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유휴시설 문화재생의 특성 및 한계 -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장을 중심으로

        박미연,김선영 한국지역문화학회 2022 지역과 문화 Vol.9 No.1

        The number of cases of cultural regeneration using idle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le militar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generation, and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is purpose, various researches were conducted, including collecting related documents and records, direct observation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rough field participation,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 From this study, in the idle military facilities to which cultural regeneration was applied, the historicity of the Korean War and division, and the historicity and spatiality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Cold War ideologies were revealed through the buildings and structures of military facilities. In addition, professionalism was emphasized through specialized art programs that revealed the keywords of war, division, and peace. On the other hand, the closed structures of military facilities and the locations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wed limitations in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ownership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the local government, lack of professional publicity measures,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art programs were derived as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sing idle militar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generation.

      • KCI등재

        軍유휴시설의 문화체험시설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목상현,이지연,김봉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9 관광레저연구 Vol.31 No.11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recycling method of idle facilities in the military, which is now neglected due to its policy reasons and social factors. The research on the recycling of the military idle facilit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se of US troops who have left idle land and succeeded in being recycled as a cultural experience facility. For the case study, the concept of idle facilities, the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of military idle facilities, the concept of cultural experience facilitie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S military bases were examin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USFK from 1953 to 2004 and was returned to the ROK government following the US decision to return to the US military in 2007.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Camp Grieves has been designated as a 'security tourism destination' in 2016 due to the security-related exhibitions, the youth hostel operation, and the filming location for drama shooting, taking advantage of the specialty and experience of military idle facilities.

      • KCI등재

        사라져가는 군사도시의 장소기억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연구는 군사문화를 기억할 수 있는 원주의 군사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장소성을 확보하고 군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가 이전해 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군 시설과 군 문화시설이 생겨났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군이 전쟁피해 복구사업을 실시하면서 군에 의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아 대민지원이 지속되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원주시가 불과 10여 년 만에 신흥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역대 대통령들의 원주시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장소를 시찰하는 대통령은 원주지역을 군사적 요충지이자 떠오르고 있는 신흥도시였기에 집권세력의 정치적 전략의 지역으로 생각했다.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 및 예하부대는 물론 미군부대 캠프롱(Camp Long)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었기에 단순히 정치적 전략뿐 아니라 중요한 국가통치의 장소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1990년대까지 군인들을 위한 군사도시로 꾸준히 발전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원주에서 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고, 새로운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과거 원주를 있게 한 각종 군사시설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군사도시 원주의 사라져가는 장소를 기억하고 흔적을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원주의 도시 정체성 확보는 물론 미래 유산의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military facilities in Wonju that remember the military culture, to secure the location, and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as a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the headquarters of the first Field Army moved to Wonju, and military facilities representing Korea were created. Afterwards, a city was formed in Wonju, which was ruined by the war, and a war damage resto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Wonju has been able to develop steadily until today because support for Wonju continued through U.S. military aid. This is the background of Wonju City, which was devastated by the war but developed into a new emerging city in little over a decade.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have always visited Wonju-a military hub and a rising emerging city. However, it has been judged as a strategic political area. Wonju is hom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with the presence of the First Field Army Command, subordinate units and the U.S. Army s Camp Long; it was considered not only a strategic political area but also an important city for national governance. Wonju continued to develop as a military city for soldiers until the 1990s. However, after the 2000s, military units moved from Wonju to other areas,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ies began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Wonju began to disappea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past of the disappearing military city of Wonju and recover traces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city of Wonju and preserve future heritage.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북부지역 민속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

        서종원 비교민속학회 2020 비교민속학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folk culture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fter the Korean War and what characteristics it has in this process. To achieve this, this study first mentioned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folk culture in northern Gyeonggi-do after the Korean War. After the Korean War, folk culture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was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This part can be summarized in several aspects, one of which is that the folk culture that had been before was stopped or changed into a new form as the exchang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was stopped. An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created, many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came to take up the place of new folk culture instead of existing folk culture, and new things that were not seen before were created. This aspect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area where the US military is stationed, in other words, in the base town and its area. Based on these content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lk culture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fter the Korean War is that the unique one with traditionality has disappeared, while a new form has emerged.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folk culture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was very mixed, and it i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military facilities and the influx of various people in the process of US troops stationed.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people from various regions including the US military did not have a strong sense of rejection of the relatively diverse cultures.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k culture of this area h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cases of various regions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Idongmakkoli’ and ‘Idongmrib’ in Pocheon. 본 연구는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북부지역 민속문화가 어떤 양상으로 지속과 변화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어떠한 특징을 지니게 되었는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북부 민속문화의 지속과 변화에 영향을 준 핵심적인 요인에 대해 언급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북부지역의 민속문화는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 부분은 몇 가지 양상으로 정리를 할 수 있는데 그 중에 하나는 남과 북 사이에 교류가 중단되면서 그 전에 있었던 민속문화가 중단이 되었거나 혹은 새로운 형태로 변화된 점이다. 그리고 다양한 군사시설이 생겨나면서 전국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옴으로 인해 기존의 민속문화를 대신해 새로운 것이 그 자리를 차지한 경우도 있으며, 더불어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것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특히 미군이 주둔하는 지역, 다시 말하자면 기지촌과 그 지역에서 이러한 양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내용에 입각해 볼 때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북부지역 민속문화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전통성을 지닌 고유의 것이 사라진 반면 새로운 형태의 것이 생겨났다는 점이다. 그리고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북부의 민속문화는 혼종성이 매우 두드러졌는데, 군사시설이 생겨나고 미군이 주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몰려온 것과 관련이 있다. 한편으로는 미군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서 온 사람들로 인해 비교적 외부의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부분에 대해 거부감이 강하지 않았다는 점도 특징 중에 하나이다. 또한 이 지역의 민속문화가 전국으로 확산되어 간 부분 역시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한국전쟁과 관련된 여러 지역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는데 포천시의 이동막걸리와 이동갈비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겠다.

      • KCI등재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

        위경혜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1

        이 글은 냉전시기 영화 상영문화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 강원도 비도시 군인극장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군인극장은 1959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강원도 군단(軍團) 소재 지역 일대에서 개관한 군인과 민간인 대상 극장을 일컫는다.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핀 내용은 군인극장 개관 및 운영 방식, 군인극장 기능 및 역할, 관객 구성, 군인극장과 극장 산업 그리고 군인극장의 지역성이다. 연구를 위해 문헌 자료를 포함한 군인극장 및 문화 단체 관련자 구술 증언을 재구성하고 분석했다. 구술 증언을 역사 기술(記述)의 방법으로 선정한 이유는 군인극장 관련 문헌 자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 이외에, 일상생활 경험으로서 군인극장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군인극장은 일반 상업극장과 운영 방식에 있어서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징적인 것은 군인극장 상영 작품 목록이 군단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되었으며, 성매매 관련 유흥업소 여성이 군인과 함께 관객 구성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 점이었다. 군인극장은 대중매체 접근성이 낮은 비도시 지역에서 도시문화 대체 경험의 장소로 기능했다. 또한 군인극장 개관은 가설극장과 순업에 의한 영화 소비 관행을 소멸시키고 지역 극장 구도를 재편하였다. 무엇보다도, 군인극장은 지역 영화 상영 창구(窓口)를 일원화하면서 문화 전파 기구의 통일을 꾀하고 여론 형성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강원도 비도시 군인극장 연구는 그동안 역사 기술에서 누락 또는 삭제된 기록을 발굴하여 지역사와 한국영화사를 재구성하는 동시에 지역 영화 상영 문화의 독자성을 부각시킨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