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1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Measuring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ing a choice-based approach
김용재,박민수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3
Consumer usage pattern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re shifting from simple voice calls to data-centric services through mobile Internet. Broader u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has increased the value of these service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hift in consumer utility value along with changes in usage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se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to determine the rol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the smartphone era. Specifically, we use a conjoint analysis to estimate the elasticity of demand through a consumer survey. Conjoint analysis measures the impact on consumer choice and calculates the utility of each service attribute. To accomplish this, we classify the types of current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to six categories: voice calls and text messages, information services, mobile SNS , mobile shopping and commerce, mobile banking, and entertainment. We then quantify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 surplus from subscribing to a mobile service plan for each use by using data from a conjoint survey. We also find that this value and surplus are larger for relatively new servic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becomes multifaceted and higher as consumer usag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everyday life increases significantly. Our results also offer insights into the drivers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with relevant implications.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가 이동통신 요금 및 이용 시간 등에 미친 영향분석
나상우,신민수 정보통신정책학회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31 No.1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서비스가 이동통신을 통해제공됨에 따라, 고령층의 통신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배경 하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는 통신비 부담경감뿐만아니라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유인하여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려는 목표가 존재한다. 하지만,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부재하여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으며, 요금감면금액이 지속 증가함에 따라재원 부담 주체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중차분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이 수혜자의 이동통신 요금 지출액 경감과부가통신서비스 이용 시간 증가에 기여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시행에도 불구하고 수혜자의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이용은 줄어든것으로 나타나, 요금감면이 수혜자의 기간통신서비스 이용 시간⋅횟수 증가에는기여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네트워크 외부효과의 존재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취약계층 요금감면을 포함한 보편적 역무 제공 의무뿐만 아니라 재원 분담 의무의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고령층 요금감면 제도 시행으로 수혜자의 부가통신서비스 이용 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보면, 요금감면 제도가 부가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증대 등 편익을 증가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장 및 기술발전으로 통신시장구조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취약계층 요금감면을 포함한 보편적 역무 제공 및 재원분담 의무를 전적으로 기간통신사업자가 부담하는 현행 구조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기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was implemented under the background that support was needed to ensure the elderly’s right to access communication services as various services in daily life are provide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has the goal of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by not only reducing the burden of communication expenditures but also encouraging the use of digital servic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goal has been achieved, and as the rates reduction amount continues to increase, controversy is being raised about who will bear the financial burden. Against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data from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were analyzed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contributed to reducing beneficiaries’ mobile communication expenditures and increasing the time spent using value-ad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beneficiaries’ voice call usage time and number of text messaging usage appeared to have decreased, confirming that the rates reduction did not contribute to the beneficiaries’ increase in facilities-bas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usage time.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existence of network externalities has been used as the basis for not only the obligation of telecommunications carriers to provide universal services, including rates reductions for vulnerable groups, but also the obligation to share financial resources. Looking a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beneficiaries’ usage time of value-ad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it can be seen that the benefits of value-add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such as increased network external effects, have increased due to the rates reduction system. In a situation where the telecommunication market structure is changing due to marke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is time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structure in which the facilities-based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fully responsible for providing universal services and sharing financial resources, including rate reductions for vulnerable groups.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연구 : 휴대폰 구매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분석
옥경영,서인주,김선우,김시월,권대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이동통신서비스시장에서 실질적인 소비자 주권실현을 위하여 소비자역량 수준 및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중요하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동통신 소비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조금 규제가 2015년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과 함께 강화됨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이 규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한 후 소비자 유형별로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 이용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는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고관여형, 무관심형, 가격민감형, 스타일중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소비자문제해결을 위한 소비자역량 수준,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전 유형에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고관여형, 무관심형은 가계지출 중 통신비 부담 수준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가격민감형의 경우에만 보조금 규제 인지 및 소비자태도가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타일중시형은 사용단계의 소비자역량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을 통한 규제 강화에 대한 유용성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소비자지향적인 규제정책을 위하여 정책 입안 시 소비자유형별 정책수용도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하여 소비자 유형별 접근이 필요하다. The Mobile Device Distribution Improvement Act took effect in 2015 October to reduce average household spending on telecommunication services. Whereas there are a lot of reports on the effects of the act, it is hard to find empirical studi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towards mobile device subsidy regul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umer orientedness. In this background, authors investigated consumer capability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For the purpos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segment groups by their mobile phone purchase tendencies: High involvement group, low interest group, price-sensitive group, and style-obsessed group. Consumer capabilities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and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were lowest level among all 4 group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subsidy regulation and higher consumer capability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ly in the price- sensitive group. To enhance positive consumer attitudes towards government regulation and consumer's satisfactions o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t is critical to consider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gula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by consumer segment before the regulation proposal.
유.무선 컨버전스 서비스 수요 Pattern에 관한 연구
배기수,송영화,Bae, Khee-Su,Sawng, Yeong-Wha 한국경영과학회 2006 經營 科學 Vol.23 No.3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on the business analysis of fixed mobile convergence telecommunication service. As for the stage of empirical analysis,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elaboration of a test model, selection of sample, empi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 We report our Preliminary results on the fixed mobile convergence telecommunication service demand pattern forecasting by Bas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fixed mobile convergence telecommunication service may sustain profitability over the next ten years in the market. In conclu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result attained by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create a fixed mobile convergence in the korean business world, practical tools such as WiBro service is no less important than fixed service and Mobile service, and that users may be rightfully encouraged to adopt WiBro service.
이동통신 서비스 브랜드 자산의 결정요인과 HSDPA 사업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홍승혜,김문구,Hong, Seung-Hye,Kim, Moon-Koo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8b
성숙기에 접어든 이동통신 시장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는 반면에, 서비스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번호이동성의 도입으로 인해 전환장벽이 완화되면서 사업자간 고객유지 및 확보를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HSDPA라는 신규 서비스의 도입으로 세대간 고객전환을 위한 치열한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지속적 경쟁우위를 가져올 원천으로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동통신 브랜드 자산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CDMA 시장에서 형성된 고객자산이 HSDP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고객혜택, 가격, 품질, 마케팅 활동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의 브랜드 자산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신규 서비스인 HSDPA 서비스 가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onsumer needs becomes various in a mature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while service differentiation is hard to achieve.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number portability, switching barrier becomes lower and the competition among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s getting fierce in order to maintain and obtain customers. Moreover, HSDPA, which is a new telecommunication service, caused the intense marketing activity for the move to the next generation custom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brand equity can be a key to a long-term competitive edge for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s. However, there were few researches reporting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brand equity, and none of them analyzed if customer equity which particularly is developed at the CDMA market has an effect on HSDPA servic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brand equity, which is focused on brand image, customer benefit, price, service quality, and marketing activity, and its influence on the HSDPA service subscription behavior. Finally, we suggested the strategic implication of br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s.
이동통신요금 만족도와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 요금 관련 소비자정보의 충분성과 소비자역량을 중심으로
김시월,옥경영,서인주,김선우,권대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근간 소비생활에서 이동통신서비스와 스마트폰이 생활의 필수재가 되면서, 소비자들은 이동통신요금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이동통신요금 만족도 및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 실태를 분석하고, 이동통신요금 관련 소비자정보의 충분성과 소비자역량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이동통신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들의 월평균 이동통신요금은 약 4만6천원이었으며 요금 만족도는 2.85점으로 리커트 척도 평균 3점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고,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는 2.98점이었다. 이동통신요금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정보 충분성과 소비자역량은 각각 유의수준은 달랐지만, 이동통신요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동통신요금 만족도는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다. 즉, 충분한 소비자정보 제공과 소비자역량은 소비자들의 이동통신요금 만족도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이동통신요금 및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투명한 요금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소비자 스스로 상품/서비스 정보 및 사용량을 확인하고 최적요금제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동통신서비스 기업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소비자들의 요금 비교 및 선택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3사와 알뜰폰의 요금제 정보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정보제공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소비자들의 요금 관련 역량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하여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As having access to mobile connectivity became a necessity in the modern digital society, consumers are facing burden on high fe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This research explored evidence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of mobile telecom fee in the perspective of the enoughness of consumer information and consumer competency. An online survey of 400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consum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which influence satisfaction o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fee. Consumer's average mobile telecommunication fee was 46 thousand won per month. The satisfaction leve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fee was revealed little bit lower, which was influenced by enough provision of fee-related consumer information and consumer competency. To enhance consumer's satisfactions on mobile telecom fee,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formation for easy comparison. In addition, consum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consumer policy support is necessary to enhance consumer's competency in fee-related information comparison and selection. Private sectors' self-regulatory effort is also required for transparent information provision and consumer competency enhancement.
이상규,김성환 정보통신정책학회 201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1 No.4
As the importanc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increases, primary policy becomes how to fertilize competition and enhance efficiency in the mobile market. To achieve those goals, it is key to correctly assess the degree of market competition, and most importantly, to evaluate the existence of market-dominant firms. Correct market definition is thu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competition assessment.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evolves very quickly because of rapid changes in mobile technologies. Consumers’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with respect to mobile services have also evolv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mobile handsets, mobile platforms, and mobile ecosystems. Many substitutes for mobile voice and message services have been introduced.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definition of the mobile market to evaluate whether it reflects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dequately, focusing especially on the 3rd generation mobile services and LTE services. After defining the mobile market, the existence of dominant firms is evaluated using the 50%-market share criterion as the core index. However, even if a firm has a market share exceeding 50%, it may not be effectively able to exert market power because of the ability of customers to switch between service providers, because of competitive constraints from related adjacent markets etc. Current assessments of competition evaluate only the existence of dominant firms qualitatively, and do not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buse of market dominance quantitatively. This study contributes by distinguishing the existence and usability of market power, and testing market-power usability quantitatively. 이동전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할수록 이동전화시장의 경쟁을 활성화하고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정부의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과제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전화시장의 경쟁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다. 경쟁상황 평가의 핵심은 지배적 사업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올바른 시장획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동전화시장은 스마트폰이 대중화‧보편화되고 이동플랫폼 및 이동생태계 중심의 서비스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소비행태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대체서비스의 등장으로 이동전화시장의 경쟁 환경과 양태가 예전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이동전화 시장획정이 이러한 경쟁 상황을 제대로 반영 할 수 있도록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해 본다. 한편 시장지배력 보유 여부는 시장점유율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시장점유율이 50%를 상회하여도 인접시장의 경쟁억제력, 사업자 전환의 용이성 등으로 지배력을 실제로 행사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현행 경쟁상황평가에서는 지배적 사업자의 존재 여부만을 정성적으로 판단하고 이들 사업자의 지배력 행사가능성을 분석하지 않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동전화시장에서 단독지배력의 실질적 행사가 가능한지를 평가해 본다.
Diffusion Patterns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 the European Countries
김진기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Mobile telecom market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last decade due to a remarkable subscriber base growth. The diffusion patterns of the services are a major concern for mobile carriers preparing those new services. We assume that the diffusion patterns of those services will be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mobile services, and discovering the diffusion patterns of those services is an essential task of mobile carriers for preparing the next mobile services.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some groups which show similar diffusion patterns of mobile services. Using a traditional diffusion model, this study estimates diffusion patterns of twenty five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e estimation is based on the monthly penetration ratio of those countries from 1993 to 2004. Based on the estimation, the cluster analysis discovers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countries groups in terms of mobile diffusion pattern: high imitation countries and low imitation countries. The critical point for classifying the two groups in terms of imitation effect was 0.90. The results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a causal relationship model which explains the different diffusion pattern of mobile services and planning new networks for the advanced mobil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