • KCI등재

        공공기관이 보유하는 공공특허에 대한 ‘전용’실시계약 활성화 방안

        정차호,조희래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0

        공공기관이 보유하는 특허, 즉 공공특허는 공적 재산의 성격을 가진 다. 그래서 현행 공공특허에 대한 기술이전제도에 따르면 ‘통상실시계 약 우선의 원칙’이 적용된다. 어떤 공공특허에 대해 전용실시계약이 쉽 게 허용되는 경우, 해당 공공특허의 과실을 한 기업이 독점할 수 있고, 시장에서의 경쟁이 저해될 수 있다. 또, 전용실시권자가 기대되었던 역 량을 발휘하지 못하여 대상 특허발명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우리 제도는 통상실시계약 우선의 원칙 아래 여러 명의 통상실시권자가 시장에서 자유롭게 경쟁하는 상황을 선호한다. 그런데, 좋은 의도가 항상 좋은 결과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실시계약 우선의 원칙으로 인해 아무도 통상실시계약을 체결할 수 없고, 그래서 공공특허가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그래서 이 글은 한편으로는 전용실시계약을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더 중요하게는 전용실시계약의 단점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 한다. 전용실시계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실시계약 우선의 원칙이 포기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포기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우선의 원칙 은 고수되어야 하며, 1개월 공지(public notice) 제도를 신설하여야 한다. 그 공지에서 실시료율 등 계약의 중요사항이 공개되어야 한다. 그 공지기간 중 전용실시계약을 희망하는 자가 2인 이상 나타나는 경우, 해당 공공특허에 대하여는 통상실시계약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전용실시계약의 단점을 줄이기 위한 추가방안으로는 최소실시 료(minimum royalty) 규정을 두는 것이다. 전용실시권자는 부족한 매출 에도 불구하고 최소실시료를 지불하면서 해당 전용실시계약을 유지하 는 선택지와 그 전용실시계약을 통상실시계약으로 전환하여 매출에 연동되는 경상실시료를 지불하는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도가 전용실시계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그 계약이 본 질적으로 가지는 단점 및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Public patents owned by public institutes have a character of public property. Therefore, under current technology transfer system for public patents, “non-exclusive license priority principle” is being applied. If an exclusive license agreement is being executed for a public patent, a company may monopolize fruit of the patent and competition in the market may be undermined. In addition, the exclusive licensee may not undertake expected performance and result in insufficient utilization of the patented invention. In that context, it is preferred that several non-exclusive licensees freely compete in the market under the non-exclusive license priority principle. However, a good intent does not always give birth to a good result. Due to the non-exclusive license priority principle, nobody can sign a license agreement, and therefore public patents are not properly utilized. In that regard, this paper suggests on one hand a method to ease an exclusive license agreement, and on the other hand a method to reduce drawbacks of an exclusive license agreement. To make an exclusive license agreement easily done, the non-exclusive license priority principle must be abandoned. However, “SME priority principle” must be sustained and a new “one month public notice system” must be introduced. In the notice, some important terms and conditions, such as royalty rate, must be publicly disclosed. If two or more candidates want an exclusive license agreement during the one month period, the non-exclusive license priority principle must be applied to the patent. To further reduce drawbacks of an exclusive license agreement, minimum royalty provision may be inserted. An exclusive licensee may choose either to maintain the agreement paying minimum royalty notwithstanding insufficient revenue or to convert the agreement to a non-exclusive agreement under which a (revenue based) running royalty is being paid. Above-suggested system may not only ease exclusive agreements but also reduce inherent drawbacks and danger of an exclusive agreement.

      • 영업비밀보호와 경업금지약정

        강연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6 Law & technology Vol.12 No.1

        근로자의 전직이 늘어나면서 사용자는 퇴직근 로자가 동종 업종을 영위하는 회사에 취직할 경우 큰 불이익을 입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영업비 밀 보호’가 문제될 수 있다. 그러나 근로자들의 헌법상 ‘직업선택의 자유’ 및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혁신에 기여하는 바를 고려할 때 상충하는 법익의 조화로운 해석이 필요하다. 경업금지의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 상법상 상업사용인과 이사에 관한 규정이 존재한다. 하지 만 일반적인 근로자에 관한 규정은 존재하지 않으 며, 상업사용인 및 이사에 대하여도 퇴임 후의 경 업금지의무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근로자의 근로계약 종료 후의 경 업금지의무의 법적 근거 및 성격에 대해 연구해 본다. 그 다음으로는 경업금지의무와 관련된 판례 의 동향을 살펴본다. 판례는 퇴직 후 경업금지약 정 자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엄격한 입증을 요구하며, 근로계약을 확대해석하거나 간접사 실로 퇴직 후 경업금지의무를 인정하지 않는다. 퇴직 후 경업금지약정이 존재할 경우 특별한 사정 이 없는 한 그 유효성을 인정하되, 약정된 경업금지 기간이 장기간이라고 판단되면 그 기간을 일정 한 범위로 제한하고 제한된 금지기간을 넘는 부분 은 민법 제103조 위반으로 보아 무효로 판단하고 있다. 일부의 경우 경업금지약정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보호 가치 있는 영업비밀이 부존재 한다는 이유로 경업금지약정을 무효로 본 사례도 있다. 경업금지약정은 위약금 약정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판례는 위약금 약정은 인정하되 형평을 고려하여 금액을 감액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경 업금지의무와 부정경쟁방지법상 금지청구권과의 관계, 근로자와 경업회사와의 관계, 금지청구권 행사에 있어 영업비밀 특정의 문제까지 차례로 살 펴본다. ‘산업기술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통 과되어 2015. 4. 29.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영업 비밀 유출 방지에 대한 관심은 날로 커지고 있다. 경업금지약정이 영업비밀을 보호하는 강력한 수 단이 될 수 있겠지만 그 외에도 기업의 독점적 지 위를 확보해 주는 방편이 될 수 있으며, 근로자의 전직의 자유를 위협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기 억해야 한다. As employees’ career moves increase, employers’ risk of trade secret leak is also dramatically increasing. However, considering employees’ constitutional right of freedom of occupation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harmonious interpretation between two conflicting legal interests is needed. Regarding to non-competition agreement, there are some regulations about directors in Korean business law. However, there’s no regulation regarding employees or directors after retirement. Therefore, this article will study about legal background of non-competition duty after the termination of employment contract. Judicial precedent of Korea indicates that if there’s no evident non-competition agreement, court requires strict burden of proof and thus, it is hard to presume non-competition duty with circumstantial evidence. If non-competition agreement exists, judicial precedent generally acknowledges effectiveness of the agreement. But if the period of non-competition agreement is too long, judicial precedent shortens the period. In Some cases, court makes non-competition agreement null because of its excessively broad regional restriction and lengthy period. In many cases, non-competition agreement accompanies penalties, but in most cases court reduces agreed penalties. Accordingly, this article will study relationship between non-competition agreement and injunctions allowed in the Trade Secret Law, employees and the competitive business. It will also deal with some issues regarding specification of the trade secret. ‘Industrial Technology Loss Prevention and Protection Law’ is now in effect since 2015. 4. 29, and interest in trade secret is increasing day by day. Non-competition agreement can be powerful means for protecting trade secret, but we should remember that it can also be a threat to employees who wish to move their career.

      • KCI등재

        국제중재에서 비계약상 청구에 대한 계약에 포함된 준거법조항의 적용과 그 한계

        김인호 국제거래법학회 2017 國際去來法硏究 Vol.26 No.1

        Arbitration is a flexible dispute-resolution mechanism resorting to arbitrators’ expertise and experience in considering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disput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es.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foreseeability of the parties by preventing arbitrary decision of the arbitral tribunal. An arbitratio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s often contained in the contract to function as a part of the dispute-resolution mechanism for disputes arising out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Also the contract often contains a choice-of-law clause designating its governing law.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choice-of-law clause are contained in the contract but are separated from the contract. Disputes between contracting parties often involve more than just contractual liability. When a party argues for a non-contractual claim in its request for arbitration with respect to the disputes arising from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the arbitral tribunal should characterize the claim in question. In doing so the tribunal is to identify the substance of the claim over the form. Once the claim in question is characterized as a non-contractual claim, then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arbitration agreement encompasses the non-contractual claim. It is how to interpret the arbitration agreement, which favors a wide interpretation that channels all the disputes arising out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to the arbitral procedure. If the arbitration agreement encompasses the non-contractual claim,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choice-of-law clause encompasses the claim. It is also how to interpret the choice-of-law clause based upon the parties’ intent. It would comply with the parties’ reasonable intent to interpret the clause as consistently as possible with the arbitration agreement so that the clause encompasses the non-contractual claim. The sphere of application of the choice-of-law clause is reasonably delimitated by the existence of mandatory law or public policy restrictions. When the choice-of-law clause fails to encompass the non-contractual claim or is lacking, there is no uniform way to determine the law applicable to the claim, which undermines foreseeability. Still it is possible to reasonably adjust the parties’ interests and to promote foreseeability and legal certainty by indirectly extending the applicable law to the contract through the preexisting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to the non-contractual claim. Whether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choice-of-law clause encompass the non-contractual claim is determined by balancing efficiency of resolving disputes by uniform governing law in a channelled procedure and case by case necessity for divided procedures as well as by adjusting conflicting foreseeability and legal certainty on the one hand and flexibility on the other.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promoting international arbitration by reducing lingering uncertainty and enhancing foreseeability and legal certainty with reasonably de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the scope of the choice-of-law clause with respect to the non-contractual claim. 중재는 분쟁의 성질, 내용, 당사자의 관계를 고려하고 중재인의 전문지식이나 경험에 비추어 유연한 판단으로 분쟁해결을 도모하려는 제도이나 중재판정부의 자의적 판단을 방지하여 당사자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당사자간의 중재합의는 흔히 계약의 일부로 포함되어 당사자간의 계약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해결메커니즘의 일부로기능한다. 또한 계약은 이를 규율할 준거법을 지정하는 준거법조항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중재합의와 준거법조항은 계약에 포함되어 있으나 한편 독립된 분쟁해결메커니즘으로독립적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계약상의 분쟁은 불법행위에 기한 청구 등 비계약상 청구로비화하는 경우가 많다. 당사자가 중재합의에 기하여 계약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분쟁에 대하여 중재신청을 하면서 비계약상 청구를 제기하는 경우 해당 청구가 계약상 청구인지 비계약상 청구인지의 성질결정을 하여야 한다. 그러함에 있어 청구의 형식이 아니라 실체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그 다음 해당 청구가 비계약상 청구로 성질결정이 된 경우 해당 청구가 중재합의의 범위에 속하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이는 중재합의의 해석의 문제로 당사자간의 계약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분쟁을 하나의 중재절차에 집중하여 해결하려는 당사자의 합리적 의사를 구현하여야 할 것이다. 해당 비계약상 청구가 중재합의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나아가 준거법조항은 이를 포함하고 있는 계약에 적용될것을 의도하고 있는데 이러한 준거법조항이 비계약상 청구에까지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이 또한 준거법조항의 해석의 문제로 당사자의 의사를 기초로 하여야 하는바, 당사자자치가 비계약상 청구에까지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분쟁을 효율적으로 해결하려는 당사자의 합리적 의사에 부합한다. 당사자자치를 비계약상청구에 확장하여 적용하더라도 공공의 질서나 강행규정의 법리를 통하여 합리적인 경계를획정하여 준거법조항의 적용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준거법조항이 비계약상 청구에 적용되지 아니하거나 당사자가 계약에 준거법조항을 두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중재판정부는비계약상 청구에 대한 준거법을 어떻게 결정하여야 하는지에 관하여 통일되어 있지 않아예견가능성이 제약되나 이 경우에도 당사자간에 존재하는 계약의 준거법을 비계약상의 청구에 대하여 우회적으로 확장하여 적용함으로써 당사자간의 이익을 합리적으로 조율하고예견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중재합의와 준거법조항의 범위가 비계약상청구를 포괄하는지 여부는 예견가능성 및 법적 안정성과 유연성이라는 갈등하는 지표를 함께 고려하면서 당사자간의 분쟁을 하나의 분쟁해결절차에 집중하여 하나의 준거법으로 해결하여 효율성을 추구할 것인지 아니면 구체적 사정에 비추어 분산된 적정성을 추구할 것인지의 상충된 이익의 합리적 조율을 통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이 연구가 비계약상 청구와관련하여 계약에 포함된 중재합의와 준거법조항의 적용 범주를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에 기초하여 합리적으로 획정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예견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여 국제중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