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 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형용사와 같은 어휘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즉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되는 인간의 감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들과 대표감성들을 추출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에는 감성어휘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외에도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을 제안하였다. 또한 개발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는 제품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st common method in the psychological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is to indirectly measure the user`s emotion by using adjectives, called emotional words.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observe user`s emotional changes while they interact with a product, has extracted some emotional words and representative emotions, and made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In addition to adjective checklists,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s have been extensively used to assess user`s emotions. This research sugges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using the representative emotions and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made in the previous research. Also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Therefor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extracted through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measure a user`s user`s emotions naturally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 KCI등재
      • KCI등재

        감성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스토리텔링 접근

        황신웅 ( Sin Woong Hwang ),이선아 ( Sun Ah Lee ),손영우 ( Young Woo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1

        산업의 각 분야에서 사용자에 대한 감성적 접근이 중요시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소비 경향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으로 단순한 기능을 넘어서는 감성적 요인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아직 논리적 정보설계와 사용자의 인지적 반응에만 중점을 두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스토리텔링을 적용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의 감성적 경험에 대한 새로운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검증 하고자 하였다. 80명의 실험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논리적 접근 방식을 적용한 두 종류의 인터페이스들과 스토리텔링 방식을 적용한 두 종류의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게 한 후 실험참가자들의 감성적 경험, 만족도, 편리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자들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인터페이스에 대해 더 높은 감성적 경험, 만족도와 사용 편리성을 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의 개인의 감성강도에 따라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감성 강도가 높은 사용자들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인터페이스에서 감성 강도가 낮은 사용자들에 비해 더 강한 감성적 경험을 하고 더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emotional relationships between industrial products and user experience are getting more attention than ever. However, current user interface design has focused just on the mechanical and logical aspects.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approach to improve user`s emotional experience to interface design and introduced storytelling as a new possibility. Four types of user interface - logical interface, picture added interface, storytelling-applied interface, and storytelling-applied interface with a story script - were used for this research. Eight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ch participant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ypes of user interfaces. Additionally, their individual differences in affect intensity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that users reported more emotional experience in the storytelling-applied interface and storytelling-applied interface with a story script than the logical interface and just picture added interface.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as experienced for the storytelling-applied interface. And all those results are differentiated by the users` affect intensity. The users who have higher affect intensity expressed heavier emotional experience and deeper satisfaction for the storytelling-applied interface.

      • KCI등재

        사용자 유형별 초기 경험에 관한 연구

        조영준(Cho, Youngjun),김성우(Kim, Sungw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사용의 증가와 단순화된 스마트폰 사용 행태로 인해 초기경험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또한, 현 상황 속에서 사용자 유형을 고려한 연구의 부족함 발견하였으며, 본 연구는 사용자 유형별 초기 경험에 대한 감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초기 경험과 사용자 경험 요소 모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사용자 유형별 초기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페이스북 활동 정도에 따라 3가지 유형(활동적인 사용자, 휴면 사용자, 미가입 사용자)으로 분류하였고, 인스타그램 사용경험이 없는 유형별 5명씩 총 15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조사를 시행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에 친숙할수록 사용성보다 감성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반대로 미숙할수록 감성보다 사용성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사용자 유형별 초기경험의 감성에 대해 어떠한 연계성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사례비교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유형별 초기경험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친숙하지 않은 서비스일수록 초기경험에 있어서 사용성을 더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에서 초기 경험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s smart phone has been released the increasement of using app, and becoming more simplified system of the phone leads to the importance of initial experience of the phone. Still now there was not enough research about user types. Therefore the research will show the relationship of user’s initi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user types. Methods: To find out, we have looked up user’s initial experience research about ’Out of box experience’ and ‘Components user experience model’. We have divided 3 types of users by using Facebook which was active user, dormant user and unregistered user. For each one of the types we putted 5 people which is maximum 15 people and made them to use Instagram which they have not used it before. Result: The active users had more effect on the aesthetic factor in their initi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 dormant, and unregistered users had more effect of understanding the system more to the usability factor. Conclusion: The research has shown how to have connection between user’s emotion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user’s initi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user types.

      • KCI등재

        제품 유형별 표출되는 감성어휘 비교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표출되는 감성어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휴대폰 및 웹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감성어휘들을 추출하여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휴대폰과 같이 하드웨어적인 특성이 강하고 사용자가 어떤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 상황이 많은 제품에 대해서는 사용상황 및 태스크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용적 만족성`과 `유쾌성` 등에 관련된 감성어휘가 많이 추출되었고, 제품의 외관이나 다양한 시각정보에 의해 표출된 `심미성`과 참신하고 새로운 것에 의해 표출된 `신규성`에 관련된 감성어휘는 다수가 제외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에 웹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인 특성이 강하고 사용자들이 특정한 목적의 태스크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보다는 뭔가 새로운 정보를 찾거나 보다 우수한 것을 찾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신규성`과 같이 직접적인 사용에 관련된 것보다는 시각적이고 새로운 정보에 관련된 감성어휘가 많이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해당 제품의 특성과 사용목적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중심으로 제품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각각의 제품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반증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tracted emotional words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cellular phone and a web. And then the emotional words were compared to find out whether the difference in emotional words by the type of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ardware-oriented products used for specific purpose such as cellular phone extracted a lot of emotional words related to `Satisfaction in Usability` and `Pleasure`. `Satisfaction in Usability` are conceived satisfying in usability or practicality of product. `Pleasure` are pleasant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However the emotional words related to `Aesthetics` and `Novelty` were omitted. `Aesthetics` are expressed by product`s appearance and by various visual information while using a product. `Novelty` are expressed by something that is novel and new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On the other hand the software-oriented products used rather to find something better and new information than to perform specific tasks such as web extracted a lot of emotional words related to `Novel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found evidence that it is desirable to make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by the type of products. When mak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scale, it is important to use appropriate emotional words for the purpose of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products.

      • KCI등재
      • 사용자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정상훈 ( Sang Hoon J 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Vol.2007 No.-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 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형용사와 같은 어휘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즉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되는 인간의 감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들과 대표감성들을 추출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에는 감성어휘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외에도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을 제안하였다. 향후 제안한 평가스케일에 대한 신뢰도(reliability) 및 타당도(validity)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함으로써 제품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제품 사용 초기 단계의 사용자 감성 평가

        정상훈 한국감성과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Vol.2008 No.-

        사람과 제품의 인터랙션 과정 중에서 제품 사용 초기 단계에서의 사용자 감성을 평가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처음 접하는 휴대폰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평가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사용성 측면을 상당히 고려하여 디자인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휴대폰의 경우 높은 사용적 만족성과 낮은 불편성이 표출되었다. 반면에 전반적으로 새로운 기능과 스타일에만 집중하여 사용자의 사용성 측면에 대해서는 다소 불편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휴대폰의 경우 낮은 사용적 만족성, 높은 불편성이 표출되었지만 그 외 심미성, 신규성, 유쾌성, 우수성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성급하게 제품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감성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제품 경험 시간에 따라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감성 간의 관계를 보다 더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