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를 통해 본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city through the case of new media art based on locative media which raises important media betwee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Locative media which is embodied in combination of specific site and data space reconstitute human experience in modern city and demand the redefinition of urbanity.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art which reinterpret feature of locative media in the field of artistic experimen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meaning of technological, esthetic change can be understand in the urban context. The greater part of locative media art is planned in the specific urban context, reinvent real place and virtual data space as community through the interactivity with participants. To analyse urban meaning of locative media practice, I research emergence of urban community mediated by locative media and site-specificity of locative media art. And I present the geography of topological cit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opographical peculiarity of new city is confirmed by the concept of ‘overexposed city’ which is defined by Paul Virilio. He focused on ‘cinecitta’ as prototype of overexposed city. This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being able to recontextualization feature of new media which is represented by locative media relation to urban space. In this point of view, the term of 'media city' has not only meaning of city mediated by media technology but also possibility of considering city as media. As a result,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media through the case of locative media art is not simple combination of individual sphere but in complementary relations in media hi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중요한 미디어로 대두된 위치기반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 미디어 아트 사례 분석을 통해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특정한 장소와 데이터 공간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는 위치기반 미디어는 현대 도시에서의 인간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재구성하고 있으며, 도시성 자체에 대한 재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의 특징을 예술적 실험의 영역에서 재해석하는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는 뉴 미디어 시대의 기술적, 미학적 패러다임 변화의 의미를 도시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대부분은 구체적인 도시 공간의 맥락에서 기획되어 현실의 장소와 가상의 데이터 공간을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의 영역으로 재창조한다. 본 연구는 위치기반 미디어 실천의 도시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위치기반 미디어에 의해 매개된 도시 공동체의 출현과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장소 특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위상학적 도시의 지형도를 제시했다. 새로운 도시의 지형학적 특성은 폴 비릴리오에 의해 정의된 바 있는 ‘과잉노출의 도시’ 개념을 통해 확인했다. 그는 과잉노출 도시의 원형으로서 ‘영화도시’에 주목했다. 이 개념은 공공 공간에서 위치기반 미디어 기술을 통해 재현되고 있는 뉴 미디어의 특성을 도시 공간과의 관계성으로 재맥락화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 시티’등의 용어는 매체기술에 의해 매개된 도시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도시 자체를 미디어로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의미임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실천을 통해 본 도시와 미디어의 관계는 개별적 영역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매체사적으로 밀접한 상보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 J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 간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공간성의 변화와 결부된 예술적, 기술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1960년대 후반부터 촉발된 장소 특정적 미술과 2000년대의 위치기반 미디어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예술과 기술의 관계성에 관한 비교분석법에 기반해 장소 지향적 실천이 뉴미디어 시대에 갖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했다. 물리적 공간에 대한 강조에서 비롯된 장소 특정적 미술의 장소 개념은 담론적 공간을 거쳐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내비게이션 공간의 특징으로까지 연결된다. 내비게이션 공간의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는 뉴미디어의 공간이 실제 장소와 맺고 있는 관계성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는 장소특정적 미술의 기술적 확장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 프로젝트는 데이터 공간과 현실의 장소 간 관계를 디자인하는 확장공간의 기획으로 수렴된다. 결과적으로,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은 뉴미디어 시대 예술과 기술이 창의적 상호작용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물은 예술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관한 역사적 접근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의 함의를 갖는다. Drawing up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hift of artistic, technological paradigm combined with variation of the spatiality. The range of study is site-specific art from the late 1960s and locative media project in the 2000s. And, by dwelling upon comparison analysis method on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I draw a conclusion the meaning of site-oriented practices in the new media era. The concept of place in site-specific art taken by emphasis on physical space connected into feature of navigation space in cyberspace by way of discursive space. Within the framework of navigation space, locative media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space in new media and real place.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can be defined as technological expansion of site-specific art. In summary,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project art convergent with the planning of augmented space that design the relation between data space and actual place. As a result, spatiality in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present that art and technology are creative interactive relations in the era of new media.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esenting the historical methodology about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Post-virtual Geophilia

        Kok Yoong Lim,Joonsung Yoon 중앙대학교 영상콘텐츠융합연구소 2016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3 No.3

        This paper examines the emergence of increased hybridity in our experience of spatiality, in physical and virtual space. I argue that locative media acts as a cognitive extension of our mind and this realm of the socalled “extended mind” purported by Andy Clarke affords an extension to our body into the virtual realm. This reciprocal function between the extended mind and extended body allows for self-correction and selfconsciousness in space and can be understood as a kind of feedback loop. Our interaction with locative media is perpetuated by this feedback loop that allows the body to adjust its operation according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the actual and virtual. This synchronous feedback loops between three spaces: (1) mind or the mental space, (2) reality or the physical space, and (3) virtual space. My aim in this paper is to provide a new context in which to interpret the notion of geophilia – the love of the earth, by examining the geographical proximity of locative media. We shall then see wider aesthetic implications of the hybridity in locative art.

      • KCI등재후보

        놀이의 정치학 : 뉴미디어 아트와 관객 공동체

        이혜원 한국미술이론학회 2010 미술이론과 현장 Vol.10 No.-

        This study discusses the community of participants in new media-based art of Taeyoon Choi, Wafaa Bilal and Mushon Zer-Aviv in relation to current discourses on social functions of art by Nicolas Bourriaud and Jacques Rancière. Focusing on these artists' participatory projects which aim to provide alternative perspectives on wars between countries, to raise awareness about expanding surveillance systems in city spaces, or to create new public spaces on the web,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works hybridize entertainment culture and political activism to suggest a new model for political art.

      • KCI등재후보

        Production of Digital Immersive Theater for Realization of Realistic Content of Tongyeong Ogwangdae

        Gyu-Wan Choe 중앙대학교 영상콘텐츠융합연구소 2022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9 No.1

        Unlike illusionism, which produces a sense of reality, the immersive theater has developed into a new performance genre wherein the method of acquiring a unique experience through the audience’s direct participation has primacy. The boundary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is unclear.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is especially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audience’s reaction affects the theater. The theater elements unique to Korea, as organized in madanggeuk, can be easily expanded into the exhibition and performance genre, and offer creative and diverse experiences. As a representative case of Korean traditional theater, Tongyeong Ogwangdae is thus analyzed and a “digital immersive theater,” as a new format of experiential content, is created by applying unique ID generation and identification technology based on location tracking of multiple us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