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화 뉴스와 비개인화 뉴스 간 차별도가 인지된 개인화, 뉴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국내 인터넷 포털 뉴스를 중심으로

        이승엽,곽규태,이상우 정보통신정책학회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30 No.4

        In recent years, Internet portal news service providers have used algorithms to provide personalized news services suitable for users' interests and preference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similarity or dissimilarity between personalized and non-personalized news is associated with perceived personalization. In addition, we verified whether perceived personalization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news services and actual news u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milarity between personalized news services with algorithms and non-personalized news service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that the dissimilarity between the two news servic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personalization. It suggested that the more the algorithms provide differentiated news articles to each individual, the more users perceive the personalized news services as recommending news articles suitable for their interests and preference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ersona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news services and actual news use. We can cautiously conclude that the more personalized news services with algorithms are differentiated from non-personalized news services, the more users perceive personalized news services to be suitable for them, and the more they perceive news services to be suitable for them,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use news services and actual news use.

      • KCI등재

        연예인 자살보도와 제 3자 효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인숙 ( In Sook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언론의 연예인 자살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와 미디어 이용이 제 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제 3자 효과가 행동적인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언론의 연예인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제 3자 효과가 언론의 자살 보도 규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이 제 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언론의 연예인 자살 보도가 자신, 타인, 동료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창원 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언론의 연예인의 자살 보도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클 것이라고 지각하였으며,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동료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클 것이라고 지각 하였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이 멀수록 제 3자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타인과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연구 결과에 의하면 타인이 동료 대학생들보다 더욱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와 미디어 이용이 제 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TV 이용이 적을수록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이 더욱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언론의 연예인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제 3자 효과와 언론의 자살보도 규제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와 인터넷 이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예인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연예인 자살에 대해 인터넷에서 정보를 적게 읽은 사람들일수록 언론의 자살 보도 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suicide news coverage,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censorship of celebrity suicide news coverage. This study consists in two part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attitude toward suicide news coverage, media use and the third-person effect. It also proposed that the third-person effect is influenced by social distance corollary.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is the media impact on others varies as a function of the generality of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group. Second, in terms of behavioral impact of the third-person effect,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attitude toward suicide news coverage,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censorship of celebrity suicide news coverage. A survey of 316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study supported the third-person effect phenomena for the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news. The study found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affected the third-person effect. Respondents thought media had more effect on others than their peer group. Result of the relationship among attitude toward celebrity suicide news, media use and the third-person effect supported that respondents who watched less TV about the coverage of suicide news were more likely to think media had more effect on others than me. Finally,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celebrity suicide news,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censorship found that respondents who had negative attitude toward celebrity suicide news coverage and used less internet of celebrity suicide news coverage were more likely to support for censorship of celebrity suicide news coverage in media.

      • KCI등재

        가짜뉴스 영향력 인식의 효과에 관한 연구: 매체별 가짜뉴스 제3자 인식이 가짜뉴스 규제 및 미디어 교육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이장근,김해연,장적,김용환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perception of fake news influence differs for each media that encounter fake news, and examined how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generated affects the attitude of responding to fake news. So we divided into four usage channels: traditional media, portal sites, SNS, and messenger services, and each media examined whether a third-person effect occurred about fake news influence. In addition, we examined how this perception of third-person effect affects the need for fake news regulation and media education, and furthermore,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fake news regulation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nfluence on fake news by media path that encountered fake news,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fake news influence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eed for fake news regulation and media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medium showed different influences through path analysis, and the reason and meaning of these differenc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가짜뉴스 영향력 인식이 가짜뉴스를 접하는 매체별로 차이가 발생하는지 탐색해보고, 발생된 인식의 차이가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디어를 전통미디어, 포털 사이트, SNS, 메신저 서비스 등 4가지 이용 경로로 구분하고 각 매체별로 가짜뉴스가 자신보다는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고 인식하는 제3자 효과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3자 효과 인식이 가짜뉴스 규제 및 미디어 교육 필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았으며, 더 나아가 매체별로 발생한 편향적 인식에 따라 가짜뉴스 규제 및 미디어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짜뉴스를 접하는 매체별로 가짜뉴스에 대한 영향력 인식에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가짜뉴스 영향력 인식 역시 가짜뉴스 규제 및 미디어 교육 필요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매체별로 서로 다른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와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치 가짜뉴스의 수용 및 확산에 관한 연구 : 편향적 정보처리와 3자 지각을 중심으로

        박연진,김관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29 No.2

        This study applied perceived bias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ird-person perception effects to find out the acceptance and spread intention of fake news with clear political tendencies. Specifically, we looked into how individual political beliefs affect the perception of political fake new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third-party perceptions appear on political fake news and verified how perceived third-party influence affects the intention to spread fake new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ior-beliefs such as political ideology and news belief consistency have an effect on accepting fake news. Such fake news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third-person perception that others will be more influenced than I am, and it has been found that news belief consistency and perceptual political knowledge have an effect on this third-person perception. In terms of the intention to spread fake news, the general third-person perception gap amo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gaps was identified as a major variabl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prior-beliefs work strongly when accepting fake political news, and when trying to spread the news, the purpose of persuading others based on one's own beliefs and political knowledge is reflected. 본 연구는 정치적 성향이 뚜렷한 가짜뉴스의 수용과 확산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각된 편향정보처리와 3자 지각 효과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정치적 신념이 정치 가짜뉴스를인식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치 가짜뉴스에 대해 제 3자 지각이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각된 3자 영향력이 가짜뉴스 확산의도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뉴스 신념일치와 같은 기존의 신념은 가짜뉴스를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가짜뉴스는 나보다 타인이 영향을 더 많이받을 것이라는 3자 영향력 지각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3자 영향력 지각에는 뉴스 신념일치와주관적 정치지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짜뉴스확산의도에 있어서는 3자 영향력 지각격차 중 일반 3자 영향력 지각격차가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정치 가짜뉴스를 수용할 때에 기존의 신념이 강하게 작용하며, 해당 뉴스를 확산하고자 할 때에는 자신의 신념과 정치지식을 바탕으로 타인을 설득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속성의제 분석을 통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조유나 양 실종’ 사건 인터넷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박찬,최예영,신효진,권순희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3

        This paper is a study that discusses critical and practical news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pplying the ‘fast agenda’ concept of communication theory to actual news analysis in line with changes in the new media ecosystem in the digital age. With Internet newspaper social news ‘Cho Yu-na missing’ as a keyword, the ‘property agenda’ composition of news articles and the pattern of transfer of attributes of audiences through comm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low of attributes of news articles was ignited in the order of personal-society-political. The sum of personal attributes in news articles was 56.4%, social attributes 23.1%, and political attributes 20.5%.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was confirmed through comments, and although the properties of the news showed an aspect of being transferred to the audience,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flow of properties but also the reactions to other properties appeared together. However, the sum of personal attributes in comments was 64.8%, the sum of social attributes was 11.3%, and the sum of political attributes was 24.0%. This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discourse and practical news literacy on pending social issues were in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a direction for news literac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news that is in contact with learners' actual lives. 본고는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발맞추어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속성의제’ 개념을 실제 뉴스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국어교육에서의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논의한 연구이다. 인터넷 신문 사회 뉴스 ‘조유나 양 실종’을 키워드로 하여 뉴스 기사의 ‘속성의제’ 구성과 댓글을 통한 수용자들의 속성 전이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뉴스 기사의 속성 흐름은 개인-사회-정치 순으로 점화되었다. 뉴스 기사에 나타난 개인 속성의 합은 56.4%, 사회 속성이 23.1%, 정치 속성이 20.5%로 나타났다. 수용자들의 반응은 댓글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뉴스의 속성이 수용자들에게 전이된 양상을 보였으나, 속성의 흐름뿐만 아니라 다른 속성에 대한 반응 역시 함께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다만 댓글에 나타난 개인의 속성의 합은 64.8%, 사회 속성 합은 11.3%, 정치 속성 합은 24.0%로, 뉴스 기사에 비해 사회 속성에 대한 반응이 적었다. 이는 사회적 담론 형성과 사회 문제 현안에 대한 실천적 뉴스 리터러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미미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적인 삶과 맞닿아 있는 뉴스를 분석함으로써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 효과

        허윤철(Yuncheol H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제3자 효과의 틀에서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또한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영향력 지각 및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짜뉴스의 범위 인식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가짜뉴스가 본인보다 타인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각하는 제3자 효과가 검증되었다. 뉴스 리터러시는 유의한 예측 변수로서 뉴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가짜뉴스의 제3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뉴스리터러시와 3자 지각(PIM3)은 정부 규제와 언론 자율 규제 지지 태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1자 지각(PIM1)은 언론 자율 규제 지지 태도에만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가짜뉴스에 대한 엄격한 정의 정도가 3자 지각과 언론 자율 규제의 관계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자 지각과 언론 자율 규제의 관계에서는 부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Despite ongoing efforts to regulate fake new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empirical evidence justifying strong regulations on fake new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ay people perceive the effects of fake news may affect attitude to regulatio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ird-person effect (TPE) of fake news. Results from the survey reveal that the tendency of third-person effect occurs for the influence perception of fake news. That is, respondents perceived that fake news would have greater effects on others than themselv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news literacy was a positive predictor of the third-person effect. Those with a greater level of perceived impact of fake news on the others (PIM3) were more likely to support government regulation and media self-regulation. Also, the perceived impact of fake news on the self (PIM1)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upporting media self-regulation, but not government regulation. Furthermore the narrower the scope of fake new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IM3 and media self-regulation and to have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IM1 and media self-reg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Changing Climate of Chinese Journalism

        Jing Zhang(장징),Hyuhn-Suhck Bae(배현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60

        이 연구는, 중국 뉴스 콘텐트에는 중국 신문산업의 제도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을 거라는 가정을 토대로, 시장 지향적인 신문의 대표적 사례인 『남방주말』(Southern Weekend)과 대표적 중국 정부 기관지인 『인민일보』(People"s Daily)는 2008년 쓰촨 지진을 뉴스 프레임(news frame) 측면에서 다르게 보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 신문이 보도한 422개의 기사를 프레임 분석한 결과, 『남방주말』은 인간 관심사(human interest), 경제적 결과(economic consequences), 및 갈등(conflict) 프레임을 많이 시용한 반면, 『인민일보』는 지도력(leadership) 프레임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책임 (responsibility) 프레임과 도덕성(morality) 프레임에 대해서는 두 신문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신문이 쓰촨 지진 보도에서 사용한 이러한 프레임의 차이는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신문산업의 제도적 변화(시장 지향적 신문의 등장 및 중국 정부의 시장 지향적 신문 허용)가 반영된 결과임을 시사한다. This present stud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stitutional changes cf Chinas newspaper industry will be reflected in news content, examines whether Southern Weekend, an exemplar or market- oriented newspapers, covers the 2008 earthquake differently from the party-organ newspaper People’s Daily in terms of news frames. A framing analysis of 422 news stories covered by the two newspapers revealed that Southern Weekend presented more human interest, economic consequences, and conflict frames, while People’s Daily was more dependent m leadership frame. No difference was found in responsibility and morality frames between the two newspape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news frames of the two paper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팩트체크 뉴스 노출, 영향력 인식, 공유 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영민,김선호 한국언론학회 2017 한국언론학보 Vol.61 No.6

        최근 확산되고 있는 팩트체크 저널리즘은 사실보도라는 전통적 객관주의 저널리즘을 넘어 언론이 사실검증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수용자의 규모와 특징, 그리고 팩트체크 기사의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난 19대 대통령 선거 기간 팩트체크 기사를 접했던 유권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3자 효과’ 연구를 기반으로 자신에 대한 팩트체크 뉴스 영향력 인식(제1자 인식)과 다른 유권자에 대한 인식(제3자 인식)을 비교했다. 또한 제1자 인식과 제3자 인식이 담론적 정치참여라고 할 수 있는 팩트체크 뉴스 공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 관계가 팩트체크 수용자의 정치성향과 가짜뉴스 심각성 인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팩트체크 뉴스를 접해본 사람들은 더 젊고, 정치지식과 정치참여도가 높으며, 뉴스를 더 자주 접하며, 정치적으로는 진보적 성향을 띄며 가짜뉴스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특징들을 갖고 있었다. 한편, 제3자 인식이 제1자 인식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제3자 효과’가 나타났지만, 제3자 인식보다 제1자 인식이 팩트체크 뉴스공유 행동에 더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효과의 경우, 제1자 인식과 팩트체크 뉴스 공유행동의 관계는 정치적으로 보수적 응답자에게서 더 약하게 나타났다. 반면 제3자 인식과 팩트체크 뉴스 공유행동의 관계는 가짜뉴스의 심각성 인식수준이 높고 정치적 보수주의 성향이 높은 응답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어떠한 학술적․실천적 함의를 갖는지 논의했다. Fact-check journalism is diffusing into newsrooms along with growing concerns about fake news. Despite its popularity and importance, empirical studies on audiences’ reception of fact-check news have been scant. This study, by analyzing national survey data of voter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attempts to explore socio-economic status of fact-checking news consumers, and their perceptions of presumed influence and sharing behaviors. First, we found that fact-checking news consumers are younger and more progressive, and tend to think fake-news more threatening. Second, we found that fact-checking news consumers’ perception on presumed fact-checking news’ decision effect on other people (i.e., presumed effect on others) is smaller than that on themselves (i.e., presumed effect on self), which attests the third person effect with fact-check news. Third, our findings indicate that sharing of fact-check news is more driven by the presumed effect on self rather than the presumed effect on others. Interesting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umed effect on self and sharing behavior becomes augmented among those who have progressive ideology, and shrinks among those who have conservative ideology. Additional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umed effect on others and sharing behavior becomes stronger, when people perceive fake-news as threatening to democrac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 THE PERCEPTION OF TRUST IN PERSONALIZED VIDEO NEW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Felipe Breviglieri,Jo?o Guerreiro,Sandra Loureiro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23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23 No.07

        A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grows, so do the questions regarding this new technology and its potential uses. Among the various possibilities and employment that could be offered by AI is personalized news technology. Nowadays, it is already possible to produce journalistic content through AI (Carlson, 2014; Graefe & Haim, 2018). Digital storytelling has become a reality through automated journalism powered by AI (Caswell & D?rr, 2018; Galily, 2018; Linden, 2017; Thorne, 2020).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es advanced analysis and logic-based techniques, including machine learning, to interpret events, support and automate decisions, and take actions” (Gartner Group, 2019). In personalized news technology, algorithms are responsible for selecting content and sorting it according to the personalization criteria (Powers, 2017). So far, AI has been studied in different fields with distinct research focuses (Loureiro et al., 2021). Studies of news-personalization technologies have mainly focused on research engines and filtering mechanisms (Darvishy et al., 2020; Haim et al., 2017; Manoharan & Senthilkumar, 2020). Few studies examine news aggregators (Haim et al., 2018; Kwak et al., 2021) and the effects of news personalization on audiences (Merten, 2021; Swart, 2021; Thurman et al., 2019), thus demanding further research. AI is an imminent reality for the future, reshaping the news media (Brennen et al., 2022; Linden, 2017; Thorne, 2020). Hence, it is still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mpacts that this technology potentially offers to user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eeks to respond to this need to deepen research into the area of news personalization through AI, by analyzing the response of audiences toward current and future technological tendencies.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trust that users have in AI-generated personalized video news.

      • KCI등재

        인격권에 대한 언론인들의 인식 연구

        이서현,신윤경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8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언론인 18명을 대상으로 인격권에 대한 인식을 살 펴보았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언론인들은 취재원으로부터 인격권 침해에 대 한 항의를 받거나 주변에서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공익’과 관련된 사안이거나 취재대상이 ‘공인’일 경우, 언론의 자유가 취재대상의 인격 권 보호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반대로 취재대상이 일반인일 경우에는 그들 의 인격권이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제주지역에서 공인은 공적 임무를 수행하는 공직자 이외에도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들 또 한 공인에 포함된다고 보았다. 취재대상에 대한 인격권 침해는 기자 개인의 자질과 역량 부족, 사실관계 파악 부족, 인격권에 대한 이해와 인식 부족, 지 나친 속보 경쟁과 단독경쟁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보았다. 기자의 연고가 취재 대상의 선택과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나타났다. 취재 가치가 있었음에도 지인이라는 이유로 언론의 자유를 방기했던 사례와 취재 과정에서 연고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언론인 들 또한 취재 과정에서 일부 일반인들로부터 인신 공격적 발언을 듣거나, 초 상권을 침해받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on Personality Rights. Most journalists have experienced protests or infringement of Personality Rights from news sources. In particular, when it was a matter related to the Public Interest and Public Figure, Freedom of Speech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protection of the Personality Rights of news sources. On the contrary,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Personality Rights of all people except public figures and criminals must be respected. Regarding the range of public figures, most of the journalists said that they considered public officials performing official duties and people influencing the society as public figures. With the reasons for the infringement of Personality Rights, there is a lack of individual competencies of journalists, lack of fact-checking, lack of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Rights, and exclusive news coverage competition. About a question, whether they were using personal relationships when choosing news sources, some said yes, and some said no. In particular, a few journalists confessed that they did not handle an issue, although it was worth reporting not to hurt their acquaintances. At the same time, some said that they did not consider personal relationships at all when covering news. A few journalists also have experiences of being infringed on their Personality Rights by news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