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뉴스 양식 및 품질 연구 : 인스타그램에서의 <인사이트>와 <위키트리>를 중심으로

        박채림,윤영민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5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형태로 구성하는 큐레이팅 저널리즘(Curating Journalism)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탄생한 저널리즘이다. 소셜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큐레이팅 뉴스는 다른 언론사의 뉴스에 일정한 기획과 재구성을 통해 보다 맥락적이고 균형적인 뉴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저널리즘이 갖고 있는 단순 객관보도와 편협한 정파보도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큐레이팅 뉴스가 기존 주류 언론의 뉴스를 베껴 쓰는 관행과 저작권 문제로 언론의 비판을 받고 있으나, 젊은 층 이용자들은 오히려 가치 있고 믿을 수 있는 뉴스를 충분히 소비하고 있다고 여기는 상황이다. 동시에 큐레이팅 뉴스와 기성 언론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큐레이팅 뉴스의 품질을 기준으로 전반적인 주류 언론의 취재와 보도 관행에 대해 비판하며, 나아가 전통 뉴스 미디어가 생산하는 뉴스를 불신하고 외면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결국 큐레이팅 뉴스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불투명한 현실 앞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상황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하여 개선 방향과 대안책을 제안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큐레이팅 뉴스가 내용적, 형식적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공정성과 심층성을 기준으로 큐레이팅 뉴스의 품질 수준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에 <인사이트>와 <위키트리>가 게시한 뉴스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는 시의성, 근접성, 흥미성의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방송과 연예, 스포츠와 같은 문화 관련 주제를 주로 보도하며, 연성화 경향이 강했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역피라미드 구조와 스트레이트 유형의 뉴스가 가장 많이 보도되었고, 대부분 이미 공개되어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뉴스가 작성되었다. 공정성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전체 취재원 수는 평균적으로 1.22개였고, 취재원 유형으로는 타 언론사 보도 및 방송사 자료가 가장 많았다. 큐레이팅 뉴스의 절반 이상은 완전히 단일 관점에 해당되었으며, 허핀달-허쉬만 지수 측정을 통해 특정 보도의 주제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성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분석력은 과정과 결과만을 포함한 채 사안의 원인이나 전망을 제시하지 않았고, 뉴스의 깊이 역시 사건 중심의 과정과 결과만을 보도하는 이벤트 중심의 뉴스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익명 취재원보다 투명 취재원이 많이 활용됐지만, 익명 취재원을 사용했을 경우 해당 취재원에 대한 설명이 뉴스에 제공되는 경우가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소셜 미디어상의 큐레이팅 뉴스가 연성화되고 흥미 위주의 보도로 이용자들을 자극해 클릭을 유도하는 것은 더 큰 자극이라는 악순환 고리로 이어지게 만들어 저널리즘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무분별한 복제를 통해 큐레이팅 뉴스의 생산이 이루어진다면, 결국 국내 언론 환경 전반에 ‘약탈적 뉴스’라는 퇴행을 불러올 것이다.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발전과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생산 구조, 유통 구조, 소비 구조라는 보다 복합적인 단계에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ractice of curating journalism, encompassing the selection, processing, and organization of material into novel formats, has gained prominence alongside the increasing impact of social media. The curating news disseminated on social media was anticipated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oversimplified, unbiased reporting and biased journalism in traditional media by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and impartial news experience. This would be achieved by ongoing strategic planning and restructuring of news content sourced from various media platforms. Nevertheless, this phenomenon frequently disregards copyright laws as it centers on the act of replicating news articles from established media sources. Furthermore, younger users perceive these replicated articles as both valuable and reliable. They are also un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curating news and traditional news, criticize the overall mainstream media and reporting practices based on the quality of curating news, and even distrust the news produced by traditional news media.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curating news is confronted with a socially obscure actuality, thereby necessitating an evaluation of its present state, identification of its challenges and constraints, and the formulation of potential avenues and alternative remedies. Hen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curating news on social media platform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ntent and formality. Additionally, it undertakes an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curating news by evaluating its fairness and depth. To this e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news posts from <Insight> and <Wikitree> on Insta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content, curating news prioritized timeliness, proximity, and interest as news values with a primary focus on culture-related topics such as broadcasting, entertainment, and sports, with a strong tendency toward soft news. In terms of formality, the news reports predominantly employed inverted pyramid structures and straight news. Notably, most of the news was based on publicly disclosed information. In terms of fairness, curating news typically cited an average of 1.22 sources, with other media reports being the most commonly referenced source types. Moreover, over half of the curating news had a single viewpoint, and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showed a concentration of coverage on specific topics. In terms of depth, curating news mainly offered an analysis of the process and result of events but often lacked the provision of cause and prospect on the issues, leading event-centered news to prevail. Furthermore, despite the higher prevalence of transparent sources compared to anonymous sources, the news articles seldom included justifications or rationales for the utilization of anonymous sources.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actice of selectively curating news content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the utilization of attention-grabbing news stories to engage users may result in a detrimental loop that undermines the value of journalism. If curating news is carried out by thoughtless duplication, it will ultimately result in 'predatory news' practices. To enhance its standing in the field of journalism, it is important to explore resolutions at a more intricate level encompassing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consumption.

      • KCI등재

        큐레이션 기반 뉴스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 선호 탐색: 컨조인트 분석을 중심으로

        최재서,김정환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62 No.1

        The online news ecosystem has undergone many changes, focusing on portal news and online news users in Korea. Various ways of using news services have emerged due to conflicts between portals and media companies and changes in news consumption behavior of news users. Recently, as algorithm curation services using AI and Big data technology have been gradually introduced in news portal services, different user reactions are being confirmed according to various online news consumption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se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online news services provided by portal news using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For conjoint analysis, the online news service attributes were set to 'News curation subject', 'Ranking-based recommendation', 'News consumption environment', and 'News content type', and both relative importance and utility estimates by each attribute level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conjoint analysis, the 'News curation subjec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attributes. The most valuable levels for each attribute were 'News editing and recommendation by press', 'Most-watched recommendation', 'Portal news page (In-link), and 'Text-oriented news'. In addition, a similar attribute preference evalu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2030 group and the 4060 group, but in the ‘News curation subject’, the 2030 group preferred ‘Algorithm recommendation’ and the ‘News editing and recommendation by press’ in the 4060 group 국내 인터넷 뉴스 생태계는 포털 뉴스와 이용자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포털과 언론사와의 갈등, 뉴스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 행태 변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뉴스 서비스 이용 방식이 등장했다. 최근 포털 뉴스 서비스에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알고리즘 큐레이션 서비스가 점차 도입되면서, 다양한 인터넷 뉴스 소비 방식에 따른 각기 다른 이용자 반응이 확인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큐레이션 기반 뉴스 플랫폼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능과 인터넷 뉴스 서비스의 속성에 따른 이용자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인터넷 뉴스 서비스 속성을 ‘뉴스 큐레이션 주체’, ‘랭킹 기반 추천 방식’, ‘뉴스 소비 환경’ 그리고 ‘뉴스 콘텐츠 유형’으로 설정하고 각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및 속성수준 별 효용 추정치를 파악했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속성 중에서 뉴스 큐레이션 주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각 속성별 가장 가치있게 평가된 수준들은 ‘언론사 편집・추천’, ‘많이 본 뉴스 추천’, ‘포털 뉴스 페이지(인링크)’ 그리고 ‘텍스트 중심 뉴스’로 나타났다. 추가로 연령 집단별 컨조인트 분석결과, 2030 집단과 4060 집단 간에 유사한 속성 선호 평가가 확인되었으나, ‘뉴스 큐레이션 주체’에서 2030 집단은 ‘알고리즘 추천’을, 4060대에서는 ‘언론사 편집・추천’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Card News and Deconstructing News Values in Curated News Contents in the Digital Era

        홍성철 ( Seong Choul Hong ),배정근 ( Jung Kun Pa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새로운 뉴스 콘텐츠로서 카드뉴스를 분석하고 디지털시대에 뉴스가치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지난 2015년 하반기에 국내 언론사를 통해 보도된 1020개의 카드뉴스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뉴스가치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들이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카드뉴스는 새롭게 취재하여 기사화하기보다는 저장된 기존 뉴스들을 재활용하면서, 뉴스가치로서 시의성 보다는 정보제공과 사회적 가치, 오락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뉴스전달방식으로써 카드뉴스는 기존 뉴스에 대한 대체재가 아니라 보완재임을 보여준다. 또한 역피라밋 형태의 글쓰기보다는 리스트 나열형의 기사 작성 방식이 선호되고, 취재원으로서 길거리 일반인(Man-on-the streets)이 자주 인용됨이 발견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urated news content. With content analysis of 1020 news clips, the study found that news values immersed in card news differed from those of traditional news. Specifically, timeliness was not regarded as a key factor in newsworthiness. Rather, information and social impacts were highly emphasized. Considering news consumers depend on traditional news for timely news, curated news content was not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news but a supplement. By refurbishing photos from previous news reports and googling the web for related information, curated news reiterates social meaning and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Furthermore, salience of human interest can be explained by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of curated news. In story forms, the list technique has several important points to stress, and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inverted pyramids. Another key finding of this study is man-on-the street as the most quoted main sources in the curatorial context.

      • KCI등재

        플랫폼 뉴스 서비스와 알 권리 — 정보수령권의 보장 방안을 중심으로 —

        문의빈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1

        In a democratic society, the sovereign people should be well-informed when they form opinions and make decisions on public affairs. It is undeniable that well-informed citizenry is the foundation of democracy. ‘Right to know’ has been mainly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right to access government-held information, and there has only been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on the issue of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is a fundamental right that includes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from generally accessible sources without being disturbed.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has four protected legal interests: the freedom to choose information, the guarantee of exposure to diverse information, the transparency in the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and the freedom not to be forced to receive unwanted information. Today, personalisation is emerging as an effort to attract individual attention since what is scarce in the information society is not information, but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The platform's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are the best example of how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is being infringed by personalisation service. To be more specific,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limit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through exclusion from other news, digital prior restraint or censorship, manipulation by algorithms, and forced exposure to unwanted news.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necessity of limiting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that may infringe on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aimes to present measures to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First of all, to protecting the individual's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the platforms must be required to obtain separate consent to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and individuals must have the right to withdraw the consent. Also,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in the law that people have the right to reqauest explanations for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The freedom to choose information is enhanced by requiring clear consent as to whether to receive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and allowing the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 service to be canceled at any time. The process of the receiving information will be more transparent as people can understand the reasons why a piece of news is “recommended for you”. Next, with respect to the platform’s news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nsure active editorial rights of the platforms so that they are able to recommend news of common interest of the society. It is also necessary to codify ex post control procedures such as assessment and audit of how news is algorithmically recommended.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will be enhanced by designing legislative measures preventing distor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opinions and decision-making due to personalised news recommendations.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과 정보의 디지털화로 인해 공급되는 정보량은 폭증한 반면, 이를 소비할 정보수요자의 관심은 부족해졌다. 이에 따라, 정보수요자인 개인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개인맞춤형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특히, 플랫폼의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은 개인맞춤형 서비스가 기본권인 알 권리를 어떻게 제한하고 있는지 잘 보여준다.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으로 인해 다른 뉴스로부터의 배제, 필터링을 통한 사전 검열, 알고리즘에 의한 조작, 원하지 않는 뉴스에 대한 강요된 노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민주적 의사형성과 직결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주권자인 시민은 충분한 정보를 가진 상태에서 자유롭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민주적 의사형성을 위해서는 시민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동안 민주적 의사형성의 전제가 되는 알 권리는 적극적인 권리인 정보공개청구권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을 뿐, 일반적으로 접근가능한 정보원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정보를 받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소극적인 권리인 정보수령권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정보수령권은 정보선택의 자유, 정보 노출의 다양성 보장, 정보수령 과정의 투명성, 원하지 않는 정보를 강요당하지 않을 자유를 그 내용으로 하는바, 이 글에서는 정보수령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정보수령권 보장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개인의 정보수령권 보호를 위해서는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에 대한 별도의 동의와 설명요구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을 받을 것인지 여부에 대한 명확한 동의를 요구하고, 개인이 언제든지 해당 서비스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선택의 자유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어떤 뉴스가 왜 자신에게 추천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면 정보수령 과정의 투명성도 보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에 대한 규율 측면에서 플랫폼은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이 없는 화면을 제공해야 하고, 이 경우 사회의 공통분모에 해당하는 뉴스를 추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편집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의 방법에 대한 평가 및 감사 등을 통해 플랫폼 뉴스 서비스에 대한 절차적 통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를 통해 개인맞춤형 뉴스 추천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민주적 의사형성 과정에서의 왜곡을 방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인의 정보수령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에 카드뉴스의 유형과 활용 현황 분석

        정소영(Jung, So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빅데이터 시대에 정보 소비 경향과 카드뉴스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카드 뉴스에 대한 유형과 활용 현황 분석을 통해 카드 뉴스가 급속히 성장한 원인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정보 제공 방식의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배경에 관한 분석을 위해 문헌조사와 사이트 검색을 통한 조사틀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카드뉴스에 관한 분석을 위해 각 미디어에서 제작되는 카드뉴스를 비교 분석하여 분석 기준을 세우고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2015년 이후 빅데이터 정보 소비 경향과 각 매체에서 제공되는 카드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빅데이터 시대에 빠른 정보 소비를 위해 큐레이션, 스낵컬쳐, 비주얼 중심의 SNS이용자 급증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비주얼 중심의 정보 전달 방식의 카드 뉴스는 유형 분석에서는 실사 이미지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일러스트, 동영상 등 다양한 비주얼 이미지 방식을 통해 흥미 유발과 빠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 제공 방식으로는 리스티클, 문답형, 반전 스토리와 같이 카드 뉴스의 특징을 잘 살려 궁금증 유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 현황 분석 결과 매스미디어는 다양한 방식의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SNS 등을 통해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카드뉴스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큐레이션, 앱과 같은 미디어들은 각각의 미디어 컨셉을 설정하여 그에 따른 주제와 표현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어 카드 뉴스의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더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considers information consumption trends and card news in this age of big data. Based on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card news and the current status of using them to find out the causes of rapid growth in card news and examine the future directions of information provision. As study methods, to analyze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website searching based on its research frame, and to analyze card news, this paper analyzes card news being produced by different media comparatively and sets up the criteria of analysis and analyzes the cases. The range of this study is big data information consumption trends and card news being provided by different media after 2015. According to the findings, for rapid information consumption in this age of big data, curation, snack culture, and visual-centered SNS users increased dramatic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card news delivering visual-centered information, real images are being used most often, but various visual images like illustrations or videos, too, are being used to deliver information rapidly and intrigue users. About the ways of information provision, such methods as listicles, Q&A, and twisted stories are being used to highlight the features of card news and intrigue users and increase their curios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utility, mass media are producing various types of card news and receiving good responses through SNS or such. Media including the curation or app providing card news-type information set up their own media concept and provide information with proper themes and expression metho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present more diverse ways of using card news and utilize them more widely afterwards.

      • KCI등재

        큐레이팅 뉴스란 무엇인가? :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를 중심으로

        김동윤,김연식,이현주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1

        이 연구는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이들 두 요인의 상호 관련성을 모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큐레이팅 뉴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 음의 세 가지 차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가 바라보는 뉴스관 은 기존 온라인 미디어를 구성하는 뉴스관과 크게 다르지는 않았으나, 뉴스의 이야기적 구성 혹은 콘텐츠로서의 뉴스 속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분석적 읽기’와 ‘쓰기’ 그리고 ‘훑어 읽기’와 ‘쓰기’로 세분화된 이용행위 가운데, 이용자는 ‘분 석적’ 읽기와 쓰기라는 숙의적 이용행위 중심의 뉴스 소비행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마 지막으로,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 사이에는 상보적인 관련성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우리의 언론 현실에서 이는 저널리 즘의 기능과 역할의 방향성과 좌표에 일정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뉴스 큐레이션이 사회정치적 숙의와 그에 기반한 식견 있는 공중과 시민적 자질 향상에 상당히 기능적일 수 있다는 기대를 갖도록 해주었다. This paper has tried to explore the major factors of news perception and using behaviors of curation news and to seek the relativeness of them. Data analysis collected from curation news users 354 through onlin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news perception of curation news users was not different from the prior online news media, but users regard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uration news as the remarkable news storytelling or/and the attribution as news contents. Next, using behaviors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he deliberative and the non-deliberative reading and writing and the deliberative reading and writing were the prominent factors in their using behaviors. Finally, the complementary relativeness between news perception and using behaviors have been implying 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our present journalism which has had low credibility. To sum it all up, the values and meaning of news curation was enough to emphasis on its further impacts on the socio-political deliberation and the formation of well informed citizen with civic virtue.

      • KCI등재

        The Role of News Media Literacy in Predicting News Personalization and News Engagement

        Asraful Alam,Namhee Cho,Kyun Soo Ki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8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4 No.1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lication of news media literacy (NML) on news personalization and news engagement in online environment. Borrowing Mihailidis’s model of media literacy in the context of news media, it examines how different components of NML predict individual’s news curation, news selection preferences, and their news engagement.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601 respondents using an internet based nationwide survey in South Korea. Results show that news consumers’ perceived ability of appreciation and their self-perceived media literacy (SPML) have strong relation with news curation, and news selection via algorithmic, journalistic, friends’ recommendation and amateur. On top of this, perceived importance of ubiquitous accessibility to news media and the SPML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ws engagement. However, people who embraced with critical understanding (e.g., awareness) of news media are more likely to control their news engagement in digital media platform. The findings will add a new insight considering the potential role of NML into the implication of future news engagement.

      • KCI등재

        The Role of News Media Literacy in Predicting News Personalization and News Engagement

        Md. Asraful Alam,조남희,김균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8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4 No.1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lication of news media literacy (NML) on news personalization and news engagement in online environment. Borrowing Mihailidis’s model of media literacy in the context of news media, it examines how different components of NML predict individual’s news curation, news selection preferences, and their news engagement.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601 respondents using an internet based nationwide survey in South Korea. Results show that news consumers’ perceived ability of appreciation and their self-perceived media literacy (SPML) have strong relation with news curation, and news selection via algorithmic, journalistic, friends’ recommendation and amateur. On top of this, perceived importance of ubiquitous accessibility to news media and the SPML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ws engagement. However, people who embraced with critical understanding (e.g., awareness) of news media are more likely to control their news engagement in digital media platform. The findings will add a new insight considering the potential role of NML into the implication of future news engagement.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이재원(Jaewon, Lie),박동숙(Dongsook, Park)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뉴스에 댓글을 달고 공유하며 뉴스에 참여하는 시대에 걸맞게 뉴스 리터러시를 재개념화하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의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으로 이뤄져왔고, 뉴스 리터러시와 시민의식 함양의 관련성이 충분히 강조되지 않았다.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에는 이용자의 뉴스의 참여가 늘어나며 뉴스 소비가 사회적 행위로 변모했기에 뉴스의 이용이 민주주의의 수단이 아니라, 민주주의 자체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용자가 뉴스를 내면화(생산과정, 텍스트 이해)하며 소비하고, 뉴스를 외재화(선별, 공유)하며 생산까지 겸하는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새로운 뉴스 리터러시 개념으로 제안했다. 이는 그동안 신문활용교육 중심으로 이뤄져 온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한계를 벗어나고, 미디어 단위로 이뤄져 온 리터러시 논의를 확장된 형태의 뉴스 개념을 중심으로 재편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무엇보다 뉴스의 역할이 도구적인 이상에 머물지 않고 민주주의의 기본 토대로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news literacy in the age of social network journalism. People are no longer the passive readers of news articles but they actual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news consumption by connecting on and sharing the news through the SNS. Media literacy mainly based on how to become an active and critical users of various media. As a result, it has not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ews literacy education in enhancing the citizenship. New concept of news literacy is news curation ability, that is to internalize the news (understanding process of production and text) as consumers and externalize the news(selecting and sharing) while serving as manufacturers.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news literacy education, and because it reorganizes the shape of the concept of news in the broadened literacy discourse. Moreover, the role of the news does not simply remain as contributory but can be realized as the basic foundation of democracy.

      • KCI등재

        큐레이팅 뉴스와 개인성 그리고 정치효능감 : ‘숙독’의 숙의적 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윤 한국지역언론학회 2019 언론과학연구 Vol.19 No.4

        The present study has focused on the empirical effects of curating news, the emerging news platform, in the socio-political communication contexts. Based on the online reading and writing which are the principal means of online communication, the study aimed to see the communicative effects of the way of reading and writing in the context of political deliberation. Collected data from online survey of 354 respond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deliberative effects are differed from the way of reading and writing of curation news, but the effects of deliberative reading was massive and extensive on the individuality and political efficacy for those users. These findings of deliberative reading were also found in prior studies, but the effect size and strength of deliberative reading were wider and higher than writing behavior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highly involved communication behavior in online mediated communication. Through these results, we could infer that listening closely and well understanding for the curation news contents or any types of news contents are so much important to guarantee the quality of political deliberation. 이 연구는 새로운 뉴스 플랫폼으로 확산되고 있는 큐레이팅 뉴스 이용의 가치와의미를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원에서 검토한 것이다. 온라인 소통의 주요한 수단인 뉴스 읽기와 쓰기에 기반을 두었으며,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큐레이팅 뉴스를 ‘읽고 쓰는 방식’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정치적 숙의 차원에서 살펴본 것이다. 큐레이팅 뉴스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354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를통해 수집한 자료의 주요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큐레이팅 뉴스를 읽고 쓰는 방식에 따른 숙의적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개인성과정치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숙독’의 숙의적 효과가 두드러졌다. ‘숙독’의 이러한 읽기효과는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지만, 그 효과의 크기와 범위는 상당히포괄적이었다. 특히 다른 사람의 주장이나 의견에 대한 사려성과 관용에 토대를 두는 ‘숙독’의 이러한 효과가 고관여적 의사소통 행위로서 그 효과를 널리 인정받아 온‘쓰기’의 효과를 상회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뉴스를 잘 읽고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정치적 소통과 그에 따른 정치적 숙의의 품질을 담보하는데 있어더 없이 중요하다는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뉴스를 읽고 그에 대한 의견을 작성하는 일이 숙의적 참여를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했을 때, 이 연구는 ‘어떻게 읽고 쓰느냐?’의 문제가 사회정치적 숙의의 긍정적 효과를 유인하는 추가적인 요인으로 검토될 필요성이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