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라이 쇼스케(村井章介)의 ‘境界人論’ 및 그 倭寇 연구 체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송종호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6

        According to Mr. Shosuke Murai’s ‘Marginal Man Theory (境界人論)’, the Marginal Men lived in the Marginal Space located among the countries in the pre-modern world, and carried out trade, diplomacy, piracy, and other activities, connecting such countries. However, neither ‘Margin (境界)’ nor ‘Marginal Man (境界人)’, the two core concepts of the theory, has clearly defined, and the theory has some potential problems when it is applied to specific historical events or phenomena. First, generally speaking, ‘Margin’ should be either ‘boundary’, which is a political or military one, or ‘frontier’, which means one in non-political aspects. But, Mr. Murai’s ‘Margin’ does not fall onto either one, and its meaning is not well defined. Moreover, since th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firmly established earlier from the medieval ages, it would not be proper to apply the theory to the histo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ncluding studies on Wakou (which is normally interpreted as ‘Japanese Pirates’). Second, with respect to the definition of ‘Marginal Man’, the broadest definition covering all examples mentioned by him, such as Hwacheok and Jaein (who were butchers and actors in Korean medieval ages), Korean translators of the Japanese language, captive Koreans in Japan, and even Japanese Christians in Japan, does not seem to work properly, because all of such Marginal Men cannot be treated as a one group. Also, there are some important problems in the narrower definition of ‘Marginal Man’, which has been broadly used throughout his theory, focusing on the main region of their activities surrounding the China Sea, such as the Three Islands (consisting of Tsushima, Iki and Hakata), Korean southern coastal region, Cheju Island, and certain Chinese southeastern coastal regions: (i) the general theory does not apply to the ‘Marginal Space’ between Korea and Japan, (ii) a sense of unity as one group has not been found from the group of such ‘Marginal Men’, and (iii) it seems that the domain of his ‘Marginal Space’ has been determined arbitrarily, not on any rational grounds. In addition, the narrower definition has failed to include some Korean people, such as Hwacheok and Jaein, essential for his explanation on the question whom Wakou consisted of. Accordingly, the definition of ‘Marginal Man’ seems not clear in any sense. Third, in terms of the spatial scope of the theory, the Marginal Space, where the Marginal Men carried out their activities, is larger than their main region of habitation or origination. Accordingly, Marginal Men, and the counterparties to their activities who were not Marginal Men, lived together in the same Marginal Space, and therefore these two groups should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As Mr. Murai failed to differentiate sub-groups in the whole Marginal Man group, his Wakou concept has also become ambiguous. It sometimes means only Japanese people on the Three Islands, while it means all Marginal Men themselves including Korean Cheju Islanders, Hwacheok and Jaein in other contexts. Fourth, due to the vast time scope of the theory, a lot of other potential problems may occur. Among them, the two major problems related to studies on Wakou are (i) the improper unification of the 14th and 15th Century Wakou and the 16th century Wakou, which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any aspects, and (ii) the improper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of Korean descent’, found mainly in the 15th century, in the description on the 14th centrury Wakou. Therefore, the Marginal Man Theory should be modified so that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could be solved. Otherwise, it would not be proper to apply to studies on Wakou.

      • KCI등재

        루소의 『고백』 또는 주변인의 삶의 세계

        정승옥(Jeong Seung-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5

        주변인(marginal man)은 신분과 환경에 따라 인간의 가치가 규정되는 사회에서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 어느 한 곳에 뿌리내리지 못한 사람을 말한다. 루소는 자신을 상류계층과 하류계층의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전형적인 주변인으로 규정한다. 그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모두와 교제하며 근본적으로 상이한 두 세계를 깊이 있게 체험하지만 양쪽 세계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루소는 몇 번의 길지 않은 시기를 제외하면 한 평생을 주변인으로 살았으며 그의 사회 경험은 대부분 국외자나 사회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는 사람이 겪는 것이었다. 루소는 『고백』을 쓰면서 자기의 이러한 처지를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다. 프랑스 문학사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서전의 맨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고백』은 당연히 루소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지만 동시에 18세기 사회의 주변성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 작품도 주변성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주인공 루소는 개인적 체험을 나타내는데 머물지 않는다. 저자 루소도 개인적 체험의 화자에 머물지 않는다. 루소를 중심으로 짜여진 『고백』의 세계는 사회현상을, 인간과 현실세계와의 관계를, 하나의 생존양식을 재현하고 있다. 주변인의 삶에 천착하고 주변인의 시선으로 현실세계를 관찰하면서 루소는 흔히 중심부의 삶으로 여기는 지배계층의 삶만이 인간다운 삶이라는 통념을 한갓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사실 루소는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공화국의 시민’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루소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유년시절부터 그의 삶이 주변계층의 삶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루소도 안다. 실재의 루소와 그가 바라는 루소 사이의 이러한 간극은 주변성이 ‘강요된’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주변인의 삶과 자신의 삶이 일치를 보이게 되면서 주변성은 이제 거부되지만은 않는다. 주변인의 삶이 현실의 변두리 세계에 국한되어 있고 주변부 인생의 삶에 그칠 뿐이라는 다시 말해 역사의 바깥에 머무는 한갓 쓰레기 인생에 지나지 않는다는 기왕의 인식을 루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루소는 주변계층의 삶을 하나의 떳떳한 삶의 양식으로 받아들이지만 그 삶이 자리 잡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공간이 사회와 역사의 변두리에 그쳐야 한다는 그동안 통용되던 선입관은 거부한다. 한마디로 하면 루소는 주변인의 삶을 ‘선택하며’ 동시에 그 삶의 사회적 역사적 공간은 ‘거부한다’. 『고백』의 주인공 루소는 자신에게 강요된 고통스런 주변성을 긍정하고 육화한 다음 그 존재를 사회의 중심부로 옮기려 함으로써 주변성을 거부하고 떳떳한 역사적 존재가 되는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In Les Confessions Rousseau depicted himself as a typical marginal man; his conception of himself was ambiguous and his social status was precarious since he did not belong to any specific communities. Placed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e experienced two radically different worlds; however, he did not feel himself to belong to either world. He lived as a marginal man most of his life, and thus his social experience was that of an outsider who drifted at the margin of the society. When he wrote Les Confessions, he was very clearly conscious of his own marginal state. Les Confessions as the first modern autobiography in French literary history focuses on Rousseau's personal life experiences as well as depicts the marginal life of 18th century French society. The work itself revolves around portraying the marginal life, depicting social phenomena and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real world as well as their life style. Observing the life of minority with the eyes of a marginal man, Rousseau revealed that the assumption was only a deception that the lives of the dominant class only had value. Rousseau emphasized many times that he was a citizen of the republic, however, one easily finds that his life belongs to the minority class since he was young. Rousseau himself knew it, too. The difference between what he was and what he wanted to be suggests that the marginality was a forced identity; however, he did not simply reject the marginality. He did not accept the common idea that the life of a marginal man was that of an outcast at the margins of the society outside of the mainstream of history. He considered the life of minority class one of the fair modes of life, while he refused to think a marginal man's social and historical position must be confined to the margins of the society. In conclusion, Rousseau wanted a life of a marginal man but rejected to belong to the marginal social and historical space. Rousseau, protagonist of Les Confessions, affirming and incarnating a painful marginality assigned to him, revealed a process in which the marginal man rejected the marginality and took up an honorable place in his society.

      • KCI등재

        동아시아 境界人으로서의 渤海人과 渤海遺民

        이효형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2

        Palhae is the most typical multi-ethnic group and multi-cultural nation in Korean history, And it is a marginal nation at the same time. Palhae is such a distinctive nation that it needs to be discussed in terms of ‘margin’ with several respects such as national attribution, and besides geographical border which was relatively long. In short, it is a marginal nation in terms of time, space, and ethnicity. The lexical meaning of a marginal man is 'an individual suspended between two cultural and social realities and struggles to establish one's identity because he or she doesn't belong to either side.' The concept of marginal man in this paper doesn'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at of lexicon. Above all,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residential community of Palhae in the time of Palhae country or transferred to neighboring countries from Palhae are researched. Next, those who emigrated to Koryeo or China in the wake of the downfall of Palhae are examined. Then various Palhae refugee descendants who were living in Liao and Jin Dynasty were also considered. In this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rginal people who enter the stage of Palhae and the Palhae refugee descendants who enter the history of Palhae's downfall on the respect of marginal men. The collapse of Palhae brought about numerous marginal man, or refugee descendants all around East Asia at that time. The approach to Palhae refugee descendants suggests us to see it as the problem of immigrants and refugees, and to oversee the movement of refugee descendants as well. Moreover it provides the possibilities of looking into various aspects of national attribution, marginal men, diaspora and so on. To return to the main topic mentioned as above, Palhae residents and refugee descendants are surveyed with the respect of marginal man. In addition, the history of Palhae and its refugee descendants has the chance to be interpreted in the scope of whole East Asia beyond Korean history. The followings are some character istic results of recognization on Palhae refugee descendants with the viewpoint of marginal man. First, Palhae is a nation of margin and marginal men. In other words, it is a nation of margin in the aspects of geography, national identity, distinction of historical times, and the connection of Koryeo and Koguryeo dynasty. Second, Palhae is a multi-ethnic community. Residential proportion is so complicated that Palhae consists of koguryeos, Malgals, Uighurs, Sogdian, Khitans, Chinese, Sillas and etc. Third, Palhae is a society of integration and tolerance. Even though Palhae is complicated with residential composition, the discrimination between various residents is not discovered. The nation also has no discrimination in political system. It oriented the policy of tolerance rather than discrimination. Fourth, Palhae is a nation of internationalism and openness. This characteristic seems to be the result of Tang dynasty, which made Palhae highly brisk in human and material exchange. The plurality and dynamics of Koryeo dynasty show the influence of Palhae. Fifth, Palhae is a society which has a variety of cultures. It cherished its own unique culture and the cultures of Koguryeo, Tang, Malgal, Middle Asia, and Silla as well. We live in the times of margin. Palhae was also the nation of margin. Its downfall resulted in various marginal men across the whole East Asia. The marginal men managed to lead a variety of lives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and they also performed their own roles in their dynasty of Liao, Jin, and Koryeo. 발해 주민구성원 전체를 발해인이라고 한다면 이들은 멸망과 함께 발해 유민으로 전환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발해인과 발해 유민을 동아시아 경계인의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다. 우선 발해의 경계인 즉, 발해 존속기에 발해의 주민구성에 참여한 사람들과 발해에서 이웃 나라로 이주한 주요 인물들을 조사해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발해의 멸망으로 고려, 중국(후주, 송) 등 각지로 이주했거나 거란(요), 여진(금)에서 살아갔던 여러 유형의 발해 유민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발해의 멸망은 동아시아 전체에 수많은 경계인, 유민을 낳았다. 발해 유민에 대한 접근은 단지 유민에 대한 동태나 양상만이 아니라 이주민과 난민의 문제, 국가 귀속, 디아스포라의 관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가능하나 여기서는 경계인의 시각에서 바라다보았다. 아무튼 이 글은 경계인의 시각과 함께 한국사를 넘어 동아시아 전체의 범위에서 발해사와 발해 유민사를 살펴보았다. 더하여 발해 주민구성 문제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감안하였다. 경계인의 시선으로 발해인과 발해 유민을 바라본 결과 발해 사회의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발해는 경계․경계인의 나라다. 둘째, 발해는 다민족․다문화 사회다. 셋째, 발해는 통합과 포용의 사회다. 넷째, 발해는 국제성과 개방성의 사회다. 다섯째, 발해는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는 사회다

      • KCI등재후보

        왕샤오솨이(王小帥) 영화에 관한 小考 - 왕샤오솨이 영화 속의 주변인 형상과 의식을 중심으로

        김정은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08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15

        The leading player of the sixth generation directors, Wang Xiaoshuai and the most of his works have made a remarkable mark and taken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sixth generation of Chinese Film. Wang Xiaoshuai has kept interests in the life of Chinese at that time by the way of estrangement, and tried to describe people who have troubles in their lives through his films. Thus, his pictures, in which a marginal man is the main character, show obviously their neglected aspects of lives and awareness. The looks of the marginal man in his films are distinguished by their configuration- first, the sense of isolation of artists or the elite, second, the sense of alienation of the common herd, and last, other maladjusted people's awareness of marginal man. In the essay, across the study about the aspects of marginal configuration and awareness of characters in Wang Xiaoshuai's films it is aimed to provide the factual understanding towards the sixth generation directors' films and their main consciousness of theme as well as their films themes.

      • KCI등재

        <짐승말 알아듣는 이야기>를 통해 본 경계인 규정 원리 및 의미

        김자혜 ( Kim Ja-hy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9 No.-

        이 논문에서는 민담 <짐승말 알아듣는 이야기>를 통해 내부들이 경계인을 규정하는 원리와 민담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경계인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이야기 안에 등장하는 인물 중 짐승말을 듣는 사람을 ‘다름’으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배제당하는 경계인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이 가진 능력을 솔직하게 밝힘으로써 자기 존재에 대해 당당함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들은 자신들이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별하거나 독특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으며 단순히 한 공동체 안에서 같이 생활하는 일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솔직하고 당당한 모습을 보임을 살펴보았다. 이에 반해 원님이나 남편은 공동체의 다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인으로 보았다. 내부인들은 자신들의 상식과 경험에 근거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공동체의 가장 밖으로 밀어냈다. 경계인을 규정하는 주체들은 자신들의 상식을 기준으로 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결국 이러한 판단은 자신들의 생각에 합당하지 않은 사람을 공동체의 가장자리로 위치시킨다. 한마디로 개인이나 집단의 편견이 경계인을 규정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민담에 등장한 인물들의 행동 양상을 통해 경계인을 규정하는 그 기준 자체를 의심함으로 내부인과 경계인을 나누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부터 경계인을 규정하는 기준 자체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그 기준에 따르면 누구나 경계인이 될 수 있고 누구나 외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inciple by which insiders define a marginal man in the folktale, “Story of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Beast” as well as the meaning of a marginal man conveyed in the folktale. First, among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story, this study regarded a person who can understand the language of beasts as a marginal man, who is defined as “different” and excluded by most people. However, these kinds of people candidly speak about their power and seem confident about their identity. Meanwhile, they do not consider themselves as special or unusual in a way different from others but simply as a member living in the community together. This was examined as the reason they can be candid and confident. On the contrary, this study regarded the district magistrate and the husband as insid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community. The insiders push out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them, based on their common sense and experience, to the farthest outskirts of the community. The entities who define a marginal man judge right and wrong based on their common sense. By such judgment, the insiders in the end place people who are not congruent with their thoughts at the border of the community. In a word, prejudice of an individual or group is a factor that defines a marginal man. Also, from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folktale characters, this study questioned the standards by which a marginal man is defined and could confirm it is meaningless to divide insiders and marginal men. Because the standards defining a marginal man were subjective from the beginning, it was clearly shown that anyone can become a marginal man and an outsider according to such standards.

      • KCI등재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조보라미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2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arginal man' featured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Marginal man is located in marginal areas which involves cultural conflict. As is well known, Korea is situated in the opposition of ideolog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o in this situation marginal man is what he is not because he is not willing to break with his past but because the new society in which he now sought to find a place rejects him. Such a person is featured in San-bul by Cha Beomseok and Chilsanri by Lee Kangbaek. In San-bul a man who acted as North Korean partisan seeks refuge, but there is no place for him in the oppositional situation. In Chilsanri seven brothers whose fathers are North Korean partisans suffer the split between the aspiration for 'humanity' and the actual socio-historical experience of being treated as sub-human. Meanwhile, there is another marginal man who is willing to stand hardships to unite two countries. Such a person is featured in Homo Separatus by Lee Kangbaek and Abeojibada by Lee Ban. In that work, he is frustrated by the anti-unifying situation, and the character is not so well featured in this work. But Mogigindusaramidaewha by Park Joyeol is interpreted as the work of possibility of unification by the trial of the marginal man. 본고는 분단희곡 중에서 ‘경계인’이 형상화된 작품에 주목하고 있다. 경계인이란 두 개의 서로 다른 문화가 겹쳐진 경계지대에 놓여 있음으로써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인물을 뜻한다. 남북이 상반된 이데올로기 대립 아래 놓인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이것을 적용해 본다면, 기존에 지녔던 과거의 전통을 스스로 포기하지 않으려 해서라기보다 현 사회에서 그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함으로써 불가피하게 경계지대에 놓이게 된 인물이 대다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인물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차범석의 <산불>과 이강백의 <칠산리>를 들 수 있다. 전자에서 경계인으로는 빨치산으로 활동하다가 탈출해 나온 인물이 등장하나 첨예한 남북의 대립 논리 속에 그가 설 곳은 없다. 후자에는 아버지의 빨치산 경력으로 말미암아 ‘빨갱이’로 불려지는 자식들의 비극이 그려진다. 이들은 그 자신 ‘인간’이 되고자 하는 열망과 ‘인간 이하의 것’으로 취급당하는 사회-역사적 경험 속에서 자아 분열을 경험한다. 한편 분단희곡 중에는 경계인이 처하게 되는 고난을 알면서도 자발적으로 경계인의 위치에 섬으로써 대립된 세계를 통합하고자 하는 인물이 발견된다. 이강백의 <호모 세파라투스>나 이반의 <아버지 바다>가 이러한 예에 해당되는데, 전자는 분단 극복에 대한 경계인의 의지가 공고한 현실 논리에 부딪혀 좌절되는 양상을 보이고 후자는 경계인의 분단 극복 의지가 모호하게 표현된 한계가 있다. 반면 박조열의 <목이 긴 두 사람의 대화>는 경계인의 분단 극복 의지를 통해 남북 화합의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종기 시에 나타난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시력 50여 년의 마종기의 시세계는 ‘경계인(境界人)’적 운명에 처한 슬픔이 그의 시의 핵심을 이루며 그의 문학의 창조적 힘임을 알 수 있다. 그의 시 작품들은 독자들의 많은 관심 속에서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마종기 시의 근간을 이루는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을 통해 그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마종기의 시들은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이 따로 떨어져 있는 시들이 아니라 그것이 함께 길항하고 공존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의 경계인 의식은 변경의 고독으로 그의 실존을 괴롭혀 왔지만 그 고통과 아픔을 마종기는 문학을 통해 승화시켜 왔다. 그의 ‘죽음 의식’은 ‘초월적 죽음’이었다고 하겠다. 초기시부터 ‘경계인 의식’에서 빚어진 고통이 그의 시집 『이슬의 눈』에서는 삶과 죽음을 하나로 보고 초월하는 경지에 이르게 되며, 디아스포라로서 경계를 초월하고 마침내 참자유를 찾게 된다. 그의 후기시들은 그를 한평생 따라다녔던 고국 지향성 및 고국욕망을 비워내는 과정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그의 시집 『이슬의 눈』에 와서는 친혈육인 동생 종훈의 죽음에 대한 애절한 응시가 두드러지며, ``미국인들의 죽음’(「게이의 남편」)에 깊은 관심을 표명한다. 그 같은 용서와 화해는 지상의 존재자들에 대한 박애(博愛), 기독교적 휴머니즘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초기 시부터 추구해 왔던 생명사상이 타자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진다. 마종기는 결국 지상에 존재하는 무수한 타자들과 천상적 평화를 나눌 수 있는 화해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마종기의 시는 죽음의 절망에 함몰되지 않고, 감상에 젖어들지 않는다. 죽음은 신성하고, 죽음 후에 남겨진 사람들 역시 그 살아 있음으로 해서 신성하다. 죽음과 삶이 하나로 인식되면서 초월성을 보인다. 외롭게 변경을 떠돌던 마종기의 시는 죽음을 초월하면서 비로소 그의 시세계의 경계인 의식을 뛰어넘게 되고, 따뜻한 공감과 깊은 사유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Jong-gi Mah`s poetical journey reveals the poet`s fundamental locomotion that originates from the sorrow of being a marginal man. Although his poetry has attracted many readers, the study on the poet or the words has not been carried out in earnest. In this thesis the transcendency of Jong-gi Mah`s poetries are closely studied through his self-awareness as a marginal man and perception of death. His poetries embrace consciousness of both marginal man and death; the two different concepts coexist and compete one another at the same time. Mah`s understanding of death is to return to the natures of his homeland and to remain there eternally. Mah`s self awareness as a marginal man always has challenged the poet`s existence with struggle of being alone, However, such pain has sublimed through Mah`s religion called literature. Since his early years, the pain of being a marginal man has ripened the poet`s mentality and intellect. The pain reaches to the stage where Mah is able to perceive life and death as one as it is represented in his one of the most excellent poems, "Eyes of the dew." The pious structure that consistently widens and deepens his world finally wins Mah`s freedom. Mah`s later works are more connected to the procedure of emptying his desire for homeland which has followed Mah for his entire life. Especially in "Eyes of the Dew," Mah`s contemplation to his younger brother Jong-hun`s death as well as the sympathy towards "American Deaths" (from "Husband of a Gay") is remarkable. In these works his cosmopolitan contemplation stands out as well. Such forgiveness is realized through love for all existence on the earth as well as christian humanity. Mah`s love for the others develops and reaches to the point where his idea of life fully blooms. Jong-gi Mah eventually begins to seek the way to reconciliate with countless others on the earth in order to share heavenly peace. Mah`s poetry is neither destroyed nor sentimentalized by the fear of death. Death is pious as much as the people left to live are pious for their aliveness. Mah emphasizes that the sorrow for deaths should not be sentimentalized through words, that the sorrow should in fact be explored with vigilance. Mah`s poetry in which the author has wandered fringe lands finally exceeds the sense of a marginal man when it transcends death; at last the poetry becomes able to provide room for deep contemplation and sympathy.

      • KCI등재

        경계인의 정체성과 문화의 융합․창조 가능성: 프레디 머큐리(Freddie Mercury)의 삶과 음악을 통해

        장혁준 한국문화사회학회 2019 문화와 사회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ultiple and hybrid identity of marginal man, and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vergence and creation through the free-will of the individual to overcome it. Identity has been conceptualized around the space in which humans have been living, and has been defined according to its scope. But the increase in mobility is causing an identity beyond the scope of space, which means that cultural mobility has expanded. As the criterion of identity formation is recognized as multiple, the uncertainty of contemporary society is accelerating the mass production of marginal man as a new type of human, cultural hybrid.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contemporary citizens living in this era, we analyzed the identity and the possibility of marginal man through the life and music of Freddie Mercury, the lead vocalist of the British rock band Queen, who is also an immigrant, refugee and sexual minority. Freddie formed a dislocation individual identity amid the social and cultural turmoil caused by constant migration, and through the content and form of the music each revealed its identity and its viability.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content of <Bohemian Rhapsody>, the anxiety caused by his deficiency manifests itself without filtration, and in terms of form,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vergence and creation overcoming such identity is found. In other words, Freddie's way of transforming anxiety due to multiple and hybrid identity into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vergence and creation seems to be due to ‘Will to Power’ or ‘Free-will’. This suggests that today's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work to foster an active human being who expresses such reflections as ‘the spirit of marginal man’. 본 논문의 목적은 경계인의 다중적․혼종적 정체성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려는 개인의 자유의지를 통한 문화의 융합․창조 가능성을 밝히는 데 있다. 정체성은 그동안 인간이 살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개념화되어, 그 범위에 따라 정의되어왔다. 그러나 이동성의 증가는 공간 범위를 벗어난 정체성을 형성케 하고 있으며, 이는 문화적 유동성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체성 형성 준거가 다중적으로 인식되면서, 현대사회의 불확실성은 새로운 유형의 인간인 문화적 혼종으로서 경계인(marginal man)의 양산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적 시민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이주자이자 난민, 그리고 성소수자기도 한 영국의 록밴드 퀸(Queen)의 리드보컬 프레디 머큐리(Freddie Mercury)의 삶과 음악을 통해 경계인의 정체성과 가능성을 분석해 보았다. 프레디는 지속적인 이주로 인한 사회적·문화적 혼란 속에서 탈공간적 개인 정체성을 형성하였으며, 음악의 내용과 형식을 통해 각각 자신의 정체성과 그것의 극복 가능성을 드러냈다. 구체적으로 <Bohemian Rhapsody>의 내용 측면에서는 그의 결핍으로 인한 불안이 여과 없이 드러나며, 형식 측면에서는 그러한 정체성을 극복하는 문화의 융합․창조 가능성이 발견된다. 즉 다중적․혼종적 정체성으로 인한 불안을 문화의 융합․창조 가능성으로 전환하는 프레디의 방식은 ‘힘에의 의지(Will to Power)’, 즉 ‘자유의지(Free-Will)’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오늘날 시민성 교육에서 ‘경계인의 정신’과 같은 성찰성을 발현하는 능동적인 인간의 함양에 힘써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경계인 양상 연구

        오선영(Oh, Seun-Young)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일제 식민지 시기 동안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 러시아, 만주, 중국 등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의 이주는 징용ㆍ징병, 경제적 어려움, 이데올로기의 문제 등 식민지 시기라는 시대적 상황에 기인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원치 않은 이주는 수많은 디아스포라를 만들어 내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이양지의 소설 역시 이러한 디아스포라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실제로 작가 이양지는 재일조선인 2세에 해당한다. 조선인(한국인)에 대한 의식이 내면화 되어 있으면서도, 일본 국적을 가지고 일본에서 살아야 했던 이양지의 경험은 경계인으로 살아가는 재일조선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나비타령〉은 화풍여관을 그만 둔 아이꼬가 한국으로 오기까지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재일조선인 2세인 아이꼬는 일본으로 귀화하여 일본 국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적의 여부와 관계없이 조선인이라는 사실 때문에 힘들어한다. 재일조선인을 보는 일본인들의 시선, 그 속에 내재된 폭력과 배제로 인해 공포감을 느끼고, 스스로를 검열하려 한다. 재일조선인 1세대처럼 실질적인 식민지나 강제 이주를 경험하지 않은 2세대들에게 이러한 무언의 폭력과 배제, 소외는 극심한 두려움으로 나타난다. 그렇다고 하여 그들이 모국이라고 여기는 한국에서 그들을 환대한 것도 아니었다. 〈유희〉는 졸업을 한 학기 남겨둔 상황에서 일본으로 돌아간 유희를 회상하는 언니의 시선으로 쓰여있다. 유희를 도와주고 싶었다던 언니의 고백은 자신은 이미 한국인이라는 주체에 서 있다는 가정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이때 주체를 가르는 기준은 능숙한 한국어 사용이다. 국민국가에서 언어는 주체와 타자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며, 이에 부합하지 못하는 이들은 타자, 이방인이 된다. 또한 모든 문제는 유희에게 달렸다는 언니와 숙모의 말은 재일조선인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해석하여, 재일조선인의 위치를 더 협소하고 고립되게 만든다. 〈나비타령〉과 〈유희〉의 주인공이 작가 이양지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했을 때, 이는 이양지 개인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재일조선인 전체의 문제로 확장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작품 속 인물이 겪는 갈등과 고민은 개인의 사사로운 감정이나 사변적인 문제가 아니라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이기 때문에 겪을 수밖에 없는 사회적, 역사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비타령〉과 〈유희〉는 재일조선인을 경계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게 만드는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상황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디아스포라는 화려한 근대국민국가가 만들어낸 근대의 그림자이다. 이는 일제 식민지 시기, 해방을 거쳐 지금도 계속 되고 있는 진행형의 문제이다. 그럼 점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 없이 재일조선인들을 차별화 하는 일본인의 모습과 동포, 민족이라 하면서도 재일조선인들을 또 다시 타자화하고 배제하는 한국인의 모습은 이들을 영원한 이방인, 경계인으로 만들고 있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 Koreans emigrated to Japan, Russia, Manchuria, China. Their emigration resulted from periodical condition of colonial rule such as drafting, economic burden, ideology. This kind of unwanted emigration produced huge Diaspora and it has been continued today. Lee Yang-ji, who is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lso treat the matter of Diaspora in her novel. Lee Yang-ji’s experience to live in Japan with Japanese Nationality but have internalized Korean conscious represents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 marginal man. Firstly, Butterfly Taryung treat a process of Iko’s return to Korea after she quit her job of Hwapung-inn. Iko, who is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get the Japanese nationality by being naturalized but having trouble because she is Korean regardless of nationality. Frightened by not the physical violence but the invisible violence of eyes, she try censoring herself. Iko’s this kind of behavior represents Japanese aspect about Korean residents in Japan. It is severe fear for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didn’t experience a direct colonial rule or deportation to suffer a silent violence, exclusion and alienation. But that doesn’t mean Korea, their mother country, welcome them. Yuhee is written by her old sister’s perspective recalling Yuhee who went back to Japan when one semester left to graduate. Her confession that she’d like to help Yuhee starts from an assumption she has already identity as a Korean and the fluent Korean speaking is a standard dividing the subject and other. In the national state, language is being a criteria to distinguish the subject and the other, which is mean a man who can’t speak Korean fluently can be a stranger. Also what Yuhee’s old sister and aunt says all of the matters is up to Yuhee makes the statu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getting narrow and isolated by interpreting the matter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the matter of individual.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represented in Butterfly Taryung and Yuhee were the figure of a marginal man who was included neither Korea and Japan. The Korean residents with Japan nationality should stand silent violence because they aren’t Japanese while they have to be excluded because of being unskilled Korean even in the Koreans. It was the matter of Iko and Yuhee in her novel and also the matter of reality writer was facing. Life as a marginal man represented in her novel reflects writer’s self-consciousness as a marginal man.

      • KCI등재후보

        파티 아킨(Fatih Akin)의 <미치고 싶을 때>(2004)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2세대의 경계인 정체성 연구 

        이주성,강지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4 문화와 세계 Vol.5 No.1

        본 연구는 2022년 행정안전부 발표를 기준으로 한국 인구 100명당 4명이 외국인주민이라는 점, 특히 성장 배경을 한국으로 둔 미성년 자녀가 4명 중 13%라는 점에 주목하여 시작되었다. 성장 배경의 차이에 기인하여 디아스포라 1세대와 분명한 차이를 보일 디아스포라 2세에 대한 이해는 미래 한국 사회의 통합과 발전을 위해 꼭 갖추어야 할 지식이자 공감 능력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디아스포라 2세대에서 특정하게 발현될 수 있는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 에버렛 스톤퀘스트(Everett V. Stonequist)의 경계인 이론을 분석의 틀로 삼아, 독일의 튀르키예 디아스포라 2세대 영화감독인 파티 아킨(Fatih Akin)이 시나리오를 집필하고 연출한 <미치고 싶을 때>(2004)의 여주인공에게서 표현된 경계인 정체성 강화 원인과 탈피 시도를 살펴보았다. 여주인공 시벨(Sibel)은 함부르크 출신 독일국적의 여성 ‘시벨’과 튀르키예 디아스포라 가정의 2세대인 ‘규네르의 딸’로서 개인적 층위에서 독일 문화와 튀르키예 문화 사이의 충돌을 경험한다. 장소에 따라 문화와 하위문화가 명확히 구분되어 버리는 상황 속에서 시벨은 두 문화를 융합시킬 자유의지 또는 자기 결정권의 소유자가 되지 못한 채 경계인 정체성을 강화한다. 어느 순간부터 그녀는 영화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튀르키예 문화의 금기에 도전한다. 자기 결정권이 없는 상태에서 혼란한 내적 갈등을 갈무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거주국의 하위문화인 튀르키예 문화를 약화시키려는 시도를 한 것이다. 이 도전은 평생에 걸쳐 지속되었다. 이는 문화 간 충돌을 경험하는 디아스포라 2세대, 즉 경계인 정체성을 지닌 이들에게 갈등 경험 및 해소 시도 과정 자체가 그들의 평생의 숙제이자 하나의 정체성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독일의 혈통주의에 기반한 시민통합정책이 대한민국의 이민자 통합 정책 방향과 유사하다는 점,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주가 시의적인 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 2세대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와 대응 방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itiated based on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s announcement in 2022 stating that 4 out of 100 people in South Korea are foreign residents. Particular attention was given to the fact that 13% of these individuals are minors with a growth background centered in Korea. Understanding th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the diaspora,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growth background, is crucial knowledge and empathy for the futur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Everett V. Stonequist's theory of "The Marginal Man" as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identity that can be specifically manifested in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diaspora. It examines the reasons for the reinforcement and attempts to transcend the ‘Marginal Man Identity’ expressed by the protagonist in the film <Head-On>(2004), directed and written by Fatih Akin, a second-generation Turkish-German diaspora filmmaker in Germany. The protagonist experiences an identity clash between a German girl, Sibel, born in Hamburg, and Güner's daughter, a second-generation individual born from a Turkish diaspora family. In situations where cultures and subcultures are distinctly separated based on location, Sibel reinforces her ‘Marginal Man Identity’ without being able to possess the freedom of will or self-determination to merge the two cultures. At some point, she starts challenging the taboos of Turkish culture, which are clearly depicted in the film. In an attempt to cope with internal conflicts and a lack of self-determination, she tries to weaken the subculture of the host country, which is Turkish culture. This challenge persists throughout her lifetime. This indicates that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onflicts and resolving them can be a lifelong task and an identity itself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diaspora individuals, who possess a ‘Marginal Man Identity.’ The similarity between Germany's citizenship integration policies based on bloodline nationalism and South Korea's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direction, as well as the fact that immigration is a pressing issue in Korean society, suggests that this research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identity of the second generation of diaspo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