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YouTube) 콘텐츠 현황 분석

        윤관기 ( Gwan Ki 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오프라인) 실기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비대면)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 분석을 통해 유튜브가 지닌 교육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속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도 효율적인 기악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실기 기악 장르를 주제로 72개 채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악기 장르, 콘텐츠 내용, 재생 시간 및 길이, 콘텐츠 조회수와 채널 생성 기간, 그리고 콘텐츠의 질적수준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 장르는 피아노, 현악기(바이올린, 첼로), 관악기(플루트,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펫, 트롬본), 타악기, 학교 악기(리코더, 우클렐레)가 분석되었으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오보에, 바순, 호른, 튜바를 콘텐츠로 제공하는 채널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콘텐츠 내용은 악기지도(Lesson), 커버영상(Cover Video & Ost), 음악이론(Music Theory), 공연(Music Performance), 악기보관 및 수리(Instrument Maintenance), 연습곡 연주(Etude Performance)를 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49개(68%)의 채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의 길이는 10분 미만의 영상들이 가장 많았으며, 영상의 질적수준 분석은 자막, 해설, 악보설명, 반복연습, 연주 자세 클로즈업과 같이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들도 대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채널이 2010년전부터 콘텐츠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었으며,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에 생성된 채널들은 모두 12개(16.7%)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우리사회가 코로나 일상(with Corona)으로 전환되더라도 여전히 대면 형태의 기악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므로 유튜브를 통해 전문적인 기악교육 콘텐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기악교육에 효과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YouTube as an educational medium through onlin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relat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 analysi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practical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COVID-19, and provides basic research for effectiv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even in the continuing post-coronavirus period. For this purpose, 72 channels were studied under the them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by musical instrument genre, educational content, content length, content views, channel creation period, and quality level of cont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iano, string instruments(violin, cello), wind instruments(flute, clarinet, saxophone, trumpet, trombone), percussion, and school instruments( recorder, ukulele) were analyzed, but there were very few channels providing content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viola, contrabass, oboe, bassoon, horn and tuba. Second, the education contents of 72 channels include Lesson, Cover Video & Ost, Music Theory, Music Performance, Instrument Maintenance, and Etude. Performance was included. Third, the length of the content provided by 49 (68%) channels was less than 10 minutes the most, and the qualitative level analysis of the videos required learners need such as subtitles, commentary, sheet music explanation, repeated practice, and close-up of a performance posture were generally included. Finally, a number of channels have been providing content since 2010, and 12 (16.7%) of new channels created after the onset of Corona 19 were surveyed. It is very difficult to teach instrumental music with students in a situation where COVID-19 continues to mutate without ending and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is getting higher. Various YouTube channel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re channels that have produced cont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growing rapidly during the corona period. I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content continue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is difficult as it is now, it is expected that YouTube will develop as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 KCI등재

        초등 음악 원격수업에서 국악 교육용 콘텐츠 활용의 문제점과 개발 방향

        김아현 ( Kim A-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초등 음악 원격수업에서 기존 개발된 음악 교육용 콘텐츠 중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악 교육용 콘텐츠는 학교 교육과정 체계와 밀접성이 결여되고, 학습자의 실기·체험을 위한 활동과 피드백이 부재하며, 콘텐츠 활용을 위한 편집 및 플랫폼의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을 토대로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밀접성 강한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음악 수업 내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 도구 기능을 삽입하여 학습자의 실기·체험 활동과 피드백 및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음악교육 플랫폼에서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한 번에 관리하고, 교수·학습에 맞게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 편집, 재가공하여 구성형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향후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은 저작권법 완화, 교사와의 협업을 통한 국악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 미래 음악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음악 원격수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국악 수업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by deriving the problem utilized in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had the following problems: lack of closeness to the school curriculum system, lack of activity and feedback for learners' practical skills and experiences, editing and platform restrictions for content utilization. Based on this problem,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in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develop contents for Korean music educatio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curriculum. Second, online learning tool features that support interactions in music classes should be inserted to facilitate learners' practical and hands-on activities, feedback and evaluation. Third, contents for music education should be managed at once on online music education platforms, and various contents should be collected, edited, and re-processed to suit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compositional contents. In the future,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should be accompanied by easing copyright laws,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of Korean music-related institu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infrastructure for future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will be stable and that Korean music classes will be able to change and develop in lin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 창작뮤지컬의 발전방안 연구

        황도연(Hwang Do Yeo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5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4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콘텐츠의 저장방식과 소비방식은 디지털화 되었다. 이로 인하여 콘텐츠의 접근성이 예전보다 용이해졌다. 하지만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복제할 수 있는 역효과까지 커졌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콘텐츠의 수익구조 자체를 바꾸어 놓았다. 콘텐츠의 시장가격은 점점 떨어지고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이익 역시 줄었다. 하지만 ‘현장감’이 생명인 공연콘텐츠의 경우 콘텐츠를 복제할 수 있지만 ‘현장감’까지 복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공연콘텐츠는 복제한 콘텐츠가 원본 콘텐츠와 크게 다를 바 없는 콘텐츠들보다 생산자들에게 시장가치를 어느 정도 보장받게 해준다. 다양한 공연콘텐츠 중 뮤지컬은 다른 콘텐츠에 비해 장기공연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공연콘텐츠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시장성이 좋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공연 콘텐츠 중 시장성이 높다고 판단한 뮤지컬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자 하였다. 국내 뮤지컬 시장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대부분의 흥행이 라이선스 뮤지컬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창작 뮤지컬은 제작되는 편수는 많은데 비해 실질적인 흥행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라이선스 뮤지컬도 여러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제작사들의 수익으로 이어지기가 어려운 상황이었고 창작 뮤지컬은 작품 자체의 흥행조차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수익으로 연결되기 어려웠다. 결국 이러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수준 높은 창작 뮤지컬을 개발하여 흥행시키는 것이라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수준 높은 창작뮤지컬을 개발하여 흥행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라이선스 뮤지컬과 경쟁하려면 기존의 뮤지컬과는 차별화되는 지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는 뮤지컬이라야 할 것이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창작뮤지컬 작품 중 이에 부합하는 뮤지컬로‘고구려’를 소재로 창작한 극시 <대륙의 꿈>을 토대로 만들어진 뮤지컬<수천>을 선정하였다. 수천은 비록 상업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했지만 우리나라에서만 나올 수 있는 독특한 역사적인 소재와 무게 있는 주제를 가지고 만들어진 창작뮤지컬이다. 한국 창작뮤지컬의 태동기에 작품성을 인정받아 예산을 지원받기까지 한 뮤지컬이니 만큼 <수천>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연구하여 앞으로 창작뮤지컬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이어나가는 것은 분명 의미 있는 일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storage method and the consumption method of contents have become digitalized. Due to this, accessing the contents are more convenient than before. However, the reverse effect in which anyone can easily reproduce contents has become a tre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changed the profit structure itself of the contents. The market prices of the contents have been gradually dropping and the profits returned to the producers have been reducing as well. With the reduction in profits, instead of bearing the danger of making the innovative contents, there have been a lot of cases in which producers selected the safe roads centered on the expansions and reproductions of the contents that had previously been successful. However, the personality of the performance contents, of which the sense of realism is life, is a little bit different from other contents. Although the performance contents themselves can be reproduced, the sense of realism cannot. As a result, unlike the contents of which the reproduced conten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tents, the performance contents give certain extents of the guarantees regarding market values to the producers. Also, the demand by the users desiring the sense of realism which cannot be experienced again can too be accommodated. In the digital era in which indiscriminate reproductions are possible, this is the value possessed by the performance contents and the reason why development is necessary. Among the diverse performance contents, musicals engage in long-term performances, in contrast to other contents. As such, among the performance contents, their marketability is relatively good. So, in this manuscript, it is intended to focus the research in the musical field, of which the marketability is judged to be high, among the diverse performance contents. As a result of having taken a look at the domestic musical market, most of the successes have been taking place centered on license musicals. Also, the situation of the creative musicals is such that, compared to there being a lot of compilations produced, they do not realize actual successes. The situation of the license musicals too has been such that it has been difficult to continue to the profits of the producer companies because of the many structural problems. Also, because the situation of the creative musicals has been such that the success of the works of art themselves have been difficult, it was in turn difficult to be followed by profits. Eventually,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improving such a situation, the time point is such that the analysis stating high-level creative musicals should be developed and made successful have been released. I thought that, as a result, a research for preparing the advancement plans for developing and making into success the high-level creative musicals is necessary. The advancement plans include a broad range of details. If we are to divide the worries regarding this into two, classification can be made into the internal factors (works of art) and the external factors (marketing, institutional support. In this manuscript,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seek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centered on the works of art, which are the internal factors among the two types of factors. In order to compete against license musicals, the point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ly existent musicals must be clearly possessed. Also, it must be a musical that deals with the contents about which a lot of people can feel sympathy. Because of this, in this manuscript, as a musical that accords with this among the creative music works of art presented previously, the musical <Sucheon> was selected. This musical was created with The Dream of the Continent , a verse drama created with Goguryeo as the material.

      • KCI등재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연구 : 2차적 영상 저작물을 중심으로

        김재원(Jaewon Kim),안남일(Namil An)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8

        음악 실기 교육은 그동안 온라인상의 수업이 쌍방간 전달력과 역량 측정 판별 면에서 미흡할 수 있는 한계로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코로나 19 이후 수업 방침이 비대면 중심으로 정해지면서 음악 실기 교육 또한 온라인상 에서 수업이 편리하도록 형태가 크게 바뀌어야 했다. 음악 실기 교수자들은 비대면 음악 실기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의 음악 저작물을 활용하여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행 저작권법에서는 교육목적의 음악 저작물 이용에 따른 저작권 침해에 대한 문제가 나날이 대두되고 있는 형편이다. 비대면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를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조사한 결과 첫 번째, 기존 콘텐츠를 활용한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문제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두 번째, 현행 저작권법에서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법적 지위와 권리처리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저작인격권의 저작 재산권적 속성으로 인해 이용허락에 따른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의 획득 여부와 관계없이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수업목적 저작물 관련 조항들에서도 권리 간 충돌이 발생하며 수업목적 보상금 기준이 낮아 원저작자의 이용허락을 받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번째, 인터뷰를 통한 사례 연구 결과 저작인접권 침해 가능성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 관련 저작권 문제의 법적 쟁점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ractical music education has not been performed as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in Korea. There could be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d it is not easy to evaluate the learner s competency. As a result, practical music instructors have adhe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teaching method for the above reasons. However,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classes in domestic education sites have been converted to non-face-to-face online methods, and practical music education has also been conducted onlin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non-face-to-face music practical education method, practical music instructors hav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on-face-to-face class by using various types of music creations. However,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has been raised by the current Korean Copyright Act for music creations for educational purposes used in non-face-to-face music practice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on the copyright issue of non-face-to-face music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ects practical music education using existing music content will cause more copyright infringement problems. Second, this study conducts the legal status and related rights analysis of music practical education content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This study finds that the current law recognizes the copyright property nature of personal rights of authorship.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copyright infringement may occu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opyright holder has obtained the right to write a secondary work with the copyright holder s permission to use music content. Third, this study reveals a mutual conflict between legal rights provisions in the conditions related to copyrighted works for music classe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it difficult to obtain permission from the original author because the compensation standard for the copyright of music class content is still low. Fourth, the case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practical music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examines the legal issues related to copyright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content, proposing solutions by seeking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 분석

        김은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이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음악 수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교육용 웹 사이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웹 사이트에 포함된 음악 교육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차 분석은 웹 사이트의 서비스에 관하여, 2차 분석은 디지털 콘텐츠의 유형과 음악 교육 내용에 관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음악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웹 사이트는 에듀넷 티-클리어, 티-셀파, 아이스크림, 인디스쿨이었으며, 각각 웹 사이트의 서비스와 디지털 콘텐츠 유형 및 내용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음악 수업 지원을 위한 주요 기능, 최신 교육과정 내용의 반영 정도, 자료의 체계성, 객관성과 현장성, 타 교과와의 연계성 등이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 음악 수업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음악 수업에서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적시에 활용하는 교사 전문성의 발휘가 필요하며, 둘째, 음악 교육의 본질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web-sites that are most actively used in music class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ontents included in the web-sites for music education were analyzed. the primary analysis was about the service of the web-sites, and the secondary analysis was about the type of digital contents and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The most actively used web-sites in music classes were Edunet T-Clear, T-Sherpa, i-scream, Indischool, which differed slightly from the web-site’s services and the type of digital content and contents. Specifically, the main functions for supporting music classes, the reflec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s, the systematicity of the materials, the objectivity and the on-site nature,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ppeared differently.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digital contents in elementary music class, first, expertise of teachers for timely use of web-sitesand digital contents is required. Seco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digital contents for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케이팝(K-Pop) 영상콘텐츠 이미지의 기호학적 해석 방탄소년단(BTS)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강정빈,이상원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3

        Recently, as the era of video is opened based on various platforms such as ‘YouTube’, video contents are attracting attention among the many ‘K-Pop’ culture related contents. In particular, ‘music video’ is the official video content created by the entertainment agenc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its idol group, and has become the main content of the spread of K-pop culture. Meanwhile, the male idol group ‘BTS’ is a K-pop idol group that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and has formed a unique fandom. BTS is creating new cultural phenomena on the road to unprecedented success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the US and Europe. One of their success factors is video content for fans. Especially, the music video that has made their image by conveying the meaning and philosophy contained in the lyrics is considered to be content that has value of research beyond mere promotion. Therefore, the research on music video of BTS can suggest the topic for the successful production and diffusion of K-pop video contents. This paper attempts to interpret the images expressed in BTS’s music video with semiotic view and approach. For this purpose, the images represented in the music video were analyzed through semiotic theory of Ferdinand de Saussure and Roland Barthes. As a result, binarity elements could be found in the expressions of space, figures, objects, and colors. And in terms of integration, the meaning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could be extracted. As such, not limited to superficial images by considering the message embedded in the music video, it was possible to grasp which video contents could make the successful idol group. It is expected that analyzing the semiotic meaning of video contents that can be sympathized across borders will be the first step in planning and producing K-pop video contents in the future 최근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상의 시대가 열리면서 ‘케이팝(K-Pop)’ 문화와 관 련된 콘텐츠 중에서도 상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뮤직비디오(music video)’는 연예기획사에서 자사의 아이돌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드는 공식적인 상콘텐츠로서, 케이팝 문화 확산의 중심 콘텐츠로 자 리 잡고 있다. 한편, 남성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은 세계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으며 독보적인 팬덤 (fandom)을 형성한 케이팝 아이돌 그룹이다. 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에서도 전에 없던 성공 가도를 달리며 새로운 문화현상을 만들어 낸 방탄소년단의 성공요인 중 하나는 팬들을 위한 상콘텐츠라 할 수 있다. 특히 가사 에 내포된 의미와 철학을 전달하고 그들의 이미지를 만들어온 뮤직비디오는 단순한 홍보차원을 넘어 연구의 가치를 지닌 콘텐츠로 판단된다. 따라서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에 대한 연구는 성공적인 케이팝 상콘텐츠의 생산 과 확산을 위한 화두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케이팝 상콘텐츠인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에 표현된 이미 지를 기호학적 시각과 접근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쉬르(Saussure)와 바르트(Barthes)의 기호학적 이론을 통하여 뮤직비디오의 상을 분석하다. 연구 결과, 공간·인물·오브제·컬러의 표현에서 이항대립적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통합적인 측면에서 외시의미와 공시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표면적인 이미지에 국한된 연구가 아닌 뮤직비디오에 내포된 메시지를 고려한 본 연구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케이팝 아이돌을 뒷받침한 상콘텐츠가 어떠한 모습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국경을 뛰어넘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상콘텐츠의 이미 지란 어떠한 기호학적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한 본 연구가 향후 케이팝 상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단계에서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4

        A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announced, Its interest has been increased how much change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Gugak contents betwee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n looked through problems and trends of Gugak education and suggested some improvement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tails of Gugak specified systematically i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have been erased considerably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addition, contents of Gugak were described in universal terms not in Gugak its own term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shows that Gugak education is just regarded as one part of music education and generalizes without considering its uniqueness. However it provides sufficiently an opportunity to choose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Gugak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ppear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Gugak education in the Familiarization area compared to previous music curriculum. Compared with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has three problems. First, losing criterion to select and systematize teaching contents of Gugak because of reducing Gugak contents. Second, distorting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because of generalizing contents. Third, having many duplicate contents and being insu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he improvements for solving this problems are to integrate and to suppl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o provide a commentary in the table with elements and concept of music, to present systematically details of Gugak in the part of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and to come up with application plan of Music Curriculum for Gugak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와 차기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 제시 경향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에만 해당하는 내용이 상당히 삭제되었고, 국악 특유의 용어보다 보편적인 용어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교육은 보편적인 음악 교육 안에 포함시켰고, 국악 내용과 활동 선택의 자유를 제공하여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유도하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은 국악 내용의 축소로 인해 국악 지도 내용 선정이나 체계화를 위한 기준 수립이 어려워지고, 내용을 보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의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교수․학습 방법에서 중복되는 내용이 많고 실질적인 국악 교수․학습 관련 내용이 미흡하다는 점 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보완 및 통합적 제시,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에 대한 해설 제공, 성취기준 해설의 국악 관련 내용 구체화,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구현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를 통해 본 국악 숏폼(Short-form) 동영상 콘텐츠의 분석

        김민지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pularity of Korean music and to exam- ine the video cont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Korean music shortform by content and type in terms of future Korean music industry. Prior to this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 lect the Nuri network service "Instagram"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596 shortform video con- tents were analyzed by subject, genre, and number of views through hashtag search. As a result, first, the 596 short-form video contents analyzed were divided into nine themes by subject, of which 155 (26%) were broadcasted and edited, and 132 (22.1%) were popular Korean instrument cover types. However, there were two (0.3%) typ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hich was very insufficient. Second, i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by genre, it was divided into songs, instrumental music, dance, theory, and other categories. The field of song and instrumental music topped the list, with the number of 251 (45.1%) and 169 (28.3%) respectively. In detail, 167 (28%) was the field of song combined with popular music, and 72(12.1%) Piri and 41(6.9%) Gayageum were top in the field of in- strumental music. However, the field of dance and theory of Korean music seem a very low tendency, with the number of 24(4%) and 0(0%) respectively. Third, in the top 20 views, by subject, 9 (45%) cov- ered popular song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14 creative types (70%) were the most common in video 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hort-form video content is currently exerting considerable ripple effects in the culture and arts and Korean music industries, so it identi- 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discussed some future Korean music content directions. 본 연구는 국악의 자생적인 대중성 확보와 미래 국악산업 측면에서 누리 소통망 서비스(이하, SNS)의 국악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내용과 유형별로 살펴보고 국악 숏폼 콘텐츠의 방향과 제언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조사에 앞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누리 소통망 서비스 ‘인스타그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해시 태그(Hashtag) 검색을 통해 596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주제별, 장르별, 조회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분석된 596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주제별로 다시 9개의 주제로 나누어졌다. 세부적으로는 방 송홍보 및 편집형이 155개(26%)로 가장 많았고 차상위로 대중가요 국악기 커버형이 132개(22.1%)로 나타났 다. 다만 국악 교육형은 2개(0.3%)로 매우 부족하였다. 둘째, 국악의 장르별 분류에서는 가창, 기악, 무용, 이 론 그 외 4가지로 나누어 구별하였다. 가창분야 251개(45.1%), 기악분야 169개(28.3%)가 상위를 차지했으 며 세부적으로는 대중가요와 결합한 가창형태가 167개(28%)로, 기악분야에서는 피리 72개(12.1%)와 가야금 41개(6.9%)가 상위에 해당하였다. 반면 무용분야는 24개(4%), 국악이론은 0개(0%)로 저조하였다. 셋째, 20 개의 최상위 조회수에서 주제별로는 대중가요 국악기 커버형이 9개(45%)로 가장 많았으며 영상유형에서는 크 리에이티브 유형이 14개(70%)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현재 숏폼 동영상 콘텐츠가 상당한 파급력을 행사하 고 있다는 점에서 현 상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미래 국악 콘텐츠 방향을 일부 논의한 것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유튜브를 활용한 국내 CCM 콘텐츠의 발전 방향 연구 - 대표적 해외 사례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손창우 ( Son Changwoo ),한경훈 ( Han Kyunghoon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3 한국문화기술 Vol.3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더욱 대두된 온라인 문화 속에서 국내 CCM 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 국민의 절반 이상이 유튜브를 시청하는 온라인 문화를 수용하고 있어 연구의 범위를 유튜브 내 CCM 콘텐츠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콘텐츠의 다양성’과 ‘콘텐츠의 접근성’에 분석 기준을 두고, 해외와 국내를 대표할 만한 유튜브 채널 3개를 선정한 뒤, 해당 채널의 콘텐츠 중 가장 두드러진 두 가지 유형, ‘워십뮤직(Worship Music) 콘텐츠’와 ‘워십뮤직 튜토리얼(Worship Music Tutorial) 콘텐츠’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CCM 유튜브 콘텐츠는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의 사례와 같이 다양한 촬영 장소 및 인원 편성, 카메라 각도나 워킹을 달리하는 등의 다채로운 연출방식 활용을 통해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선진사례들을 수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국내 CCM 콘텐츠의 경우 비기독교인들의 접근성이 매우 취약하므로, 기독인 대중가수와의 협연 등 해외의 우수한 선진사례들을 적절하게 도입하여 사회적 접근성을 제고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CCM 콘텐츠가 대중음악 콘텐츠의 중요한 한 분야로서 확고히 자리 잡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CCM contents in the online culture that is raised due to social distancing. Accepting the current online culture, where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nation watches YouTube,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lected as CCM content within YouTube. And after selecting three YouTube channels that can represent overseas and domestic based on the criteria of ‘content diversity’ and ‘content accessibility’, the two types of CCM content of the chann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types of content to b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is thesis are ‘worship music content’ and ‘worship music tutorial cont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worship music content representing CCM content and worship music tutorial content necessary to develop i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versity and accessibility of content, and pointed out the improvement points of domestic CCM content derived from this. The effective development direction of CCM contents with diversity and accessibility in the growing online culture was present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불교음악과 그 대안

        손인애(孫仁愛)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5 No.-

        본고는 코로나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불교음악의 방향성과 그 구체적 대안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기존 방식과 틀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리부트(reboot) 시대로도 예상되듯이, 불교음악도 세상과 진정한 소통, 협업의 마인드로 변화와 혁신을 준비해야 되는 차원에서 현대 불교음악 콘텐츠를 크게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대중음악 콘텐츠’는 현재 광풍을 일으키는 ‘트롯’을 통해 그 성공 요인과 현재 갈망하는 대중들의 음악적 니즈(Needs)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공연 콘텐츠’는 20세기 후반 찬불가와 영산재 콘텐츠로 출발하였지만,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도전, 성공이 지속될 수 있는 환경(교육 시스템)과 인재 양성이 절실한 현실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SNS 콘텐츠는 불교음악과 관계성이 큰 ‘명상음악’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이미 전 세계의 수많은 명상 단체와 음악제작사에서 현대적이며 대중화된 콘텐츠들을 창작 보급하고 있고, 음악 고유의 파동 에너지를 통한 효과적인 내면 치유와 업장 소멸의 원리와 방법론도 엿볼 수 있다. 요컨대, 이제 ‘치유(힐링)’, ‘소통’, ‘공감’이라는 명제가 수행과 음악에서 가장 큰 화두가 되는 시대가 왔다. 불교음악에서도 현대적이고 체계적인 불교음악 콘텐츠 교육과 인재 양성을 통해 전문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종단과 제도권 교육의 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실현 가능한 대업이기도 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urrent direction of Buddhist music and new possibilities for its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coronavirus pandemic.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Buddhist music faces various challenges. Just as the post-coronavirus age is predicted be as “reboot” age in which the previous frames and ways of doing things will no longer be relevant, Buddhist music, as well, needs to prepare to change and revolutionize itself by embracing true communic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siders Buddhist music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paper considers popular music, examining the elements behind the success of Korean ‘trot’ music and its popularity with the public as well as the musical needs of the people. Second, this paper looks at Buddhist performance, which bega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with Buddhist hymns(찬불가) and yeongsanjae(영산재), but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and nurture talent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innovation, and success of diverse cultural content. The third item discussed is contents on social networks. Modern and popular mediation music, which is deeply related to Buddhist music, is being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ediation groups and music production companies around the world. Also the principles and methods which harness the unique energy of music to effectively treat the soul and remove karmic obstacles can be observed. In our current times, they key words of ‘healing’, ‘communication’, and ‘sympathy’ are the most pressing matters for practice and music. In Buddhist music as well,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s human talent. Through contemporary, systematic Buddhist music education and talent nurturing, we must build an infra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future of Buddhist music. Moreover, when Buddhist religious orders and the official sector of education effectively cooperate, such an initiative has the potential to deliver great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