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적 웰빙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재두(You, Jae-D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3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정신적 웰빙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정신적 웰빙과 직무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정신적 웰빙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웰빙, 사회적 웰빙, 심리적 웰빙으로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은 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로 세분화하여 자료를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빙 하위변인인 정서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빙 하위변인인 사회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와 역할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빙 하위변인인 심리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와 역할 갈등 그리고 역할 과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과 조질 몰입이라는 조직 효과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데,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볼 때해양경찰공무원에게 정신적 웰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세부적으로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웰빙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mental well-being on job stress on maritime police office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0 maritime police officers. Research has used questionnaires that evaluate mental well-being and job stress. The lower variables of mental well-being consist of emotion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r variables of job stress consist of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exces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ntal well-being of maritime police officer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role-ambiguous role conflict, which is a sub-variable factor of job stress and job stress, and the role-excess. Emotional well-being, a sub-variable of mental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no effect on all of th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over-role of role, which are sub-variates of job stress. Social well-being, a sub-variable of mental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which are sub-variates of job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 sub-variable of mental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excesses, which are sub-variates of job stress. In general, since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compositional immersion, a measure that can reduce job stress is essential. Therefore,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job stress. This is because job stress redu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maritime police and citizens as well as maritime police officials. A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hat can enhance mental well-being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should in detail improve the qualit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 KCI등재

        형법상 상해개념과 정신적 장해

        윤상민(Yoon, Sang-Min)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80 No.-

        형법에서 상해는 단순상해죄나 과실치상죄, 강도상해죄 등 결합범, 결과적 가중범인 각종 치상죄 등의 구성요건요소가 된다. 그런데 형법은 상해죄(제257조)의 구성요건을 ‘사람의 신체를 상해한자’로 규정하고 있어 상해죄의 객체인 신체에 정신이 포함되는지 해석상 논란이 될 수 있다. 다만 상해개념을 생리적 기능으로 이해할 경우에는 정신까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는 다른 외국에 비하여 학설적으로 정신적 장해가 상해에 해당하는지 크게 논란이 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대법원도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상해로 포섭하면서 생리적 기능에는 육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 기능도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정신적 장해도 상해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대법원이 인정한 상해는 치료기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다. 따라서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 일시적인 정신적 고통이나 공포·불안 등에 대해서는 어느 범위에서 상해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인가 논란이 될 수 있다. 정신적 기능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이러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할 가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가 상해로 인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기존의 상해개념에 대해 각국의 논의와 우리나라의 논의를 알아본다. 그리고 이 개념논의를 통해 어느 범위에서 정신적 장해를 인정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정신적 장해의 상해판단은 범죄로 인한 반응이 정신적 기능의 정상적인 작용으로 평가되는 것인지, 아니면 정신적 기능 자체에 장해가 생긴 결과인지를 구별하여 정신적 장해의 상해 해당성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별에 의하면, 예컨대 단순히 일시적인 불안이나 패닉, 공포 등이 발생한 경우는 원인에 따른 정신적 기능의 정상적인 작용이기 때문에 상해 해당성이 부정된다. 마찬가지로 일시적인 정신적 고통이나 스트레스를 받은 것만으로는 상해죄나 각종 치상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적 고통이나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지속적이라면 상해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riminal law, injury becomes a component and constituent of various crimes of bodily injury which is combined crimes and consequently aggravated crime such as crimes of the infliction of injury,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a bodily injury, robbery resulting in a bodily injury etc. However, criminal law regulates component in the Crimes of the Infliction of Injury (Article 257) as a ‘Person who inflicts an injury on human body’, which can be controversial for interpretation whether or not mental which is an object of crimes of the infliction of injury is included in human body. In ca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jury as physiological function, mental can be included. For the reason, unlike other foreign countries, whether or not mental disability falls under the purview of injury academically does not cause serious controversy in Korea. And the Supreme Court also includes causing disability on physiological function, considering that mental function as well as physical function is included in physiological function. For the foregoing reasons, the Supreme Court admits that mental disability can be an injury. Injury admitted by the Supreme Court i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at takes a considerable time for treatment. Therefore, for mental anguish, fear or anxiety that does not take long treatment period, in what range injury can be admitted may be controversial. In the age when mental function is deemed important, such an issue is expected to occur frequently. This study examines discussion of each country and Korea about existing concept of injury presupposing that mental disability is admitted as an injur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concepts, this study also examines in what range mental disability can be admitted. For judgment of mental disability as an injury, it would be desirable to judge the applicability of mental disability as an injury by distinguishing if a response caused by crimes is considered normal action of mental function, or mental function itself had a disability.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for example, occurrence of simply temporary anxiety, panic or fear is considered normal action of mental function depending on the causes, so applicability of injury is denied. Likewise, crimes of the infliction of injury or various crimes of bodily injury is not established only through temporary mental anguish or getting stressed. If mental anguish or stress goes on for a long time, however, it can be admitted as an injury.

      • KCI등재

        항공사 조직건강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혜영 ( Hye Young Park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건강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는 항공사의 조직구조, 조직풍토, 리더십 등의 조직건강 요인들이 정신적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와 함께 궁극적으로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항공사 조직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종사원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고객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이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공항에 근무하는 항공사 지상직 종사자 24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공사 조직건강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적 스트레스는 고객지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건강은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항공사 종사원의 조직건강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정신적 스트레스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공사 종사자의 경우 조직 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항공사의 최종적 성과와 연결되는 고객지향성을 직접적으로 높여주는 것이 아니라 항공사 종사자 개인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 주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항공사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항공사 내부고객인 개인 종사자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여야함으로 회사차원에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health on customer orientatio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stress of airline employees. It verifies the hypothesis that airline employees of an organization by reducing mental stress can increase customer orientation to make an organization healthier.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247 airline ground staff working at an airport in korea and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increase in organizational health has a decreasing effect on mental stress. Workers such as airline employees get a lot of mental stress form their job and as a result of that mental stress could express depression, anger, irritation and lose control of emotions. Second, an increase in mental stress has a decreasing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organizational health does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direc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mental st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 and customer orientation.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of airline companies, we realized that mental stress should be reduced for the sake of better airlines outcomes. It means that airlines have to access airline staff individually, not just at the organization level to promote customer orientation connected with airline performance.

      • KCI등재

        어머니의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와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현정,이승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ve mothering ideology and mental well-be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parenting str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others who had home-schooling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children aged 1-9 years. Survey data from 372 mother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tensive mothering ideolog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self-compassion and mental well-being, but positively predicted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but positively predicted mental well-being. Additionally,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ental well-being. Self-compassion and parenting stress both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mothering ideology and mental well-being. Furthermor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mothering ideology and mental well-being. Finally,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improve mothers’ well-be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어머니의 자녀 돌봄시간이 증가된 상황에서, 어머니를 자녀의 양육에 있어 가장 완벽하고 유일한 양육자로 보는 신념인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가 어머니의 정신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자녀가 만 9세 이하이고, 코로나19로 인해 가정보육 경험이 있는 어머니 37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와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는 자기자비는 부적으로, 양육스트레스는 정적으로, 정신적 안녕감은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자기자비는 양육스트레스를 부적으로, 정신적 안녕감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양육스트레스는 정신적 안녕감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 때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와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가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거쳐 정신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시대 어머니의 정신적 안녕감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신적 폭력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 ( Cho¸ Sangmi ),정희수 ( Chung¸ Hee Soo ),한예선 ( Han¸ Yae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경험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이는 조직 행동 및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 연구는 폭력과 개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들이 다수였고, 정신적 폭력과 조직행동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클라이언트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사회복지 종사자 1,051명의 응답자료를 Mplus를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은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둘째, 소진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정신적 폭력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등 부정적인 심리·정서적 영향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조직문화의 확립, 개방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통한 사전 예방체계 구축,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 폭력예방 매뉴얼의 구체화, 사후대응 체제 마련, 직장 내 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슈퍼비전 활동 등 정신적인 폭력을 예방하고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출 조직 관리의 함의를 모색하였다. Social workers’ experiences of violence have negative impac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Existing studies on violence have mainly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violence on individual emo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ental violence, which occurs most frequently on a daily basis, on turnover intention. In this study,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how does mental violence by clients or within the workplace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do burnout and job stress mediate the influence of mental viol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analyzing the response data of 1,051 social workers in Seoul, adop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Mplus program. First, mental violence by clients or in the workplace had no direc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mental violence by clients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mental violence in workplace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burnout.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prevent mental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and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스트레스와 정신적 불안과의 관계에서 사상체질에 의해 조절된 신체적 불안의 매개효과

        김수연(Kim So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와 정신적 불안과의 관계를 신체적 불안이 매개하며, 스트레스가 정신적 불안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사상체질이 신체적 불안을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자 대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불안, 사상체질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신체적 불안을 매개변인, 사상체질을 조절변인, 정신적 불안을 종속 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스트레스와 정신적 불안과의 관계에서 신체적 불안을 통한 사상체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 분석을 통해서 매개효과를 검토한 결과, 스트레스는 정신적 불안과 신체적 불안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며, 신체적 불안을 매개로 해서 정신적 불안에 영향을 주는 간접 요인이라는 것이 시사되어 부분매개 모형이 시사되었다. 둘째, 다중집단(multi-group) 동시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신체적 불안을 토대로 정신적 불안이 발생하는 부분매개 모형에서 신체적 불안의 매개 효과는 사상체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조절된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상체질을 통한신체와 정신의 융합된 과정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사상체질과 연관성을 고려한 심신 융합 맞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asang Constitution through physical anxie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mental anxie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tress, anxiety and Sasang Constitution scale was conducted on 205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set up a research model as following configuration. independent variables is mental anxiety, mediating factors is physical anxiety, and moderating variable is Sasang Constitution. We test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asang Constitution through physical anxiety on stress and mental anxie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out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e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mental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and was an indirect factor influencing the mental anxiety through a medium of the physical anxiety, and the partial mediated model was suggested.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rough the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nxiety moderated by Sasang Constitution was confirmed. that is, a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hysical anxiety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in the partial mediated model where the mental anxiety happened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anxiety. This result means there is a process that the body and mental are fused through the Sasang Constitu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suggesting the theoretical 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mind/body fusion customized program considering the association with the Sasang Constitution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후보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레질리언스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강화(Hua Jiang),배은경(Eun-kyung, Bae)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1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레질리언스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9~20세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실행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 차별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와 차별스트레스는 정신적 웰빙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이 한국어수준을 높게 인식할수록, 레질리언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적 웰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적 웰빙에 관한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레질리언스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한국어수준, 문화적응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정신적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s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resilience on ment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youth.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adolescents aged 9 to 20 year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ent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you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in adjustment process and stress from discriminatio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and resilience among multicultural youth, which is a the higher factor of mental well-being, the better school adaptation.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on ment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youth was the highest in resilience, followed by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and acculturation stres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명량대첩을 통해 본 장병 전투스트레스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노순용 국방정신전력원 2024 정신전력연구 Vol.0 No.78

        이 글은 명량대첩에서 충무공 이순신과 조선 수군들이 보여 준 적응과 부적응 전투스트레스를 반응별 사례로 분석하여 장병들이 임무수행 간 부적응 전투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명량대첩에서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마찰과 불확실성이 많았지만,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리더십 관점의 승리 요인에 국한하고 있다. 반면에 세부적인 전투 상황 속 전장심리에 대해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명량대첩을 군사적인 관점에서 한 걸음 더 깊이 들어가 분석함으로써 전장심리의 부적응 행동, 즉 군인정신 갈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전장 상황이 불확실하고, 장병들이 자신의 생명을 담보로 임무를 수행하면 스트레스가 유발된다. 그래도 부대가 전투리더에 의한 효과적인 리더십과 강한 전우애로 뭉쳤을 때 스트레스 요인들은 부적응이 아닌 적응 반응을 이끌어내고, 이는 개인과 부대의 임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순신은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전투 상황에서 부여된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하였다. 전투현장에서 전투스트레스 발생을 피할 수는 없지만, 관리를 통해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관리를 위한 방안은 전투스트레스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임무 수행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므로 부적응 행동 발생을 관리하고 그 정도가 심화하지 않게 하려고 ① 신체적 반응 극복을 위한 체력단련, 전투하중 감소, 적절한 수면 보장 등 신체건강 유지, ② 정신적 반응 극복을 위한 긍지와 자부심 고취, 신앙심 전력화 등 정신건강 유지, ③ 행동적 반응 극복을 위한 전장심리 부적응 완화와 적응력 강화, ④ 조직적 반응 극복을 위한 전장리더십 발휘 등을 추론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전사 속 전장심리와 전투스트레스 관리 방안 등을 지속해서 연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그 결과로 먼저 전장 환경에서 효과적인 전투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하도록 야전부대 활용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다음으로 개인과 부대 차원의 전의고양을 위한 전장심리 관리와 예방법 등을 도출해야 한다. 그리하여 전투스트레스 예방과 관리, 그리고 군인정신 갈등 극복이 상호 연계되어 이루어짐을 인식하고 장병 모두의 노력으로 임무 수행에 적극 활용해야 하겠다. This thesis analyzes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battle stress exhibited by Admiral Yi Sun-sin and the Joseon Dynasty naval forces during the Battle of Myeongnyang. It serves as a case study for each type of reaction and explores methods for soldiers to manage maladaptive combat stress while performing their missions. Although there were countless frictions and uncertainties in the Battle of Myeongnyang, most existing studies are limited to examining victory factors from a leadership perspective.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battlefield psychology in detailed combat situations has not been thoroughly explored. Analyzing the Battle of Myeongnyang from a military perspective and studying specific ways to overcome maladaptive behavior in battlefield psychology, such as soldier mentality conflicts, is highly useful. When the battlefield situation is uncertain and combatants perform missions at the risk of their lives, stress is inevitable. However, when a unit is united with effective leadership and strong camaraderie, stress factors can lead to adaptive responses rather than maladaptation, thus improving the mission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units. Yi Sun-sin recognized that enhancing adaptive ability was crucial for effectively performing assigned tasks in combat situations. Although combat stress cannot be avoided on the battlefield, it can be minimized or alleviated through proper management. The management plan involves cultivating the ability to adapt to combat stress and maintaining a state capable of performing missions. To manage and prevent maladaptive behavior,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Maintain physical health: Engage in physical training to overcome physical eactions, reduce combat load, and ensure adequate sleep. Promote mental health: Foster pride and self-esteem to overcome mental reactions, and strengthen religious beliefs. Strengthen adaptive capacity: Alleviate battlefiel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nd enhance adaptive capacity to overcome behavioral reactions Demonstrate battlefield leadership: Employ effective leadership to overcome organizational reactions. Through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encourages continuous research on battlefield psychology and combat stress management methods among various warriors.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of field units must be maximized to enable effective combat stress management in battlefield environments. Additionally, deriving battlefield psychological management and prevention methods will enhance fighting spirit at both individual and unit levels. Therefore, recogniz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combat stress prevention, management, and overcoming conflicts in military spirit is essential. This understanding should be actively applied in mission execution through the collective efforts of all soldiers.

      • KCI등재

        6주간의 이완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수면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및 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최연아,이신영,김민정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x-week relaxation program on sleep disorder, mental stres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lder female adult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emales aged 65 years or more; they were divided exercise group (n=16) and control group (n=12). For 6 weeks,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practiced the relaxation program for 60 minutes per each session, three times a week.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process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computerized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results of on completion of the practice of relaxation program, the degree of stress and CRP decreased in the temporal perspective, and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leep disorder (p<.01) and TNF- α (p<.05); the group of subjects practiced exercises also rendered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TNF-α (p<.01). Second, the results of all subjects in both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anifes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degrees of sleep disorder and stress(p<.05). The practice of relax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sleep disorder, stress, and alleviation of inflammation; reduced degree of stress was also found positively facilitated the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 본 연구는 6주간의 이완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수면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및 염증 지표에 미치는 향을 살펴 보기 위하여 실시 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여성노인으로 운동군(n=16), 대조군(n=12)이고, 운동군 은 이완프로그램을 6주 동안 주 3회, 회당 60분씩 실시하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으며, 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이완프로그램 실시 후 시기 간에서 스트레스와 CRP는 감소하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고, 운동군에서만 수면장애(p<.01)와 TNF-α(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 간에서는 운동군에 서만 TNF-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둘째, 상관관계에서는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수면장애와 스트 레스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따라서 이완프로그램은 여성노인들의 수면장애, 스트레스, 염증완화에 긍정적인 향을 미치고, 스트레스 감소가 수면장애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공부문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김유호,이주호,이민규,권설아,김다영,조미정,오명근,류상일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1

        Pu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ntal well-being of the fire fighter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belonging to Busan Fire Service Headquarters on job stress empirically, and provide basic theoretical data to promote the spiritual well-being for reducing the stress of fire fighters in the future. Methods :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Conclusion : As a result of analysis, emotion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of the fire fighters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stress respectively. The higher the emotional well-being, which symbolizes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interest and happiness, it was verified that the job stress of fire fighters was lowered. Also, the higher the social well-being, which means community and social contribution, it was found that the job stress of fire fighters was decreasing. Especially, considering the beta value, it can be seen that emotional well-being has a great influence on stress redu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well-being based on the tasks of fire fighters. The level of social well-being, which signifies community affiliation, development of our society, and social contribution, of the administrative staff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field worker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based on gender. In comparison to female fire fighters, male fire fighters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 level of emotional well-being, which signifies the interest,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life, and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symbolizes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life and psychological safety as well as in the level of social well-being, which relates to the vision of our society and community affiliat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ocial well-being based on age. In comparison to the fire fighters in their 30s and 40s, those in their 20s and 50s or older turned out to have a higher level in the perception of social-wellbeing. La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based on the period of service. It turned out that those who served less than 5 years and those who served 20 years or longer had a higher level in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부산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들이 정신적 웰빙(정서적, 심리적, 사회적)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정신적 웰빙을 진작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인식의 차이를 통한 실증분석을 활용하였다. 결론 : 분석결과 소방공무원들의 정서적 웰빙과 사회적 웰빙이 직무스트레스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만족감과 흥미 및 행복감을 상징하는 정서적 웰빙이 높을수록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동체나 사회 공헌을 의미하는 사회적 웰빙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베타값을 고려할 때, 정서적 웰빙이 스트레스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인식차이를 살펴보면, 첫째, 담당 업무에 따라 사회적 웰빙이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소속감이나 우리사회의 발전성, 사회공헌등을 의미하는 사회적 웰빙 수준이 현장업무자에 비해서 행정업무자들이 더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정서적 웰빙, 심리적 웰빙, 사회적 웰빙 인식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소방공무원에 비해 남성 소방공무원이 각각 삶의 흥미, 만족감과 행복감을 의미하는 정서적 웰빙 수준이 높았으며, 삶의 방향과 의미, 심리적인 안전감 등을 상징하는 심리적 웰빙 수준도 더 높았고, 아울러 우리사회의 비전이나 공동체 소속감 등에 해당되는 사회적 웰빙수준도 더 높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령에 따라 사회적 웰빙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40대에 비해 20대와 50대이상이 사회적 웰빙 수준 인식이 더 높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 재직기간에 따라 심리적 웰빙, 사회적 웰빙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5년미만과 20년이상 재직자가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웰빙 인식이 더 높음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