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통신 시장의 단말기 기반 경쟁 (DBC : Device Based Competition)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이동통신 서비스-단말기 결합분리(Decoupling) 유인을 통한 경쟁활성화 정책 매커니즘 고찰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동통신 시장의 단말기 기반 경쟁 (DBC : Device Based Competition)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이동통신 서비스-단말기 결합분리(Decoupling) 유인을 통한 경쟁활성화 정책 매커니즘 고찰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1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Measuring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ing a choice-based approach

        김용재,박민수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3

        Consumer usage pattern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re shifting from simple voice calls to data-centric services through mobile Internet. Broader u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has increased the value of these service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hift in consumer utility value along with changes in usage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se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to determine the rol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the smartphone era. Specifically, we use a conjoint analysis to estimate the elasticity of demand through a consumer survey. Conjoint analysis measures the impact on consumer choice and calculates the utility of each service attribute. To accomplish this, we classify the types of current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to six categories: voice calls and text messages, information services, mobile SNS , mobile shopping and commerce, mobile banking, and entertainment. We then quantify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 surplus from subscribing to a mobile service plan for each use by using data from a conjoint survey. We also find that this value and surplus are larger for relatively new servic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valu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becomes multifaceted and higher as consumer usag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everyday life increases significantly. Our results also offer insights into the drivers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with relevant implications.

      • KCI등재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가 이동통신 요금 및 이용 시간 등에 미친 영향분석

        나상우,신민수 정보통신정책학회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31 No.1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서비스가 이동통신을 통해제공됨에 따라, 고령층의 통신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배경 하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는 통신비 부담경감뿐만아니라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유인하여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려는 목표가 존재한다. 하지만,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부재하여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으며, 요금감면금액이 지속 증가함에 따라재원 부담 주체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제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중차분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이 수혜자의 이동통신 요금 지출액 경감과부가통신서비스 이용 시간 증가에 기여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고령층 이동통신 요금감면 시행에도 불구하고 수혜자의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이용은 줄어든것으로 나타나, 요금감면이 수혜자의 기간통신서비스 이용 시간⋅횟수 증가에는기여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네트워크 외부효과의 존재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취약계층 요금감면을 포함한 보편적 역무 제공 의무뿐만 아니라 재원 분담 의무의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고령층 요금감면 제도 시행으로 수혜자의 부가통신서비스 이용 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보면, 요금감면 제도가 부가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증대 등 편익을 증가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장 및 기술발전으로 통신시장구조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취약계층 요금감면을 포함한 보편적 역무 제공 및 재원분담 의무를 전적으로 기간통신사업자가 부담하는 현행 구조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기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was implemented under the background that support was needed to ensure the elderly’s right to access communication services as various services in daily life are provide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has the goal of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by not only reducing the burden of communication expenditures but also encouraging the use of digital servic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goal has been achieved, and as the rates reduction amount continues to increase, controversy is being raised about who will bear the financial burden. Against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data from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were analyzed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contributed to reducing beneficiaries’ mobile communication expenditures and increasing the time spent using value-ad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beneficiaries’ voice call usage time and number of text messaging usage appeared to have decreased, confirming that the rates reduction did not contribute to the beneficiaries’ increase in facilities-bas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usage time.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existence of network externalities has been used as the basis for not only the obligation of telecommunications carriers to provide universal services, including rates reductions for vulnerable groups, but also the obligation to share financial resources. Looking a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beneficiaries’ usage time of value-ad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ates reduction system for the elderly, it can be seen that the benefits of value-add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such as increased network external effects, have increased due to the rates reduction system. In a situation where the telecommunication market structure is changing due to marke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is time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structure in which the facilities-based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fully responsible for providing universal services and sharing financial resources, including rate reductions for vulnerable groups.

      • KCI등재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연구 : 휴대폰 구매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분석

        옥경영,서인주,김선우,김시월,권대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이동통신서비스시장에서 실질적인 소비자 주권실현을 위하여 소비자역량 수준 및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중요하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동통신 소비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조금 규제가 2015년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과 함께 강화됨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이 규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한 후 소비자 유형별로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 이용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는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고관여형, 무관심형, 가격민감형, 스타일중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소비자문제해결을 위한 소비자역량 수준,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전 유형에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고관여형, 무관심형은 가계지출 중 통신비 부담 수준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가격민감형의 경우에만 보조금 규제 인지 및 소비자태도가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타일중시형은 사용단계의 소비자역량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을 통한 규제 강화에 대한 유용성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소비자지향적인 규제정책을 위하여 정책 입안 시 소비자유형별 정책수용도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하여 소비자 유형별 접근이 필요하다. The Mobile Device Distribution Improvement Act took effect in 2015 October to reduce average household spending on telecommunication services. Whereas there are a lot of reports on the effects of the act, it is hard to find empirical studi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towards mobile device subsidy regul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umer orientedness. In this background, authors investigated consumer capability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For the purpos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segment groups by their mobile phone purchase tendencies: High involvement group, low interest group, price-sensitive group, and style-obsessed group. Consumer capabilities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and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were lowest level among all 4 group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subsidy regulation and higher consumer capability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ly in the price- sensitive group. To enhance positive consumer attitudes towards government regulation and consumer's satisfactions o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t is critical to consider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gula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by consumer segment before the regulation proposal.

      • KCI등재

        이동통신서비스의 보편적 서비스화를 위한 필요요건 분석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안지영,최성호,Ahn Ji-Young,Choi Sung-Ho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4B

        최근 이동통신을 통한 음정 및 데이터서비스 수요의 급증과 이를 뒷받침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이제 이동통신서비스가 소비자의 정보통신의 선택적 수단이 아니라 필수수단으로 진화되었음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의 보편화로 인한 정보통신서비스 수준의 향상의 이면에는 사용자간의 정보격차의 문제로 인해 서비스 사용으로 얻는 효용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것도 현실임을 부정할 수 없다. 이는 이동통신서비스의 고도화와 보편화가 진행될수록 그 정도가 더욱 심화되며 유선통신의 예와 마찬가지로 이를 단순히 시장 기능으로만 해결하기에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통신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수립이 필요하며 제도적으로 보편적 서비스 범주 내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편적 서비스제도의 범위에 이동통신서비스를 포함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정보격차 해소, 사회복지, 균형적인 사회발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해 봄으로써 이동통신서비스의 보편적서비스화가 제도적으로 타당한 범주에 속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A rapidly increasing demand of voice and data through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related with the service are sufficiently said to make the service become an indispensible communicating means, not just selective one. However, in the other side of the generalizing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there is said to be a worsening situation of unbalanced benefits due to the problem of information difference between the non. The more advanced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ceeds, the more deepens the problem, and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by the ability of free market itself as seen in the wired telecommunication market. Therefore, we need to set up a systematic policy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for solving this problem, and also think over whether to include the service within the range of universal servic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quired factors for including the service within the range of universal service, and analyze the validity of the including in the view point of institutional aspects.

      • KCI등재

        유.무선 컨버전스 서비스 수요 Pattern에 관한 연구

        배기수,송영화,Bae, Khee-Su,Sawng, Yeong-Wha 한국경영과학회 2006 經營 科學 Vol.23 No.3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on the business analysis of fixed mobile convergence telecommunication service. As for the stage of empirical analysis,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elaboration of a test model, selection of sample, empi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 We report our Preliminary results on the fixed mobile convergence telecommunication service demand pattern forecasting by Bas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fixed mobile convergence telecommunication service may sustain profitability over the next ten years in the market. In conclu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result attained by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create a fixed mobile convergence in the korean business world, practical tools such as WiBro service is no less important than fixed service and Mobile service, and that users may be rightfully encouraged to adopt WiBro service.

      • KCI등재

        이동통신 서비스 브랜드 자산의 결정요인과 HSDPA 사업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홍승혜,김문구,Hong, Seung-Hye,Kim, Moon-Koo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8b

        성숙기에 접어든 이동통신 시장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는 반면에, 서비스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번호이동성의 도입으로 인해 전환장벽이 완화되면서 사업자간 고객유지 및 확보를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HSDPA라는 신규 서비스의 도입으로 세대간 고객전환을 위한 치열한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지속적 경쟁우위를 가져올 원천으로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동통신 브랜드 자산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CDMA 시장에서 형성된 고객자산이 HSDP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고객혜택, 가격, 품질, 마케팅 활동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의 브랜드 자산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신규 서비스인 HSDPA 서비스 가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onsumer needs becomes various in a mature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while service differentiation is hard to achieve.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number portability, switching barrier becomes lower and the competition among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s getting fierce in order to maintain and obtain customers. Moreover, HSDPA, which is a new telecommunication service, caused the intense marketing activity for the move to the next generation custom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brand equity can be a key to a long-term competitive edge for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s. However, there were few researches reporting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brand equity, and none of them analyzed if customer equity which particularly is developed at the CDMA market has an effect on HSDPA servic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brand equity, which is focused on brand image, customer benefit, price, service quality, and marketing activity, and its influence on the HSDPA service subscription behavior. Finally, we suggested the strategic implication of br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소비자의 제품군 혁신성향에 의한 애착형성 구조에 관한 연구

        권순홍(Soon-Hong Kwon),임양환(Yang-Whan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10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이동통신 서비스에 애착하게 되는 심리적 구조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제품군 혁신성향은 소비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신뢰하고 긍정적 감정을 갖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비자가 이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높으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감정도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가 이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높게 신뢰하면 사랑의 애착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관계의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넷째, 소비자가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 감정을 갖게 되면 사랑의 애착과 관계의 애착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소비자의 이동통신 혁신성향이 소비자의 서비스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의 하나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psychological structure where customers get attached to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s a result, first, product group innovativeness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ustomers' having trust and positive affect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Second, when the trust of the customer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was high, the affection towards the service was proportionately positive. Third, although the affection of love was strong when the customers highly trusted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he is using, it did no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attachment of relationship. Fourth, when the customers gained a positive affection towards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the attachment of love and relationship was stronger. These research results mean that the effects which customers' mobile telecommunication innovativeness hav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as a factor of influence on customers' service attachment.

      • KCI등재

        통신서비스 보편화 이슈 분석

        이종용(Jongyong Lee),이동희(Donghee Lee)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5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22 No.1

        In general universal service in telecommunications means a regulatory tool to secure the availability of basic communication services like fixed telephony at an affordable price throughout a country. A re-evaluation of the scope of existing universal service, however, is becoming a core issue as the penetration and usage of broadband and mobile communications matures and a new ICT ecosystem emerg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universal service polices in Korea need adapting and updating to include broadband and mobile telephony in the universal service, which is based on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foreign countries’ experiences : geographical ubiquity of a certain service and the market’s ability to provide the service. The result shows the nationwide ubiquity of broadband and mobile communications exists but the ultimate goal pursued by universal service polices trying to make them available and affordable for all is being fulfilled by market dynamics in Korea. Thus, the inclusion of both services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 is regarded as an unnecessary regulation at present time and the expansion of universal service could be addressed as a long-term issue depending on market condit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