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refers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apga collection published in Japan at that time. The biggest purpos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is to increase its popularity. Except for the explanation of Waka in the beginning, most of the Ilseon Japga uses bilingual notation consisting of Japanese and Korean. Ilseon Japga presents two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divided into ‘literal translation’ and ‘paraphrase’.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book to divide a single Japanese sentence into a ‘literal translation’ and a ‘paraphrase’. The bilingual notation of Ilseon Japga is different from the cases he tried in the past. This shows that the writ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type and level of readers. The commonality of the contents of Waka published in Ilseon Japga is that it is based on seasons such as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these works express the spirit of Japan or praise the reign of the Emperor. These contents can be found not only in Waka but also in other genres such as such as other miscellaneous songs. Ilseon Japga shows the translation and transition of colonial culture. And it shows the writer’s methodological anguish related to it.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 (이하 일선잡가 )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 에는 일본의 와카 등 시가뿐만 아니라 산문 재담 역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일선잡가 의 구성법은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잡가집의 구성법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일선잡가 의 구성 방식의 가장 큰 목적과 효용성은 대중성을 높이는 일에 있었다. 일선잡가 는 수록된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표기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문 서두의 와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이중언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선잡가 는 조선어 번역문 표기에서 ‘직역’과 ‘의역’으로 나눈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일본어문을 이처럼 ‘직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한것은 여기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초의 사례이다. 일선잡가 의 이중언어표기 방식은 그가 과거에 시도하던 사례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일선잡가 의 다양한 표기 형태는 이중언어 표기 방식이 시대적 흐름 및 독자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선잡가 에 실린 와카는 내용 면에서 보면 봄과 여름 등 계절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소재의 공통성보다 더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들 작품의 내용이 이른바 일본의 정신을 표현하거나 천황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와카뿐만 아니라 기타 잡가 및 나니와부시등 여타 장르의 작품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본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이들 작품의 내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기도 했다. 일선잡가 는 식민지 시기 문화의 번역과 전이 현상 및 그에 따른 저술가의 방법론적 고뇌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