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행> 시리즈를 통해 본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산업적 특성

        이현중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2 현대영화연구 Vol.18 No.3

        In culture contents, the term ‘Korean style or type’ refers to the features of content with Korean specificity arising from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Industrial factors are also important in creat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model of media contents. Due to the nature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which several media are combined, factors related to the industry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ceptualize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The story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roduction issues from the industry, and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contents as a “region” are linked to the enjoyment culture to establish an universe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are in the form of trans-media storytelling completed through the follow-up film Peninsula and the webtoon Peninsula Prequel 631. Through the Peninsula series, the media is expanded by adding webtoons to movies and animations, and the universe is shared with Train to Busan, but a new story is provided. As a result, the series has the aspect of a franchise story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entire narrative.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are found in the Train to Busan series. It is the use of webtoons, the important genre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family-melodrama narratives that contradict the zombie genre are used. In the Train to Busan series, you can find the effect of industrial limitations on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The industrial structure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is not dominated by large entertainment companies like the U.S., but rather by collaborating with media. As a result, IP problems, story and media expansion limitations occur. In the phenomenon that Korea’s “regional” identity and enjoyment culture meet to define Korean culture contents, it can be analyzed by linking K-zombies and the trans-media storytelling of the Train to Busan series. As such,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shows features in which industrial limitations strengthen the intrinsic elements of content, and the locality of industry and production also affects content. 통상적으로 문화콘텐츠에서 ‘한국형’이란 용어는 한국이라는 지역적⋅문화적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한국적 특수성을 지닌 콘텐츠의 변별성을 의미한다. 하지만 산업적 요인 또한 미디어콘텐츠의 ‘한국형’ 모델의 정체성을 만드는데 핵심이 된다. 다수의 미디어가 산업적으로 결합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상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변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관련된 요소가 필수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문화적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스토리 내재적 요소와 산업적 제한 요소로부터 비롯되는 제작의 문제, 그리고 ‘지역’으로서의 한국 콘텐츠의 정체성은 향유 문화와 긴밀하게 연계돼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세계관을 확립하게끔 한다. <부산행>, <서울역>은 후속작 영화 <반도>와 웹툰 <반도 프리퀄 631>을 통해 완성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형태를 갖춘다. 영화, 애니메이션에 웹툰을 더해 미디어를 확장했고, <부산행>과 세계관은 공유하지만 새로운 스토리를 담은 <반도> 시리즈를 통해 전체 서사체의 규모를 키움으로써 프랜차이즈 스토리의 면모를 갖춘다. 동시에 <반도> 시리즈의 확장을 통해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이성이 발견된다.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주요 장르인 웹툰이 활용되는 점을 비롯해, <부산행>부터 이어지는 좀비 장르의 외피와 상반되는 가족애 중심의 서사와 주제 의식 등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 특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무엇보다 <부산행> 시리즈에서는 산업적 한계요소가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성을 살펴볼 수 있다. 거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총괄하는 형태가 아닌 미디어별로 협업하는 형태로 이뤄지는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산업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IP 문제, 스토리 및 미디어 확장 제한성 등이 발견된다. 한국이라는 ‘지역’ 정체성과 향유문화가 만나 한국형 콘텐츠를 규정짓는 현상에서 K-좀비와 <부산행> 시리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연계해 살펴볼 수도 있다. 이처럼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산업적 한계가 콘텐츠의 내재적 요소를 강화하는 양상을 보이며, 산업과 제작의 지역성이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발견된다.

      • KCI등재

        국내 미디어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민용식(Yong-Sik Min),임응순(Eung-Soon Lim),정군오(Kun-Oh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미디어산업의 전반적인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산업에 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이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미디어산업을 분석하였는데,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구하였고, 공급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공급지장효과를 구하였고,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미디어산업의 1원의 생산에 대하여 경제 전체에 생산유발효과는 0.5461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3143원 유발하였으며, 10억원당 취업유발은 5.0459명, 미디어산업에 1원의 공급지장이 생기면 국민경제전에 미치는 공급지장효과는 0.7353원으로 나타났으며, 10%의 가격상승에 의한 물가파급효과는 0.2389%로 분석되었다. The media industr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round the world and there are changes over this industry. Therefore this is the time that the economic impacts is needed about media industr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media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of the media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and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of the media industry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The results of this analyses are presented; 0.5461 won in production-inducing effect, 0.3143 won in value added inducing effect when 1 won is produced by media industry, 5.0459 persons in employ-inducing effect when 1 billion won is produced, 1 won of supply shortage in this industry results 0.7353 won in supply shortage effect which affect the other industries. Sectoral price effect is 0.2389% due to the 10% increase of price.

      • KCI등재

        방송통신의 융합과 미디어 산업에 대한 진입규제

        김영주(Young Ju Kim) 한국정보법학회 2005 정보법학 Vol.9 No.1

        이 연구는 방송통신의 융합에 따라 정부의 미디어 규제정책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혹은 앞으로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진입규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개별 매체들의 발전에 더하여 매체 간 융합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융합형 서비스의 등장은 기존의 매체별 규제체계로는 더 이상 규제의 실효성을 거두기 힘든 상황이 되고 있다. 특히 통신사업자의 방송산업 진출, 방송사업자의 통신산업 진출과 관련하여 기존의 진입규제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미디어 산업에 대한 정부규제의 근거와 규제내용, 규제완화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미디어 산업의 진입규제를 방송산업, 통신산업, 방송과 통신의 상호진입 규제를 통해 그 현황과 문제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진입규제와 관련하여 기존의 방송사업자와 통신사업자가 각각 느끼고 있는 현재 규제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규제에 대한 사업자들의 입장은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사업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이해의 상충은 규제기구 간 갈등과 맞물려 딜레마적 상황을 극대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융합형 서비스의 등장으로 방송과 통신을 분리해서 규제하는 전통적인 규제방식이 더 이상 규제의 실효성을 거두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새로운 규제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전통적으로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미디어 산업에 대한 규제정책의 패러다임이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축으로 확장되거나 변화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방통융합에 따른 진입규제 완화와 관련된 사업자간 이해관계를 초월하는 정책적 준거가 필요하다. This thesis is study on how has changed the media regulation policy of government and how will be changed that. Each media has evolved very quickly, in addition to the phenomena of media convergence have come into media industry already. So it is difficult that regulation on each media takes practical effects from appearance of convergent services. Particularly, telecommunication corporations try to entry a broadcasting industry, broadcasting companies try to entry a telecommunication industry too, and these conditions have need for regulation change. In this study I explained that the basis of regulation and details of regulation, and showed how have changed media regulation. And then I 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 of market entry regulation in media industry. also I looked into the problem on existing regulation system that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mpany thought.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the views of regulation are vary variety because of the interest interference. So their differences make dilemmas and conflicts between regulation organizations. In conclusion, there are necessities to make a criteria of new policy according to media convergence and to provide new regulation system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Media policy focusing the supplier and producer have to be changed policy central consumers.

      • KCI등재

        산업연관 분석에 의한 미디어 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고준희(Gao, Jun Xi),여위(Yu, Wei),이혁진(Lee, Hyeok J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확장된 미디어에 대한 정의를 정리하고 미디어산업의 범위를 정의한 후 미디어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미디어산업의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를 분석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미디어산업의 생산유발계수 열 합계는 2010년 2.8983에서 2014년 2.5014로, 행 합계는 2010년 3.1755에서 2014년 2.7347로 감소하였다. 감응도계수는 2010년 1.1603에서 2014년 1.1826으로, 영향력계수는 2010년 1.0590에서 2014년 1.0817로 다소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010년 0.9451, 2014년 0.8471로 나타났다. 미디어산업은 다른 산업의 중간재로 사용이 늘어나고 있고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영향력도 증가하고 있었으며 기술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아직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높은 고용창출을 만들어 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올드미디어기반산업은 다른 산업의 생산과 수요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고 뉴미디어산업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빈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extended media and defined the scope of the media industry, and then studie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media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influence coefficient, and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 media industry was carried out using the industrial correlation analysis table, 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was examin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edia industry is increasing its use as an intermediate material of other industries, and the influence of driving other industries is increasing, and it is changing to technology, but it is still creating a high job creation by labor-intensive industry. In addition, the oldmedia-based industr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and demand changes of other industries, and the newmedia industry has a high frequency of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문화산업의 성장편차를 이용한 성장영향요인 분석

        유영명(Yoo Yung-myung),주수현(Joo Soo-hye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0 문화산업연구 Vol.10 No.3

        Contrary to the disinterestedness from the academics, ‘cultural industry’ are receiving much interests nowaday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Busan cultural industry during the year of 2000~2007, using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With 2000 to 2007 regional I/O table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were decomposed into five sources, i.e. production, consumption expenditure, investment, export, import substitution of intermediate and final demand, and technical chang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edia industry sector were contributing much more to the growth of the regional industry than the other cultural industry s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 industry including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eatly influenced the growth of cultural industry. Contrary to the disinterestedness from the academics, ‘cultural industry’ are receiving much interests nowaday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Busan cultural industry during the year of 2000~2007, using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With 2000 to 2007 regional I/O table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were decomposed into five sources, i.e. production, consumption expenditure, investment, export, import substitution of intermediate and final demand, and technical chang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edia industry sector were contributing much more to the growth of the regional industry than the other cultural industry s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 industry including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eatly influenced the growth of cultural industry.

      • KCI등재

        영화산업과 미디어 다양성의 차원 및 현황 연구

        김선아 한국영화학회 2023 영화연구 Vol.- No.97

        영화와 OTT 등의 뉴 미디어가 융합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며 기존에 방송을 중심으로 펼쳐온 미디어 다양성 논의를 영화산업의 관점에서 수용하고 통합된 미디어 다양성 논의 구조 안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디어 다원성의 관점에서 단순히 수의 많음이 다양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이용과 노출의 다양성까지 아우르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주로 방송을 중심으로 발전한 미디어 다원성과 다양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한다. 영화산업에서의 다양성 개념은 영화진흥위원회의 다양성 정책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최근에는 영국 BFI 다양성 스탠다드(Diversity standard), 프랑스 CNC의 파리테 인센티브(Bonus Parité), 미국 아카데미영화제, 넷플릭스의 포용성 보고서 등 영화산업 내부의 포용성을 확대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펼쳐지고 있다. 본론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화산업에서의 미디어 다양성의 차원을 구조-내용-이용의 세 가지 차원으로 각각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내용의 다양성과 내용-이용의 다양성의 차원에서 미디어 다양성 확대를 위한 방향을 제언했다. 구조-내용의 다양성의 측면에서는 미디어 융합 환경에서도 극장을 중심으로 하는 오프라인 영화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켜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법률 개정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밝힌다. 내용-이용의 다양성의 측면에서는 사회 구성원의 다원성을 아우르고 영화산업 내에서 포용성 확대를 위해 적극적 조치의 관점에서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The convergence of film and new media such as OTT is accelerating, and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media diversity discussions that have been centered on broadca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lm industry and examine them within the integrated media diversity discussion struc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media pluralism, simply an abundance of numbers does not guarantee diversity, and a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diversity of use and exposure is needed. In the theoretical discussion, previous studies on media pluralism and diversity developed mainly in broadcasting are summarized. The concept of diversity in the film industry can be examined through the Korean Film Council’s diversity policy. Recently,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xpand inclusiveness within the film industry, such as the UK’s BFI Diversity Standard, France’s CNC’s Parite Incentive, the US’ Academy Film Festival’s Diversity Rules, and Netflix’s Inclusion Report. In this paper,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dimension of media diversity in the film industry i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tructure-content-use. In addition, policy directions are presented in terms of diversity of structure-content and diversity of content-use, respectively. In terms of structure-content diversity, it is explained that even in a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offline movie industry centered on theaters and make efforts to keep it, and for this purpose, amendments to the law must be made together. In terms of content-use diversity, it is revealed that the policy direction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e viewpoint of active measures to embrace the diversity of members of society and expand inclusiveness within the film industry.

      • KCI등재

        아랍에미리트 미디어 산업과 규제

        김수완(Kim, Su-wan) 한국이슬람학회 2018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28 No.2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dia industry in UAE and to prospect its media environment by analyzing media regulation. For this aim, this research conducted theocratical analysis of media in UAE.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tate-led policy was implemented for the development of UAE media industry by establishment of The Dubai Technology & Media Free Zone including Dubai Media City. Internet City, Knowledge Village and International Media Production Zone since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TV in the Middle East in 1990s. Also the research implied that the media regulation has been implemented by the 1980 Emirate Press and Publications Law, the 2012 Cybercrime Law and the 2014 Terrorism Law which prohibit criticism on the Emirate government, the ruling family or ruller. Considering the all environments of media industry, the results were analyzed that the Authoritarian Model and Development Model are implemented in UAE media industry.

      • KCI등재

        문화산업과 저널리즘의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발견

        김우필(Kim U-Pil)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0

        문화산업과 미디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치적ㆍ윤리적 차원에서 미학과 저널리즘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대 산업사회 이후로 노동은 산업(경제)의 영역이고, 유희는 문화(예술)의 영역이었다. 그런데 20세기 초 문화산업의 등장과 함께 노동과 유희의 경계가 해체되기 시작했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벤야민은 이 문제를 상품의 미학으로서 문화산업, 임화는 기술과 예술의 자기동일성 추구로서 미디어산업(저널리즘)의 문제로 보았다. 그리고 20세기 초 예술작품은 복제기술을 통해 대량으로 복제되면서 일반 대중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이 되었다. 문화산업은 누구나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대중문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산업과 대중문화는 20세기 파시즘 등장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대량복제 기술은 차이의 문화를 소멸시켰고, 획일화된 문화적 환경을 조성하여 선전ㆍ선동의 대중조작 정치인 정치의 심미화를 불러 일으켰다. 한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저널리즘의 대중화를 이끌었고, 문화산업은 그러한 저널리즘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미디어 저널리즘은 점차 대중의 정치적 욕구와 밀접해지면서 문화예술 영역의 주요 기제로 작동하게 되었다. 임화는 식민지 말기 저널리즘, 문화운동, 비평의 윤리 문제에 천착했다. 특히 그는 잡지와 신문의 비평행위가 문화예술에 대한 단순한 해석행위가 아니라 정치행위가 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문화운동으로서 저널리즘이 문화산업을 이끌지 않는다면 대중문화는 파시즘과 결합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파시즘 시대의 한 복판에 서 있었던 임화는 소설로 대변되는 상업적인 문화예술 상품화와 상업자본에 점점 종속되기 시작한 미디어를 문화산업 자본주의로 단정하기보다 근대 시민사회 문화운동의 토대이자 환경으로 인식하였다. 나아가 문화산업과 미디어 저널리즘에서 근대적ㆍ민주적 시민사회를 구축할 미적 근대성의 기제를 발견하였다. 임화는 문화산업과 미디어 저널리즘이 대중문화와 대중예술의 새로운 미의식을 만들어 낼 가능성을 보았다. 따라서 문화산업이 대량으로 복제한 예술상품을 획일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대중 스스로가 예술상품 창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들 때 문화산업은 문화예술의 양적ㆍ질적 발달을 이끄는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산업형태가 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access on aesthetics and journalism for understand the essence of cultural industry and media in the political and ethical level. After modern industrial society, a labor belongs to the economy and a play belongs to the Art.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labor and play began into break when cultural industry appeared. M. Horkheimer, T. W. Adorno and Walter Benjamin recognized this problem to be cultural industry as aesthetics of commodity, Imwha recognized this problem to be journalism as pursuit identity of Art and technology. In the beginning 20th century a work of art was reproduced a large quantity by copy technique and then that was commodity which everybody people could be close easily. But this cultural industry and popular culture took a role to promote the advent of fascism. Meanwhile development of media technique conducted to popularization of journalism, so cultural industry have grew up its roots in such a journalism. Media journalism did more and more close to political desire of the masses, and that became main mechanism of the cultural arts. Imwha did concern himself about journalism, cultural movement, ethical critics. He did agitate that critical action of magazine and newspaper must be political action not simple explain about the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mwha’s idea was that popular culture could combine to fascism in case journalism as cultural movement do not lead cultural industry. In age of fascism, Imwha recognized media to base or condition of cultural movement in modern civil society than cultural industry for capitalism. Furthermore, he did find a mechanism of aesthetic modernity to construct modern and democratic civil society in cultural industry and media journalism. Therefore if a cultural industry make the masses by oneself to take part actively for a creation of art commodity, it will be an alternative industry which conduct a cultural art to development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 KCI등재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디어 산업 진흥

        박조원(Park Jo-won),노준석(Roh Jun-seok),임종수(Lim Jong-s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06 문화산업연구 Vol.6 No.2

        With the acceleration of digital convergence, our society is entering the ubiquitous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ubiquitous informatization is expected to prompt the convergence of media, and the boundaries of the traditional media and communication systems will be collapsed.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edia industries are seeking ways for their survival. In the same context, government policy measures on media should be refocused to accommodate the promotion of industrial and economic aspects of media. Taking this issue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direct the policy measures to promote the media industries in the era of ubiquitous communication. The study suggests policy measures for the government to promote the media industries in the ubiquitous communication era, and discusses about th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for the promotion. With the acceleration of digital convergence, our society is entering the ubiquitous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ubiquitous informatization is expected to prompt the convergence of media, and the boundaries of the traditional media and communication systems will be collapsed.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edia industries are seeking ways for their survival. In the same context, government policy measures on media should be refocused to accommodate the promotion of industrial and economic aspects of media. Taking this issue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direct the policy measures to promote the media industries in the era of ubiquitous communication. The study suggests policy measures for the government to promote the media industries in the ubiquitous communication era, and discusses about th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for the promotion.

      • KCI등재후보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 TV미디어산업의 현주소

        이태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4

        본고는 21세기 중국 문화산업으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는 TV미디어산업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중국 문화산업은 2000년대에 와서 매우 중시되었고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뉴노멀 즉 신창타이(新常態)이다. 2014년 중국에서 새로운 문화산업으로서 추진되고 있는 인터넷플러스(+) 사업이다. 2015년 3월에 국무원에서 “중국제조 2025” 프로젝트를 공표했다. 이것은 중국 제조업을 인터넷 기술 혁명을 통하여 국가 간의 경쟁에서 이겨내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터넷플러스(+) 개념의 핵심이다. 인터넷플러스(+) 전략은 문화정책을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것은 문화산업과 인터넷의 상호 융합을 통한 플랫폼이다. 중국 문화산업과 관련한 여러 부처 중에서 TV방송영상콘텐츠 산업 관련한 정책을 주로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부서는 국가광전총국(SARFT)이다. 여기서 방송 미디어 및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의 미디어콘텐츠 관련 정책이나 규제 마련, 관리 및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중국TV방송 규제 및 해외 방송콘텐츠 온라인 플랫폼으로 몰리면서 유통 규제를 하고 있다. 중국이 인터넷플러스(+) 시대에 TV미디어 산업이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새로운 인터넷플러스(+) 용어의 등장은 다양한 산업모델과 인터넷이 융합하여 산업 발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등장과 확산, 그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된 환경으로의 전환은 그것 자체로 사회적 변화이면서 동시에 또 다른 사회적 변화를 야기했다. 중국의 TV미디어산업에서 네트워크 플랫폼 기술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인터넷+ 사고를 통하여 시청자와 제작자가 쌍방간 소통, 현장 디스플레이, 상호 작용, 재미와 경험, 가상현실과 같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새로운 미디어 디스플레이 기술로 문화를 전파해야 한다. 이처럼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의TV미디어산업은 높은 시장가치와 높은 수익률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 가치사슬로, 국경 없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유망한 비전을 지향하는 비즈니스모델을 추구한다.중국 미디어 관련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있는 인터넷 문화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구축하기 위해, 플랫폼+콘텐츠의 혼합형, 자본결합의 통합 작용 그리고 네트워크 산업 사슬의 역방향 확장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In early period of 21st century, supported by the goverment, china cultural industry has developed in different scale in different areas. however, there exist some problems. This paper Summarizes the cor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hina's Internetplus(+) TV Media Culture Industry. Chinese cultural industry, which was emphasized from the year 2000, is continuing its rapid progress. it is becoming the ‘xinchangtai(新常態)’. China obtained an approval for its “Internetplus(+)” at the national level in 2014, and its State Council announced “China Manufacturing 2025” in May, 2015, making an attempt at a revolutionary transition of its manufacturing industry. The keyword of the “Internetplus(+)” concep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Internetplus(+) policy in the cultural industry. Among various departments related to the culture industry, the State Administration of Radio, Film, and Television(SARFT) is mainly in charge of policies on broadcasted TV contents. As the Chines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regulations on TV broadcasts, Lastly, the authority now focus on controling the importation of programs and program formats. This was possible through the interactive combination via internet platform, which implies that the culture plays the key role of TV Media progress in the era of internet plus. The newly rising term “internet plus” represents diverse types of industry combined with internet, and the existing industri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net has induced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with new characteristics. Especially, various fields of cultural industry such as television broadcasting is exercising major influence via internet on Chinese culture’s emerge into international market. The new generation of network TV & Mass media Platform business model shows revolutionary innovation power in today’s business. “Internetplus(+)” plan will encompass creations in entirely new meanings through the connection and fusion of the Internet and industry. Moreover, it is recommended for us to promote joint ventures with Chinese drama production companies after finding out sources preferred by the Chinese viewers, or target niche markets by developing video contents that cannot be produced by the local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