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자본, 지식 이전 간 관계에 관한 개념적 연구

        황정희(Jung Hee Hwang)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경영관리연구 Vol.3 No.1

        사회적 네트워크는 조직에게 지식, 자원, 시장, 또는 기술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이는 네트워크 속의 멤버쉽과 그 결과의 반복되고 지속적인 교환관계를 통해 개인과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고 네트워크 구성원들에 의한 지식 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지식 이전은 조직에 있어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다. 또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내부 그리고 외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즉 네트워크 속에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 간의 네트워크 크기와 관계 강도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징들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사회적 자본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자본, 지식 이전 간 관계에 대한 개념적 통합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지식 이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에 초점을 맞추어 지식 이전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성격이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에서 동기부여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자본 이론을 지지하고 개인 특성이 사회적 네트워크 효과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지식이전을 통한 조직 성과를 고찰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Social network provides organizations with access to knowledge, resources, market, or technology. It mak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s social capitals form through membership in network and repetitive and durable relationship of exchange as well as make them possible to transfer knowledge by network members. This knowledge transfer is increasingly being important in organizations. Besides,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 size and ties strength between people connected in networks provides organization members with social capital, which is formed by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s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of organization memb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by linking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transfer, and to propose how roles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plays in knowledge transfer. This is to emphasiz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examination of knowledge transfer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it was emphasiz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 can function with motivator in social network"s study. This stud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urpose the important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social network"s effect and examin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transfer.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상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 요인 및 사회적 자본과 소비 성향과의 관계

        이희태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3

        본 논문에서는 SNS상에서 주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이 무엇인지, 사회 자본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형성된 사회 자본과 어떠한 소비자 성향과 관련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SNS상에서는 연결적 사회 자본이 결속적 사회 자본보다 더 크게 축적되어 있는 것을 밝혔다. 둘째, SNS 관여도는 연결적 사회 자본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은 연결적 사회 자본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의 경우 SNS 관여도가 연결적 사회 자본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을 감소시키는 조절 효과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속적 사회 자본의 경우, SNS 관여도와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이 유의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이 SNS 관여도에 미치는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결적 사회 자본은 독특성 추구 소비 성향 형성과 긍정적이고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결속적 사회 자본은 순응성 추구 소비 성향에 긍정적이면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SNS상에서는 신선한 정보와 이슈거리를 만들어내고 이를 연결적 사회 자본 형성이 용이한 SNS를 통해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SNS를 통해 형성된 사회 자본을 활용해 시장세분화를 할 때, SNS관여도와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은 중요한 구분 변수가 될 수 있다. 셋째, 연결적 사회 자본 형성이 두드러진 SNS에는 독특성 추구 소비 성향에 소구하고 결속적 사회 자본 형성이 연결적 형성이 잘 되어 있는 SNS 상에서는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 성향에 소구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다음과 같은 기여점과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온라인 SNS 상에서 연결적 사회 자본 형성이 결속적 사회 자본 형성보다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혔으며, 각각의 사회 자본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혔다. 또한 연결적 사회 자본 형성은 독특성 추구 소비 성향에, 결속적 사회 자본 형성은 순응성 추구 소비 성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마케팅 연구에서 최초로 실증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1) which type of social capital is mainly formed i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2) what factors influenc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SNS, and 3) what relationships between formed social capital in SNS and the propensity of consumer needs.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dataset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bridging social capital is bigger than that of bonding social capital in SNS. Second, SNS involvement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bridging social capital, while online network competency has an insignificant effect on bridging social capital and plays a moderating role of reducing the positive effect on bridging social capital of SNS involvement. Bonding social capital is influenced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by both SNS involvement and online network competency, while online network competency does not play a moderating role in increasing the positive effect on bonding social capital of SNS involvement. Third,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propensity of consumer needs for uniqueness, while bonding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pensity of consumer needs for conformity. Managerial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keting practitioners need to make fresh information and diffuse it via SNS in which people can build bridging social capital from "weak tie". Second, SNS involvement and Online Network Competency can be good variables when companies segment consumers based on social capital. Third, when marketing practitioners can plan an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for target consumers segmented by social capital types. In other words, brands emphasizing uniqueness can be appropriate to appeal bridging social capital type consumers and brands stressing conformity will be fit to appeal bonding social capital type consumers. Notwithstanding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and been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this study examined which type of social capital dominates in SNS and, to the best of my knowledge,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und that which type of social capita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eds for uniqueness or needs for conformity.

      • KCI등재

        벤처 캐피털 산업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벤처 캐피털 공급

        한은석 ( Eun Seok Han ) 한국산업조직학회 2016 産業組織硏究 Vol.24 No.3

        본 논문은 벤처 캐피털(VC) 산업의 신디케이트 네트워크의 거버넌스가 각 네트워크 구성원간의 미래 투자기회에 대한 배타적 공유의 형태로 작동하면서, 국지적 VC 네트워크(시장)로의 신규 VC 기업의 진입을 막고, 더 나아가 전체 VC의 공급을 감축시키게 됨을 이론적 모형을 통해 보여준다. 이를 위해 수익성 전망이 양호한 벤처 투자기회의 희소성을 전제로, 기업가와 VC기업 간의 재무계약 체결과정을 상정하고, VC 신디케이트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기제를 결합하여 모형을 구성한다. 지역 VC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기제는 각 지역 네트워크에 속한 VC기업들 간의 반복적 신디케이트 투자를 촉진하여 기존 네트워크를 더 강화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기존의 지역 VC 기업이 지역 네트워크에 새로 진입하려는 신규 VC 기업과 신디케이트를 형성하는 ‘배신’ 행위에 대해 가혹한 ‘집단적 제재’를 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위해 이뤄지는 집단적 제재의 전형적인 방식이 VC 신디케이트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기제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Hochberg, Ljungqvist, and Lu (2010)의 실증 논문에 서 증명된 바 있다. 주지하듯이 VC 네트워크(시장)에서는 다른 시장에서와 달리 통상적인 ‘가격’ 기제가 작동하지 않는다. 대신에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집단적 제재’ 기제가 신규 진입 VC기업의 기대수익 을 낮추어 신규 진입 VC기업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VC의 공급을 제한하고 벤처 캐피털의 가 격을 올린다. 동시에 기업가와 VC기업 간의 재무계약 협상과정에서 기업가의 협상력을 약화 시키게 된다. 본 논문은 이 집단적 제재라는 네트워크 거버넌스 기제가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는 매 개변수(parameter)와 연관돼 있음을 보임으로써, 기존의 분석모형에 네트워크 거버넌스 기제를 추가하여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 어, 다수의 계열사를 가진 대기업 집단을 네트워크 기업으로 상정하고 기업 지배구조 모형에 네트워크 거버넌스 기제를 추가적으로 도입할 경우, 기업 지배구조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함의 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미 네트워크 사회로 진화한 글로벌 경제의 많은 경제·사회 적 이슈에 대해 이러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요소의 적용은 기존 연구와 다른,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studies the venture capital (VC) syndicate network working as a network governance mechanism. With the assumption of the scarcity of ‘good’ venture investment opportunities, we look into the networking behavior of the investing VC firm (matched with the entrepreneur by the Nature), and invited VC firm in the early stage syndicate first. Especially, we focus on how to incorporate this network governance mechanism into the VC financial contracting. As combining the network governance of the VC syndicate networks and the VC financial contracting, we show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lead VC firm’s neighborhood affect adversely the bargaining power of the entrepreneur. That is, the network governance of the VC local networks means sharing of the deal flows only among the VC firms in the same local network. Moreover, the network governance implies the punishment of a defecting VC firm which makes a co-investment with a new entrant. Therefore, the network governance mechanism in the VC industry restricts the supply of the venture capital to potential buyers . the entrepreneurs in the VC industry (Hochberg, Ljungqvist and Lu, 2010). Given that there is no price signal in the VC industry, the contractual terms indicate the exchange conditions between the buyers and suppliers of the venture capital. We conclude with remarks on future research agendas in the network governance.

      • SNS 요인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자본과 인적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경회 ( Kim Kyung-ho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자본과 인적네트워크 형성의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네트워크의 범위와 규모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인적네트워크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의 우월한 구조적 공간 정도 위치를 확보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정보의 수집과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확률이 높다. 개인과 사회는 이용 가능한 사회적 자본, 사회적 네트워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인적네트워크 개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규모와 범위, 연결 강도, 구조적 공간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사회적 신뢰가 높은 사회일수록 사회적 자본 형성이 쉽고, 사회적 신뢰가 낮은 사회일수록 사회적 자본 형성이 어렵다. 그러므로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자본과 인적네트워크 형성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신뢰과 존중, 공존의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on social capital and human network 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degree of human network may vary according to the extent and size of social networks. Second, those who secure the position of superior structural space in social networks are better than those who do not. It is likely to gather more information and form social capital. Individuals and societies can perform efficient human network development by appropriately using the available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s. And in order to maximize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s, the size and scope of social networks, the strength of connections, and the structural space must be properly utilized. Societies with high social trust are more likely to form social capital, and societies with low social trust are more difficult to form social capital. Therefore, in order to form social capital and human network through social networks,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values of social trust, respect and coexistence.

      • KCI등재

        사회자본의 직업성취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고졸 청년층의 사회 연결망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최준호 한국교육사회학회 2007 교육사회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occupational achievement of Korean high school graduate youths, especially focusing on the utility of social network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capital theory. It laid great emphasis on the construction of an alternative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us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ersonal network and institutional net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High school graduate youths have been getting jobs through the personal networks, such as friends, seniors, juniors, parents, and relatives. Personal networks led to much higher School-to-Work Transition than any other way of seeking work. However, when I finished analyzing how each type of network affects the Transition from School-to-Work, I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way of seeking work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is not the personal network nor any other ways but the institutional network. Therefore, I conclude that the institutional network variables, such as school recommendations, is the most powerful resource for School-to-Work Transition. Institutional network variables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occupational achievement even with the other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labor market variables under control. In conclusion, it can be expected that a lot of job opportunitie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can be given to high school graduate youths by building up and strengthening the institutional network through making clos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companies. 본 연구는 한국 고졸 청년층의 직업성취를 사회자본론에 기초한 사회 연결망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개인적 연결망과 제도적 연결망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사회자본과 직업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대안적 분석틀을 구축하는데 강조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고졸 청년층은 친구 또는 선후배, 부모 또는 친척처럼 개인적 연결망을 다른 구직방법에 비해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학교로부터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연결망의 각 유형에 따른 효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중요한 구직방법은 개인적 연결망이나 다른 구직방법이 아니라 제도적 연결망임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학교추천과 같은 제도적 연결망 변수는 학교로부터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가장 강력한 자원이며, 다른 개인 변수와 노동시장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직업성취에 실질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확신하였다. 결과적으론 학교와 기업간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제도적 연결망을 구축하고 강화함으로써 고졸 청년층에게 구직방법과 직업성취를 위한 더욱 풍부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 KCI등재

        Venture Capital Syndicates Network : Formation, Evolution and the Architecture

        한은석(Eun Seok Ha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6 경제연구 Vol.34 No.3

        본 논문은 미국 벤처투자 산업의 발전과정의 중요한 특징들을 반영하여 벤처 캐피털 신디케이트 네트워크의 형성과 진화과정을 단순한 게임 모델로 모형화하여 벤처 캐피털 신디케이트 네트워크의 구조양식을 도출한다. 우선, 비협조적 네트워크 형성 게임 모델의 제약으로 작동하는, ‘상호 동의에 의한 네트워크 형성’ 의 난제를 벤처 거래흐름의 호혜성과 벤처 투자기업들 간의 신뢰라는 벤처투자 산업 고유의 특징을 통해 해결하면서, 지역 네트워크 형성게임을 협조적 게임이나 순차적 게임이 아닌 동시 진행 게임 모형으로 단순화한다. 벤처 산업의 발전과정 초기에 지역 벤처 네트워크의 형성과정을 통해 ‘주변부-지원 스타’ 형태의 네트워크가 형성됨을 보여준다.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 거의 동시에 각 지역 네트워크의 중심부를 차지하는 최고 실적 기업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정을 통해 전국적 연결이 성립되는 과정도 모형화하고 있다. 이어서 대규모의 신규 진입으로 인한 벤처 캐피털 네트워크의 진화과정을 모형화하여 벤처 신디케이트 네트워크의 구조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진화하여, ‘상호 연결된, 다층적, 주변부-지원 스타’ 네트워크 형태를 도출한다. 본 논문은 ‘상호 동의에 의한 네트워크 형성’ 이슈와 ‘게임 행위자들의 이질성’을 벤처캐피털 신디케이트 네트워크 형성과정의 특성을 통해 단순한 게임모형의 틀 안에서 결합시키고, 벤처캐피털 기업 간 네트워크 형태를 구체적으로 도출한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상호 동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거나 네트워크게임 행위자들의 ‘이질성’의 유형을 일반화시킨 모델 또는 진정한 ‘동학적’ 모델의 개발을 향후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develops a simple network formation game model that recapitulates the critical phases in the history of the Venture Capital (VC) industry. With the reciprocity of deal flows and trust among VC firms in the same local VC market, we simplify this network formation game as a simultaneous-move directed network formation game. The local fragmentation and the global connectivity were two distinct features in the early history of VC industry. The former is driven by the new entrants at the regional level (or local level) and the latter is by incumbent firms that seek diversification. Our model details the formation of the local VC syndicate networks and the global connectivity in the whole VC syndicates network. Also, with the massive influx of new entrants, the VC industry evolved into an interlinked, multi-layer, periphery-sponsored stars network, which is also evidenced by the history of the VC industry.

      • KCI등재후보

        Impacts of Strong Tie and Weak Tie on Network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 of Openness

        ( Kyoungnam Catherine Ha ),( Seung Myeong Chung ) 서암순창장학회 2018 Journal of Marketing Thought Vol.5 No.1

        The present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have been recognized that the transactions between buyer and seller are included in social relations. Despite extensive research on inter-organizational transactions,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to address the role of a larger social network operated by a B2B company.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theory that will help network theory find out how the company should move forward and how to continue to succeed in a B2B environment. Social capital is an important concept in all areas, not just marketing. I will explain network theory which is one of the concepts derived from this social capital. A lot of research on network theory has been done and is still going on. That is why network theory is an important part of marketing.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power relationships in network theory and how the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network theories in detail such as strong tie and weak tie. Recently, the concept of network openness emerged, and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this was lacking. 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theory (strong tie, weak tie) and network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penness. In this study, network theory is divided into two kinds. There is a strong tie and weak tie. We will each demonstrate how different groups affect network performance. Therefore, the results will be good for future companies if they take these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when starting network relations. Moreover, our research has contributed to importance of openness.

      • KCI등재

        온·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용자 특성의 영향

        차문경(Moon-Kyung Cha),이희태(Hee-Tae Lee)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5

        본 연구는 소비자 특성으로 대변되는 이용자의 특성과 네트워크 능력에 의해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들이 지닌 두 가지 영역에서의 사회적 자본, 즉 온라인 사회적 자본과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217명의 응답자에 대한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크게 두 가지 연구 목적을 지니고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소비자특성(독특성추구소비, 순응적소비, 혁신성)과 네트워크 활용경향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활동 참여수준, 정서적·인지적 SNS 관여도,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능력)을 통해 이용자를 군집화하고 이를 다시 판별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유형화한 3개의 군집(온·오프 만능형, 오프중심형, 온·오프 나홀로형)의 집단적 특징에 따라 이들이 보유한 온·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상이한지를 ANOVA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온·오프 만능형’의 소비자들은 연결적, 결속적 사회자본에 있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걸쳐 가장 높은 수준의 자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판별분석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혁신성을 바탕으로 한 높은 수준의 SNS 관여도와 순응소비경향, 그리고 네트워크 능력을 두루 지닌 군집이기에 가능한 결과로 해석된다. ‘온·오프 나홀로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낮은 수준의 사회적자본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것은 사회적 자본을 높게 오프라인에서의 대인능력이 낮은 편이고, 순응적 소비성향으로 대변되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낮은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자본을 약간 높은 수준으로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타 두 군집이 자신이 지닌 사회적 자본이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서 풍부하다고 응답한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이들은 SNS에 대한 높은 관여도를 보이는데 이는 오프라인에서의 낮은 사회적 자본을 상대적으로 보완하려는 온라인에서의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프중심형’ 소비자는 낮은 온라인 참여수준과 SNS관여도를 보이기 때문에 온라인 사회적 자본은 낮은 수준이지만, 오프라인에서의 네트워크능력은 높기 때문에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은 온·오프 만능형에 뒤지지 않은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추가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결과와 더불어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통해 향후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onsumers by characteristics of users represented by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network ability and to examine their social capital portfolio. For thi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217 respondents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Firstly, using cluster analysis, consume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need for uniqueness, need for conformity, innovativeness) and network usage tendency (online engagement via mobile, emotional/cognitive SNS involvement, online/offline network competency). Users were clustered again and verified by discriminant analysis. Secondly, ANOVA tested whether the level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differs across clus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ree clusters were derived (On·Off universal, On·Off alone, Off only). As expected, cluster 1 (On·Off universal) consum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social capitals both online and offline in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high level of SNS involvement, network competency, and consumer innovativeness as presented in discriminant analysis. Cluster 2 (On·Off alone) have a low level of social capital both online and offlin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ir low network competency, need for conformity, and innovativeness. They have a relatively richer online capital than offline social capital, which is in contrast to the other two clusters’ tendency. Given that they showed high level of emotional SNS involvement, it can be interpreted as online efforts to complement poor social capital offline. Cluster 3 (Off only) consumers showed low online engagement and SNS involvement, even though their network competency is not low. This made their offline social capital is much richer than online social capital. [그림 본문 참조] This research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extended the results of past studies on social capital by classifying consumers through consumer characteristic factors and network use tendency. This provides a strategic viewpoint to the consumer segmentation. We can use social capital retention style to understand consumers and their behaviors,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by existing criteria such as demographic informa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mentioned.

      • KCI등재

        이주민의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채,하진기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3

        Recognizing that the adjustment of marriage immigrants, which increased since the early 1990s, was not only a personal factor but also a social andnational issue, the research results were conducted to find and reveal the implications of the factors needed to lead a satisfactory life in the community where marriage immigrants lived through a survey of social capital. Here, the networks held by marriage immigrants were viewed as soci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was largely seen as private network, public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successful settlement in the migrated area,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living satisfaction levels that included a diverse level of desire and optimism for the future, belonging to the migrated community, sharing common ties with member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a factor tha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ivate networks. However, private networks and public networks are highly correlated, and the fact that they serve as major contributors to achieving the purpose of migration and enhancing the sense of well-being of migrant lives after the particip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n the private network means that private networks are highly relevant to socia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private network was formed, the better it was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ore effective it was for marriage immigrantsto have a medium effect on their social satisfaction. The fact that there is a medium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living satisfaction means that improving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network formation is significant in improving living satisfac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we are considering various ways of setting up relationships and adapting to the multicultural era by discussing social capital and living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1990년대 초반부터 증가한 결혼이민자의 적응이 단순히 개인적 요인뿐만 이 아닌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결혼이민자가 정주한 지역사회에서 만족도가 높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요소들 과 사회자본과의 상관관계 조사를 통하여 찾고 이에 따른 함의를 밝히기 위한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여기서 결혼이민자가 가진 네트워크를 사회자 본으로 보았고, 사회자본은 크게 사적 네트워크, 공적 네트워크, 사회참여로 보았다. 종속변수인 이주한 지역에서의 성공적인 정착은 이주한 지역사회 에 소속되어 구성원들과 공동의 유대를 공유하며 다양한 차원의 욕구 및 미래에 대한 낙관적 감정을 포괄하는 생활만족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는 사적 네트워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적 네트워크와 공적 네트워크는 상관관 계가 높고, 사적 네트워크에 따른 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이후 이주목적 달성과 이주생활의 안녕감을 높이는 주요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사적 네트워크가 사회참여와도 관련성이 높은 것임을 의미한다. 즉 사적 네트워 크의 형성이 잘 되어있을수록 사회참여에 유리하였으며, 결혼이민자의 사 회참여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에 대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사회참여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생활만족도에 향상에 있어 유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 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다문화시대에 접어든 지금 다양한 관계설정 방식과 적응 방식에 대한 고찰을 고민한다는 것에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문이슬(Moon, I Seul),윤창국(Youn, Chang Go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운영 과정에서 어떠한 구체적 유형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고 산출되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운영이 활발한 서울 강남구 평생학습 실무협의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평생학습 네트워크는 협의회를 구성한 후 지속가능한 운영방식을 확보하고 참여자 중심의 운영을 도모하면서 차츰 네트워크의 수준과 영역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산출된 사회적 자본은 ‘강화된 관계망의 밀도와 상호이해에 기반한 신뢰’, ‘공유된 다양한 네트워크 가치와 자원들’, ‘확장된 주체적 지역사회 활동’의 세가지 범주로 분석되었다. 강남구 협의회의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산출된 다양한 사회적 자본들은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지속적 전개와 성장을 이끄는 동력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구축에는 어느 정도 사회적 자본을 공유하고 있는 집단을 기반으로 시작할 필요가 있는 점, 네트워크에서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탈집중적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점, 네트워크 구축의 당위성확보 및 활성화 전략을 위해서는 향후 네트워크의 활동의 다양한 산출물 중 하나인 사회적 자본에 대한 구체화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social capital are formed in a lifelong learning network.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use case study methods and select a case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ittee vigorously activated in Gangnamgu. After establishing a committee, members determine that this committee would be managed in member-centered and sustainable ways. As a result, this network has developed and expanded its activity area and level of activity. Through these activities, this lifelong learning network produced three kinds of social capital such as ‘enhanced network density and trust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shared network values and resources,’ and ‘expanded autonomou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ose social capitals produced by network activities take important roles in contiguo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network.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discuss three implications on lifelong learning research and fields. First, lifelong learning network should better start from group sharing for some level of social capital. Second, the network structure needs to be organized in decentralized way in order to gain a varied and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Third, research should focus more on social capital to secure imperativeness and develop strategies for activating lifelong learning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