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론종결과 가중다수결

        박찬주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8

        지난 2012. 5. 29. 임기가 끝난 18대 국회에서 개정된 국회법에서는 filibuster의 허용과 이에대한 토론종결제도를 도입하였는데, 토론종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이라는 가중정족수의 찬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는 단순과반수의 원칙에서 이탈한 것으로서 미국상원규칙Rule ⅩⅩⅡ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Rule ⅩⅩⅡ에 대하여는 미국헌법학계에서도 위헌논란이 있으며, 위헌론이 보다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위헌논란은 동 Rule ⅩⅩⅡ를 계수한 우리나라 국회법과 관련하여서도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가중정족수제도의 위헌성을 논의하는데 있어서는 대한민국헌법과 미국연방헌법의 규정내용의 차이,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가중정족수제도를 국회법의 개정을 통해 도입하고 있는데비해 미국에서는 상원규칙을 통해 도입하고 있다는 점을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먼저 미국에서 Rule ⅩⅩⅡ에 대한 위헌성 논의를 ① 연방헌법에서 단순다수결을 선언하는 규정을 두지 아니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② 연방헌법이 규정하는 이송조항과 의사규칙조항의 성격은 무엇인가, ③ 선임의회가 후임의회의 입법권을 제한하는 의사규칙을 제정할 수있는가, ④ 투표가치 등가성의 원칙이 Rule ⅩⅩⅡ의 위헌성 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⑤ Rule ⅩⅩⅡ이 합헌이라는 점에 대하여 헌법적 관행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라는 점으로 세분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우리나라 개정국회법의 위헌성을 논하였다. 필자가 주장하는 주요 논점 가운데 몇 가지는 ① 대한민국헌법 제49조에서는 단순과반수의 원칙을선언하고 있으며 명문으로 단순과반수의 원칙을 선언하지 않고 있는 미국연방헌법과는 다르다는 점,대한민국헌법 제49조에서 규정하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이라는 부분의 「법률」에는 「국회법」이 포함되지 아니한다는 점, ② 가중다수결제도의 도입은 국회의 입법권을 유명무실하게 할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점, ③ Blackstone의 명제, 즉 「후임의회의 권한을 손상시키는 의회의 행위는 구속력을발생시키지 않는다」는 명제는 우리나라에서도 타당하며, 국회법을 통한 가중다수결제도의 도입은 후임국회의 입법권을 제한하기 때문에 허용되지 아니한다는 점, ④ 대한민국헌법 제64조 제1항은 「국회는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한 범위 안에서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데,이는 국회가 「의사」와 「내부규율」을 제정함에 있어서 「법률」 특히 「국회법」의 위임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위임이 없더라도 제정할 수 있으며, 이것이 헌법 제64조 제1항의 취지이다, 따라서가중다수결제도를 국회법을 통해 도입한 것은 헌법 제64조 제1항에도 위반하다는 점등이다. 이러한 주장을 배경으로 필자는 개정국회법의 해당규정의 위헌을 주장하는데, 필자의 주장을 펼침에 있어서 대법원 1971. 6. 22. 선고 70다1010 전원합의체판결의 큰 영향을 받고 있다. The newly repealed National Assembly Act by the 18th Assembly the term of which expired on 29. May 2012 introduces the unlimited debate (filibuster) and cloture institution for ending filibuster. But the Law requires the approval of three-fifth or more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duly chosen and sworn. We call this sort of increased majority as supermajority. The Origin of the Law is Rule ⅩⅩⅡ of US Senate Rule. But, as supermajority rule deviates from simple majority rule, there are heated debates between American constitutional scholars about unconstitutionality of Rule ⅩⅩⅡ and the pro-unconstitutional scholars are getting the better of the debates. Under these circumstances, aupermajority requirement for cloture of the repealed National Assembly Act cannot avoid the debates about it’s unconstitutionality. In debating unconstitutionality of supermajority requirement for cloturet, we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of the provisions between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different style of introduction of cloture institution between Korean Assemly and the US Senate. Korean Assembly introduced it by the statute, but US Senate introduced it by the rule. For these reasons, the writer approaches the unconstitutionality debates of the supermajority requirement as following : the writer itemizes prevailing points between American constitutional scholars at first, and the peculiar characters of the related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Assembly Act compared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Senate Rule ⅩⅩⅡ as a middle stage, and unconstitutionality of the supermajority requirement. Itemized points of the american unconstitutionality debates are as following : ① How can we approach the attitude of american Constitution which does not enact the rule of majority whether of simple or super? ② How can we define the characters of the Presentment Clause and Rules of Proceeding Clause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③ Can the present Senate can make rules of proceeding which can bind the future Senate? ④ Does the rule of equal value of vote have effects on the debates about unconstitutionality of supermajority requirement? ⑤ Can we regard the practices or conventions as being established from constitutional view?Several points among the writer alleges are as following : ① Article 49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s majority rule, and this attitude differs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which does not have ostensible provision, and the notion of 「Act」 forming the part of 「except as otherwise provides for … in Act」 in the Article 49 does not contain National Assembly Act, ② By the introduction of supermajority rule, there exists constant possibility of making the power of National Assembly illusory, ③ The postulate of Blackstone, the act of present legislature injuring the power of future legislature cannot bind the future legislature,1) is appropriate for our National Assembly, ④ The Article 64 (1) provides as 「The National Assembly may establish the rules of its proceedings and internal regulations. Provided, that they are not in conflict with Act.」. But it does not connote that National Assembly shall not make rules without delegation of Act, especially delegation of National Assembly Act. Instead, it connotes that National Assembly may make rules without that sort of delegation provided that they are not in conflict with Act. In this respect, introduction through National Assembly Act contravenes the Article 64(1)of the Constitution. In furthering the writer’s allegations, the writer pays great attention to Full Bench judgment of Supreme Court adjudicated on 22 May, 1971 (case number 70 da 1010).

      • KCI등재

        다수결의 원리는 법치주의를 지지하는가?

        전대석(Deaseok Jeon)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9

        이 글은 일차적으로 민주주의가 의사결정의 기본 원리를 삼고 있는 다수결의 원리와 법치주의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우리는 공동체에서 일어나는중요한 사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그 공동체에 속한 구성원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것을 당여하게 받아들인다. 달리 말해서, 우리는 다수결의 원리를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도출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법의 영역에서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 사회에 (좋은 방향이든 나쁜방향이든)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에 대한 법적 판단을 내려야 할 경우에 그 판결에 참여하는 사람(판사)들의 다수 의견에 따라 중대한 결정을 도출하기도 한다. 또한 적어도 근대 이후의 민주주의는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으며, 헌법이 그러한 시민의 권리를 규정하고 보호하고있다. 그러한 까닭에 우리는 법의 판단 또한 민주적 원리를 따른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원리상 민주주의는 ‘다수에 의한 지배’를 뜻하는 반면에법치주의(헌정주의)는 ‘소수에 의한 지배’를 의미하기 때문에 그 둘은 긴장관계에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다수결에 기초하는 민주주의와 법치주의(헌정주의)의 관계 안에 놓여 있는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우선 다수결의 원리가 민주주의를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들을 살펴봄으로써 민주주의에서 다수결의 원리가 가진 의미와 가치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다수결에 기초한 법의 판단이 동일 사안에 대해 서로 다른 결론을 도출하는 한 사고실험을통해 다수결에 의거한 법적 판단이 항상 정당화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헌정주의(법치주의)와 민주주의의 긴장관계에 놓인 큰 틀에서의 형식적인 문제와 좁은 틀에서의 판단 주체의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정치의 사법화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majority rule, the cornerstone of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the rule of law. Within communities, we generally accept the majority's voice in crucial matters. In essence, majority rule is considered a fundamental principle for arriving at democratic decisions. The legal sphere operates similarly. When a case with potentially significant societal consequences arises, legal judgments may reflect the majority opinion of the presiding judges. Furthermore, since the modern era, democracy has evolved to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citizens' rights, which are enshrined and safeguarded within the constitution. Consequently, it might seem intuitive that legal judgments align with democratic principles. However, a key distinction exists: democracy signifies “rule by the majority”, while the rule of law (constitutionalism) embodies “rule by minority”, creating an inherent tension between the two domain. To explore this tension within the context of majority rule-based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this paper will first analyze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majority rule to function effectively within a democracy, thereby elucidating its significance and value. Then it will examine the potential pitfalls of majority-based legal judgments. A thought experiment will be employed to illustrate how such judgments can lead to disparate outcomes for the same case. Finally, it discusses the issue of judicialization of politics by analyzing the formal problems in the broad framework and the problems of the adjudicating subject in the narrow framework.

      • KCI등재

        지배권 프리미엄과 충실의무 관점에서 본 지배주주와 소수주주의 관계 -다수결원칙에 따른 지배권의 정당화와 내재적 한계

        이중기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7

        The Korean company law adopts the majority rule in making corporate decisions at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uch majority rule seems inevitable in stock corporations as in stock corporation system, which are invented to attract investments from the public, it will take a lot of time and efforts for a number of shareholders having diverse opinions to reach a unanimous conclusion. The majority rule may definitely save more time and efforts than the unanimous rule. However, the majority rule inevitably entails the issue of the protection of minority. It is argued here that in order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there may be cases in which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majority power may be justified. This article firstly investigates the status of shareholders in stock corporations and compares the status of shareholders with that of directors, and argues that the owner status of shareholders does not entail, in principle, any obligation towards the company or other shareholders, but, due to the majority rule, controlling shareholders at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may face some limitation in exercising their majority power. Secondly, the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defines it as a controlling position in regard to an item on issue in passing an ordinary or a special resolution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Finally, the article categorizes the conflict into three situations: (i) conflict arising in a single company; (ii) conflict in a group situation; and (iii) conflict where a minority shareholder controls the board, and then investigates, in those different situations, how the minority shareholders protect their interest against majority’s proposal at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회사법은 주주총회의 의사결정방식으로서 만장일치가 아니라 보통결의 혹은 특별결의와 같이 다수결원칙(majority rule)을 채택한다. 다수의 공중이 참여하는 주식회사에서 모든 주주의 만장일치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 기타 비용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의 절감을 위한 다수결원칙의 채택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러한 다수결방식에서는 소수주주의 보호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주주의 ‘권한행사와 관련’해 일정한 제한을 가하거나 반대주주보호를 위한 제한을 가할 수 있고, 따라서 다수결 상황과 관련해 권한행사에 따른 ‘내재적 한계’를 인정하거나 ‘부수적 의무’를 인정할 수 있다. 즉 만장일치 방식에서는 모든 주주는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한 타인의 뜻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만장일치 방식에서는 주주에게 타인을 고려할 의무를 특별히 부과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다수결방식에서는 소수주주의 명시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배주주는 자신의 뜻대로 회사의 의사를 결정하기 때문에 지배주주에 대하여 (i) 안건에 대한 개인적 ‘충돌이익의 부존재’를 요구하거나, (ii) ‘일정지분 이상 주식의 의결권을 배제’하거나, 혹은 (iii) ‘다른 반대주주의 이익을 고려’할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상법이 규정한 특별이해관계있는 주주의 의결권배제 문제는 첫 번째 종류의 제한이고, 감사선임에서의 100분의 3 초과 주식의 의결권 배제는 두 번째 종류의 제한이며,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부과 문제는 세 번째 종류의 제한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회사의 소유자인 주주의 지위를 회사에 대한 의무주체인 이사의 지위와 비교해 보고, 이러한 주주의 지위에 기하여 주주에 대해 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살펴본 후, 주주에 대한 의무부과가 일반적으로 어렵지만, 다수결원칙이 적용되는 결과 지배주주의 이익과 소수주주의 이익이 달라지는 개별적 상황에서 지배주주에 대한 의무부과가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지배주주의 이익충돌이 문제 되는 세가지 다른 상황, (a) 한 회사 내에서 지배주주와 소수주주의 이익이 충돌하는 상황, (b) 그룹과 계열사 간의 이익이 다른 경우 그룹 지배주주와 계열사 소수주주의 이익이 충돌하는 상황 및 (c) 경영진을 통제하는 소수주주가 있는 경우 지배소수주주와 최대주주와의 이익충돌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때 지배주주가 안건과 관련해 갖는 특별이해관계로 인한 효과, 상법이 일정수 이상 주식에 대해 의결권을 제한한 상황, 나아가 지배주주가 권한을 행사할 때 소수주주의 이익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 등 지배주주와 소수주주의 다양한 관계에 관하여 지배권 프리미엄 및 충실의무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배심평결규칙의 법심리학적 제 문제(상): 만장일치규칙과 다수결규칙

        이은로 ( Eun Ro Lee ),박광배 ( Kwang B. Park ) 한국형사정책학회 2006 刑事政策 Vol.18 No.2

        Introduction of lay participation trial system could raise many psychological and legal issues regarding fact-finding functions of a jury. One of those important issues is the appropriate rule for the decision or verdict on the guilt of the defendant: unanimity rule versus majority rule. The verdict by a jury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kinds of collective decision making, especially those in political contexts. Collective decisions are often based on self-interested behaviors of constituents, voters,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under consitutional rules. On the other hand, the task of a jury as a decision making group is primarily based on the concerns for finding material fact regarding the guilt of defendant rather than serving for the interests of the participants. The decision by jury should not only be democratic but also be accurate and efficient. Therefore, the issues regarding unanimity or majority rule for the decisions by jury go beyond normative or ideological considerations and should be rooted in empirical bas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set the ground for research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searching for the appropriate rule for the decision by the lay jury that will convene for criminal trials in Korea. To that end, we introduce public choice theory for the optimal rule for group decisions and other theoretical models predicting the effects of different rules. And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unanimity and majority rules for jury decision making are delineated and summarized. In our next study,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n the verdict rules in the areas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s will be continued.

      • KCI등재

        지배권 프리미엄의 표현으로서 ‘다수지배원칙’과 통제장치로서의 지배주주의 충실의무

        이중기 한국상사법학회 2013 商事法硏究 Vol.32 No.1

        Because there are costs associated with holding a concentrated positionand with exercising the monitoring function, ‘some private benefits ofcontrol’(ie. ‘control premium’) may be necessary to induce a party to playthat role. As long as the benefits from reduction in managerial agency costsare greater than the costs of private benefits of control, minorityshareholders will prefer the presence of a controlling shareholderHowever, the concept of the control premium has not been expresslydeclared in an objective legal principle due to the difficulty in calculation byany objective formula: the costs are variable and determined by theindividual preference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for the risk associatedwith holding the controlling position. It is argued here that instead ofexpressing the premium in objective legal standard, the corporate lawdeclares the premium as practicable legal rules. One is the majority votingrule and the other is the business judgment rule. Instead of requiringunanimity requirement necessary in partnership relationships, the corporatelaw allows the controlling shareholder to form shareholders' collectiveopinion by majority vote. As the majority voting rule enables the controllingshareholders to save negotiation costs in forming unanimous opinions, themajority rule can be seen as a typified example of the premium. The majority rule in board meeting also works as the premium in that the rulereduces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controlling costs associated withappointing and controlling whole members of the board. The businessjudgment rule also works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remium in that itenables the courts to respect their strategic judgments favoring controllingshareholders : as long as the board decisions are business and strategicdecisions that equally affect the controlling and non-controlling shareholders,the courts may treat them as business judgments, and thereby put outsidethe realm of intrusive judicial review. Bu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remium has to be stopped in respectof certain exceptional transactions, from which private benefits are too easilyextracted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ne of such transactions is aself-dealing or an intra-group transaction favoring the member company withhigher controller's shares. In addition, where the extracted private benefits ofcontrol are unfairly prejudicial to minority shareholders, there should be anintervening mechanism for the courts to review the fairness of the amountof the control premium in question. One option is to introduce the Britishstyle of unfair prejudice remedy, and the other is to impose fiduciary dutiesupon controlling shareholders a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법치주의의 민주적 기획 문제

        박은정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1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achievements of democratization can be summed up as the development of the rule of law in our society. At the same time, though,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s still problematic. Recent political spats have been turned over to the courts to be resolved, failing to find a compromise through democratic means(‘judicialization of politics’). Owing to such circumstances, voices have been raised over whether the rule of law is acting as a hurdl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are like a three-legged race, they are bound together. As someone who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n such a way, I believe that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ule of law must always come first, and thereby propose to reevaluate the conceptual basis of the rule of law having in mind that our present circumstances command us to find a way to work out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is I aim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and the problem of protection of rights and protection of the majority.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t is essential that the theory of rights is reconstructed. As I am preparing another paper on this reconstruction, in this paper I will go as far as sketching out this issue. Lastly in this paper I will emphasis that the ideal type ‘rule of law’, must go beyond the usual formal/material dichotomy and must be understood in whole as a package, and thereby, unlike other traditional liberalists, I attempt to point out that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can be coupled with the principle of the social welfare state.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achievements of democratization can be summed up as the development of the rule of law in our society. At the same time, though,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s still problematic. Recent political spats have been turned over to the courts to be resolved, failing to find a compromise through democratic means(‘judicialization of politics’). Owing to such circumstances, voices have been raised over whether the rule of law is acting as a hurdl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are like a three-legged race, they are bound together. As someone who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n such a way, I believe that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ule of law must always come first, and thereby propose to reevaluate the conceptual basis of the rule of law having in mind that our present circumstances command us to find a way to work out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is I aim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and the problem of protection of rights and protection of the majority.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t is essential that the theory of rights is reconstructed. As I am preparing another paper on this reconstruction, in this paper I will go as far as sketching out this issue. Lastly in this paper I will emphasis that the ideal type ‘rule of law’, must go beyond the usual formal/material dichotomy and must be understood in whole as a package, and thereby, unlike other traditional liberalists, I attempt to point out that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can be coupled with the principle of the social welfare state.

      • KCI등재후보

        다수결원칙의 근거와 가중다수결 근거규정에 대한 축소헌법해석의 당위성

        박찬주 헌법재판소 2019 헌법논총 Vol.30 No.-

        The social contract theories provide the clues about the decision-making forms such as unanimity, bare majority and qualified majority. The main discussion of this essay is about the unavoidability of constitutional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the ground provision on qualified majority i.e., the Article 49 of the Constitution. Without such restrictive interpretation, the qualified majority system inevitably collides with the proposition of 「Parliament cannot bind its successors」. The National Assembly constituted through the general election enjoys the full and intact powers conferred by the Constitution. Such powers cannot be violated even by the prior Assembly. The Article 49 is the ground provision on the qualified majority. Korea is an almost unique country admitting the introduction of qualified majority through the statute laws. Furthermore, the bills scheduled for voting are not confined to the statute bills. A lot of non-statute bills are submitted making use of the said Article. The effect of the predecessor Assembly’s resolution on the non-statute bills has presumably indirect force on the successor Assemblies. If the successor Assemblies do not wish to accommodate the force of the predecessor Assembly’s resolution, they can neglect the force even without adopting opposing resolutions. In this meaning, the force of any resolution reaches only to the end of the Assembly of the day. With the statute bills unrelated to qualified majority, no reference is necessary to the binding force, as the successor Assemblies can amend or repeal the qualified-majority-related bills in accordance with the majority rule. Nevertheless, the binding force of the statute laws concerning qualified majority influences on the successor Assemblies, if we cannot root out the unconstitutionality through restrictive interpretation. Such problem does not arise in the countries the constitutions of which do not admit the introduction of qualified majority. With this construction, even where qualified majority is prescribed by the prior Assembly as necessary for repealing the qualified majority provision, successor Assemblies can repeal by the bare majority. And such repeal should not be the subject of presidential veto. 사회계약이론은 만장일치제, 과반수다수결원칙 및 가중다수결제도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의 주된 논의는 가중다수결제도에 대한 축소헌법해석의 당위성이다. 축소해석헌법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가중다수결제도는 의회는 자신의 계승자를 구속하지 못한다 라는 명제와 충돌할 수밖에 없다. 총선거를 통하여 새로 구성되는 국회는 임기 내에는 헌법상의 온전한 권한을 가지며 선임국회가 침해할 수 없다. 제정법을 통한 가중다수결제도의 도입을 허용하는 국가는 사실상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가중다수결 근거규정인 헌법 제49조 전문에서는 의결의 대상인 의안을 「법률안」에 국한하지 아니하고 각종 「결의안」을 포함하고 있다. 「법률안」을 제외한 결의안들은 결의의 효력이 결의국회의 계승자인 후임국회에게 미치는 효력은 간접적이다. 후임국회가 결의의 효력을 받아들이고 싶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면 되며 반드시 반대결의를 할 필요도 없다. 결의의 효력은 결의를 한 국회에만 미친다. 「법률안」이라고 하더라도 가중다수결과 무관한 경우에는 후임국회에서 통상적인 입법절차에 따라 폐지하면 되기 때문에 구속력을 논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가중다수결과 관련된 「법률」의 경우에는 「축소헌법해석」을 하여 위헌성을 제거하지 아니하는 한 구속력이 후임국회에도 미친다. 헌법에서 제정법을 통한 가중다수결제도의 도입을 규정하지 아니하는 나라에서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제정법상의 가중다수결규정의 폐지에 가중다수결을 필요로 한다고 규정하든 아니하든 후임국희는 과반수다수결로 가중다수결규정을 폐지할 수 있고, 대통령의 거부권행사의 대상이 되어서도 아니 된다.

      • KCI등재

        “지배권 프리미엄”에 근거한 주주의 충실의무 인정과 그 집행방법– 특별이해관계 없는 “지배” 소수주주의 충실의무와 그 집행을 중심으로 -

        이중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4

        Although the Korean Commercial Code declares the majority rule in shareholders’ meeting in a corporation, it provides an important exception that where the majority shareholders have an interest in a proposed resolution, their voting rights are suspended in the resolution. In such a case, because the interested majority are excluded from the voting, non-interested minority shareholders shall determine the resolution, and the uncommon minority rule prevail in the case. In this article, it is strongly argued that in this exceptional case, the non-interested minority should be subject to fiduciary duty to consider the collective shareholders’ interests, because the minority exercise a determining power for the entire shareholders including the excluded majority. Therefore, where the controlling minority vetoes the resolution extremely unfairly, the excluded majority can bring a suit to cancel or vary the extremely unfair resolution under the s.381 (1) of the KCC. It is also argued that although the KCC does not declare majority shareholders’ fiduciary duties towards the collective shareholders, such fiduciary duties are imposed upon the majority on the basis of their control premium enjoyed under the majority rule regime, and therefore where the resolution carried by the majority is extremely unfair, the same remedy under s.381(1) shall also be available to the minority shareholders who suffer minority discount.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주식회사에서 자본출자자인 주주는 원칙적으로 경영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출자책임 외의 책임은 지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주주도 일정한 경우 회사의 의사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의사결정에 대해서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의사결정의 “지배력”을 갖는 주주가 다수결 혹은 소수결 상황에서 회사의사의 결정권을 행사하는 경우, 해당 주주가 행사하는 “지배권”에 근거하여 해당 주주에게 “주주전체”의 이익을 고려할 충실의무가 부과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우리 주식회사법은 다수주주의 다수결에 의한 회사지배를 선언하고 있으나, 예외적으로 다수주주가 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소수주주에 의한 회사지배를 허용한다. 즉 상법 제368조 제3항은 “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고 규정함으로써, 다수주주가 “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의결권을 배제하고 결의에 참여하지 못하게 한다. 이처럼 다수주주가 특별이해관계인이 되는 경우, 이해관계가 없는 소수주주가 그 사안을 결정하게 되므로 예외적으로 “소수주주”의 “소수결에 의한 회사지배”가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이 때 특별이해관계 없는 소수주주는 주주총회에서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 “주주전체의 이익”을 위하여 의결권을 행사해야 한다. 왜냐하면 결정권을 가진 소수주주는 특별이해관계 있는 다수주주를 포함해 “전체주주”에 대하여 충실의무를 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주주가 특별이해관계로 인해 의결권이 배제되는 것을 기화로 지배권을 갖게 된 소수주주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결정권을 행사한 경우, 다수주주는 소수주주의 충실의무위반을 이유로 소수주주의 의결권행사를 다툴 수 있게 된다. 즉, 소수주주의 “결의가 현저하게 부당하고 [다수]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하였더라면 이를 저지할 수 있었을 때에는 [다수] 주주는 그 결의의 날로부터 2월 내에 결의의 취소의 소 또는 변경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상법 제381조 제1항),우리 주식회사법은 다수주주의 충실의무에 대해 선언하고 있지 않는데, (a) 다수주주는 소수결상황과 마찬가지로 다수결상황에서 지배권에 기해 주주전체에 대해 충실의무를 부담한다는 점은 동일하고, (b) 다수주주의 “결의가 현저하게 부당한 때”에는 소수주주는 충실의무 위반을 이유로 상법 제381조 제1항에 기한 소송과 유사한 소를 제기할 수 있다.

      • KCI등재

        간접민주주의와 문화적 차별의 재생산

        정병화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4 문화와 정치 Vol.11 No.1

        This article begin from the following question. ‘At liberal democracy system, can the ruling system of democracy revise the discrimination from the lack of recognition which has been shown in cultural sphere?’ Specially, This author asks whether the majority rule of indirect democracy can guarantees the right of cultural minority. Of course, majority rule of indirect democracy has had the meaning advances with regard to the redistribution of resources. The interests of majority considered at the political sphere has alleviated the monopolistic minority right. But this author thinks that the majority rule of indirect democracy can not guarantees the right of cultural minority. Though the majority rule of indirect democracy has in some degree revised the redistribution of resources, this can not structurally reform th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e logic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in the situation of the monopolistic majority the majority rule of indirect democracy representing the majority rights is to persist the domination of minority by majority. Specially, the density of persistence is to be strongly exposed, when the relation of majority with minority forms antagonistic opposition. 본고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접합으로서 그려지는 자유민주주의체제에서 ‘민주주의라는 통치체제가 문화적 특수성의 영역에서 보여주는 인정(recognition)의 결핍으로부터 발현되는 차별을 교정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한다. 특히, 필자는 간접민주주의의 의사결정방식인 다수결원칙이 실질적인 차원에서 문화적 약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정치적 기제인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간접민주주의의 의사결정방식인 다수결원칙은 자원의 재분배와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진전을 보여 왔다. 정치적 차원에서 고려된 다수의 이해가 경제적 차원에서 표면화된 소수의 독점적 권리를 완화시켰다. 이는 정치적 차원이 비정치적인 차원인 경제적 영역을 재정립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본고는 간접민주주의의 의사결정방식인 다수결원칙이 문화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문화적 약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없다고 본다. 다수결원칙이 역사적으로 자원의 재분배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여를 했지만, 다수결원칙은 논리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문화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없다. 다수와 소수의 논리에 근거하여 볼 때, 권리적 독점이 소수일 때에는 다수의 이해를 대변하는 다수결원칙이 어느 정도 그것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권리의 독점이 다수일 때에는 다수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다수결원칙은 다수에 의한 소수의 지배를 영속화시킬 뿐이다. 특히, 문화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다수와 소수의 관계가 적대적 대립관계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는 그 영속화의 강도는 강하게 표면화될 것이다.

      • KCI등재

        支配株主의 行爲基準

        송인방  (Song In-Bang)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1 No.-

        본고는 지배주주의 신인의무이론을 미국 판례법에서 성립한 원칙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주식회사에서 지배주주가 이사와 마찬가지로 충실의무 혹은 신인의무를 부담한다고 할 때, 그 근거가 되는 행위기준과 법원의 심사기준이 무엇인지가 문제된다. 미국에서는 판례법상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을 세워서 지배주주의 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첫째, 지배주주는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지배주식의 매각에 있어서 자기의 이익을 얻기 위해 소수주주의 이익을 해하지 못하며, 이 때 지배주주가 부담하는 의무가 신인의무인 것이다. 법원은 '완전공정원칙'이론을 가지고 지배주주의 행위기준을 판단하고 있다. 둘째, 미국에서 여러 주의 판례에서는 '주주기회균등원칙'을 또 하나의 행위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록 '완전공정원칙'의 기준에서 볼 때 불공정한 행위가 되지 않더라도 다른 주주에 대해 차별대우를 하는 것은 신인의무위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이러한 미국 판례법상 이론을 우리 판례에 직접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회사지배구조에 대한 재고찰이 요구되는 작금의 상황에서는 우리 법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This study reviews rules of US case laws on a theory of fiduciary duty of majority shareholders. Controlling shareholders bear a fidelity duty or a fiduciary duty as directors do because they may infringe on profit of minority shareholders by exercising the influencing power to the board of directors. In a case that fiduciary duty of majority shareholders is admitted, the action standards and judgement standards of a court that decide the duty must be considered. The US case law, considering the transaction type of shares, a position of a dealer in a company and so on, established the following rules. First, there is a rule called Perfect Fairness Rule as an action rule of majority shareholders. According to this rule, majority shareholders cannot exercise a voting right and cannot infringe on the profit of minority shareholder to gain their own profit when shares of majority shareholders is sold. This action violates the fiduciary duty. Second, several case laws establish a rule called shareholders' Equal Opportunity Rule. Although majority shareholders do not violate Perfect Fairness Rule, the action that they discriminate other shareholders is the one that violate the fiduciary duty. Although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adapt these US case laws to Korea, in a situation that current ruling structures of companies must be reconsidered, they can be samples for the Korean Commercia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