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roposal for an analysis to illustrate research trends on national parks in Korea

        Soo Hyung Eo,Byung June Ko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7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학술대회 Vol.2017 No.11

        National parks are designated and managed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natural ecosystems, nature and cultural scenery, and promoting sustainable utilization in Korea. Since we designated Jirisan as the first Korean national park in 1967, we have now designated and managed 22 national parks. Because these national parks are the core protected areas of the nation and the ecological recreation center for the people, the interests of researchers related to national parks and citizens have steadily increased over the last 50 years. Especially, various natural science researches and social studies on national park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launch of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 1987, which is dedicated to national park management. However, we still lack research on national park research trends in Korea in spite of the increase in scientific research and public interest. It is important to know who and what institutes are leading national parks research, what research topics have been conducted, what kinds of researches are important in each national park, and how these researches relate to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ies. We propose a study to review the national parks related stud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and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In the pilot study, we collected about 700 research papers on national park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6 through the Korea Citation Index of Korean journals. We are analyz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 topics related to national parks. Analysis of these national park research trends will be necessary for efficient national park management and policy making for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국립공원 탐방객의 방문동기와 회복환경지각척도 비교 연구 - 국립공원 문화서비스 건강 · 치유 평가를 중심으로 -

        장진(Jin Ja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국립공원 자연이 제공하는 문화서비스 건강·치유 평가의 일환으로 국립공원 탐방객의 탐방행태와 방문동기에 따른 건강효과 인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립공원 방문 경험이 있는 탐방객 총 914명이며, 연구방법은 2019년 11월 19일부터 12월 18일까지 1개월 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내용은 탐방객 일반사항 및 탐방특성(체류시간, 주요 참여 활동), 국립공원 방문동기, 국립공원을 회복환경지각에 대한 인식 등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test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국립공원 탐방객의 방문동기 요인은 ‘자연탐험 및 자기탐구’, ‘자연친화 및 건강증진’, ‘일상생활 탈피’ 세 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요인별 중요도는 ‘자연친화 및 건강증진’ 요인 3.596점, ‘일상생활 탈피’ 요인 3.445점, ‘자연탐험 및 자기탐구’ 요인이 2.809점 순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탐방객의 회복환경지각척도의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매혹감’, ‘짜임새’, ‘탈출감’, ‘적합성’, ‘이해용이성’으로 구분되었다. 회복환경지각척도 각 요인별 평균값은 탈출감(M=5.205), 매혹감(M=4.868), 짜임새(M=4.567), 적합성(M=4.471), 이해용이성(M=4.383) 순이었고, 회복환경지각척도 전체 평균값은 4.729점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빈도는 연 3회 미만 방문했을 경우보다 연 4-12회, 그리고 연 4-12회 방문하는 것 보다는 연 13회 이상 방문하는 것이 회복환경지각척도의 평균값이 점점 높게 나타났으며, 체류시간이 2시간 미만동안 머무르는 것 보다 6시간 이상 머무를 경우에 국립공원을 회복환경으로 더 높게 인식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립공원 탐방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건강효과에 대한 인식과 탐방특성을 파악하여 생태계서비스 증진 및 효율적인 공원관리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park visitors and the perception of health effect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o visit as part of the evaluation of health and healing based on cultural services provided by national park’s natur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914 visitors, who had visited national parks for 1 month from November 19 to December 18, 2019. The main contents surveyed include general details of visitors, characteristics of visit (stay time, major participation activities), motivation to visit national parks, and perception of Perceived Restoration Scale (PR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etc.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motivation for visitors to visit national park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Natural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Nature Friendly and Health Enhancement’, and ‘Breakaway from Daily Life’.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was 3.596 points for ‘Nature Friendly and Health Enhancement’, 3.445 points for ‘Breakaway from Daily Life’ and 2.809 points for ‘Natural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S factors of national park visitors, which were divided into ‘Fascination’, ‘Coherence’, ‘Being Away’, ‘Compatibility’ and ‘Legibility’, the average value of PRS factors was high in the order of Being Away (M=5.205), Fascination (M=4.868), Coherence (M=4.567), Compatibility (M=4.471) and Legibility (M=4.383), and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PRS was 4.729. The average value of PRS was higher in the case of visiting national parks more than 13 times a year than visiting 4-12 times a year and visiting less than 3 times a year in sequence. In addi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PRS is perceived to be higher when the stay time lasts more than 6 hours than it lasts less than 2 hours. This result shows that the longer national park visitors are exposed to nature, that is, the more frequently visitors visit the national park and the longer they stay, it’s more likely to have a postive effect on their PRS in terms of the health promotion and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of th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national park’s natu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of ‘PRS’ as the health and healing effects according to visitors’ motivation to visit among the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the nature of the national park. The result is meaningful in that it objectively identified the effects of nature-based exploration activities on visitors’ PRS in national parks and presented basic data for preparing exploration policies for efficient park management and enhanced ecosystem service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참가자 만족도 및 재참여의향에 관한 연구 - 2019년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심규원,장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4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held “Travel Week” since 2014 to encourage the people to take a vacation and disperse the seasonal tourism demand that is concentrated in summer in Korea. As part of the program,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also operated the participatory lowland exploration program that offers nature-themed attractions and enjoyment in national parks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Travel Week” since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of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Park Spring Week Program” which is held in national parks during the “Travel Week.” We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of 1,281 participants in the “2019 National Park Spring Week Program” held in 18 national parks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of responses on the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according to the awareness in advance of the “2019 National Park Spring Week Program” showed that the average satisfaction and intentional to participate again of those who were aware of the program before visiting national park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not. As for the type of national parks, those who participated in “maritime and coastal national parks” and “historical national park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urban national parks.” As for the type of the programs, those who participated in “cultural performance” and “exploration experienc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exhibition,” “PR booth,” and “campaign.” Those who participated in “cultural performance” and “exploration experienc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exhibition” and “PR booth.”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olicy to improve exploration service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visitors to national parks in spring and fall as well as the peak season of summer.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범국민적 여행분위기 조성과 여름철 집중된 국내 관광수요 분산 등을 위해 2014년부터 ‘여행주간’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공단에서도 2018년부터 ‘여행주간’ 동안 전국 국립공원에서 자연을주제로 한 볼거리·즐길거리를 제공하는 국민 참여형 저지대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여행주간’ 동안 국립공원에서 진행되었던 ‘국립공원 봄 여행주간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프로그램 만족도와 재참여의향에 대한 인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총 18개 국립공원에서진행된 ‘2019년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에 참여한 탐방객 1,28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의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 사전 인지 여부에 따른 만족도 및 재참여의향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방문 전 프로그램을 인지한 참가자의 만족도와 재참여의향은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던 참가자 보다 만족도와 재참여의향모두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립공원 유형별로 살펴보면, ‘해상·해안형 국립공원’과 ‘사적형 국립공원’ 이 ‘도시형 국립공원’ 보다 만족도와 재참여의향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유형별로 살펴보면, 참가자의 만족도는 ‘전시회’, ‘홍보부스’, ‘캠페인’ 보다 ‘문화공연’과 ‘탐방체험’ 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값이 높았고, 재참여의향은 ‘전시회’, ‘홍보부스’ 형태 보다 ‘문화공연’과 ‘탐방체험’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연구는 향후 국립공원 여름 성수기 외에도 봄과 가을 탐방객 수 증가에 대응한 탐방서비스 개선을 위한 탐방정책 수립을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자연공원 종류별 서식지질 비교

        장정은,김민태,권혜연,신해선,유병혁,이상철,최송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6

        Awareness of the ecological value and importance of protected areas has increased as climate change accelerates, a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nature. The natural park, which is a representative protected area in Korea, has a system of national parks, provincial parks, and county parks. National parks are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but local governments manage provincial parks and county parks. There may be the same hierarchical differences in naturalness (habitat quality)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the natural parks, but it has not been verified. To identify differences, we examined 22 mountain-type natural parks using habitat quality using the INVEST model developed by Stanford University. The analysis of the habitat quality, regardless of the type and area of the natural park, showed that 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aebaeksan National Park (0.89), Juwangsan National Park (0.87), Woongseokbong County Park (0.86), and Gayasan National Park (0.85). The larger the area, the higher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A comparison of natural parks with similar areas showed that the habitat quality of national parks was higher than that of provincial parks and park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habitat quality of county parks was 0.83±0.02, which was 0.05 higher than that of provincial parks at 0.78±0.03. Furthermor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forest areas within the natural park, the higher the habitat quality.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naturalness of natural parks was independent of their hierarchy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naturalness depending on land use, land coverage, and park management. 보호지역의 생태적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호지역인 자연공원은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국립공원은 국립공원공단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으나 도립공원과 군립공원은 지방자체단체가 관리하고 있다. 자연공원의 위계에 따라 자연성 또한 같은 위계적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검증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공원 중 산악형 22개소를 대상으로 InVEST 모델 중 서식지질(habitat quality)을 이용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자연공원의 종류와 면적에 관계없이 서식지질을 분석한 결과 태백산국립공원(0.89), 주왕산국립공원(0.87), 웅석봉군립공원(0.86), 가야산국립공원(0.8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질은 면적이 넓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면적이 유사한 자연공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의 서식지질은 도립공원과 군립공원에 비해 높았다. 반면 군립공원의 서식지질 평균은 0.83±0.02으로 도립공원의 서식지질 평균 0.78±0.03보다 0.05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자연공원내에서 산림지역 비율이 높을수록 서식지질 또한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자연공원의 자연성은 자연공원의 위계와 같지 않고 토지이용, 토지피복 그리고 공원관리 등에 따라 자연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을 위한 국립공원 사찰림 생태계서비스 가치 추정 연구

        오치옥,정해영,주우영 한국환경정책학회 2019 環境政策 Vol.27 No.1

        This study evaluated the economic value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temple forests, which are parts of national park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instituting a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as a means of resolving conflicts derived from visitors’ user fees. In particular, we analyzed how group segmentation variables such as individuals’ temple visit experiences and the importance of conserving temples’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make a difference in economic values. We employed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conserving temple forests in national parks and, in December 2017,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000 individuals who had visited at least one of the national parks during the preceding five yea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cquired an average economic value of 4,132 won from the conservation of temple forests. The results of the group segment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edian WTPs (willingness to pay) were around 6,494 won for groups with temple visit experience and 2,135 won for those without temple visit experience. Likewise, we found that the median WTPs of the high and low importance groups were around 5,998 won and 1,119 won, respectively. In s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sitors' experience and interest in national parks considerably affects the difference in the economic value of temple forests. We estimated the total economic value of the conservation of temple forests to be 88 billion won. Since this is the value for the area of all temple forests, the size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emple forests in each national park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conclusion, we expect this information will prove useful in the institution of a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본 논문의 목적은 국립공원의 일부인 사찰림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문화재관람료를 둘러싼 갈등 해결의 방안으로써 생태계서비스지불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생태계서비스지불제의 도입 시 사찰방문 여부, 사찰 보존의 중요도 등에 의한 수혜자 내 집단 간 차이가 사찰림 보전의 경제적 가치에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국립공원의 사찰림 보전을 위한 개인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사용하였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위한 온라인 설문 조사는 2017년 12월 17개 시도에서 지난 5년간 국립공원을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1,000명의개인에게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통한 모형의 분석 결과 응답자는 사찰림 보전으로부터평균 4,132원의 경제적 가치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탐방객 내 사찰방문 경험과 사찰 보전 중요도에 따른 집단세분화를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찰방문 경험이 있는 집단은 사찰림의 가치가6,494원으로, 사찰방문 경험이 없는 집단은 2,135원으로 나타났다. 사찰 보전의 중요가 높은 집단에서는5,998원으로, 낮은 집단에서는 1,119원으로 추정되어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국립공원에 대한 방문객의 경험과 관심 등이 사찰림의 경제적 가치의 차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국내 사찰림의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한 결과 약 88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찰림 전체의 면적에 대한 가치이기 때문에 각 국립공원에서 차지하는 사찰림의 면적과 특성에 따라고려되야 하며,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 도입 시 이 추정결과를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립공원 관리원들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기능에 관한 연구

        박장근(Jang Geun Park),유영규(Young Kyu Yu)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circumstances and function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National Park Services. A questionnaire that has total 27 questions is used as a tool to survey. The twelve Parks out of 29 nationwide National Parks are selected as samples and 718 the National Park Services are selected as subjects. The result are following The first,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National Park Services are the sports activities, watching and listening activities, tourism and resorts activities, other and relaxation, hobbies and liberal arts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play, recreational activities. The second, the circumstance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National Park Services are followings: the career involvement of leisure activity is three years or mor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a week is once, the time involved is 1-2 hours or less, the expense is 50,000 won or less. Leisure activity is necessary for the work. The reasons of leisure activity is health and fitness. The barrier is time. The motives for participation are health, and maintaining and promoting fitness most. The third, the circumstances, frequency, time of leisure participation are influenced negatively on leisure function. However, the expense of leisure and work performance are influenced positively.

      • KCI등재

        국립공원의 수질조절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 - 오대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김가우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rend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in Odaesan National park of the last five years and the corresponding economic values. Recently the climate change makes increased the value of the water, it is more important to protect the source of the riverthan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we calculated the difference between purification and pollution from national park and estimated the quantitative value of the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As a results, the amount of the value of the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from 2017 to 2021 was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BOD 128.21 kg/Day, T-P 12.11 kg/Day to BOD 161.38 kg/Day, T-P 13.24 kg/Day and the economic value also increased from 2,304 million won to 2,817 million w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인 국립공원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ES, Ecosystem services) 중 수질조절서비스를 정량적으로 물리량을 측정하고 경제적 가치평가를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수질조절서비스 평가 지표는 ‘수질정화량’으로 국립공원 내 배출된 오염부하량과 출구측정부하량의 차이를 통해‘연간일평균수질조절량’을 구하고 총량초과부과금 처리 단가를 곱하여 경제적 가치평가를 추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생태계건강성지수 내 수질지수가 가장 높은 국립공원인 오대산을 대상으로 2017~2021년까지최근 5년간 수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2017년 대비 2021년의 수질정화량은 BOD 128.21kg/ Day, T-P 12.11kg/Day에서 BOD 161.38kg/Day, T-P 13.24kg/Day으로 수질조절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른 경제적 가치는 5년 전 대비 513백만 원 더 높은 2,817백만 원의 가치를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물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오염된 수질 회복이 아닌 본질적인 수원 관리가 더 효과적인 지금 주요 수계의 발원지인 국립공원 수원의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시점에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보호지역 내 수질가치를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향후 연구방향성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였다.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지리산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종다양성 가치를 중심으로 -

        장진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9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기반이 되는 지지서비스 항목 중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종다양성”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방법은 2018년 11월 19일부터 12월 5일까지 만 19세 이상 남·여 554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설계는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s; CE)을 적용하여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한 종에 대한 종별 한계지불의사금액을 산정한 후 종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종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 생물종을 자생종(멸종위기종 제외), 멸종위기종, 외래종으로 속성을 구분하였다. 설문에 종다양성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을 제시하기에 앞서, 종다양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응답자들의 종다양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리산국립공원의 자생종 한 종의 보전을 위해 가구당 연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기부금은 1.04원, 멸종위기종 한 종의 보전을 위해 가구당 연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기부금은144.48원, 외래종 한 종의 보전을 위해 가구당 연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기부금은 -112.61원으로 분석되었다. 외래종의 경우 자생종과 멸종위기종과 다르게 보전에 의의를 두지 않고, 퇴치에 의의를 두고 있기 때문에 그 한계가치가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국가 총 종별 한계가치로 적용하면 자생종 한 종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가치는 2,000만원, 멸종위기종 한 종이 가지고 있는 가치는 29억 1,400만원, 외래종 한 종이 가지고 있는 가치는 -22억 7,100만 원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선택실헙법에 의해 도출된 지리산국립공원 종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는 1,149.21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보호지역 지정,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사업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자연자원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해 봄으로써 자연자산 보전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입증하고 효율적인 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Species Diversity” in terms of biodiversity among the fundamental Support service items in Jirisan National Park. The research method was to conduct an online survey, by sampling 554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19, from November 19, 2018 to December 5, 2018. The survey design evaluated the economic value of species diversity, after calculating the marginal willingness to pay by species for one species living in Jirisan National Park using the Choice Experiments (CE). In order to explain the species diversity, the questionnaire configuration divided the species into indigenous species(except for an endangered species), endangered species, alien species, and prior to presenting questions for evaluating the value of the species diversity in the survey, by providing data on the species diversity,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pecies d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nual contributions per household willing to pay for the preservation of one species of indigenous species in Jirisan National Park were analyzed to be 1.04 won, per household willing to pay for the preservation of one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to be 144.48 won, and per household willing to pay for the preservation of one species of alien species to be -112.61 won. Because, in the case of foreign species, unlike the indigenous and endangered species, it has a significance not in preservation, but in eradic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marginal value was negative (–). If this is applied at the national total marginal value by species, the economic value of one indigenous species was analyzed to be 20 million won, the value of one endangered species was 2.914 billion won, and the value of one alien species was -22.71 billion won. Finally, the economic value of the species diversity in Jirisan National Park derived by the Choice Experiments (CE) was estimated at 114.921 billion won. At a time when there are increased interest in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resources around the world,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as a repository of biodiversity, and the restoration and the spread of endangered species, etc., by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natural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prove the economic validity for preservation of natural assets and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policies.

      • KCI등재후보

        (단보)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 관리 기반 및 정책에 관한 고찰

        전세근(Se-Kun Jeon),강병선(Byeong-sun Kang),홍석진(Suk-Jin H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최근 제4차 국립공원공단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결과물 및 관련 법령, 정책을 토대로, 현재 국립공원공단의 데이터 관리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전사적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을 확인한 결과, 데이터 표준이나 구조적으로 정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지침, 매뉴얼, 조직 및 예산 등 데이터 품질관리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는 정확성(Accuracy), 일관성(Consistency), 최신성(Timeless), 완전성(Completeness)을 갖출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따라 이행계획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cent〝4th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formation Strategy Plan〞 establishment and related laws and policies, we w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level of data management i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enterprise-wide data quality management using the data profiling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secure data standard or structural consistency, and the basis for data quality management such as guidelines, manuals, organization and budget is insufficient. The company-wide data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should be managed to ensure accuracy, consistency, timelessness, and completeness, and to realize this, an implementation plan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ata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 KCI우수등재

        한국과 미국의 국립공원 해설사 교육훈련 체계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그 요인: 비교연구를 통한 혁신방안의 모색

        이진형,테레사 코블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국립공원 관리기관에서 해설사들의 역량을 강화화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시켜왔는지를 교육내용, 교육시간, 강사진의 구성, 학습 성과 평가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역사적 자료에 대한 검토와 관련자들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미국 국립공원청에서는 개청이후 해설사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크게 네 번에 걸쳐 해설사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변화시켜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 네 번의 시기는 자연해설사 양성교육기(1925년-1952년), 직무연수 도입 및 정착기(1953년-1981년), 직무연수 확산기(1982년-1995년), 그리고 직무연수 고도화기(1996년-현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공단의 해설사 교육훈련 발전 시기는 크게 해설사 교육훈련 태동기(2000년-2011년)와 해설사 교육훈련 제도화기(2012년-현재)로 나누어졌다. 이렇듯 미국 국립공원청과 한국 국립공원공단의 해설사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될 수 있었던 데에는 법적, 조직적, 기술적 요인뿐만 아니라 학계와 실무자들의 교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 연구가 한국 국립공원공단의 해설사 교육훈련 혁신에 시사하는 바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ow and why the United States National Park Service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ve changed their interpreter development programs in terms of curriculum, trainers and training methods, and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A close look at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people suggested that there have been four major eras in terms of the US NPS interpreter development programs: the beginning era (1925-1952), the establishment era (1953-1981), the development era (1982-1995), and the advancement era (1996-current). Results also indicated there have been two important ears in the KNPS interpreter development program: the beginning era (2000-2011), and the establishment era (2012-current). Results showed that legal, organizational, academic, and technological factors have influenced the changes of both institutions’ interpreter development program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nnovation of the KNPS interpreter development program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t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